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65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465B1
KR101415465B1 KR1020127019256A KR20127019256A KR101415465B1 KR 101415465 B1 KR101415465 B1 KR 101415465B1 KR 1020127019256 A KR1020127019256 A KR 1020127019256A KR 20127019256 A KR20127019256 A KR 20127019256A KR 101415465 B1 KR101415465 B1 KR 10141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pair
side frame
buckle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961A (ko
Inventor
타이요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9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92Buckle type

Landscapes

  • Buck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띠형상체를, 배면측으로부터 삽입 통과하여 전면측으로 일단 인출한 후, 제1 크로스바와 제2 크로스바 사이를 통하여 배면측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1 크로스바에 걸어 돌렸을 때에 이 띠형상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적어도 한 개소 구비한다. 이 고정 부분에, 사이드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자유단부를 버클의 전면측으로부터 제1 크로스바에 가장 근접시킨 회동위치에서 이 자유단부와 제1 크로스바 사이에 띠형상체를 협지하는 협지부재와, 제1 크로스바로부터 자유단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의 협지부재의 회동에 대하여 이 협지부재에 이 회동에 저항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띠형상체(band-shaped body)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이 띠형상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적어도 한 개소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버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side frame section)와, 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1 크로스바(crossbar) 및 제2 크로스바를 갖고, 띠형상체를, 배면측으로부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삽입 통과하여 전면측(前面側)으로 일단 인출한 후, 제1 크로스바와 제2 크로스바 사이를 통하여 배면측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1 크로스바에 걸어 돌렸을 때에 이 띠형상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버클이 있다(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버클에 있어서는, 삽입 통과된 띠형상체에 장력이 작용되면 될수록 이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력을 강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버클에 있어서는, 이 띠형상체에 장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거나 이것이 감소하여 버리면, 띠형상체의 인출 부분에 제2 크로스바가 강하게 눌리지 않게 되므로,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 위치의 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전형적으로는, 버클에 고정되어 신체의 특정 개소(예를 들면, 허리나 가슴)나, 물품의 특정 개소(예를 들면, 배낭(rucksack)의 자루 부분)를 체결하고 있는 띠형상체가 보행이나 운반 등에 의해 이 특정 개소로부터 이동하여 이 띠형상체에 약간 느슨함이 생기면, 이 띠형상체에 대한 버클의 고정 위치가 변동하여, 그 이상의 느슨함을 이 띠형상체에 생기게 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415944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고 평6-1488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버클에 있어서, 고정 대상인 띠형상체에 장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거나 이것이 감소하여도, 이 띠형상체에 대한 버클의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클을,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와, 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1 크로스바 및 제2 크로스바를 갖고,
띠형상체를, 배면측으로부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삽입 통과하여 전면측으로 일단 인출한 후, 제1 크로스바와 제2 크로스바 사이를 통하여 배면측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1 크로스바에 걸어 돌렸을 때에 이 띠형상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적어도 한 개소 구비하는 버클로서,
이 고정 부분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자유단부를 버클의 전면측으로부터 제1 크로스바에 가장 근접시킨 회동위치에서 이 자유단부와 제1 크로스바 사이에 띠형상체를 협지(挾持)하는 협지부재와,
상기 제1 크로스바로부터 자유단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의 협지부재의 회동에 대하여 이 협지부재에 이 회동에 저항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고정 부분을 구성하는 제2 크로스바의 바(bar) 배면 아래를 통하여 제1 크로스바에 띠형상체를 걸어 돌려 양 크로스바 사이로부터 다시 제2 크로스바의 바 배면 아래를 통하여 버클로부터 띠형상체를 인출하면, 띠형상체가 이러한 인출 개소를 제2 크로스바가 누른다. 띠형상체에 장력이 작용되면 될수록 제2 크로스바는 띠형상체에 강하게 눌린다. 이에 의해 띠형상체의 임의의 위치에 대한 버클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버클의 고정 부분에 띠형상체를 삽입 통과·고정한 상태에서, 이 띠형상체에 장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거나 이것이 감소한 경우라도, 협지부재에 의해 띠형상체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협지부재에 의한 띠형상체의 협지 상태는 유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결과, 이러한 경우에서도, 버클에서의 띠형상체에 대한 고정 위치가 변하지 않게 할 수 있어, 이러한 띠형상체에 대폭적인 느슨함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다.
