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948B1 - 용접용 전원함 - Google Patents

용접용 전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948B1
KR101416948B1 KR1020140005990A KR20140005990A KR101416948B1 KR 101416948 B1 KR101416948 B1 KR 101416948B1 KR 1020140005990 A KR1020140005990 A KR 1020140005990A KR 20140005990 A KR20140005990 A KR 20140005990A KR 101416948 B1 KR101416948 B1 KR 10141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barrier plate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화
Original Assignee
진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화 filed Critical 진정화
Priority to KR102014000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용 전원함에 관한 것으로서, 후벽면(111), 양측벽면(112), 바닥면(113) 및 천장면(114)을 구비하며, 전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의 함체(110); 상기 함체(110)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120); 상기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상기 함체(110) 내로 인입되는 단자를 볼트(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대(130); 및 상기 단자대(130)에 결합되어 작업자와 상기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저지시키는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전원함{Power box for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용 전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작업자와 단자대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용접용 전원함에 관한 것이다.
용접(welding)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접합 방법의 하나이다.
용접에는 융접법과 압접법이 있다.
융접법은 접합부에 금속재료를 가열, 용융시켜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원자 결합을 재배열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아크용접, 가스용접, 테르밋용접 등이 있다.
압접법은 접합부에 외부의 강한 물리적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으로 가스압접이나 단접처럼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가열하는 방법을 특히 가열압접 또는 고온압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압접을 사용하는 재료에는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이 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상온에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용접이 가능하여 냉간압접이라고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용접 또는 용접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선박 회사 등에서는 용접 기술이 널리 사용된다.
한편, 용접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전원(전력)이 요구된다. 전원의 세기는 용접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용접용 전원함이라는 별도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용접용 전원함의 경우, 작업자와 단자대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벽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단자의 연결 또는 연결해제를 위해 볼트를 조이거나 풀 경우, 아크가 발생되어 감전사고를 유발시킬 소지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을 고려한 용접용 전원함에 대한 구조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6223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412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249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353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작업자와 단자대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용접용 전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후벽면(111), 양측벽면(112), 바닥면(113) 및 천장면(114)을 구비하며, 전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의 함체(110); 상기 함체(110)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120); 상기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상기 함체(110) 내로 인입되는 단자를 볼트(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대(130); 및 상기 단자대(130)에 결합되어 작업자와 상기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저지시키는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단자대(130)는 상기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 상에서 이웃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상기 한 쌍의 단자대(130)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단자대(130)의 전면을 가리되 상기 단자대(130)로의 상기 볼트(B)를 위해 드라이버가 통과되는 다수의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구비하는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양측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 상기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의 단부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 결합되는 후방 방벽 플레이트(143); 및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통과홀 개폐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홀 개폐모듈(150)은,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개폐판(151); 및 상기 개폐판(151)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장공(141b)을 통해 상기 개폐판(151)에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판(151)이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도록 하는 개폐판 조작레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151)에는 방향 표시 패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상기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 사이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를 보강하는 보강 방벽 플레이트(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10)의 바닥면(1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함체(110)의 바닥면(113)에 형성되는 단자 통과공(115)을 개폐하는 이중 도어(161,1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 도어(161,162)의 주변에는 상기 이중 도어(161,1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16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함체(110)의 양측벽면(112)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볼트(B)의 교체를 위한 스페어 볼트 모듈(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어 볼트 모듈(170)은, 다수의 스페어 볼트(171)가 결합되는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 및 상기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과 연결되어 상기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을 상기 함체(110)의 양측벽면(112)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10)와 상기 도어(120)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밀봉 러버(181,182)가 개재되며, 상기 밀봉 러버(181,182)에 이웃된 상기 도어(120)의 바닥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은 볼트(B1)에 의해 설치면에 고정되되 상기 볼트(B1)가 체결되는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에는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의 변형을 저지시키는 대면적 변형 저지링(185)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과 상기 단자대(130) 사이에는 절연판(190)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작업자와 단자대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기에 대한 기술을 전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현장에서 용접용 전원함으로부터 전기를 안전하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원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제거하고 함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스페어 볼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B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함체의 바닥면 영역에 대한 평면 구조도이다.
