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598B1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598B1
KR101412598B1 KR1020130125073A KR20130125073A KR101412598B1 KR 101412598 B1 KR101412598 B1 KR 101412598B1 KR 1020130125073 A KR1020130125073 A KR 1020130125073A KR 20130125073 A KR20130125073 A KR 20130125073A KR 101412598 B1 KR101412598 B1 KR 10141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ilter
filter unit
ballast wat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아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닉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598B1/ko
Priority to PCT/KR2014/0098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606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안내하는 취수 파이프 및 이 취수 파이프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해수에 포함된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장치를 구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취수 파이프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공급하는 요소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외면에는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게 복수의 입수구가 형성된 유도커버와; 상기 유도커버의 내부에 삽입 수용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입수구를 통과한 해수에 섞여 있는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걸러내어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필터유닛과; 상기 유도커버의 내측으로 필터유닛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해수의 유입에 회전력을 얻도록 나선형의 수류유도슬롯이 형성된 로터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취수시 해양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비롯한 진흙이나 플랑크톤 및 일정 크기의 생물체와 오염원을 여과시킬 수 있으며, 특히 취수시 유입압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구동원 없이도 자동으로 필터에 고착되는 해양생물을 비롯한 각종 고형의 이물질과 오염원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기존의 스크린 필터에 비해 유지관리의 편의성과 안정된 여과성능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복잡한 세정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고 아울러 기존 선박에 대한 설치의 자유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평형수 처리장치{Appratus for sterilization of ballast water}
본 발명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선박 내부로 유입하는 평형수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취수량을 유지되게 하면서 해양생물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하여 적재할 수 있는 총 중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내리는 하역에 따라 선박의 하부 및 양측면에 마련된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넣거나 배출함으로써 선박의 좌·우 평형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박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선박평형수라 한다.
이러한 선박평형수(ballast water)의 주입은 대부분 화물이나 여객이 타고 내리는 항만이나 부근 해역에서 이뤄지게 되는데, 국제교역량의 증가함에 따라 선박평형수를 주입한 장소에서 서식하던 다양한 종류의 해양생물을 비롯한 미생물과 오염원이 선박의 운항에 따라 장거리를 이동한 후 다른 지역 또는 제3국에서 선박평형수와 함께 배출되어 결과적으로 배출 지역에서 살아남은 해양생물이 해당 해역의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또는 오염원이 확산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실제 선박평형수의 이동에 따른 생태교란의 사례로는, 유럽종인 얼룩무늬 담치가 미국에서 집단 번식하여 토착 생태계에 혼란을 야기하였고,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유해한 수중 유기물질이 호주의 진주양신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였으며, 브라질의 항만과 연안 해역에 서식하지 않았던 수중 미생물이 출현하여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피해 사례 외에도 국내에서도 지중해가 원산지인 소형갑각류인 몬스트릴라가 경북 영덕 강구항에서 발견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국가들은 자국의 입법을 통하여 항만 내에서는 선박평형수의 교환을 제한하거나 입항 전 수심이 깊은 곳에서 미리 교환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2004년 2월 선박평형수와 침전물 관리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을 채택해 배출되는 선박평형수의 수질 기준을 마련하였고, 2011년부터 협약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2016년 말까지는 전 세계를 운항중인 6만 8천여척의 선박은 선박평형수 설비를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강제하였다.
