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234B1 -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234B1
KR101414234B1 KR1020120012576A KR20120012576A KR101414234B1 KR 101414234 B1 KR101414234 B1 KR 101414234B1 KR 1020120012576 A KR1020120012576 A KR 1020120012576A KR 20120012576 A KR20120012576 A KR 20120012576A KR 101414234 B1 KR101414234 B1 KR 10141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ilica
parts
thermoplastic elastomer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372A (ko
Inventor
배종우
이진혁
김정수
최유석
엄기용
전준하
박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2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필터를 통해 필터링(filtering)하여 용매를 1차 제거한 후, 상기 필터링된 혼합물을 50 ~ 70℃의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3 ~ 5시간 보관하여 잔류 용매를 2차 제거하여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를 제조하는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 및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 10 ~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하는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를 거쳐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실리카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열가소성 탄성체의 장점(상온에서는 고무의 특성인 탄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는 열가소성을 가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출성형이 가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데브리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과 타이어 산업 등 재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THERMOPLASTIC ELASTOMER WITH IMPROVED ABRASION AND DEBRIS AND METHOD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탄성체에 대한 실리카의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열가소성 탄성체의 장점(상온에서는 고무의 특성인 탄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는 열가소성을 가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출성형이 가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데브리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과 타이어 산업 등 재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내마모성과 데브리스(debris)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는 외력에 의해 모양과 부피가 변형된 후 힘을 제거하였을 때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가지는데, 고무의 탄성은 힘을 점차 크게 가하면 어느 단계 이상에서는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변형이 그대로 남는 영구변형을 일으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영구변형의 한계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조성물에 황이나 유기과산화물 등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망상 구조의 가교를 형성시킨다.
그러나 상기 가교된 고무 조성물은 열경화성(Thermosetting)을 나타내어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지니게 된다. 즉, 가교 고무 특성상 고무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망상화하여 경화시킨 고무가 다시 용융되지 않기 때문에 새롭게 용융시켜 신생고무와 같이 다시 가황하여 재활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무를 재활용하기 위해, 기 사용하였던 고무를 잘게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단순히 신생 고무에 섞어서 사용하는 정도로만 재활용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무 조성물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온에서는 경질 세그멘트의 물리적 응집에 의해 고무의 특성인 탄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는 물리적 응집이 용융되어 열가소성(thermoplastic)을 가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가 개발되어 고무 적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환경 문제가 사회 및 산업 전반에 걸쳐 가장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고무를 열가소성 탄성체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열가소성으로 인해 까다로운 가교공정이 없어 생산성이 높고 기존의 플라스틱 가공기기를 개조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화학적인 가교구조를 갖는 기존의 가교 고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성이 떨어지며 특히, 내마모성이 미비한 단점과 데브리스(debris)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아울러, 보강성 충진제로써 실리카를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내마모성 및 데브리스에 대한 개선효과가 미비(오히려 물성저하가 관찰되기도 함)하여 자동차용 내장제품 등의 일부 분야에만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소모성 제품인 신발과 타이어 산업 등 재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상기 실리카가 대표적인 보강성 충진제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첨가한 열가소성 탄성체가 낮은 내마모성을 가지고 데브리스 발생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상기 실리카의 분산성이 낮고, 실리카와 열가소성 탄성체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에 대한 실리카의 분산성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열가소성 탄성체에 실리카를 첨가하고 황가교를 시켜 신발겉창에 적용하고자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황가교를 통해 물성이 다소 증가하지만 여전히 실리카의 분산성을 개선하지 못함에 따라 내마모성의 저하 및 데브리스 발생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황가교에 따른 비가역성 반응에 의해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0165호 "신발 겉창용 펠렛형 고무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신발겉창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가소성 탄성체인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와 구조적 유사점이 있는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에 실리카와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선분산시켜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를 제조하고, 이를 SBS와 혼합하여 펠렛(pellet)형태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리카의 분산성과 SBS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열가소성 탄성체의 장점(상온에서는 고무의 특성인 탄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는 열가소성을 가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출성형이 가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데브리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과 