상기 유지수단은 사이드 프레임부에 형성됨과 함께, 협지부재의 적어도 회동시에 그 일부에 맞닿아지는 돌출부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 된다. 이 경우에는, 이러한 돌출부에서의 돌출단(突出端)을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테이퍼부(taper portion)를 더 형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협지부재는 기단부(基端部)를 사이드 프레임부에 축지지됨과 함께, 이 기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의 중간부에서 유지수단에 맞닿는 선재(線材)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 된다. 이 경우에는, 이러한 선재를, 각각 기단부를 구비한 한 쌍의 중간부와, 이 한 쌍의 중간부 사이에 걸치는 자유단부를 더 구비하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크로스바와 자유단부 사이에 띠형상체를 협지하는 회동위치로부터 협지부재를 이 협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협지부재를 회동시킬 때, 이 협지부재의 중간부가 돌출부로서의 유지수단에 접하여, 이 협지부재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한다.구체적으로는, 상기 회동위치에 있는 협지부재를 상기 협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때에는, 상기 테이퍼부의 한쪽이 중간부에 닿아 한 쌍의 중간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협지부재는 점차 탄성 변형되고, 이에 의해 협지부재의 회동이 허용되는 반면, 상기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는 간단하게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중간부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이 중간부가 돌출단을 타고 넘는 위치까지 협지부재가 회동되면, 중간부의 탄성 복귀에 의해 협지부재는 강제적으로 회동되어, 협지부재에 의해 띠형상체를 협지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띠형상체를 협지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협지부재를 상기 회동위치로 향하여 회동 조작할 때에는, 상기 테이퍼부의 한쪽이 중간부에 닿아 한 쌍의 중간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협지부재는 점차 탄성 변형되므로, 협지부재가 띠형상체를 협지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상태도 간단하게는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 협지부재를 구성하는 선재를, 각각 기단부를 구비한 한 쌍의 중간부와, 이 한 쌍의 중간부 사이에 걸치는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또한 중간부가 권회부(卷回部)를 구비하도록 성형함과 함께, 유지수단을, 사이드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의 기단부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권회부를 지지하는 이 권회부의 지지부로 하면, 협지부재의 자유단부가 제1 크로스바 사이에 띠형상체를 끼우는 회동위치로부터 이 제1 크로스바로부터 자유단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협지부재를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권회부가 탄성 변형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협지부재의 자유단부가 제1 크로스바의 바 전면과의 사이에 띠형상체를 끼운 상태가 간단하게는 해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지부재의 자유단부의 표면을 조면(粗面)으로 하여 두면, 이 자유단부와 띠형상체 사이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어, 이 협지부재에 의한 띠형상체의 협지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는, 고정 대상인 띠형상체에 장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거나 이것이 감소하여도, 협지부재와 그 유지수단에 의해, 이 띠형상체에 대한 버클의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서도 이러한 띠형상체에 대폭적인 느슨함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정면도로서, 협지부재가 제1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측면도로서, 협지부재가 제1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단면도로서, 협지부재가 제1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측면도로서, 협지부재가 제2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3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은 띠형상체(W)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이 띠형상체(W)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1)을 적어도 한 개소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 부분(1)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와, 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 사이에 걸치는 제1 크로스바(11)와, 이 제1 크로스바(11)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 사이에 걸치는 제2 크로스바(12)를 갖고, 띠형상체(W)를, 배면측(Bw)으로부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 사이로 삽입 통과하여 전면측(Fw)으로 일단 인출한 후, 제1 크로스바(11)와 제2 크로스바(12) 사이를 통하여 배면측(Bw)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1 크로스바(11)에 걸어 돌렸을 때에 이 띠형상체(W)에 고정되는 구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1∼도 6에 나타나는 제1 실시예,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는 제3 실시예 및 도 11∼도 13에 나타나는 제4 실시예에서는, 버클은 한 개소의 이러한 고정 부분(1)과, 한 개소의 띠형상체(W)의 장착 부분(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버클은 장착 부분(2)에 걸어 돌려진 띠형상체(W)에, 고정 부분(1)에 삽입 통과된 띠형상체(W)를, 버클을 통하여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제2 실시예는 편평 통형상을 이루는 도시하지 않는 암(雌)버클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삽입부(3)를 구비한 버클(이하, 수(雄)버클이라고 함)이다. 