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116B1 -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116B1
KR101417116B1 KR1020080103763A KR20080103763A KR101417116B1 KR 101417116 B1 KR101417116 B1 KR 101417116B1 KR 1020080103763 A KR1020080103763 A KR 1020080103763A KR 20080103763 A KR20080103763 A KR 20080103763A KR 101417116 B1 KR101417116 B1 KR 10141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egion
driving
econom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574A (ko
Inventor
지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1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60Y2400/902Driver alarms giving haptic or tactile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은 진동 동작을 수행하는 진동 수단과,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여, 상기 경제운전영역의 경계 이동 시에 상기 진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경제운전 산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경제운전 안내를 진동을 통해 운전자가 촉각적으로 비 경제운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경제운전영역, 진동 표시, 진동 모터

Description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guiding fuel economic driving using vibr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제운전영역 안내를 진동 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촉각적으로 비경제운전운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일 가격의 상승이나 오일 고갈에 대한 우려 및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차량의 연비 향상 요구 및 관심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연비는 급감속 및 급제동 등 실제 주행에 있어서의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종래에는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25188호, 제2003-8383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엔진의 특성만을 고려하여 차량의 현재 순간 연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따른 변속 정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경제운전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1a와 같이 클러스터 화면의 램프를 설계 장착하여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 보통 경제운전영역(옐로우영역) 및 최저 경제운전영역(레 드영역)을 램프의 색깔을 통해 표시하였다. 또한, 도 1b와 같이, AVN(audio, video, navigation), 텔레매틱스 등의 멀티미디어 단말기 화면을 통해 경제운전영역을 표시하였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클러스터 화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램프 등의 색깔로 경제운전영역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중에 클러스터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보면서 운전하게 되므로 운전 집중력이 저하되어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고속 주행중에 특히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운전자의 운전상태가 보통 경제운전영역(옐로우영역) 또는 최저 경제운전영역(레드영역)에 진입하면 진동 수단을 진동시켜 운전자가 촉각적으로 비경제운전운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은 진동 동작을 수행하는 진동 수단과,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여, 상기 경제운전영역의 경계 이동 시에 상기 진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경제운전 산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 수단은, 변속 레버 또는 스티어링 휠 중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수단은, 편심 진동 모터 또는 박판형 진동 수단 중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경제운전안내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진동 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때 진동되는 편심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경제운전안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제운전 산출 수단은,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와, 변속 패턴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변속 패턴 맵을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경제운전영역에서 운전자의 현재 운전상태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이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제운전영역 중 최대 경제운전영역에서 보통 경제운전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보통 경제운전영역에서 최저 경제운전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저 경제운전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보통경제운전영역에서보다 진동 세기 또는 진동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경제운전 안내를 진동을 통해 운전자가 촉각적으로 비 경제운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의 구 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은 경제운전 산출 수단(200) 및 진동 수단(300)을 구비한다.
경제운전 산출 수단(200)은 차량정보 수집부(210), 제어부(220), 진동제어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차량정보 수집부(210)는 엔진제어기 및 변속 제어기 등의 차량제어기(100)로부터 차속정보, 엔진토크 정보, TPS(throtle position senser)값, 변속패턴 데이터, 현재 변속단 및 댐퍼클러치 온/오프 여부 등의 차량 정보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다. 이때, 차속과 TPS값은 엔진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수집하며, 변속단과 댐퍼클러치 온/오프 여부 및 변속패턴 데이터는 변속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수집한다. 물론, 이들 정보는 엔진 제어기와 변속기 제어기가 아닌, 차속센서, TPS 등으로부터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차량정보 및 변속 패턴맵을 이용하여 현재 주행상태 및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경제운전영역 경계 이동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경계 이동 발생 시 진동 수단(300)이 진동하도록 진동제어부(2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경제운전영역별(그린영역, 옐로우영역, 레드영역) 진동의 세기, 진동 주파수 또는 진동 횟수 등을 제어한다. 이때, 경제운전영역은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 보통 경제운전영역(옐로우영역) 및 최저 경제운전영역(레드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기 위해 운전모드를 먼저 판단한다. 운전모드는 도 5와 같이 발진모드, 발진중 감속모드, 주행모드, 주행중 감속모 드로 구분된다. 발진모드는 시동 후 차속이 일정차속 이하인 경우이고, 발진중 감속 모드는 발진모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경우이며, 주행모드는 차속이 일정 차속 이상인 경우이고, 주행 중 감속모드는 주행중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경우이다. 이때, 발진 중 감속 모드 중에 브레이크 작동이 해제되면 발진 모드로 복귀하고 주행중 감속모드 중에 브레이크 작동이 해제되면 주행모드로 복귀한다.