타이어 산업 등 재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있어서,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 10 ~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실리카 케이크는,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는, SBR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가 있는 단량체 50 ~ 90 중량부 및 용매 10 ~ 50 중량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금속 이온(metal ion)을 형성하여 실리카와 이차 결합(secondary bonding)을 형성하여 실리카의 보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산화카드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수은, 산화주석, 산화납 및 산화칼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필터를 통해 필터링(filtering)하여 용매를 1차 제거한 후, 상기 필터링된 혼합물을 50 ~ 70℃의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3 ~ 5시간 보관하여 잔류 용매를 2차 제거하여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를 제조하는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 및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 10 ~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하는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인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와 구조적 유사점이 있는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에 실리카와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선분산시켜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를 제조하고, 이를 SBS와 혼합하여 펠렛(pellet)형태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리카의 분산성과 SBS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열가소성 탄성체의 장점(상온에서는 고무의 특성인 탄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는 열가소성을 가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출성형이 가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데브리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과 타이어 산업 등 재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있어서,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 10 ~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SBS는 대표적인 열가소성 탄성체로써, 상온에서는 경질 세그멘트의 물리적 응집에 의해 고무의 특성인 탄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는 물리적 응집이 용융되어 열가소성(thermoplastic)을 가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주기재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카 케이크는, 열가소성 탄성체에 대한 실리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실리카가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에 선분산된다.
즉,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고형분이 50% ~ 90%)에 실리카가 선분산됨에 있어 용매에 의한 실리카의 젖음(wetting)으로 인하여 분산성이 증가되며,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와 금속 이온(metal ion)에 의한 이차 결합(secondary bonding) 형성을 통하여 보강성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의 혼합비가 중량비 50 : 50 : 10을 벗어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의 중량비가 50을 초과할 경우에는 용매 제거 공정 소요 시간이 증가하고 잔류 용매에 의한 제품 제조 불량 문제와 실리카 케이크 내의 실리카 비율이 감소하여 SBS의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개선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의 중량비가 50미만일 경우에는 실리카의 분산성이 감소하여 SBS의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개선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금속산화물의 중량비가 10을 초과할 경우에는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에 분산시 실리카의 분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금속산화물의 중량비가 10미만일 경우에는 실리카와의 이차 결합(secondary bonding) 형성이 감소하여 SBS의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개선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는, SBR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가 있는 단량체 50 ~ 90 중량부 및 용매 10 ~ 50 중량부로 제조된다.
카르복실기가 있는 단량체의 혼합량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카르복실 그룹(carboxyl group)과 실리카간의 이차 결합 형성이 감소하여 SBS의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개선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9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용매의 감소로 인하여 실리카의 분산성이 감소하여 SBS의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개선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리카 케이크는, SBS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3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실리카 케이크의 혼합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실리카 보강성 저하에 의한 SBS의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개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실리카 첨가로 인한 분산성 저하에 의하여 기계적 물성,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 및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는, 실리카 케이크를 제조하는 단계로써,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필터를 통해 필터링(filtering)하여 용매를 1차 제거한 후, 상기 필터링된 혼합물을 50 ~ 70℃의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3 ~ 5시간 보관하여 잔류 용매를 2차 제거하여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기구는 플라스틱 용기(plastic bottle) 또는 로터리 믹서(rotoary mix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로터리 믹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교반속도를 20 ~ 30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리카 케이크의 제조 조건이 상기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의 공정 조건을 벗어날 경우, 실리카의 분산성 저하로 인한 SBS의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저하되는 문제점과 잔류 용매에 의한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는, SBS와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를 혼합하는 단계로써, SBS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 10 ~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실리카 케이크를 이루는 각 조성물에 대한 설명 및 임계적 의의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열가소성 탄성체인 SBS와 구조적 유사점이 있는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에 실리카를 선분산시켜 실리카 케이크를 제조하고, 이를 SBS와 혼합하여 펠렛형태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리카의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열가소성 탄성체의 장점(상온에서는 고무의 특성인 탄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는 열가소성을 가져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출성형이 가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데브리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발과 타이어 산업 등 재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
