KR101418043B1 -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 Google Patents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043B1
KR101418043B1 KR1020130007628A KR20130007628A KR101418043B1 KR 101418043 B1 KR101418043 B1 KR 101418043B1 KR 1020130007628 A KR1020130007628 A KR 1020130007628A KR 20130007628 A KR20130007628 A KR 20130007628A KR 101418043 B1 KR101418043 B1 KR 10141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ming
press
workpiece
upper di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성
한만재
Original Assignee
(주)미래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테크노 filed Critical (주)미래테크노
Priority to KR102013000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1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양산 단계 이전에 테스트를 위해 소량 제작되는 시작차량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되는 프레스방식의 시작용(試作用) 헤밍장치로서,
가공 대상물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는 하부다이와 상부다이에 대해, 가공 대상물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만 교체하고 나머지 모든 구성부품은 범용(汎用)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크기를 최소화시킨 하부다이(200)를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하부 고정판(100)과, 크기를 최소화시킨 상부다이(400)를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상부 고정판(300)을 각각 구비하여,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시작차량 제작이 종료된 후에 하부다이(200)와 상부다이(400)만을 폐기하고 나머지 모든 부품들을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비용 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예상치 못한 설계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설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HEMM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RAFT AUTOMOBILE BY PRESS}
본 발명은 차량의 양산 단계 이전에 테스트를 위해 소량 제작되는 시작차량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되는 프레스방식의 시작용(試作用) 헤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각각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프레스의 작동에 의해 시작용 차량의 헤밍작업을 수행하는 프레스 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에 있어서,
시작차량 제작이 종료된 후에 폐기 처리되는 주물부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예상치 못한 설계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설계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범용성을 향상시킨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모델의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한 단계에 있어서, 디자인이 완료된 차량에 대해, 양산체계를 갖추기 이전에 사전에 시작용(試作用) 차량을 제작하여 설계의 타당성 검증 및 성능 테스트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작용 차량은 여건과 상황에 따라 다르나, 대개 50~150대를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200대 이상의 시작용 차량을 제작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현재 이러한 차량의 제작은 완전한 생산설비 및 가공장비, 생산라인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대부분 시작용(試作用) 금형 및 치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하여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며, 도어를 비롯한 동작부위(moving part)의 가장자리의 절곡작업(이하 '헤밍(hemming)'이라 한다) 역시 수작업에 의존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이 현재의 시작용 차량의 헤밍작업은, 도 1과 같이 디자인 데이터에 의하여 가공된 하형 다이(Die)를 제작하고, 가공물인 외부 패널(A)과 내부판넬(B)을 겹쳐 상기 하형 다이(3) 위에 셋팅하여 안착시킨 후, 외부판넬의 플랜지(A1)에 타격판(4)(또는 '아대'라 하기도 함)을 대고 해머로 타격판을 두드리면서 절곡시켜, 이 플랜지(A2, A3)를 내부판넬과 결합시키는 절곡(벤딩)작업을 수작업으로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작용 제품의 헤밍작업은 가공물의 전체 둘레(이하 '전주(全周)'라 함)에 대하여 동시에 절곡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고 순차적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헤밍라인의 연속성이 떨어져 헤밍라인의 불균일, 외관 표면의 굴곡발생 등 품질상의 문제점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요구되어 개발기간의 장기화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헤밍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작업조건에 따라 완성품의 품질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성능검증, 충돌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검증 및 테스트 결과 데이터의 정확한 분석을 어렵게 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수작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작차량 제작을 위한 헤밍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상부다이(20)와,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가공물이 안착되는 하부다이(10)를 갖는다. 상기 상부다이와 하부다이의 양쪽 측면에는 각 다이를 프레스의 상부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에 각각 볼트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3)(13)가 형성된다.