이에, 제어부(220)는 발진모드, 주행모드, 감속모드(발진 중 감속모드, 주행중 감속모드)를 구분하여 각 모드별로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한다.
먼저, 제어부(220)는 발진모드 시에는 일정 조건 시 그린영역, 옐로우 영역, 레드 영역을 구분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한다.
즉, 제어부(220)는 발진모드 중 시속 0~15km/h인 경우 TPS가 1~A%인 경우를 그린영역으로 판단하고, TPS가 0% 및 A~B%인 경우를 옐로우 영역이라고 판단하며, TPS가 B~100% 인 경우를 레드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발진모드 중 시속 16~70km/h인 경우 TPS가 1~A'%인 경우를 그린영역으로 판단하고, TPS가 0% 및 A'~B'%인 경우를 옐로우 영역이라고 판단하며, TPS가 B'~100% 인 경우를 레드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감속모드(발진 중 감속모드, 주행중 감속모드) 시는 모두 그린영역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주행모드시에는 댐퍼클러치 온오프 및 변속 패턴맵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며, 도 6을 참조하여 주행 모드 시의 변속 패턴맵을 이용한 경제운전영역 산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듯이, 차량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변속 시점 및 댐퍼클러치 온/오프 시점 데이터들은 변속 패턴 맵에서 다수의 변속곡선과 댐퍼클러치 온/오프 곡선들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도 6에는 4단 변속기의 변속 패턴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 변속단의 변속기의 변속 패턴 맵도 도 6에서와 유사하게 표현된다. 도 6에서, 1→2 변속 곡선, 2→3 변속곡선, 3→4 변속곡선은 고단 변속이 일어나는 업시프트(upshift) 곡선이며, 2→1 변속 곡선, 3→2 변속곡선, 4→3 변속곡선은 저단 변속이 일어나는 다운시프트(downshift) 곡선이다.
도 6에서,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1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①로 표시된 영역은 가속 시 최대한 빠르게 고단 변속이 이루어지는 패스트 업시프트 영역이다. 즉, 차속 1에서 ①로 표시된 패스트 업 시프트 영역(현재 3단임)은, 3→4 업시프트 곡선 1차 변곡점 이하의 TPS값 및 차속을 가져, 가속시 차량의 주행상태는 3→4 변속곡선을 지나 4단으로의 고단 변속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속 1의 상태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은 고단 변속은 지연되며 댐퍼클러치는 오프되나 저단 변속은 일어나지 않는 클러치 영역이고, ⑤로 표시된 영역은 TPS값이 현재의 차속 보다 현저히 높아 저단 변속이 발생되는 레드 영역이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1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도 6에서 예 1로 표시됨)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①로 표시된 패스트 업 시프트 영역을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으로 선정하며, 운전자가 일단 TPS값을 낮춘 후 차량을 가속시켜 고단 변속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차량의 주행상태가 ⑤로 표시된 영역은, 연비가 최악인 최저 경제운전영역(레드 영역)으로서 이 경우 TPS값을 낮추도록 유도해야 한다.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2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②로 표시된 3→4 업시프트 곡선 이하의 영역은, 현재의 차속 2에서 TPS값의 감소에 의해 고단 변속을 달성할 수 있는 패스트 시프트 영역이다. 제어부(220)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2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이나 ⑤로 표시된 영역된 영역(도 6에서 예 2로 표시됨)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②로 표시된 3→4 업 시프트 곡선 이하의 영역을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으로 선택하고, 운전자가 TPS값을 낮춰 고단 변속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3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③으로 표시된 영역은 차속 증가 또는 TPS값 감소시 댐퍼클러치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 영역이다. 제어부(220)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3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도 6에서 예 3으로 표시됨)이나 ⑤로 표시된 영역된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③으로 표시된 댐퍼클러치 온 곡선 이하의 영역을 그린영역으로 결정하고, 운전자가 TPS값을 낮춰 댐퍼클러치가 온으로 전환되도록 유도한다.