그리고, 이 수버클에 한 개소의 상기 고정 부분(1)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삽입부(3)는 좌우 한 쌍의 탄성 걸어맞춤다리(30, 30)와, 이 한 쌍의 탄성 걸어맞춤다리(30, 30)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다리(31)로 구성되어 있다. 암버클 내에의 수버클의 삽입부(3)의 삽입은 좌우 한 쌍의 탄성 걸어맞춤다리(30, 30)의 내측 방향으로의 휘어짐에 의해 허용되고, 이 삽입 종료 위치에서의 이 탄성 걸어맞춤다리(30)의 휘어짐 복원에 의해, 이 탄성 걸어맞춤다리(30)의 외측부에 형성된 돌출부(30a)가 상기 암버클의 측부에 형성된 걸어맞춤창(窓)에 삽입되어 걸어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 상태는 이러한 걸어맞춤창에 삽입되는 돌출부(30a)를 외측으로부터 압압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탄성 걸어맞춤다리(30, 30)를 휘어지게 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버클의 고정 부분(1)에 고정된 띠형상체(W)를 암버클이 장착되어 있는 부재에 대하여 양쪽을 결합시킴으로써 연결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분(1)을, 버클에 2개소 이상 설치하게 하면, 버클을 통하여 2이상의 띠형상체(W)를 고정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예의 장착 부분(2)를 이러한 고정 부분(1)으로 치환하면, 제1 실시예의 버클을 통하여, 두 개의 띠형상체(W)를 고정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분(1)을 구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 사이에는, 띠형상체(W)의 폭과 대략 같거나, 이보다 큰 간격이 형성된다.
제1 크로스바(11)는 그 양단을 각각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내측면(10h)에 일체로 연접(連接)시키고 있다. 또한, 버클의 전면(前面)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전면(11a)과, 이 바 전면(11a) 사이에 코너부(corner portion)(11b)를 형성시키는 바 측면(11c)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바 측면(11c, 11c) 사이의 간격은 버클의 배면측(Bw)에 대하여 좁아지도록 되어 있고, 제1 크로스바(11)는 버클의 배면측(Bw)에 최상부(11d)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크로스바(11)의 최상부(11d)와 버클의 배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배면(10a)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제2 크로스바(12)는 그 양단을 각각 사이드 프레임부(10)의 내측면(10h)에 일체로 연접시키고 있다. 이 제2 크로스바(12)와 제1 크로스바(11) 사이에는, 띠형상체(W)를 통과시키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크로스바(12)는 버클의 배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배면(12a)을 갖고 있다. 제2 크로스바(12)에서의 제1 크로스바(11)로 향해진 바 측면(12b)과 상기 바 배면(12a) 사이의 코너부(12c)는 삽입 통과되는 띠형상체(W)로 밀어붙이는 각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분(1)을 구성하는 제2 크로스바(12)의 바 배면(12a) 아래를 통하여 제1 크로스바(11)에 띠형상체(W)를 걸어 돌려 양 크로스바(11, 12) 사이로부터 다시 제2 크로스바(12)의 바 배면(12a) 아래를 통하여 버클로부터 띠형상체(W)를 인출하면, 제2 크로스바(12)의 상기 코너부(12c)를 띠형상체(W)로 밀어붙이도록 하여 띠형상체(W)가 이러한 인출 개소(Wa)를 제2 크로스바(12)가 누른다. 띠형상체(W)에 장력이 작용되면 될수록 제2 크로스바(12)는 띠형상체(W)에 눌린다. 이에 의해 띠형상체(W)의 임의의 위치에 대한 버클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은 띠형상체(W)로부터 제2 크로스바(12)의 바 배면(12a)이 이격되도록 버클을 조작함으로써 해제할 수 있다(예를 들면, 제1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버클의 제2 크로스바(12)의 측을 들어올린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부분(1)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자유단부(41)를 버클의 전면측(Fw)으로부터 제1 크로스바(11)에 가장 근접시킨 회동위치에서 이 자유단부(41)와 제1 크로스바(11) 사이에 띠형상체(W)를 협지하는 협지부재(4)와, 제1 크로스바(11)로부터 자유단부(41)를 이격시키는 방향의 이 협지부재(4)의 회동에 대하여 이 협지부재(4)에 이 회동에 저항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유지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버클의 고정 부분(1)에 띠형상체(W)를 삽입 통과·고정한 상태에서, 이 띠형상체(W)에 장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거나 이것이 감소한 경우라도, 협지부재(4)에 의해 띠형상체(W)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협지부재(4)에 의한 띠형상체(W)의 협지 상태는 유지수단(5)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결과, 이러한 경우에서도, 버클에서의 띠형상체(W)에 대한 고정 위치가 변하지 않게 할 수 있어, 이러한 띠형상체(W)에 대폭적인 느슨함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다. 