종래의 시작용 헤밍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다이(10)의 중앙에 위치한 헤밍베드(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예비헤밍 링크기구(34)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예비헤밍 링크기구(34)는 구동캠(44)의 승하강(즉, 상부다이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예비헤밍 블레이드(11)가 전전되어 외부판넬의 플랜지를 1차로 절곡시킨 후에 다시 예비헤밍 블레이드를 원위치로 복귀된다. 하부다이에 설치된 헤밍베드 하부에는 헤밍작업이 완료된 가공물을 배출하기 위한 리프팅장치가 추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다이(20)에는 헤밍될 가공물을 가압하여 헤밍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가공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압패드세트(42)가 구비되며, 가공물의 가장자리 윤곽선을 따라 메인헤밍 블레이드(36)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다이가 하강 동작함에 의해 예비헤밍이 완료된 외부판넬 플랜지를 절곡함으로써, 헤밍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다이가 승하강할 때 하부다이와 정확한 위치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다이(20)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포스트(5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포스트 홀딩블록(15)이 하부다이(10)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다이에도 상기 가이드포스트가 삽입되는 가이드블록(25)이 상기 상부다이(20)와 일체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8은 설정된 위치에서 가압패드가 내부 판넬을 가압하도록 해주는 정위치 세팅부재로서, 일명 '패드 발란서(Pad Blancer)' 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시작용 헤밍장치의 상부다이(20)와 하부다이(10)는, 프레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볼트결합부와 상기 상부다이와 하부다이의 각 결합부(23)(13)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또 헤밍가공 중에 인가되는 큰 부하에도 무리없이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형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규격 크기에 맞춰 상부다이와 하부다이를 주물로 제작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상부다이와 하부다이는 그 크기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주물 제작에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되는 반면에, 제작될 차종과 차량의 형상에 맞춰 제작되기 때문에 차량 모델별로 각각 제작되어야 하고, 나아가, 시작차량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더 이상 활용될 수 없기 때문에 시작차량 제작 이후에는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경제적 측면에서 막대한 손실이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 낭비의 요인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다.
KR 2003-0040302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부품을 최소화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을 최대한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확보할 수 있는 시작용 헤밍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작 차량의 제작과정에서 잦은 설계변경에 대해서도 일부 부분만을 간단히 교체하는 것만으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작용 헤밍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시작용 헤밍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시작용 헤밍장치의 설계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작용 헤밍장치는,
종래 시작용 헤밍장치와 달리,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 및 가동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여 프레스의 두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상하 고정판(100)(30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상하 고정판(100)(300)에 각각 상부다이와 하부다이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주물로 제작되는 상부다이 및 하부다이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가공물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상부다이 및 하부다이만을 교체 장착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의 범용성과 호환성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헤밍베드와 링크기구 고정부와 가이드유닛과 고정플레이트와의 결합부가 모두 일체로 주물 제작되던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하부다이(200)는, 헤밍베드(220)와 예비헤밍 링크기구(도 2에서의 도면부호 34)만이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하고,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판(100)을 도입하여 상기 하부 고정판(100)에 상기 하부다이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프레스의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500)도 하부다이와 분리된 독립적인 구성부품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 고정판(1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메인헤밍블레이드와 구동캠과 가이드유닛과 가동플레이트와의 결합부가 모두 일체로 주물 제작되던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상부다이(400)는, 메인헤밍 블레이드(460)와 구동캠(440)만이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하고,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300)을 도입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300)에 상기 상부다이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프레스의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500)도 상부다이와 분리된 독립적인 구성부품으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300)에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자세하게 서술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는, 가공 대상물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만 교체하고 나머지 모든 구성부품은 범용(汎用)으로 재사용함은 물론, 다른 가공모델과의 호환성 향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헤밍장치는, 시작차량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만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부품들을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작용 헤밍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제작기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작차량의 제작 중에 빈번히 발생되는 설계변경 요구에도 신속하게 대응하여 헤밍장치를 수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더 나아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자원 낭비의 문제도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오던 시작차량 제작을 위한 종래 헤밍기술의 내용을 간략히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로 알려진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직단면을 갖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에서의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닫힌 상태(헤밍가공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다이와 하부 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장치(2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다이와 상부 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패드세트(4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430)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캠(440)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 3을 기준으로, 위쪽을 상부방향으로, 그 반대방향을 하부방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a는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상부다이세트(상부다이와 상부 고정판)와 하부다이세트(하부다이와 하부 고정판)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서, 프레스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다이세트가 가이드유닛(500)을 따라 하강하면서 가공물의 예비헤밍 및 메인헤밍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닫힌 상태(헤밍가공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는,