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4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③으로 표시된 영역은 차속 증가시 댐퍼클러치 온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이다. 제어부(220)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4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도 6에서 예 3으로 표시됨)이나 ⑤로 표시된 영역된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며 연비 경제적인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6에서 차속 4의 상태에서, 댐퍼클러치 오프 곡선과 온 곡선 사이의 구간은 실제 차량의 댐퍼클러치가 온 상태라면 그 상태가 유지 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변속 패턴 맵상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가 이 영역 내에 있을 경우, 제어부(220)는 차량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실제 차량의 댐퍼클러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여, 댐퍼클러치가 직결된 온(On) 상태이면 그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댐퍼클러치 오프이면 운전자가 TPS값을 낮춰 댐퍼클러치가 직결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220)는 그린영역 산출 시 댐퍼클러치가 온이면 일정 차속 구간에서 고단으로 변속되는 변속 패턴 곡선이 있는 경우 TPS가 가능한 최고단으로 변속되는 변속패턴 곡선 이하를 그린영역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그린영역 산출 시 댐퍼클러치가 오프이면 일정 차속 구간에서 고단으로 변속되는 변속패턴 곡선이 있는 경우 TPS가 현재 가능한 최고단으로 변속되는 변속패턴 곡선 이하를 그린영역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그린영역 산출 시 댐퍼클러치가 오프이면 일정 차속 구간에서 최고 기어단이 아닐 경우 고단 변속이 빨리 이루어지는 기준 즉,고단 변속 곡선의 변곡점 기준 이하를 그린영역으로 산출하고, 최고 기어단일 경우 발진모드 시의 그린영역 기준과 동일하게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TPS가 현재 가능한 최고단에서 다운 쉬프트가 일어나는 변속패턴 곡선 이하를 옐로우영역으로 판단하고, TPS가 현재 가능한 최고단에서 다운 쉬프트가 일어나는 변속패턴 곡선 초과하는 부분을 레드영역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220)는 경제운전영역을 구분하는 기준 TPS 값을 산출하여 각 영역을 결정한 후, 현재의 TPS 값에 따라 현재의 주행상태가 각 영역 중 어는 곳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산출된 경제운전영역을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 후, 경제운전영역 구간별 점등시간을 누적시켜 각 구간의 비율을 계산한다. 즉, 제어부(220)는 그린영역의 점등시간, 옐로우영역의 점등시간, 레드영역의 점등시간을 각각 누적시켜, 각 영역의 비율을 계산한 후 누적 경제운전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누적경제운전영역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량정보센터(300)로 전송한다.
도 6의 ①, ②, ③, ④ 및 ⑤로 표시된 영역들 중, ①, ②, ③으로 표시된 영역은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⑤로 표시된 영역은 연비가 최악인 급가속 영역(레드영역), ④로 표시된 영역 클러치 영역은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과 급가속영역(레드영역) 사이의 경계구간(옐로우옐로우 된다. 한편, 급감속 구간은 속도에 따라 미리 지정된 적정 감속도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상태가 어느 정도의 급감속 상태인지 표시해 준다.
진동제어부(230)는 진동 수단(300)의 진동여부, 진동세기,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횟수 등을 제어한다.
저장부(240)는 차량정보 수집부(210)가 차량 제어기(100)로부터 수집한 차량정보, 차량 제어기(100) 중 변속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수집된 변속 패턴 데이터를 이용한 변속 패턴 맵을 저장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패턴 맵은 차속을 가로축으로 TPS값을 세로축으로 하여 표시될 수 있는 변속 패턴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산출 수단(200)은 차량정 보 수집부(210)에서 수집한 차량 정보와 저장부(240)에 저장된 변속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주행상태와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한다.