예를 들면, 버클에 고정되어 신체의 특정 개소(예를 들면, 허리나 가슴)나, 물품의 특정 개소(예를 들면, 배낭의 자루 부분)를 체결하고 있는 띠형상체(W)가 보행이나 운반 등에 의해 이 특정 개소로부터 이동하여 띠형상체(W)에 약간 느슨함이 생긴 경우이어도, 그 이상의 느슨함이 띠형상체(W)에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띠형상체(W)에 대한 버클의 고정 위치의 변경은 협지부재(4)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1 크로스바(11)로부터 자유단부(41)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띠형상체(W)로부터 제2 크로스바(12)의 바 배면(12a)이 이격되도록 버클을 조작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도 6에 나타나는 제1 실시예에서는, 버클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의 단부 사이에 제2 크로스바(12)를 가설(架設)시켜, 이러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의 단부 사이에 상기 장착 부분(2)으로 되는 크로스바(20)를 구비하고, 양쪽 사이에 제1 크로스바(11)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크로스바(12)에는, 버클 전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설편(舌片)(6)이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이 설편(6)은 제2 크로스바(12)에서의 버클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개소로부터 제1 크로스바(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되는 가장자리는 버클의 외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는 버클의 전면측(Fw)에서,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최상부(10b)를 형성하고, 거기에서부터 단부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사이드 프레임부(10)의 전후방향의 치수를 좁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협지부재(4)는 기단부(40)를 사이드 프레임부(10)에 축지지함과 함께, 이 기단부(40)와 자유단부(41) 사이의 중간부(42)에서 유지수단(5)에 맞닿는 금속제의 선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협지부재(4)는 상기 선재를, 각각 기단부(40)를 구비한 한 쌍의 중간부(42, 42)와, 이 한 쌍의 중간부(42, 42) 사이에 걸치는 자유단부(41)를 구비하도록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 선재의 자유단부(41)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프레임 외측면(10d) 사이에 대략 걸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부(42)는 자유단부(4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41)로부터 뻗어 있다. 기단부(40)는 중간부(42)의 단말에 형성되어, 중간부(4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른 쪽의 중간부(42)의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선재의 한 쌍의 중간부(42, 42)는 각각, 사이드 프레임부(10)에 장착되기 전 상태에서는, 그 단말로 향함에 따라 다른 쪽의 중간부(42)에 점차 가까워지도록 자유단부(41)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도 1).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에는, 각각, 협지부재(4)의 기단부(40)를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축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10c)은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외측면(10d)에서 개방됨과 함께, 이 사이드 프레임부(10)와 제2 크로스바(12)와의 연접 개소에 있어서 버클의 배면측(Bw)에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4)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의 축구멍(10c)에 한쪽의 기단부(40)를 사이드 프레임부(1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다른 쪽의 축구멍(10c)에 다른 쪽의 기단부(40)를 사이드 프레임부(1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에 의해 협지부재(4)의 중간부(42)는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외측면(10d)에 의해 자유단부(4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협지부재(4)는 그 자유단부(41)를 제1 크로스바(11)의 바 전면(11a)과 크로스바(20) 측을 향한 바 측면(11c) 사이의 코너부(11b)에 접하게 하는 회동위치(도 3/이하, 이 회동위치를 제1 회동위치라고 함)와 이 자유단부(41)를 제2 크로스바(12)의 바 전면(12d) 상에 위치시키는 회동위치(도 5/이하, 이 회동위치를 제2 회동위치라고 함) 사이에서의 회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수단(5)은 사이드 프레임부(10)에 형성됨과 함께, 협지부재(4)의 적어도 회동시에 그 일부에 맞닿아지는 돌출부(50)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이러한 돌출부(5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프레임 외측면(10d)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돌출부(50)는 사이드 프레임부(10)에서의 대체로 제1 크로스바(11)와 제2 크로스바(12) 사이가 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50)는 사이드 프레임부(10)의 버클의 전면(前面)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전면(10e)과 프레임 외측면(10d) 사이의 코너부를 따라 이 프레임 외측면(10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느러미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이러한 돌출부(50)에서의 돌출단(突出端)(50b)을 사이에 둔 양측이 각각 테이퍼부(50a)로 되어 있다. 