도 9는 함체의 후벽면 영역에 대한 정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로서 드라이버 통과홀이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로서 드라이버 통과홀이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원함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제거하고 함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어의 배면도, 도 5는 스페어 볼트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 영역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3의 B 영역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함체의 바닥면 영역에 대한 평면 구조도, 도 9는 함체의 후벽면 영역에 대한 정면 구조도, 도 10은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로서 드라이버 통과홀이 열린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로서 드라이버 통과홀이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원함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작업자와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단자대(130)가 마련되는 함체(110), 도어(120), 그리고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을 포함한다.
우선, 함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원함의 외관 캐비닛을 형성한다. 강성이 있으면서도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어(120)를 제거하고 함체(110)의 내부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을 참조하면 함체(110)는 후벽면(111), 양측벽면(112), 바닥면(113) 및 천장면(114)을 구비하며, 전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는 외부에서 함체(110) 내로 인입되는 단자를 볼트(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자대(13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대(130)는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 상에서 이웃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물론, 단자대(13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작업 상 유리하나 도면과 달리 하나의 단자대(130)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다.
한 쌍의 단자대(130)의 상부에는 각각의 단자대(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132)이 마련된다. 전원공급모듈(132)은 단자대(130)의 개수만큼 마련되어 단자대(130)와 쌍을 이루면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함체(110)의 후벽면(111)과 단자대(130) 사이에는 절연판(190)이 개재된다. 이 영역에 일정 두께의 절연판(190)이 개재됨으로써, 단자대(130) 작업 시 전기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함체(110)의 측부에는 외부 접지를 위한 플라이 너트(fly nut, 116)가 마련된다. 플라이 너트(116)는 구리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함체(110)의 후벽면(111)은 볼트(B1)에 의해 설치면에 고정되되 볼트(B1)가 체결되는 함체(110)의 후벽면(111)에는 함체(110)의 후벽면(111)의 변형을 저지시키는 대면적 변형 저지링(185)이 더 마련된다.
도 6처럼 대면적 변형 저지링(185)을 함체(110)의 후벽면(111)에 마련한 후에, 이 대면적 변형 저지링(185)으로 볼트(B1)를 체결하여 함체(110)의 후벽면(111)을 설치면에 고정시킬 경우, 볼트(B1)를 강하게 체결하더라도 함체(110)의 후벽면(111)이 변형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어(120)는 함체(110)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단자대(130)에 단자를 결합시킬 때 도어(120)를 개방하여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이 완료되면 도어(120)를 닫아 둔다.
도어(120)에는 도어(120)를 함체(110)에 로킹 또는 로킹해제시키기 위한 로킹 손잡이(122)가 마련된다.
아무나 도어(120)를 개방하면 곤란하기 때문에 로킹 손잡이(122)에는 열쇠구멍(122a)이 마련되며, 열쇠구멍(122a)에 맞는 열쇠를 소지한 작업자만이 도어(120)를 개방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로킹 손잡이(122)의 상부 영역에는 네임 플레이트(123)가 결합된다. 네임 플레이트(123) 상에 용접용 전원함이라는 문구 혹은 패턴이 표시될 수 있다. 네임 플레이트(123)는 도어(120)에 볼트 결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함체(110)와 도어(120)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밀봉 러버(181,182)가 개재되는데, 밀봉 러버(181,182)에 이웃된 도어(120)의 바닥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공(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 등이 배출되지 못하고 함체(110) 내에 머무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단자대(130)에 결합되며, 작업자와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전과 달리 단자대(130)의 전방 영역에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이 마련되기 때문에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작업자와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에 대한 기술을 전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현장에서 용접용 전원함으로부터 전기를 안전하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절연에 우수하면서도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다. 하지만, 이러한 재질적인 특징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 후방 방벽 플레이트(143), 그리고 통과홀 개폐모듈(150)을 포함한다.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는 한 쌍의 단자대(130)의 전방에서 한 쌍의 단자대(130)의 전면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실제,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로 인해 작업자와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는 단자대(130)로의 볼트(B) 체결을 위해 드라이버가 통과되는 다수의 드라이버 통과홀(141a)이 형성된다. 하나의 단자대(130)마다 3개씩의 드라이버 통과홀(141a)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는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양측에서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로 인해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는 한 쌍의 단자대(130)의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 사이에는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강 방벽 플레이트(144)가 마련된다. 보강 방벽 플레이트(144)는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 사이에서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연결되어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 방벽 플레이트(143)는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의 단부에서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 결합된다.
후방 방벽 플레이트(143)가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 방벽 플레이트(143)에 다수의 통공(143a)이 형성된다.
