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96Y1 -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 Google Patents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96Y1
KR200485996Y1 KR2020160007020U KR20160007020U KR200485996Y1 KR 200485996 Y1 KR200485996 Y1 KR 200485996Y1 KR 2020160007020 U KR2020160007020 U KR 2020160007020U KR 20160007020 U KR20160007020 U KR 20160007020U KR 200485996 Y1 KR200485996 Y1 KR 200485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partition
main unit
ring main
ca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7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4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or cov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01H9/2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the casing containing electrical equipment other than and operated by the switch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아크열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에 관한 것이다.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는 도어 플레이트와, 제1 격벽과, 스페이서, 및 제2 격벽을 포함한다. 도어 플레이트는 링메인유닛 외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격벽은 도어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도어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스페이서는 도어 플레이트와 제1 격벽 사이에 설치되며, 두께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와 제1 격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제2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1 격벽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제1 격벽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CABLE COVER OF RING MAIN UNIT}
본 고안은 아크열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메인유닛(Ring Main Unit; RMU)은 수배전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로 수전 및 배전하는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링메인유닛은 SF6 가스에 의해 밀폐 및 절연되는 외함과, 외함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기, 개폐기, 접지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케이블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메인유닛(1)은 SF6 가스에 의해 밀폐 및 절연되는 외함(10)과, 외함(10)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케이블 커버(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블 커버(11)는 링메인유닛의 부싱(20)에 연결된 케이블(30)이 단락 또는 지락되어 발생되는 아크에 의한 화염이 외함(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케이블 커버(11)는 아크로 인해 순식간에 발생된 화염 및 용융된 이물질들이 외함(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 커버(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소재의 단일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아크열이 직접 케이블 커버(11)에 전달되면 금속 소재의 특성상 열전도도가 지속적으로 가중되어 용융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케이블 커버(11)가 용융됨에 따라 케이블 커버(11)에 천공이 형성되고, 이 천공을 통해 화염 및 용융된 이물질들이 외함(10) 밖으로 유출되어 작업자의 화상 및 주변 시설물의 훼손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090684 (2016.08.01 공개)
본 고안의 과제는 도어 플레이트 내부에 복수의 격벽을 설치하여 도어 플레이트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는 도어 플레이트와, 제1 격벽과, 스페이서, 및 제2 격벽을 포함한다. 도어 플레이트는 링메인유닛 외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격벽은 도어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도어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스페이서는 도어 플레이트와 제1 격벽 사이에 설치되며, 두께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와 제1 격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제2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1 격벽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제1 격벽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제1 격벽과 제2 격벽이 각각 설치됨에 따라, 아크열이 도어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가 용융되어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아크에 의한 화염 및 용융된 이물질들이 링메인유닛 외함 밖으로 유출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 시설물들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케이블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4에 도시된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의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커버가 링메인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4에 도시된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커버가 링메인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100)는 링메인유닛 외함(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 및 스페이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링메인유닛(RMU: Ring Main Unit)은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사고전류를 감지하는 계전기를 통해 사고전류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어 플레이트(110)는 링메인유닛 외함(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 플레이트(110)는 금속 소재,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구성이 좋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플레이트(110)는 링메인유닛 외함(10)의 전방 하측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어 플레이트(110)의 일면에는 후술되는 체결부재(150)를 삽입시키기 위한 체결 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링메인유닛 외함(10)의 일부에 안착되는 단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턱(111)을 링메인유닛 외함(10)에 걸고 상부를 가압하면 도어 플레이트(110)를 링메인 유닛 외함(1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링메인유닛 외함(10)에 도어 플레이트(110)가 설치됨에 따라, 케이블이 단락 또는 지락되어 발생되는 아크에 의한 화염 및 용융된 이물질들이 링메인유닛 외함(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격벽(120)은 도어 플레이트(110)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부재(150)를 통해 도어 플레이트(1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1 격벽(120)에는 복수의 체결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격벽(120)이 도어 플레이트(110)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제1 격벽(120)과 도어 플레이트(11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격벽(120)과 도어 플레이트(11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아크열에 의해 제1 격벽(120)이 가열되더라도 도어 플레이트(110)는 공기층에 의하여 대류를 통한 열원만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격벽(120)의 열원에 의해 도어 플레이트(110)가 용융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스페이서(130)는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일부에 홀이 형성된 원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어 플레이트(110)를 관통한 체결부재(15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130)는 제1 격벽(120)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 사이에 스페이서(130)가 설치됨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이 이격 배치되고,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페이서(130)의 두께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스페이서(130)에 의해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스페이서(130)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면 도어 플레이트(110)와 제1 격벽(12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케이블 커버(10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격벽(120)은 도어 플레이트(110)의 길이보다 짧으며, 도어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이 도어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즉, 케이블(30)이 단락 또는 지락되어 발생하는 아크는 도어 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발생하게 되므로, 제1 격벽(120)은 도어 플레이트(110)의 상부에만 배치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처럼 제1 격벽(120)이 도어 플레이트(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에 따라, 제1 격벽(120)의 제조시 사용되는 재료를 줄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100)는 제1 격벽(120)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부재(150)를 통해 제1 격벽(1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벽(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격벽(140)은 제1 격벽(12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격벽(120)의 내측에 제2 격벽(140)이 더 구비됨에 따라, 제2 격벽(140)이 아크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면이 된다.
그리고, 제2 격벽(140)이 제1 격벽(120)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아크열에 의해 제2 격벽(140)이 가열되더라도 제1 격벽(120)은 공기층에 의하여 대류를 통한 열원만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격벽(140)의 열원에 의해 제1 격벽(120)이 용융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격벽(120)만 구비된 경우보다 도어 플레이트(110)로 전달되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 플레이트(110)가 용융되어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격벽(140)은 제1 격벽(12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격벽(140)에는 체결부재(150)가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 사이에는 스페이서(13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일부에 홀이 형성된 원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어 플레이트(110) 및 제1 격벽(120)을 관통한 체결부재(15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 사이에 스페이서(130)가 설치됨에 따라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이 이격 배치되고,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페이서(130)의 두께에 따라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스페이서(130)에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스페이서(130)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면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케이블 커버(10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100)는 도어 플레이트(110)의 내측면에 제1 격벽(120)과 제2 격벽(140)이 각각 설치됨에 따라, 아크열이 도어 플레이트(110)로 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110)가 용융되어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아크에 의한 화염 및 용융된 이물질들이 링메인유닛 외함(10) 밖으로 유출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 시설물들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도어 플레이트
120.. 제1 격벽
130.. 스페이서
140.. 제2 격벽
150.. 체결부재