즉, 이러한 돌출부(50)는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외측면(10d)으로부터 가장 돌출하는 돌출단(50b)을 사이에 두어, 제1 크로스바(11) 측을 향한 테이퍼부(50a)와, 제2 크로스바(12) 측을 향한 테이퍼부(50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제1 회동위치와 제2 회동위치에 걸치는 범위에서 협지부재(4)를 회동시킬 때, 이 협지부재(4)의 중간부(42)가 돌출부(50)로서의 유지수단(5)에 접하여, 이 협지부재(4)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회동위치에 있는 협지부재(4)를 제2 회동위치로 향하여 회동 조작할 때에는, 상기 테이퍼부(50a)가 중간부(42)에 닿아서 한 쌍의 중간부(42, 42)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협지부재(4)는 점차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협지부재(4)의 제2 회동위치로 향한 회동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그 반면에서 이러한 제1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가 간단하게는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부(4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이 중간부(42)가 돌출단(50b)을 타고 넘는 위치까지 협지부재(4)가 회동되면, 중간부(42)의 탄성 복귀에 의해 협지부재(4)는 제2 회동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되어, 협지부재(4)에 의해 띠형상체(W)를 협지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이 제2 회동위치에 있는 협지부재(4)를 제1 회동위치로 향하여 회동 조작할 때에는, 상기 테이퍼부(50a)가 중간부(42)에 닿아서 한 쌍의 중간부(42, 42)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협지부재(4)는 점차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협지부재(4)가 제2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도 간단하게는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외측면(10d)에 협지부재(4)가 제1 회동위치에 있을 때에 그 중간부(42)를 수납하는 오목부(10f)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프레임 전면(10e)에는, 이 제1 회동위치에 있을 때에 자유단부(41)를 수납하는 오목부(10g)가 형성되며, 또한 제1 크로스바(11)에서의 제1 회동위치에 있어서 자유단부(41)가 접하는 코너부(11b)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
도 7및 도 8에 나타나는 제2 실시예에서는, 버클로서의 수버클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의 단부 사이에 제2 크로스바(12)를 가설시키고, 이러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다른 쪽의 단부 사이에 크로스바(7)를 구비하고, 양쪽 사이에 제1 크로스바(11)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크로스바(12)에는, 버클의 전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설편(6)이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이 설편(6)은 제1 크로스바(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가장자리는 버클의 외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크로스바(7)의 바 외면에 상기 좌우 한 쌍의 탄성 걸어맞춤다리(30, 30) 및 중간다리(31)의 기부(基部)가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그 나머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의 각 도면에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2 실시예의 각 도면에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는 제3 실시예에서는, 버클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양단 사이에 각각 크로스바(8, 20)를 가설시키고, 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와 한 쌍의 크로스바(8, 20)로 형성되는 사각형 틀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크로스바(8, 20)의 한쪽이 상기 장착 부분(2)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 크로스바(11) 및 제2 크로스바(12)는 이러한 한 쌍의 크로스바(8, 20) 사이에 있어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제1 크로스바(11)가 상기 장착 부분(2) 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도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에는, 각각 협지부재(4)의 기단부(40)를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축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10c)은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내측면에서 개방됨과 함께, 이 사이드 프레임부(10)와 상기 장착 부분(2)으로 되지 않는 크로스바와의 연접 개소 근방에서 버클의 배면측(Bw)에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4)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의 축구멍(10c)에 중간부(42)의 단말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기단부(40)를 사이드 프레임부(10)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한편,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다른 쪽의 축구멍(10c)에 중간부(42)의 단말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다른 쪽의 기단부(40)를 사이드 프레임부(10)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사이드 프레임부(10)에의 조합 전 상태에 있어서, 협지부재(4)의 한 쌍의 중간부(42, 42)의 외면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프레임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여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은 협지부재(4)의 한 쌍의 중간부(42, 42)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의 탄성 변형을 협지부재(4)에 생기게 하면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예에서는, 상기 유지수단(5)를 구성하는 돌출부(5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프레임 내측면(10h)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돌출부(50)는 사이드 프레임부(10)에서의 제2 크로스바(12)와 상기 장착 부분(2)로 되지 않는 크로스바(8) 사이가 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50)는 사이드 프레임부(10)의 버클의 전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전면(10e)과 프레임 내측면(10h) 사이의 코너부를 따라 이 프레임 내측면(10h)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느러미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협지부재(4)의 자유단부(41)가 제1 크로스바(11)의 바 전면(11a) 사이에 띠형상체(W)를 끼우는 제1 회동위치에 있고, 돌출부(50)의 배면 아래에 협지부재(4)의 중간부(42)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10). 