또한 세계 외항선대의 약 65%가 기항하는 미국은 자국의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 이미 합의된 국제기준보다 1000배나 강화된 평형수 처리 기술을 요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입항하는 선박을 통제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
한편, 선박 평형수 처리기술은 크게 선박 평형수의 유입 및 배출시점에 처리하는 관로(in-line) 처리방법과, 선박 평형수가 유입된 이후 항해 중에 처리하는 탱크(in-tank) 처리 방법으로 대별되며, 현재 국제적인 선박 평형수 처리기술들은 처리장치의 소형화와 운영효율 등을 고려하여 관로 처리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035호 ′새로운 여과방식에 의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가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평형수 내 해양미생물을 분리·제거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상기 선박 밸러스트 탱크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내 해양미생물을 여과하는 유입부 여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 여과장치는 원통형 여과 틀 및 상기 원통형 여과 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여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여과층은 눈금 1mm 이하의 복수의 망체(mesh)로 이루어진 제1 여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새로운 여과방식에 의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단순히 망체로 여과층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망체에 의한 여과처리 방식은 망체를 이루는 눈금에 해양생물을 비롯한 각종 부피를 갖는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막히게 되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다에서 유입하는 해수는 고형물, 진흙, 플랑크톤 등을 비롯하여 일정 크기의 생물체와 극미세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수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망체와 같은 필터 방식을 채택한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는 필터의 막힘 현상으로 인해 주기적으로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해야하므로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에 고착되어 막힘을 유발하는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해 구동원을 이용하여 필터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세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관리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실효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035호, '새로운 여과방식에 의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2쪽 청구항 1, 도면 2. 등록특허공보 제10-1070948호, '해수 전기분해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2쪽, 청구항 3, 도면 1. 등록특허공보 제10-1204879호, ′선박평형수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살균방법′, 3쪽 청구항 1, 도면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 금속 필터를 사용하여 선박 평형수의 취수시 고형물, 진흙, 플랑크톤 등을 비롯한 일정 크기의 생물체와 이물질 등의 오염원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필터에 고착되는 해양생물을 비롯한 각종 고형의 오염원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구조의 세정설비 없이도 간소한 구조에 의해 효율성 높은 여과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필터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따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안내하는 취수 파이프 및 이 취수 파이프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해수에 포함된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장치를 구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취수 파이프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공급하는 요소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외면에는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게 복수의 입수구가 형성된 유도커버와; 상기 유도커버의 내부에 삽입 수용될 수 있게 원통 또는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입수구를 통과한 해수에 섞여 있는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걸러내는 필터유닛과; 상기 유도커버의 내측으로 필터유닛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해수의 유입에 회전력을 얻도록 나선형의 수류유도슬롯이 형성된 로터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유도커버는 개방된 상부면의 테두리 부분이 확장되어 상기 취수 파이프의 플랜지부와 맞닿아 관이음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유입되는 해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베인이 구비되며, 이들 베인 사이에 입수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필터유닛과 로터 브러쉬를 받치기 위한 바닥부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필터유닛은, 원통 또는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입수구를 통과한 해수를 걸러내는 것으로 메쉬망 구조의 금속재로 된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마이크로필터의 내부에 삽입 수용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필터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통수 구멍을 갖는 필터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로터 브러쉬는 고리 형상을 갖는 상부링과;
상기 상부링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감소된 크기로 구비되며 중심에 보스홀이 형성된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 사이를 나선 형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유닛의 외면에 접촉하여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을 긁어내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이들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수류유도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필터유닛은 그 상부면 테두리가 확장되어 상기 유도커버의 확장된 상부 테두리 부분에 나사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고 하부에는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터브러쉬는 하부에 상기 보스가 삽입 통과하는 보스홀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유닛에 대하여 자유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필터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요소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바디부 및 이 바디부의 하면 중심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로터 브러쉬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보스홀에 삽입되는 보스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로터 브러쉬는 일측이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취수시 해양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비롯한 진흙이나 플랑크톤 및 일정 크기의 생물체와 오염원을 여과시킬 수 있으며, 특히 취수시 유입압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구동원 없이도 자동으로 필터에 고착되는 해양생물을 비롯한 각종 고형의 이물질과 오염원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기존의 스크린 필터에 비해 유지관리의 편의성과 안정된 여과성능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복잡한 세정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고 아울러 기존 선박에 대한 설치의 자유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일실시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서 필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장치의 필터유닛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필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필터장치를 구성하는 필터유닛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1)는,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7)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안내하는 관로요소인 취수 파이프(3) 및 이 취수 파이프(3)의 유입구(미부호)측에 설치되어 해수에 포함된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장치(10)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0)는 크게 유도커버(11)와, 필터유닛(13)과, 로터 브러쉬(15)로 구성되며, 해수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포함되어 있는 해양생물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이들 해양생물과 각종 오염물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가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유도커버(11)는 상기 취수 파이프(3)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공급하는 일종의 흡입요소로서, 전체적으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태를 취하며, 외면에는 해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입수구(1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도커버(11)는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상기 개방된 상부면의 테두리 부분이 확장되어 상기 취수 파이프(3)의 플랜지부와 맞닿아 관 이음되는 플랜지(11b)가 형성되고, 유입되는 해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베인(11v)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인과 베인 사이의 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a)가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후술할 필터유닛(13)과 로터 브러쉬(15)를 구조적으로 받치기 위한 바닥부(11c)가 형성된다.
