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431B1 -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431B1
KR101413431B1 KR1020130018078A KR20130018078A KR101413431B1 KR 101413431 B1 KR101413431 B1 KR 101413431B1 KR 1020130018078 A KR1020130018078 A KR 1020130018078A KR 20130018078 A KR20130018078 A KR 20130018078A KR 101413431 B1 KR101413431 B1 KR 10141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ember
charging
connector
electric vehicle
fron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중
배수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1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후방에 노출공이 관통 형성된 그립부가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로부터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후진 이동하여 복귀하는 전기커넥터와; 상기 전기커넥터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와; 일단이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일단이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일단을 상기 충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에 구비되는 해지버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Rapidly charging plug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용이하게 커넥터를 전기자동차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는, 전기커넥터(10)와, 바디(20)와, 레버(30)와, 걸림부(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는 전기 충전을 위해 와이어(11)와 연결되어 있고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에 구비된 커넥터와 접속되며, 바디(20)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 측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도록 바디(20)에 전, 후진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레버(30) 조작에 의해 전,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버(30)와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바디(20)는 내부에 전기커넥터(10), 와이어(11) 등이 설치되는 부재로서, 충전 플러그의 외관을 이루며, 자동차를 충전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바디(20)의 후방에는 절곡되어 바디(20)와 결합되는 그립부(21)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30)는 바디(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30)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커넥터(10)가 바디(20)의 내부에서 전,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걸림부(40)는 충전을 위하여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 삽입한 후에 그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걸림부(40)는 해지버튼(41)과, 커넥터 락 부재(42), 프런트 락 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해지버튼(41)은 수동 조작에 의해 기구적으로 커넥터 락 부재(42)에 의한 전기커넥터(10)의 복귀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바디(20)의 외부에서 수동 조작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해지버튼(41)은 바디(20)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바디(20)의 상측부에 형성된 해지버튼 홀(22)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 락 부재(42)는 커넥터 락 회전레버(42a)와, 커넥터 락 탄성부재(4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락 회전레버(42a)는 바디(20)의 내부에 해지버튼(41)과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전기커넥터(10)가 전진되면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2)와 구조적으로 간섭되어 전기커넥터(10)의 복귀, 즉 후진을 막고, 해지버튼(41)의 눌림에 의해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2)와 간섭 해제될 수 있다.
커넥터 락 탄성부재(42b)는 커넥터 락 회전레버(42a)를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2)를 향해 탄성력에 의해 눌려줄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커넥터 락 회전레버(42a)의 전방부 상면과 바디(2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락 탄성부재(42b)의 탄성 변형 방향이 상하 방향이기 때문에 커넥터 락 탄성부재(42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누름 조작된 해지버튼(41)이 복귀될 수 있다.
프런트 락 부재(43)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와 결합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에 걸림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해지버튼(41)의 눌림 조작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와의 걸림 해제된다.