이 상태로부터 제1 크로스바(11)로부터 자유단부(41)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협지부재(4)를 회동시키면 돌출부(50)에 중간부(42)가 눌려 한 쌍의 중간부(42, 42)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협지부재(4)는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로부터, 이 중간부(42)가 돌출부(50)의 돌출단(50b)을 타고 넘는 위치까지 협지부재(4)가 회동되면, 한 쌍의 중간부(42, 42)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협지부재(4)는 탄성 복귀되므로, 협지부재(4)는 돌출부(50)와 장착 부분(2)으로 되지 않는 크로스바(8)와의 사이에 중간부(42)를 끼우는 회동위치(도 10에서 상상선으로 나타냄)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된다.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그 나머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의 각 도면에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3 실시예의 각 도면에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 제4 실시예)
도 11∼도 13에 나타나는 제4 실시예에서는, 버클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양단 사이에 각각 크로스바(8, 20)를 가설시키고, 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와 한 쌍의 크로스바로 형성되는 사각형 틀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크로스바(8, 20)의 한쪽이 상기 장착 부분(2)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 크로스바(11) 및 제2 크로스바(12)는 이러한 한 쌍의 크로스바(8, 20) 사이에 있어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제1 크로스바(11)가 상기 장착 부분(2) 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협지부재(4)는 선재를, 각각 기단부(40)를 구비한 한 쌍의 중간부(42, 42)와 이 한 쌍의 중간부(42, 42) 사이에 걸치는 자유단부(41)를 구비하고, 중간부(42)가 권회부(43)를 더 구비하도록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중간부(42, 42)의 단말(端末)에 1회전 분의 권회부(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권회부(43)의 권회축선은 자유단부(41)및 기단부(40)와 대략 평행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유지수단(5)는 사이드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의 기단부(40)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권회부(43)를 지지하는 이 권회부(43)의 지지부(51)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지지부(51)는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내측면(10h)으로부터 돌출하는 축 형상 돌기로서 구성되어 있어, 상기 권회부(43)에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에는, 각각, 협지부재(4)의 기단부(40)를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축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10c)은 사이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내측면(10h) 및 외측면(10d)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 축구멍(10c)과 지지부(51)는 제2 크로스바(12)와 상기 장착 부분(2)으로 되지 않는 크로스바(8)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지지부(51)는 축구멍(10c)보다 제2 크로스바(12) 측에 위치되어 있다.
협지부재(4)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의 축구멍(10c)에 중간부(42)의 단말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기단부(40)를 사이드 프레임부(10)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다른 쪽의 축구멍(10c)에 중간부(42)의 단말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다른 쪽의 기단부(40)를 사이드 프레임부(10)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의 지지부(51)을 한쪽의 중간부(42)의 권회부(43)에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다른 쪽의 지지부(51)에 다른 쪽의 중간부(42)의 권회부(43)에 삽입 통과시켜 사이드 프레임부(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조합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부재(4)의 자유단부(41)가 제1 크로스바(11)의 바 전면과의 사이에 띠형상체(W)를 끼우는 제1 회동위치로부터 제1 크로스바(11)로부터 자유단부(41)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협지부재(4)를 회동시키면 상기 권회부(43)가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예에 있어서는, 협지부재(4)의 자유단부(41)가 제1 크로스바(11)의 바 전면(11a) 사이에 띠형상체(W)를 끼운 상태가 간단하게는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13). 띠형상체(W)에 대한 버클의 고정 위치의 변경은 협지부재(4)의 권회부(43)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1 크로스바(11)로부터 자유단부(41)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그 나머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의 각 도면에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제4 실시예의 각 도면에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기타)