필터유닛(13)은 상기 유도커버(11)의 입수구(11a)를 통과한 해수에 섞여 있는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걸러내고, 걸러낸 해수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여과요소로, 상기 유도커버(11)의 내부에 삽입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필터유닛(13)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원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필터유닛(13)은 상기 입수구(11a)를 통과한 해수를 걸러내는 것으로 메쉬망 구조의 금속재로 된 마이크로필터(13b)와, 상기 마이크로필터(13b)의 내부에 삽입 수용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필터(13b)를 내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유도커버(11)에 결합 고정되는 필터하우징(13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필터(13b)는 상기 필터하우징(13a)에 대하여 여과시킬 수 있는 구멍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작아야 한다. 즉, 상기 필터하우징(13a)은 상기 마이크로필터(13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통수용 구멍을 갖는다.
한편, 상기 필터유닛(13)을 구성하는 필터하우징(13a)은 그 상부면 테두리가 확장되어 상기 유도커버(11)의 확장된 상부 테두리 부분인 플랜지(11b)에 나사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로는 보스(17b)가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보스(17b)는 상기 필터유닛(13)을 구성하는 요소에 일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제작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제작되어 구비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즉, 상기 필터유닛(13)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하는 요소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바디부(17a) 및 이 바디부(17a)의 하면 중심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로터 브러쉬(15)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보스홀(15h)에 삽입되는 보스(17b)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7)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터 브러쉬(15)는 상기 유도커버(11)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그 내면이 상기 필터유닛(13)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요소로서, 해수의 유입시 유입압력에 의해 회전력이 생성되는 특징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나선형의 수류유도슬롯(15d)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로터 브러쉬(15)는 고리 형상을 갖는 상부링(15a)과, 상기 상부링(15a)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감소된 크기로 구비되며 중심에 보스홀(15h)이 관통 형성된 하부링(15c)과, 상기 상부링(15a)과 하부링(15c)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나선형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필터유닛(13)을 구성하는 마이크로필터(13b)의 외면에 접촉하여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을 긁어내는 복수의 블레이드(15b)로 구성되며, 이들 블레이드(15b) 사이에 수류유도슬롯(15d)이 위치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로터 브러쉬(15)는 하부에 상기 보스(17b)가 삽입 통과하는 보스홀(15h)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유닛(13)에 대하여 자유 회전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로터 브러쉬(15)는 수류유도슬롯(15d)을 통과하는 해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을 제안하였으나, 평형수의 유입량을 늘리거나 또는 세척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대안적으로 상기 로터 브러쉬(15)에 구동원을 연결하여 강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0)는 상기 취수 파이프(3)의 일측에 구비된 펌프(5)가 구동을 하는 것에 의해 해수를 흡입하게 되고, 이때 상기 취수 파이프(3)의 유입구측에 설치된 필터장치(10)가 해수에 포함된 해양생물을 비롯한 고형의 오염물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즉, 본 발명의 필터장치(10)는 해수가 유도커버(11)의 입수구(11a)를 경유하여 그 내측에 구비된 필터유닛(13)을 통과한 뒤 취수 파이프(3)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필터유닛(13)을 구성하는 마이크로필터(13b)는 메쉬망 구조를 갖는 일종의 거름망으로 메쉬의 크기보다 큰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펌프(5)의 흡입압에 의해 마이크로필터(13b)에 흡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필터(13b)의 외면에 구비된 로터 브러쉬(15)는 나선형으로 배치된 블레이드(15b)에 의해 해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일 방향 회전을 이룬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5b)는 그 내측면이 상기 마이크로필터(13b)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필터(13b)의 외면에 흡착된 상태의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을 긁어낸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5b)는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형태로 구비되면서 하향 진행하면서 블레이드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필터(13b)의 외면에 흡착된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을 도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아래 방향으로 긁어내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3 : 취수 파이프 5 : 펌프 7 : 밸러스트 탱크
10 : 필터장치
11 : 유도커버 11a : 입수구 11b : 플랜지
13 : 필터유닛 13a : 필터하우징 13b : 마이크로필터
15 : 로터 브러쉬 15a : 상부링 15b : 블레이드
15c : 하부링 15d : 수류유도슬롯 15h : 보스홀

Claims (14)

  1.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안내하는 취수 파이프 및 이 취수 파이프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해수에 포함된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장치를 구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취수 파이프에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 공급하는 요소로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게 복수의 입수구가 형성된 유도커버와;
    상기 유도커버의 내부에 삽입 수용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입수구를 통과한 해수에 섞여 있는 해양생물과 오염물을 걸러내어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필터유닛과;
    상기 유도커버의 내측으로 필터유닛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해수의 유입에 회전력을 얻도록 나선형의 수류유도슬롯이 형성된 로터 브러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커버는 개방된 상부면의 테두리 부분이 확장되어 상기 취수 파이프의 플랜지부와 맞닿아 관이음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유입되는 해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베인이 구비되며, 이들 베인 사이에 입수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필터유닛과 로터 브러쉬를 받치기 위한 바닥부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게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입수구를 통과한 해수를 걸러내는 것으로 메쉬망 구조의 금속재로 된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마이크로필터의 내부에 삽입 수용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필터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통수 구멍을 갖는 필터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브러쉬는,