가공 대상물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는 하부다이와 상부다이에 대해, 가공 대상물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만 교체하고 나머지 모든 구성부품은 범용(汎用)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부다이(200)를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하부 고정판(100)과,
상부다이(400)를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상부 고정판(300)을 구비한다는 점이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상기 하부 고정판(100)에는 후술하게 될 하부다이(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 가능한 결합수단은 볼트와 너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은 도면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하부 고정판(100)을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부 고정판(100)은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하부 고정판(100)의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120)가 다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는 프레스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포스트 홀딩블록(25)이 하부다이와 일체로 주물 제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유닛(500)은 하부다이(200)에서 분리된 독립적인 구성부품으로서, 하부 가이드홀더(510)는 상기 하부 고정판(100)에 고정 설치된다. 도면부호 520은 상기 하부 가이드홀더(510)에 고정 설치되어 프레스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포스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140 및 340은 각각 하부다이세트(하부다이와 하부 고정판) 및 상부다이세트(상부다이와 상부 고정판)를 호이스트로 인양하기 위한 후크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판(300)에는 후술하게 될 상부다이(400)가 탈착 가능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 고정판(300)을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 고정판(300)은 프레스의 강동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부 고정판(300)의 가장자리에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320)가 다수 개 구비된다.
상기 하부다이(200)는, 헤밍가공 중에 프레스에 의해 인가되는 부하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진 주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밍장치의 하부다이(200)와 하부 고정판(100)이 도 5a 및 도 5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다이(200)에는, 가공물이 재치되고 헤밍가공이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헤밍베드(2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헤밍베드(220)는 가공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다이(200)에는 상기 헤밍베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예비헤밍 링크기구가 장착된다. 상기 예비헤밍 링크기구는 후술하게 될 상부다이(400)의 구동캠(440)의 하강동작에 의해 작동하여 가공물의 외부패널 플랜지를 예비헤밍하는 링크기구로서, 한국특허 제10-0313722호 및 한국특허 제10-0511174호 등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도면부호 231은 상기 예비헤밍 링크기구가 안착될 장착면을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포스트(520)에는 상부다이(400)의 하강위치를 정확히 조절하는 높이조절블록(540)이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부다이가 정확한 위치에서 하강동작이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헤밍 가공물을 상기 헤밍베드(220)에 재치하고 헤밍작업이 완료된 가공물을 이송하기 위한 리프팅장치(260)가, 도 5a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헤밍베드(220)의 하부에 추가로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프팅장치(26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공물을 승하강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262)와, 상기 구동부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가이드봉(263)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가공물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264)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고 가공물을 진공압력으로 흡착하는 다수 개의 진공흡착구(266)를 구비한다.
이 때, 가공물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진공흡착구의 각도와 위치를 손쉽게 조절하여 세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치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관절클램프(268)로써, 진공흡착구(266)와 상기 승강부(264)를 연결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팅장치(260)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가공물에 대해서도 작업 전에 미리 진공흡착구(266)의 각도와 위치를 손쉽게 조절하여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작용 헤밍장치의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부다이(400)와 상부 고정판(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다이와 하부 고정판의 결합관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고정판(300)에는 후술하게 될 상부다이(4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상부 고정판(30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320)가 다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는 프레스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45)이 상부다이와 일체로 주물 제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유닛(500)의 상부 가이드홀더(530)은 상부다이(200)에서 분리된 독립적인 구성부품으로서, 상부다이(200)와 관계없이 별도로 상기 상부 고정판(30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부다이(400)는, 하부다이(200)와 마찬가지로, 헤밍가공 중에 프레스에 의해 인가되는 큰 부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진 주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다이(400)와 상부 고정판(200)가 도 8a 및 도 8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다이(400)에는, 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압패드세트(420)와, 가공물의 가장자리 윤곽선을 따라 수직 하방(下方)으로 결합되어 프레스의 하강 동작에 의해 예비헤밍된 외부판넬 플랜지를 가압하여 절곡하는 메인헤밍 블레이드(460)와, 상기 프레스의 하강 동작에 의해 예비헤밍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캠(44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패드세트(420)는 헤밍가공 중에 가공물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므로, 가공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시작용 헤밍장치의 범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패드세크트(420)의 구성을 개선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패드세트(420)를 도시하였다.