(실시예 1)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로써,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R 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매를 1차 제거한 후, 상기 필터링된 혼합물을 50℃의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5시간 보관하여 잔류 용매를 2차 제거하여 실리카 케이크를 제조하고,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로써,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S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형태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로써,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R 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매를 1차 제거한 후, 상기 필터링된 혼합물을 60℃의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4시간 보관하여 잔류 용매를 2차 제거하여 실리카 케이크를 제조하고,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로써,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S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형태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로써,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R 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매를 1차 제거한 후, 상기 필터링된 혼합물을 70℃의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3시간 보관하여 잔류 용매를 2차 제거하여 실리카 케이크를 제조하고,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로써,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S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형태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별도의 첨가물 없이 SBS를 단독기재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SBS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진제인 실리카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SBS 95 중량% 및 SBR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진제인 실리카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SBS 95 중량% 및 SBR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진제인 실리카 10 중량부, 가황촉진제(DM) 1.0 중량부, 가황촉진제(TT) 0.2 중량부 및 황(sulfur)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열가소성 탄성체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를 배럴 온도(barrel temp.) 130℃, 몰드 온도(Mold temp.) 30℃에서 2분간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시편을 아래 항목 및 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경도 : 경도는 시편 표면에 쇼어 에이(shore A) 타입의 경도계로 5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2) 비중 : 자동 비중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3) 인장강도 및 연신율 : 제조된 시편을 약 3mm 두께로 만든 후 KS M6518에 따른 2호형을 커터(cutter)로 시험편을 제작하여 KS M6518에 준하여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동일 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은 3개로 하였다.
4) 모듈러스 : ASTM D 63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5) 인열강도 : 인열시험은 KS M6518에 따라 측정을 하였으며, 측정속도는 100m/분으로 5회 측정하였다.
6) 내마모성 : 시험시편의 내마모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DIN마모 테스트(DIN 53516)를 사용하였으며 다음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10077248-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m1 은 시험 전의 시편의 무게(g)이고, m2는 마모 시험 후의 시편의 무게(g)이며, d는 시편의 밀도이고, g는 DIN 표준 고무의 무게 손실을 나타낸 마모 등급이다
7) 데브리스 : 시편의 면을 각각 달리하여 유리판에 일정거리(10cm)를, 마찰을 5회 반복한 후 유리판 표면을 광학 현미경(optical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8) 재활용성 : 제조된 시험편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동일한 제조 공정으로 재가공하여 제조 특성과 물성을 비교 관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경도[shore A] 68~69 74~75 74~75 64~65 70~71 70~71 70~71
비중 0.97 1.013 1.014 0.916 0.97 0.97 0.97
인장강도[kgf/cm2] 112.2±0.4 121.6±0.2 122.6±0.2 146.7±0.4 92.6±0.6 91.9±0.4 94.9±0.4
연신율[%] 880±10 880±10 880±10 910±10 850±10 840±10 860±10
100%모듈러스[kgf/cm2] 12.9±0.2 14.3±0.2 15.2±0.2 11.6±0.3 12.6±0.2 12.7±0.2 13.7±0.2
300%모듈러스[kgf/cm2] 25.7±0.2 33.6±0.2 34.6±0.2 15.3±0.2 26.1±0.1 27.1±0.2 31.1±0.2
인열강도[kgf/cm] 30.4±0.2 31.2±0.2 31.5±0.2 17.2±0.3 23.3±0.1 22.6±0.1 24.6±0.1
내마모성[DIN, mm3 loss] 101.3 96.2 95.2 180.9 157.2 147.2 139.2
데브리스(debris) 주1) Good Good Good Poor Poor Poor Poor
재활용성 재활용
가능
재활용
가능
재활용
가능
재활용
가능
재활용
가능
재활용
가능
재활용
불가능
주1) 데브리스(debris) 결과에서
Good은 데브리스가 발생되지 않음을 뜻하고, Poor은 데브리스가 발생됨을 뜻함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낮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특성을 나타내며, 비교예 2의 경우, SBS에 보강성 충진제인 실리카를 첨가하였지만 물성, 내마모성 및 데브리스 특성에 대한 개선 효과가 없었으며, 오히려 물성 저하가 나타났고, 비교예 3의 경우,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물성이 다소 증가하였지만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물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4의 경우, SBS에 SBR과 실리카를 첨가하고 황가교를 통해 제조되어 물성은 다소 증가하였지만 근본 적인 실리카의 분산성에 대한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내마모성과 데브리스 특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재활용특성 및 사출이 가능한 열가소성 탄성체의 장점 역시 그대로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 :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