    고리 형상을 갖는 상부링과;
    상기 상부링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감소된 크기로 구비되며 중심에 보스홀이 형성된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 사이를 나선 형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유닛의 외면에 접촉하여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을 긁어내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이들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수류유도슬롯;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게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유닛은 그 상부면 테두리가 확장되어 상기 유도커버의 확장된 상부 테두리 부분에 나사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고 하부에는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터 브러쉬는 하부에 상기 보스가 삽입 통과하는 보스홀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유닛에 대하여 자유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요소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바디부 및 이 바디부의 하면 중심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로터 브러쉬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보스홀에 삽입되는 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브러쉬는 일측이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25073A 2013-08-20 2013-10-21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41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9881 WO2015060617A1 (ko) 2013-10-21 2014-10-21 전기분해 자동세척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424 2013-08-20
KR20130098424 2013-08-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225A Division KR101445250B1 (ko) 2013-10-21 2014-03-21 전기분해 자동세척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20140033226A Division KR101495726B1 (ko) 2014-03-21 2014-03-21 자외선 살균램프 자동세척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598B1 true KR101412598B1 (ko) 2014-07-01

Family

ID=5174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073A KR101412598B1 (ko) 2013-08-20 2013-10-21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5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56A (ko) * 2014-08-27 2016-03-08 김태규 취수구 설치형 자동 스크래퍼 타입의 피처리수 여과장치
CN107456795A (zh) * 2017-09-19 2017-12-12 广州市豫泉净水材料有限公司 一种化工废水处理的装置及方法
CN109100180A (zh) * 2018-09-26 2018-12-28 大连君方科技有限公司 一种采样器及方法
CN114380372A (zh) * 2022-01-14 2022-04-22 广东智子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鱼塘消毒粉液自动投送车
CN114965919A (zh) * 2022-04-24 2022-08-30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城市水环境综合治理智慧管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54B1 (ko) 2005-10-26 2008-01-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122294B1 (ko) 2008-11-21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의 여과 및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54B1 (ko) 2005-10-26 2008-01-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122294B1 (ko) 2008-11-21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의 여과 및 살균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56A (ko) * 2014-08-27 2016-03-08 김태규 취수구 설치형 자동 스크래퍼 타입의 피처리수 여과장치
KR102337552B1 (ko) * 2014-08-27 2021-12-09 김태규 취수구 설치형 자동 스크래퍼 타입의 피처리수 여과장치
CN107456795A (zh) * 2017-09-19 2017-12-12 广州市豫泉净水材料有限公司 一种化工废水处理的装置及方法
CN109100180A (zh) * 2018-09-26 2018-12-28 大连君方科技有限公司 一种采样器及方法
CN114380372A (zh) * 2022-01-14 2022-04-22 广东智子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鱼塘消毒粉液自动投送车
CN114965919A (zh) * 2022-04-24 2022-08-30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城市水环境综合治理智慧管控系统
CN114965919B (zh) * 2022-04-24 2024-02-09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城市水环境综合治理智慧管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598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010350B1 (ko) 역세척 여과장치
KR101445250B1 (ko) 전기분해 자동세척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EP2325081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WO2014060473A1 (en) Ballast water filtration
KR20120131158A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US10240312B2 (en)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WO2006004586A2 (en) Self cleaning gas filtering system and method
KR101189747B1 (ko) 수조식 양식장용 급배수 정화 시스템
KR101644866B1 (ko) 스크래퍼 타입의 피처리수 여과장치
JP2015524744A (ja) 同時逆洗浄を自動制御するマルチケージ型バラスト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982878B2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および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JP2013173093A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
JP2005088835A (ja) 船舶
KR20120012594A (ko)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기
KR101060008B1 (ko) 선박평형수 공급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JP2007245034A (ja) 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膜処理方法及び膜処理装置
WO2016031388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20140105150A (ko) 다목적 해양오염 방제선
KR101627716B1 (ko) 스크류 타입의 피처리수 여과장치
CN209475727U (zh) 一种具有折褶型滤网的卧式压载水过滤装置
JP2013126622A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1454103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용 필터
KR102373948B1 (ko) 선박 수처리용 이중필터
KR20150129422A (ko) 저장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