상기 가압패드세트(420)는,
상기 메인헤밍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서 상기 상부다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플레이트(421)와,
상기 패드플레이트(4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플레이트(423)와,
상기 보조플레이트(423)에 결합되어 헤밍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가공물의 내부패널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43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공물을 가압하는 가압봉(432)과, 상기 가압봉(432)을 상기 보조플레이트(423)에 고정하는 고정블록(434)으로 구성되는데,
변경되는 가공물의 형상에 따라 현장에서 자유롭게 가공물의 내부패널 표면을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434)은 상기 가압봉(432)의 방향과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9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25는 보조플레이트(423)가 하부다이의 헤밍베드에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는 패드 발란서를 도시한 것이다. 이 패드 발란서(425)는,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부다이세트와 하부다이세트가 서로 맞닿을 때 도 5에 도시된 위치결정구(224)에 대응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드 발란서는 보조플레이트(423)에 대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방식으로 보조플레이트(423)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패드발란서(425)를 돌려 풀거나 죔으로써, 보조플레이트(423)에 대한 상대적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작용 헤밍장치의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430)를 설명한 설명도로서, 상기 보조플레이트(423)에 대한 가압봉(432)의 방향과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함이 설명되어 있다. 도 10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32a는 가압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는, 가공물에 따라 예비헤밍 링크기구의 구동조건이 달라지는 점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상기 상부다이에 장착되어 하부다이에 설치된 예비헤밍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캠(440)의 조건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부다이(400)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캠(440)은,
상기 예비헤밍 링크기구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예비헤밍 링크기구에 접촉되는 캠면을 구비한 캠블록(442)과, 상기 캠블록(442)이 설치되는 캠지지부(444)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블록(442)과 상기 캠지지부(444)는 체결수단(446)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캠(440)을 설명한 설명도로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캠(440)은, 가공물의 특성에 맞는 캠블록(442a, 442b, 442c)을 선택적으로 캠지지부(444)에 장착 또는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물에 따라 예비헤밍 링크기구의 구동조건이 달라지는 경우 또는 설계변경으로 인해 헤밍장치의 수정이 필요한 때에도 유연하고 신속하게 현장에서 대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부 고정판
120: 결합부, 140: 후크
200: 하부다이
220: 헤밍베드, 240: 예비헤밍 링크기구
260: 리프팅장치
300: 상부 고정판
320: 결합부, 340: 후크
400: 상부다이
420: 가압패드세트, 440: 구동캠, 460: 메인헤밍 블레이드
500: 가이드유닛

Claims (4)

  1. 프레스의 고정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가 가장자리에 다수 개 구비되고,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포스트(520)를 지지하는 가이드홀더(510)가 고정 설치되고, 후술하는 하부다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하부 고정판(100)과;
    헤밍가공 중에 인가되는 부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주물 제작되는 것으로서,
    가공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가공물이 재치되어 헤밍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헤밍베드(220)와, 상기 헤밍베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예비헤밍 링크기구가 장착되는 하부다이(200)로 이루어져, 가공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는 하부다이를 상기 하부 고정판(100)에 착탈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프레스의 가동플레이트 규격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가 가장자리에 다수 개 구비되고,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포스트가 삽입되는 가이드홀더(530)가 고정 설치되고, 후술하는 상부다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상부 고정판(300)과;