통과홀 개폐모듈(150)은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단자를 교체할 때는 도 10 및 도 11처럼 통과홀 개폐모듈(150)을 동작시켜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개방한 후에 작업하면 되고, 단자 교체가 완료되면 도 12처럼 통과홀 개폐모듈(150)을 동작시켜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차폐하면 된다. 그러면 단자에 인가되는 강한 고전압에 대해 안전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통과홀 개폐모듈(150)은 개폐판(151)과, 개폐판 조작레버(152)를 포함한다.
개폐판(151)은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서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개폐판(151) 역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개폐판(151)에는 방향 표시 패턴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처럼 개폐판(151)에 방향 표시 패턴, 예컨대 화살표 등의 패턴이 형성되면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개폐판(151) 외에도 개폐판 조작레버(152)의 헤드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판 조작레버(152)는 개폐판(151)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장공(141b)을 통해 개폐판(151)에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판(151)이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판 조작레버(152)는 일종의 나사이기 때문에 개폐판 조작레버(152)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개폐판(151)이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 밀착해제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도 11 또는 도 12처럼 개폐판(151)을 업/다운(up/down) 동작시키면서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개폐할 수 있다. 물론, 드라이버 통과홀(141a)의 개폐 작업이 완료되면 개폐판 조작레버(152)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개폐판(151)이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바닥면(113)에는 이중 도어(161,162)가 마련된다.
이중 도어(161,162)는 함체(110)의 바닥면(1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함체(110)의 바닥면(113)에 형성되는 단자 통과공(115)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처럼 단자 통과공(115)을 통해 외부의 단자가 함체(11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이중 도어(161,162)가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이중 도어(161,162)의 주변에는 이중 도어(161,1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163)가 마련된다. 도어 가이드(163)로 인해 이중 도어(161,162)의 동작이 유연해져서 이중 도어(161,162)의 동작에 아무런 제약이 없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양측벽면(112)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단자 고정 시 사용되던 볼트(B)의 교체를 위한 스페어 볼트 모듈(170)이 더 구비된다.
볼트(B)를 수시로 풀었다 조였다 할 경우, 볼트(B)가 마모될 소지가 있는데, 마모된 볼트(B) 혹은 망실된 볼트(B)를 쉽게 대처하기 위해 함체(110)의 일측 벽면에 스페어 볼트 모듈(170)이 마련되는 것이다.
스페어 볼트 모듈(170)은 다수의 스페어 볼트(171)가 결합되는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과,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과 연결되어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을 함체(110)의 양측벽면(112)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73)를 포함한다.
이처럼 스페어 볼트 모듈(170)이 적용됨으로써 마모된 볼트(B) 혹은 망실된 볼트(B)로 인해 용접 작업이 지연되는 로스(loss)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작업자와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에 대한 기술을 전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현장에서 용접용 전원함으로부터 전기를 안전하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함체 111 : 후벽면
112 : 양측벽면 113 : 바닥면
114 : 천장면 115 : 단자 통과공
116 : 플라이 너트 120 : 도어
121 : 물 배출공 122 : 로킹 손잡이
123 : 네임 플레이트 130 : 단자대
140 :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 141 : 전방 방벽 플레이트
141a : 드라이버 통과홀 141b : 장공
142 : 측방 방벽 플레이트 143 : 후방 방벽 플레이트
144 : 보강 방벽 플레이트 150 : 통과홀 개폐모듈
151 : 개폐판 152 : 개폐판 조작레버
161,162 : 이중 도어 163 : 도어 가이드
170 : 스페어 볼트 모듈 171 : 스페어 볼트
172 : 스페어 볼트 결합판 173 : 고정부
181,182 : 밀봉 러버 185 : 대면적 변형 저지링
190 : 절연판

Claims (8)

  1. 후벽면(111), 양측벽면(112), 바닥면(113) 및 천장면(114)을 구비하며, 전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의 함체(110);
    상기 함체(110)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120);
    상기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상기 함체(110) 내로 인입되는 단자를 볼트(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대(130); 및
    상기 단자대(130)에 결합되어 작업자와 상기 단자대(130) 사이에 아크 발생을 저지시켜 감전사고 발생을 저지시키는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을 포함하고,
    상기 함체(110)의 바닥면(1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함체(110)의 바닥면(113)에 형성되는 단자 통과공(115)을 개폐하는 이중 도어(161,1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 도어(161,162)의 주변에는 상기 이중 도어(161,1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163)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단자대(130)는 상기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 상에서 이웃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상기 한 쌍의 단자대(130)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단자대(130)의 전면을 가리되 상기 단자대(130)로의 상기 볼트(B)를 위해 드라이버가 통과되는 다수의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구비하는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양측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