제1 실시예∼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양쪽에 각각 유지수단(5)으로 되는 돌출부(50)를 구비하게 하고 있지만,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0, 10)의 한쪽에만 돌출부(50)를 구비하게 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협지부재(4)의 자유단부(41)의 표면을 조면(粗面)으로 하여 두면, 상기 제1 회동위치에서의 이 자유단부(41)와 띠형상체(W) 사이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어, 이 제1 회동위치에서의 띠형상체(W)의 협지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2010년 1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0-013952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7)

  1.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side frame section)와, 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1 크로스바 및 제2 크로스바를 갖고,
    띠형상체를, 배면측으로부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삽입 통과하여 전면측(前面側)으로 일단 인출한 후, 제1 크로스바와 제2 크로스바 사이를 통하여 배면측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1 크로스바에 걸어 돌렸을 때에 이 띠형상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적어도 한 개소 구비하는 버클로서,
    이 고정 부분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자유단부를 버클의 전면측으로부터 제1 크로스바에 가장 근접시킨 회동위치에 있어서 이 자유단부와 제1 크로스바 사이에 띠형상체를 협지하는 협지부재와,
    상기 제1 크로스바로부터 자유단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의 협지부재의 회동에 대하여 이 협지부재에 이 회동에 저항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유지수단이 사이드 프레임부에 형성됨과 함께, 협지부재의 적어도 회동시에 그 일부에 맞닿아지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에서의 돌출단(突出端)을 사이에 둔 양측이 각각 테이퍼부(taper portion)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협지부재가 기단부(基端部)를 사이드 프레임부에 축지지됨과 함께, 이 기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어서 유지수단에 맞닿는 선재(線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협지부재가 선재를, 각각 기단부를 구비한 한 쌍의 중간부와, 이 한 쌍의 중간부 사이에 걸치는 자유단부를 구비하도록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side frame section)와, 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치는 제1 크로스바 및 제2 크로스바를 갖고,
    띠형상체를, 배면측으로부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삽입 통과하여 전면측(前面側)으로 일단 인출한 후, 제1 크로스바와 제2 크로스바 사이를 통하여 배면측으로 다시 인출하도록 하여 제1 크로스바에 걸어 돌렸을 때에 이 띠형상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적어도 한 개소 구비하는 버클로서,
    이 고정 부분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자유단부를 버클의 전면측으로부터 제1 크로스바에 가장 근접시킨 회동위치에 있어 서 이 자유단부와 제1 크로스바 사이에 띠형상체를 협지하는 협지부재와,
    상기 제1 크로스바로부터 자유단부를 이격시키는 방향의 협지부재의 회동에 대하여 이 협지부재에 이 회동에 저항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협지부재가 선재를, 각각 기단부를 구비한 한 쌍의 중간부와, 이 한 쌍의 중간부 사이에 걸치는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중간부가 권회부(卷回部)를 구비하도록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유지수단이 사이드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의 기단부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권회부를 지지하는 이 권회부의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삭제
  7. 삭제
KR1020127019256A 2010-01-26 2011-01-20 버클 KR101415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3952 2010-01-26
JP2010013952A JP5320317B2 (ja) 2010-01-26 2010-01-26 バックル
PCT/JP2011/051007 WO2011093206A1 (ja) 2010-01-26 2011-01-20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961A KR20120094961A (ko) 2012-08-27
KR101415465B1 true KR101415465B1 (ko) 2014-07-04

Family

ID=4431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256A KR101415465B1 (ko) 2010-01-26 2011-01-20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49091B2 (ko)
EP (1) EP2529640B1 (ko)
JP (1) JP5320317B2 (ko)
KR (1) KR101415465B1 (ko)
CN (1) CN102724893B (ko)
TW (1) TWI418311B (ko)
WO (1) WO2011093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3259B2 (en) * 2013-10-24 2016-09-06 Bell Sports, Inc. Self-actuating webbing adjuster and helmet strap system including same
JP2017509397A (ja) * 2014-03-28 2017-04-06 ベル スポー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滑動防止ワンピース型ストラップ調整器
US10188177B2 (en) * 2015-08-17 2019-01-29 Bell Sports, Inc. Friction stop strap adjustor
US9936770B2 (en) * 2015-09-05 2018-04-10 Yun-Chan Tsai Buckle