Claims (3)

  1. 링메인유닛(RMU : Ring Main Unit) 외함에 설치되는 케이블 커버에 있어서,
    상기 링메인유닛 외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에 상기 링메인유닛 외함에 걸려 가압됨으로써 상기 링메인유닛 외함의 일부에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된 도어 플레이트;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격벽;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격벽 사이 및 상기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설치되며, 두께에 따라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격벽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며, 일부에 홀이 형성된 원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격벽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격벽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짧으며, 단락 또는 지락에 의해 아크가 발생하는 케이블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링메인유닛 외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7020U 2016-12-02 2016-12-02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KR200485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20U KR200485996Y1 (ko) 2016-12-02 2016-12-02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20U KR200485996Y1 (ko) 2016-12-02 2016-12-02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96Y1 true KR200485996Y1 (ko) 2018-05-04

Family

ID=6216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20U KR200485996Y1 (ko) 2016-12-02 2016-12-02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9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48B1 (ko) * 2014-01-17 2014-07-09 진정화 용접용 전원함
KR20160022718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제우스 기판 처리용 챔버의 도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KR20160090684A (ko)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메인유닛(rmu)의 인터록 장치
KR20160090688A (ko) *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보조커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48B1 (ko) * 2014-01-17 2014-07-09 진정화 용접용 전원함
KR20160022718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제우스 기판 처리용 챔버의 도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KR20160090684A (ko)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메인유닛(rmu)의 인터록 장치
KR20160090688A (ko) * 2015-01-22 2016-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보조커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6740B2 (en) Internal arc management and ventilation for electrical equipment
US9715979B2 (en) Low voltage switch pole
EP3304619B1 (en) Battery connector,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KR101329799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EP2393095B1 (en) Mold cased circuit breaker
KR20090023819A (ko) 모터보호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CN1819094B (zh) 过载电流设备的馈通连接部件
US20150270075A1 (en) Modular gas exhaust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JP2012142276A (ja) 回路保護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00113977A (ko) 회로 차단기
JP2005353404A (ja) 回路遮断器
JP2016127793A (ja) 受動的アーク制御を行うための、アーク転送を伴う配電盤電力母線
KR101581350B1 (ko) 분산 유도 기능을 갖는 다기능 복합 구조형 배전반
KR101522268B1 (ko) 배선용 차단기
EP3667690A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200485996Y1 (ko) 링메인유닛의 케이블 커버
RU2649969C2 (ru) Камера гашения дуги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ащиты и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ащиты, содержащее ее
JP6144494B2 (ja) アークシュート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EP3200295B1 (en) Switchgear
KR100817122B1 (ko) 아크박스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KR20049068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장치
TW201223046A (en) Bushing
US20170279252A1 (en) Dielectric heat transfer windows,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20190095752A (ko) 퓨징 버스바
CN212874379U (zh) 用于低压断路器的端子夹具覆盖装置及对应的低压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