이러한 프런트 락 부재(43)는 프런트 락 회전레버(43a)와, 프런트 락 탄성부재(43b)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런트 락 회전레버(43a)는 커넥터 락 회전레버(42a)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바디(20)의 내부 상측부에 좌우방향을 회전 축으로 회동 가능토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와 체결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충전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해지버튼(41)을 눌러서 커넥터 락 부재(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커넥터 락 부재(42)와 일측이 접촉된 프런트 락 부재(43)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프런트 락 부재(43)의 타측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충전 플러그를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는, 충전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해지버튼(4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시에 사용자가 그립부(21)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과 해지버튼(41)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엄지손가락으로 해지버튼(41)을 누르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충전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50)로부터 분리시키는데 두 손을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전기자동차로부터 충전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후방에 노출공이 관통 형성된 그립부가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로부터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후진 이동하여 복귀하는 전기커넥터와; 상기 전기커넥터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와; 일단이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일단이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일단을 상기 충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에 구비되는 해지버튼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바디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상기 바디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런트 락 부재와, 일단이 상기 프런트 락 부재의 타단과 접촉되어 상기 프런트 락 부재의 일단이 상기 바디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상기 바디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 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락 부재와 커넥터 락 부재를 복귀시키는 별도의 복귀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프런트 락 부재와 상기 커넥터 락 부재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프런트 락 부재나 혹은 상기 커넥터 락 부재의 일측과 접촉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지버튼부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벽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 설치되는 해지버튼과, 상기 해지버튼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커넥터 락 부재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커넥터 락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며 일측에 상기 가이드벽면과 접촉되어 상기 해지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연동돌기가 돌출 형성된 연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지버튼의 저부면에는 상기 해지버튼을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바디를 향하여 일정 간격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의 회동 운동과 연동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전기자동차로부터 충전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a는 충전하는 상태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b는 충전이 완료된 후 탈거시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a는 충전하는 상태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b는 충전이 완료된 후 탈거시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후방에 노출공(111)이 관통 형성된 그립부(110)가 결합되는 바디(100)와, 바디(100)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되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로부터 바디(100)의 내부를 향해 후진 이동하여 복귀하는 전기커넥터(200)와, 전기커넥터(200)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바디(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300)와, 일단이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디(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바디(100)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일단이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바디(100)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부(400)와, 걸림부(400)의 일단을 상기 충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노출공(111)에 구비되는 해지버튼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디(100)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전기커넥터(200)와 걸림부(400)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디(100)의 단부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디(100)의 후방에는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작업자가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그립부(110)가 구비되는데, 그립부(110)는 바디(1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립부(110)는 바디(100)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바디(10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가 그립부(110)의 손으로 감싼 상태에서 작업자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그립부(110)의 외면 일측에는 별도의 노출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립부(110)의 일측은 레버(300)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112)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레버(300)를 회동시에 바디(100)를 향하여 일정 간격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버(300)의 회동 운동과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공(111)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바디(100)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해지버튼부(500)가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한 손으로도 바디(100)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바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전기자동차를 충전시에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커넥터(200)가 구비되어 있다.
전기커넥터(200)는 바디(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300)에 의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레버(300)를 그립부(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전기커넥터(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레버(300)를 바디(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면 전기커넥터(200)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서 이탈된다.