    헤밍가공 중에 인가되는 부하를 지지하기 위해 주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압패드세트(420)와, 가공물의 가장자리 윤곽선을 따라 수직 하방(下方)으로 결합되어 프레스의 하강 동작에 의해 예비헤밍된 외부판넬 플랜지를 가압하여 절곡하는 메인헤밍 블레이드(460)와, 상기 프레스의 하강 동작에 의해 예비헤밍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캠(440)이 장착되는 상부다이(400)로 이루어져, 가공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는 상부다이(400)를 상기 상부 고정판(300)에 착탈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공 대상물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만 교체하고 나머지 모든 구성부품은 범용(汎用)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이에 구비되는 가압패드세트(420)는,
    상기 메인헤밍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서 상기 상부다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플레이트(421)와,
    상기 패드플레이트(4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플레이트(423)와,
    상기 보조플레이트(423)에 결합되어 헤밍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가공물의 내부패널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43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부재(430)는, 가공물의 내부패널에 밀착되어 가공물을 가압하는 가압봉(432)과, 상기 보조플레이트(423)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봉의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고정블록(4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이에 장착되는 구동캠(440)은 상기 예비헤밍 링크기구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예비헤밍 링크기구에 접촉되는 캠면을 구비한 캠블록(442)과, 상기 캠블록(442)이 설치되는 캠지지부(444)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블록(442)과 상기 캠지지부(444)는 체결수단(446)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헤밍 가공물을 상기 헤밍베드(220)에 재치하고 헤밍작업이 완료된 가공물을 이송하기 위한 리프팅장치(260)를 상기 헤밍베드(220)의 하부에 추가로 더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장치(260)는, 승하강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262)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부(264)와, 상기 승강부에 구비되고 가공물을 진공압력으로 흡착하는 다수 개의 진공흡착구(266)와, 가공물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진공흡착구의 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관절클램프(26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KR1020130007628A 2013-01-23 2013-01-23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KR10141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28A KR101418043B1 (ko) 2013-01-23 2013-01-23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28A KR101418043B1 (ko) 2013-01-23 2013-01-23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043B1 true KR101418043B1 (ko) 2014-07-10

Family

ID=5174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628A KR101418043B1 (ko) 2013-01-23 2013-01-23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337B1 (ko) * 2017-02-24 2017-09-04 김선태 이중 금형을 이용한 금속기와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220A (ja) * 1994-10-07 1996-04-30 Nissan Motor Co Ltd ヘミング加工方法及びヘミング加工用金型装置及びヘミング加工用プレス機械及びヘミング加工用ロボット及び板材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220A (ja) * 1994-10-07 1996-04-30 Nissan Motor Co Ltd ヘミング加工方法及びヘミング加工用金型装置及びヘミング加工用プレス機械及びヘミング加工用ロボット及び板材接合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337B1 (ko) * 2017-02-24 2017-09-04 김선태 이중 금형을 이용한 금속기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62437A1 (zh) 一种法兰、排气管、螺栓焊接工装及工艺方法
KR102032097B1 (ko) 차량 머플러 케이스의 파이프 이음부위 자동화 가공장치
CN104209384A (zh) 新型汽车车门包边机
CN110202037B (zh) 一种冲压方法
TW201603906A (zh) 板金彎曲機
CN102896449B (zh) 构架组对胎
CN213730152U (zh) 一种法兰、排气管、螺栓焊接工装
CN115770810A (zh) 一种汽车板式冲压件的冲压装置及方法
CN208644595U (zh) 螺丝自动装配机
CN108380809B (zh) 一种用于汽车模具的零件铆接设备
KR101418043B1 (ko) 범용성이 향상된 프레스방식의 시작용 헤밍장치
CN219189070U (zh) 一种轮辋的连接扣焊接装置
CN110788477A (zh) 一种槽梁加工系统
CN216881563U (zh) 一种铝支撑梁铆接装置
CN212884568U (zh) 铆接装置
CN211991755U (zh) 一种用于飞机轮毂装配线的轮毂夹具
JPH10249454A (ja) ヘミング加工システム
CN220533485U (zh) 用于拉杆导向座装配的辅助装置
CN204135145U (zh) 新型汽车车门包边机
CN212218279U (zh) 一种汽车大灯支架检测治具
CN209829986U (zh) 一种链板孔精加工装置
KR20150078482A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핑 장치
CN219025511U (zh) 一种便于定位的钣金折弯机
CN211162597U (zh) 一种高精度汽车零配件焊接夹具
CN215919502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焊接肋板的上料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