이에, 현재의 차속과 스로틀개도가 그린 영역에 있으면 현재 연비가 가장 우수한 상태로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진동 수단(300)을 구동시키지 않고, 옐로우 영역에 있으면 연비가 조금 나쁜 상태이므로 진동 수단(300)의 진동세기를 10으로 하거나 진동횟수를 2회 구동시킨다. 한편, 레드 영역에 있으면 연비가 나쁜 상태이므로 진동세기를 20으로 하거나 진동횟수를 5회 구동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레드 영역에 있음을 인지하고 차량의 액셀 페달과 브레이크의 깊이를 조절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최대 경제운전영역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연비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수단(300)은 도 3과 같이, 구동부(310), 회전축(320) 및 편심중량부(330)를 구비한다.
구동부(310)는 진동제어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회전축(320)을 회전시키고, 회전축(320)는 구동부(310)의 상부 가운데에 형성되어 구동부(310)에 의해 회전되며, 편심 중량부(330)는 일정 무게를 가지고 회전축(320)의 일측에 부착되어 회전 시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진동 수단(300)을 진동 모터로 구현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박판형 진동 수단 등 다양한 진동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동 수단(300)은 도 7a와 같이 변속 레버(500)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운전중에 변속레버(500)의 진동을 통해 자신의 운전상태가 경제운전영 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진동 수단(300)은 도 7b와 같이 스티어링 휠(600)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운전중에 스티어링 휠(600)의 진동을 통해 자신의 운전상태가 경제운전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티어링 휠(600)은 원형의 휠(610) 내부 양측에 진동 수단(300)이 장착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630)와 진동 수단(300)이 케이블(620)로 연결되어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진동 수단(300)으로 전달된다. 즉, 진동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멀티펑션스위치(multi function switch;630)가 수신하여 이를 케이블(620)을 통해 진동 수단(300)에 각각 전달한다. 이때, 진동 수단(300)은 한손으로 운전하는 운전자를 고려하여 스티어링 휠(600)의 양측에 장착되거나 중앙에 1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동 수단(300)은 변속 레버(500) 및 스티어링 휠(600)에 장착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진동 수단(300)는 운전석 등받이, 좌석, 엑셀, 운전석 바닥 등 운전자가 진동을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곳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제운전영역을 진동을 통해 표시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클러스터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표시하는 동시에 진동 수단(300)도 구동시켜 운전자가 다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제운전영역을 진동을 통해 표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이그니션 온 되면, 경제운전 산출 수단(200)의 제어부(220)는 변속패턴맵을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한다(S101).
그 후, 제어부(220)는 현재 운전자의 운전상태에 따른 경제운전영역을 진동 수단(300)을 통해 진동으로 표시한다(S102).
즉,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에서 운전중인 경우에는 진동 수단(300)을 구동시키지 않고, 보통 경제운전영역(옐로우 영역)에서 운전중인 경우 진동 수단(300)을 1회 또는 진동세기를 약하게 구동시킨다. 또한, 최저 경제운전영역(레드 영역)에서 운전중인 경우 진동 수단(300)을 5회 또는 진동세기를 옐로우영역에서보다 강하게 구동시킨다. 여기서, 그린영역은 차량이 경제적인 상태로 운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옐로우 영역은 보통 상태, 레드영역은 연비가 나쁜 운전상태임을 나타낸다.
그 후, 제어부(220)는 운전자의 운전상태가 최대 경제운전영역에서 보통 경제운전영역으로 변동되었는지, 보통 경제운전영역에서 최저 경제운전영역으로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하여(S103), 경계 이동이 발생한 경우 이동한 영역에 따른 진동 세기, 진동 주파수 또는 진동 횟수를 제어한다(S104).
즉, 제어부(220)는 최대 경제운전영역에서 보통 경제운전영역으로 변동된 경우에는 진동세기를 약하게 제어하거나 진동 횟수를 1회로 제어하고, 보통 경제운전영역에서 최저 경제운전영역으로 변경된 경우 진동세기를 강하게 제어하거나 진동 횟수를 5회로 제어한다.