그에 따라, 그립부(110)도 바디(100)가 결합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거나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바디(10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일측에 걸림되는 걸림부(40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부(400)는 일단이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바디(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런트 락 부재(410)와, 일단이 프런트 락 부재(410)의 타단과 접촉되어 프런트 락 부재(410)의 일단이 바디(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 락 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런트 락 부재(410)는 일단이 바디(100)의 단부 일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노출된 프런트 락 부재(410)의 일단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일측에 걸림으로써 바디(10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걸리는 프런트 락 부재(410)의 단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디(100)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삽입시에 초기 접촉되는 일단의 접촉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런트 락 부재(410)는 상기 일단이 바디(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일단의 대향 측의 타단은 커넥터 락 부재(420)와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프런트 락 부재(410)의 회전 중심에는 프런트 락 부재(410)를 복귀시키는 별도의 복귀스프링(600)이 구비되는데, 복귀스프링(600)은 일단이 상기 바디(100)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프런트 락 부재(410)의 일측과 접촉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락 부재(420)는 해지버튼(520)과 프런트 락 부재(410)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바디(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커넥터 락 부재(420)의 일단은 프런트 락 부재(410)의 타단과 접촉되어 있고, 커넥터 락 부재(420)의 타단은 해지버튼(520)에 구비된 연동부재(530)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락 부재(420)도 프런트 락 부재(420)와 마찬가지로 그 회전의 중심에는 커넥터 락 부재(420)를 복귀시키는 별도의 복귀스프링(6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복귀스프링(600)은 일단이 상기 바디(100)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커넥터 락 부재(420)의 일측과 접촉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해지버튼부(500)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벽면(511)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부재(510)와, 가이드벽면(5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510)의 내부 설치되는 해지버튼(520)과, 해지버튼(52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커넥터 락 부재(420)의 일측과 접촉되어 커넥터 락 부재(420)를 회전 구동시키며 일측에 상기 가이드벽면(511)과 접촉되어 해지버튼(5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연동돌기(531)가 돌출 형성된 연동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10)는 그립부(110)의 노출공(111)에 설치되어 해지버튼(5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일측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형성된 가이드벽면(51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노출공(1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부재(510)의 외면은 작업자가 엄지손가락으로 해지버튼(520)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지버튼(520)은 가이드부재(510)에 형성된 가이드벽면(5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부재로서, 일측면에는 커넥터 락 부재(420)의 일측과 접촉되는 연동부재(530)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부재(5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연동부재(530)는 가이드부재(5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해지버튼(520)에서 커넥터 락 부재(420)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서, 해지버튼(520)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커넥터 락 부재(420)가 회전 구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동부재(53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부재(510)에 형성된 가이드벽면(511)과 접촉되어 해지버튼(520) 및 연동부재(5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동돌기(5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지버튼(520)의 저부면에는 해지버튼(520)의 신속한 복귀를 위하여 해지버튼(520) 측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별도의 탄성스프링(540)이 해지버튼(520)을 탄성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급속충전 플러그의 그립부(110)를 손가락으로 움켜 잡고, 급속충전 플러그의 단부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삽입하면, 바디(100)의 외부로 그 단부가 노출된 프런트 락 부재(410)의 단부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일측에 걸리게 되어 급속충전 플러그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300)를 그립부(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바디(100)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커넥터(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맞물리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그립부(110)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바디(100)가 그립부(110)의 내부로 일정 간격 인입된 상태가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 후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레버(300)를 그립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면 전기커넥터(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전기커넥터(200)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립부(110)의 일측에 구비된 해지버튼(520)를 누르면 해지버튼(520)과 고정된 연동부재(5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커넥터 락 부재(420)의 일단부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커넥터 락 부재(4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타단부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커넥터 락 부재(420)의 타단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측에 접촉되어 있던 프런트 락 부재(410)의 일단을 밀어 올리게 되어 프런트 락 부재(41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걸려있던 프런트 락 부재(410)의 단부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로부터 이탈되어 도 5b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때, 그립부(11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바디(100)가 그립부(110)의 외부로 일정 간격 인출된 상태가 된다.
프런트 락 부재(410)의 단부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로부터 이탈되면 작업자는 잡고 있던 그립부(110)를 당겨서 바디(10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로부터 이탈되게 함으로써 충전 작업은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바디 110 : 그립부