S2 :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

Claims (5)

  1.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있어서,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 10 ~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리카 케이크는,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는,
    SBR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가 있는 단량체 50 ~ 90 중량부 및 용매 10 ~ 50 중량부가 혼합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제조되며,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카드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수은, 산화주석, 산화납 및 산화칼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카르복실화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라텍스,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metal oxide)을 중량비 50 : 50 : 10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필터를 통해 필터링(filtering)하여 용매를 1차 제거한 후, 상기 필터링된 혼합물을 50 ~ 70℃의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3 ~ 5시간 보관하여 잔류 용매를 2차 제거하여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를 제조하는 실리카 케이크 제조단계(S1); 및
    혼합기구를 이용하여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실리카 케이크(silica cake) 10 ~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하는 SBS-실리카 케이크 혼합단계(S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카르복실화된 SBR 라텍스는,
    SBR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가 있는 단량체 50 ~ 90 중량부 및 용매 10 ~ 50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카드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수은, 산화주석, 산화납 및 산화칼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12576A 2012-02-08 2012-02-08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76A KR101414234B1 (ko) 2012-02-08 2012-02-08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76A KR101414234B1 (ko) 2012-02-08 2012-02-08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372A KR20130091372A (ko) 2013-08-19
KR101414234B1 true KR101414234B1 (ko) 2014-07-01

Family

ID=4921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576A KR101414234B1 (ko) 2012-02-08 2012-02-08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2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407A (ko) * 1999-08-10 2002-03-20 토마스 지. 티테코트 중합체 라텍스의 사용에 기초한 고무 실리카 마스터배치의제조 방법
KR20040050165A (ko) * 2002-12-09 2004-06-16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 겉창용 펠렛형 고무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신발겉창의 제조방법
KR100514114B1 (ko) * 2003-05-16 2005-09-09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실리카 마스터배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3322A (ko) * 2009-09-25 2011-03-3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407A (ko) * 1999-08-10 2002-03-20 토마스 지. 티테코트 중합체 라텍스의 사용에 기초한 고무 실리카 마스터배치의제조 방법
KR20040050165A (ko) * 2002-12-09 2004-06-16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 겉창용 펠렛형 고무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신발겉창의 제조방법
KR100514114B1 (ko) * 2003-05-16 2005-09-09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실리카 마스터배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3322A (ko) * 2009-09-25 2011-03-3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372A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611B1 (ko) 강화 성형수지 조성물
CN108117735B (zh) 高性能无卤阻燃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1453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09135076A (zh) 一种低压橡缆产品的绝缘胶料配方及其制备方法
Choe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poly (l‐lactic acid) blends and their composites
KR20120089889A (ko) 투명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138B1 (ko) 내마모성과 마킹방지 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CN108250653B (zh) 热塑性弹性体组合物和由其制造的模制品
KR101756083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CN101712797A (zh) 一种利用动态硫化法制备的热塑性聚氨酯与氯化聚乙烯(tpu/cpe)新型共混物材料
KR101414234B1 (ko) 내마모성과 데브리스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62976A (zh) 一种气密性增进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5254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724800B1 (ko) Mbs계 충격보강제, 제조방법 및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Cao et al. Injection moldable, self-healable, and recyclable rubber-bonded NdFeB magnets with the magnetic particulates content up to 90 wt%
KR101482244B1 (ko) 내마모성과 마킹방지 특성 및 인열강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87779B (zh) 功能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42118B1 (ko)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아이오노머계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적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 방법
KR101602240B1 (ko) 초임계 발포 사출 성형을 통해 내마모성, 마킹방지 특성, 인열강도 및 경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2471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KR101440110B1 (ko) 점착 방지 및 미끄러짐 방지 특성이 향상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101513377B1 (ko) 페놀 수지 성형 재료
KR20170046897A (ko)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을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KR20160097705A (ko) 금속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조성물
KR20160134030A (ko) 금속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