    상기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의 단부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함체(110) 내의 후벽면(111)에 결합되는 후방 방벽 플레이트(143); 및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드라이버 통과홀(14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통과홀 개폐모듈(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 개폐모듈(150)은,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개폐판(151); 및
    상기 개폐판(151)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장공(141b)을 통해 상기 개폐판(151)에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판(151)이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의 배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도록 하는 개폐판 조작레버(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151)에는 방향 표시 패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아크 방지용 커버유닛(140)은 상기 한 쌍의 측방 방벽 플레이트(142) 사이에서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방벽 플레이트(141)를 보강하는 보강 방벽 플레이트(1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의 양측벽면(112)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볼트(B)의 교체를 위한 스페어 볼트 모듈(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어 볼트 모듈(170)은,
    다수의 스페어 볼트(171)가 결합되는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 및
    상기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과 연결되어 상기 스페어 볼트 결합판(172)을 상기 함체(110)의 양측벽면(112)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와 상기 도어(120)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밀봉 러버(181,182)가 개재되며,
    상기 밀봉 러버(181,182)에 이웃된 상기 도어(120)의 바닥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은 볼트(B1)에 의해 설치면에 고정되되 상기 볼트(B1)가 체결되는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에는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의 변형을 저지시키는 대면적 변형 저지링(185)이 더 마련되며,
    상기 함체(110)의 후벽면(111)과 상기 단자대(130) 사이에는 절연판(19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원함.
KR1020140005990A 2014-01-17 2014-01-17 용접용 전원함 KR10141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90A KR101416948B1 (ko) 2014-01-17 2014-01-17 용접용 전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90A KR101416948B1 (ko) 2014-01-17 2014-01-17 용접용 전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948B1 true KR101416948B1 (ko) 2014-07-09

Family

ID=5174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990A KR101416948B1 (ko) 2014-01-17 2014-01-17 용접용 전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9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969B1 (ko) 2015-09-21 2015-12-16 진정화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KR200485996Y1 (ko) * 2016-12-02 2018-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KR200488844Y1 (ko) * 2018-03-26 2019-03-27 주식회사 코스텍 함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970U (ja) * 1992-11-18 1994-06-03 大阪電気株式会社 端子部に保護カバーを設けた溶接電源
KR200404930Y1 (ko) * 2005-08-09 2006-01-11 (주)세진전기 옥외용 분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970U (ja) * 1992-11-18 1994-06-03 大阪電気株式会社 端子部に保護カバーを設けた溶接電源
KR200404930Y1 (ko) * 2005-08-09 2006-01-11 (주)세진전기 옥외용 분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969B1 (ko) 2015-09-21 2015-12-16 진정화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KR200485996Y1 (ko) * 2016-12-02 2018-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KR200488844Y1 (ko) * 2018-03-26 2019-03-27 주식회사 코스텍 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948B1 (ko) 용접용 전원함
US100498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d isolating electrical equipment
US20160226044A1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tool
KR101731393B1 (ko) 버스바용 절연보호커버
KR101242563B1 (ko)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DE10137159A1 (de) Schlagendes Elektrohandwerkzeuggerät
WO2020026541A1 (ja) スイッチギヤ
CN203813374U (zh) 组合式防涡流高压共箱封闭母线系统装置
EP3389074B1 (en) Arc gas venting structure of air circuit breaker
CN201385977Y (zh) 一种施工升降机楼层卸料的平台围护门
KR100973472B1 (ko) 비 sf6 가스용 부하 개폐기
JP2008187786A (ja) 閉鎖配電盤
JP4606346B2 (ja) 防塵底板付き筐体およびその改造方法
KR100633529B1 (ko) 분전반용 케이블 보호패널
JP5881024B2 (ja) 車両用の回転電機
CN207104778U (zh) 控制器机壳及拆解设备
JP2015230802A (ja) ショベル
DE112020002789T5 (de) Elektrisch betriebene Arbeitsmaschine
CN205646519U (zh) 一种防护型综合配电箱
CN202712709U (zh) 一种照明配电箱
WO2018105011A1 (ja) 直流入力盤
CN209071942U (zh) 一种用于充气柜的新型气箱装配结构
JP7166460B2 (ja) 建設機械
JP2005332024A (ja) 自動販売機
JP6097612B2 (ja) 筺体挿入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