111 : 노출공 200 : 전기커넥터
300 : 레버 400 : 걸림부
410 : 프런트 락 부재 420 : 커넥터 락 부재
500 : 해지버튼부 510 : 가이드부재
511 : 가이드벽면 520 : 해지버튼
530 : 연동부재 531 : 가이드돌기
540 : 탄성스프링 600 : 복귀스프링

Claims (8)

  1.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후방에 노출공(111)이 관통 형성된 그립부(110)가 결합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로부터 상기 바디(100)의 내부를 향해 후진 이동하여 복귀하는 전기커넥터(200)와;
    상기 전기커넥터(200)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300)와;
    일단이 상기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100)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일단이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100)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부(400)와;
    상기 걸림부(400)의 일단을 상기 충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111)에 구비되는 해지버튼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3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110)는 상기 바디(100)를 향하여 일정 간격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300)의 회동 운동과 연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110)는 상기 바디(100)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00)는 일단이 상기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디(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상기 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런트 락 부재(410)와, 일단이 상기 프런트 락 부재(410)의 타단과 접촉되어 상기 프런트 락 부재(410)의 일단이 상기 바디(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상기 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 락 부재(4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락 부재(410)와 커넥터 락 부재(420)를 복귀시키는 별도의 복귀스프링(6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600)은 상기 프런트 락 부재(410)와 상기 커넥터 락 부재(420)의 회동 중심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디(100)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프런트 락 부재(410)나 혹은 상기 커넥터 락 부재(420)의 일측과 접촉되는 비틀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지버튼부(500)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벽면(51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510)와, 상기 가이드벽면(5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5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해지버튼(520)과, 상기 해지버튼(52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커넥터 락 부재(420)와 접촉되어 상기 커넥터 락 부재(420)를 회전 구동시키는 연동돌기(531)가 돌출 형성된 연동부재(5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지버튼(520)의 저부면에는 상기 해지버튼(520)을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5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8. 삭제
KR1020130018078A 2013-02-20 2013-02-20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KR10141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78A KR101413431B1 (ko) 2013-02-20 2013-02-20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78A KR101413431B1 (ko) 2013-02-20 2013-02-20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431B1 true KR101413431B1 (ko) 2014-07-01

Family

ID=5174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078A KR101413431B1 (ko) 2013-02-20 2013-02-20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4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9676A (zh) * 2018-01-08 2018-06-01 严华松 一种新能源移动充电枪及其充电控制方法
CN108963626A (zh) * 2018-07-17 2018-12-07 北京突破电气有限公司 一种自锁插头
CN110182078A (zh) * 2019-06-18 2019-08-30 环球车享汽车租赁有限公司 用于汽车自动充电的自动抓枪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6780A (ja) * 1992-12-18 1994-08-23 Yazaki Corp 給電コネクタ
JPH0785926A (ja) * 1993-09-20 1995-03-31 Yazaki Corp 給電コネクタ
JPH0878095A (ja) * 1994-09-08 1996-03-22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アース接続方法およびアース接続構造
KR101182658B1 (ko) 2011-04-13 2012-09-2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차량용 충전커넥터의 도난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6780A (ja) * 1992-12-18 1994-08-23 Yazaki Corp 給電コネクタ
JPH0785926A (ja) * 1993-09-20 1995-03-31 Yazaki Corp 給電コネクタ
JPH0878095A (ja) * 1994-09-08 1996-03-22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アース接続方法およびアース接続構造
KR101182658B1 (ko) 2011-04-13 2012-09-2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차량용 충전커넥터의 도난 방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9676A (zh) * 2018-01-08 2018-06-01 严华松 一种新能源移动充电枪及其充电控制方法
CN108963626A (zh) * 2018-07-17 2018-12-07 北京突破电气有限公司 一种自锁插头
CN108963626B (zh) * 2018-07-17 2024-02-09 北京突破电气有限公司 一种自锁插头
CN110182078A (zh) * 2019-06-18 2019-08-30 环球车享汽车租赁有限公司 用于汽车自动充电的自动抓枪设备及方法
CN110182078B (zh) * 2019-06-18 2024-04-16 环球车享汽车租赁有限公司 用于汽车自动充电的自动抓枪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431B1 (ko)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플러그
JP449244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21673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JP2011187322A (ja) 充電用コネクタ
US7970440B2 (en) Mobile phone holder for mechanical vehicles
JP6092662B2 (ja) 充電コネクタ
JP5272901B2 (ja) コネクタ
JP2012128972A (ja) 給電用コネクター装置
JP2013187094A (ja) 電動車両の充電ポート装置
WO2012077474A1 (ja) リールリード
JP6008308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
KR101585766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JP6234861B2 (ja) 電動工具用トリガスイッチ
WO2014003345A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831481B1 (ko) 연계 조작 기구
KR101595332B1 (ko)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KR101876343B1 (ko)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CN108652520B (zh) 吸尘器的尘杯锁合结构以及吸尘器
US8784154B2 (en) Toy figure with reciprocally movable limb
JPH06310202A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チャージ用コネクタの嵌合装置
JP2009184581A (ja) パネル着脱機構
KR101502525B1 (ko) 리벳 제거장치
KR200395068Y1 (ko) 자전거의 브레이크용 고정장치
CN218483252U (zh) 动力工具手柄结构以及动力工具
JPH0733724Y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