JP6473090B2 (ja) * 2016-01-29 2019-02-20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6556670B2 (ja) * 2016-07-04 2019-08-07 星野楽器株式会社 スネアワイヤ及びスネアドラム
WO2019018783A1 (en) 2017-07-20 2019-01-24 Vista Outdoor Operations Llc QUICK ADJUSTMENT LOOP WITH INTEGRATED FLEXIBLE TRACTION CLAMP
USD960278S1 (en) 2017-07-20 2022-08-09 Vista Outdoor Operations Llc Buckle for a rifle sling
USD869594S1 (en) 2018-01-18 2019-12-10 Vista Outdoor Operations Llc Buckle for a rifle sling
US10918169B2 (en) * 2018-03-02 2021-02-16 Illinois Tool Works Inc. Locking position adjustment device
US10827806B1 (en) * 2019-06-04 2020-11-10 Ykk Corporation Belt hold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21U (ja) * 1992-08-24 1994-03-15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H09135709A (ja) * 1995-11-13 1997-05-27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ウェブの保持および調節方法と、保持および調節装置
JP2007296313A (ja) 2006-04-04 2007-11-15 Nifco Inc 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4828C (ko) *
US2981993A (en) * 1959-04-06 1961-05-02 Aeroquip Corp Buckle
US3686715A (en) * 1971-01-11 1972-08-29 Ny Met Ind Inc Strap system for material handling
US4171555A (en) 1978-05-01 1979-10-23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4414713A (en) * 1981-10-02 1983-11-15 Ancra Corporation Quick-release strap buckle
JPS6375209U (ko) * 1986-05-06 1988-05-19
JPS6375209A (ja) 1986-09-16 1988-04-05 Giken Kogyo Kk 護岸用階段式ブロツク
JPH0531926Y2 (ko) * 1986-12-27 1993-08-17
US5161351A (en) * 1991-01-09 1992-11-10 Woodruff Dale K Animal harness safety buckling
JP3300037B2 (ja) 1992-07-02 2002-07-08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
US5641166A (en) * 1995-12-01 1997-06-24 Reisel; Walter Diverse board game
CN2297892Y (zh) * 1997-04-28 1998-11-25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弹性释放功能的扣具
JP4159447B2 (ja) 2003-10-28 2008-10-01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における指掛け部分側の構造
CN201323939Y (zh) * 2008-12-22 2009-10-14 冯国柱 柔性带自锁扣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21U (ja) * 1992-08-24 1994-03-15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H09135709A (ja) * 1995-11-13 1997-05-27 Illinois Tool Works Inc <Itw> ウェブの保持および調節方法と、保持および調節装置
KR100189605B1 (ko) 1995-11-13 1999-06-01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미끄럼-방지용 끈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07296313A (ja) 2006-04-04 2007-11-15 Nifco Inc 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24893B (zh) 2015-05-06
EP2529640A1 (en) 2012-12-05
KR20120094961A (ko) 2012-08-27
US9149091B2 (en) 2015-10-06
JP2011152193A (ja) 2011-08-11
US20120324686A1 (en) 2012-12-27
EP2529640A4 (en) 2017-08-16
EP2529640B1 (en) 2020-11-11
TWI418311B (zh) 2013-12-11
WO2011093206A1 (ja) 2011-08-04
JP5320317B2 (ja) 2013-10-23
TW201138666A (en) 2011-11-16
CN102724893A (zh)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465B1 (ko) 버클
EP3130256B1 (en) Pillow
JPH09135709A (ja) ウェブの保持および調節方法と、保持および調節装置
CN103027443B (zh) 婴幼儿安全带扣具
FR3012688A1 (fr) Unite de patte utilisee dans un boitier de connecteur et boitier de connecteur comprenant celle-ci
US7111369B2 (en) Spring clip
KR101839151B1 (ko) 안면장착구
US6360410B1 (en) Adjustable strap buckle
JPH11266908A (ja) バックル
US11160331B2 (en) Buckle
KR101425027B1 (ko)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착탈식 버클
JP5628585B2 (ja) バックル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US20180003264A1 (en) Cord lock
KR20130125700A (ko) 버클
KR20110008700U (ko) 허리띠용 버클
JP3083514B1 (ja) 衣服用ベルト
FR2903280A1 (fr) Boucle en deux parties detachables pour la fixation d&#39;une sangle en v et son utilisation pour la fixation d&#39;un casque de protection
WO2008068650A1 (en) Buckle for belt.
CN112789414B (zh) 就座部夹和椅子
JP7338851B2 (ja) 物品携帯用クリップ
WO2015136702A1 (ja) ベルト長さ調整具
US20150197312A1 (en) Clipless pedal of bicycle
JP2009039286A (ja) バックル
JP2014151038A (ja) イヤ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