이에, 진동 수단(300)은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된 진동세기 또는 진동 횟 수로 구동된다(S105).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적경제운전영역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모드 판단 조건 설명을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모드 중 주행모드의 경제운전영역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변속패턴 맵.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제운전영역을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제어기 200 : 경제운전 산출 수단
210 : 차량주행정보 수집부 220 : 제어부
230 : 진동 제어부 240 : 저장부
300 : 진동 수단 310 : 구동부
320 : 회전축 330 : 편심중량부
500 : 변속 레버 600 : 스티어링 휠
610 : 휠 620 : 케이블
630 : 멀티 펑션 스위치

Claims (8)

  1. 진동 동작을 수행하는 진동 수단; 및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여, 상기 경제운전영역에서 운전자의 운전상태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진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경제운전 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제운전 산출수단은 운전모드가 주행모드이면 상기 차량정보의 댐퍼클러치 온/오프 여부 및 변속 패턴 맵을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운전모드가 주행모드가 아니면 상기 차량정보의 차속정보 및 TPS(throtle position senser)값을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경제운전 산출수단은 운전자의 운전상태가 최대 경제운전영역에서 보통 경제운전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보통 경제운전영역에서 최저 경제운전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 수단을 구동시키며, 상기 최저 경제운전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보통경제운전영역에서보다 진동 세기 또는 진동 횟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변속 레버 또는 스티어링 휠 중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편심 진동 모터 또는 박판형 진동 수단 중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경제운전안내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진동 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때 진동되는 편심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경제운전안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103763A 2008-10-22 2008-10-22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763A KR101417116B1 (ko) 2008-10-22 2008-10-22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763A KR101417116B1 (ko) 2008-10-22 2008-10-22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574A KR20100044574A (ko) 2010-04-30
KR101417116B1 true KR101417116B1 (ko) 2014-07-08

Family

ID=4221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763A KR101417116B1 (ko) 2008-10-22 2008-10-22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272B1 (ko) * 2010-10-21 2013-07-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변속 시점 알림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44175B1 (ko) * 2011-11-10 2013-03-25 주식회사 유니크 프리 세이프 진동 스티어링 휠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713A (ko) * 1997-04-29 1998-11-25 김영귀 최적 변속단 설정을 위한 변속 경보 시스템
KR19990026734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스티어링 휠 진동장치
WO2007140232A2 (en) * 2006-05-25 2007-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aptic apparatus and coaching method for improving vehicle fuel economy
JP2008243109A (ja) 2007-03-29 2008-10-09 Toyota Motor Corp 車両状況提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713A (ko) * 1997-04-29 1998-11-25 김영귀 최적 변속단 설정을 위한 변속 경보 시스템
KR19990026734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스티어링 휠 진동장치
WO2007140232A2 (en) * 2006-05-25 2007-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aptic apparatus and coaching method for improving vehicle fuel economy
JP2008243109A (ja) 2007-03-29 2008-10-09 Toyota Motor Corp 車両状況提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574A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451B1 (ko) 운전패턴 학습을 통한 차량 능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047774B1 (ko) 누적경제운전영역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6197B1 (ko)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KR102030187B1 (ko)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량 가변 제어 장치 및 방법
EP2336603B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2005526217A (ja) 自動車用変速機制御部の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方法
CN108506474A (zh) 一种基于车载导航系统的自动变速器换挡点预测控制方法及装置
CN100434763C (zh) 一种混合动力汽车的换档控制方法
JP393145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2006321364A (ja) 車両の運転状態表示装置及び車両の運転状態表示方法
US20130225367A1 (en) Method For Setting Shift Points in a Transmission or for Increasing the Torque of an Electric Drive Machine
JP2005510650A (ja) 車両の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の作動特性の制御のための方法
RU2704928C2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топлива, потребляемого двигателем автомобиля
JP5297647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20120035828A1 (en) Driv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JP2009145828A (ja) エコ運転支援装置
KR101417116B1 (ko) 진동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620194A (zh) 车辆的驱动控制装置
CN107191587B (zh) 一种变速器换挡方法及装置
EP3018326B1 (en) Straddle-type vehicle
CN110588668A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控制装置以及机动车
JP2004197647A (ja) 推奨と実行のアクセル開度対比により制御される自動車
CN103253270A (zh) 一种减轻升挡时耸车的方法及装置
JPS627006B2 (ko)
JP2010274750A (ja) 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