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501B1 - 영장류의 보정기 - Google Patents

영장류의 보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501B1
KR101412501B1 KR1020127028989A KR20127028989A KR101412501B1 KR 101412501 B1 KR101412501 B1 KR 101412501B1 KR 1020127028989 A KR1020127028989 A KR 1020127028989A KR 20127028989 A KR20127028989 A KR 20127028989A KR 101412501 B1 KR101412501 B1 KR 10141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onkey
door
receive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992A (ko
Inventor
료이치 나가타
마사토시 카시마
히로아키 마고타니
Original Assignee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0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Grates (AREA)
  • Handcart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보정기 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격벽에 의하여 영장류를 구속할 때, 그 사지의 이어진 부분의 손상의 원인이 되는 격벽의 격자의 종봉과의 마찰을 경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손상을 저감 내지는 해소한다. 양 측면과 윗면과 저면을 가지는 수용체(20)와, 수용체(20)의 배면 측을 개폐가능한 배면 문짝(50)과, 수용체(20)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수용체(20)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된 격벽(30)을 가지는 영장류의 보정기(10)에 있어서, 격벽(30)의 종봉부재(31) 중, 영장류의 사지를 정면방향으로 돌출시켜서 보정 할 때에, 그 사지의 이어진 부분이 접하는 곳에 보호통(33)이 그 종봉부재(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외삽되어 있다.

Description

영장류의 보정기 {PRIMATE RESTRAINT DEVICE}
본 발명은, 영장류를 실험동물로써 이용하여 실험할 때, 그것을 실험하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보정기(保定器)의 개량에 관한다.
사람의 진찰, 또는 질병의 치료 등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품의 개발에 있어서는, 그 약제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사전에 조사하기 위하여 그 약제를 동물에 투여해서 그 효과를 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를 위한 실험동물로써는 생쥐, 곰쥐(rat), 개, 토끼, 원숭이 그 외에 많은 동물이 이용된다. 그러나 더욱 적확하게 인간에 투여하기 위한 약제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영장류(이하, 「원숭이」라고 함)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알맞다.
그러나, 원숭이에 약제를 경구투여, 경비위내(經鼻胃內)투여, 또는 정맥주사, 또는 원숭이로부터 채혈을 하거나 동공(瞳孔)의 상태 등을 진찰하고, 필요에 따라서 원숭이의 머리 부분을 누르거나 하기 위해서는 원숭이가 자유롭게 이리저리 돌아다니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보정기로써,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과 같은 보정기가 제안되어있다.
이와 같은 보정기는 원숭이의 사육용 홈 케이지(home cage)에서 원숭이를 그 안으로 이동시켜, 그 상태로 상기의 각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보정기는 보통, 배면 측에 개폐가 자유자재인 셔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같은 배면의 홈 케이지 정면에 보정기를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갈고리(hook)도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보정기는 통상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즉, 홈 케이지 정면의 개폐가 자유자재인 문짝과 상기 셔터를 일치시키도록 하여, 보정기를 상기 갈고리에 고정한다. 그리고 홈 케이지의 문짝과 셔터를 동시에 개방하여 원숭이를 보정기에 몰아넣고, 그 사이에 셔터를 폐쇄하여, 원숭이의 보정기로의 이동을 완료한다.
이 보정기에 원숭이를 이동시킨 후에는, 조작핸들이 접속된 격벽을 안쪽으로 밀어넣고, 원숭이를 배면 측으로 몰아넣어 그 움직임을 구속한 상태에서 목적의 처치를 행하는 것이다. 또, 그 처치의 목적에 따라서는 원숭이의 사지(四肢)를 격벽의 격자 사이에서 정면으로 꺼내어, 이것을 조작핸들 등에 끈 등으로 결속시켜 그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1 : 특공평8-24506호 공보 특허문헌2 : WO 2011/016546 A1 특허문헌3 : WO 2011/016547 A1
상기와 같이, 보정기 내의 원숭이의 사지를 격벽의 격자 사이로부터 정면 측으로 꺼내어 이를 조작핸들 등에 끈 등으로 결속하여 그 움직임을 구속하려는 경우, 사지의 이어진 부분, 즉 겨드랑이 밑 또는 서혜부(鼠蹊部)가 격벽의 격자를 구성하는 종봉(縱棒)과 강하게 접촉해서, 때로는 이런 부위가 스쳐 피부의 발적(發赤)을 초래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한 부위의 피부가 썩어 문드러지거나 박리되는 여러가지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손상은 원숭이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실험의 정밀도에도 악영향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보정기로 구속했을 때, 이와 같은 원숭이의 사지의 이어진 부분의 손상의 원인이 되는 격벽의 격자 종봉과의 마찰을 경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손상을 저감 내지는 해소하는 것을 제1의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의 과제에 더하여, 원숭이의 사지를 결속할 때의 사지 선단(先端)의 손상을 저감 내지는 해소하는 것을 제2의 과제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과제에 더하여, 원숭이를 홈 케이지로부터 보정기 내에 이동시킨 후에, 배면측의 셔터를 폐쇄하여 잠글 때에, 이 잠금기구에 의하여 원숭이의 털이나 사지가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 내지는 해소하는 것을 제3의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의 과제에 더하여, 보정기를 성체(成體) 원숭이 중에서도 신체의 크기가 다른 수컷원숭이 및 암컷 원숭이에게도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4의 과제로 한다.
(1) 제1의 발명
상기의 제1의 과제를 해결을 위하여, 본원 중 제1의 발명은 양측면과 윗면(頂面)과 저면(底面)을 가지는 수용체(收容體)와,
상기 수용체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체의 배면측을 개폐가능한 배면문짝과,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정면측에서 막으면서,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로 고정가능하게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서 정면 측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상변부 및 하변부와, 이 상변부 및 하변부의 각 선단을 연결하는 수직부로 구성된 1쌍의 조작핸들과,
상기 격벽에서 정면 측으로 상기 상변부와 하변부와의 사이에서 평행하게 이어짐과 동시에, 선단이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는 1쌍의 래치(latch)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정면 양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래치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위한 잠금장치,
를 가지는 영장류의 보정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상기 배면 문짝 및 상기 수용체의 양 측면, 윗면 및 저면은 종봉부재와 횡봉(橫棒)부재가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져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격벽의 종봉부재 중, 영장류의 사지를 정면방향으로 돌출시켜 보정(保定)할 때, 그 사지의 이어진 부분이 접하는 곳에 보호통이 그 종봉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외삽(外揷)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이 말하는 「정면(正面)」은, 작업자가 보정기를 상대했을 때의 바로 앞 측면을 말한다. 그리고 「배면(背面)」은, 정면과의 반대방향, 즉 작업자가 보정기를 상대했을 때의 안쪽 면을 말한다.
그리고 「수용체(收容體)」는, 양 측면과 윗면과 저면이라는 각 벽면을 가지고 있다. 바꿔 말하면, 기본적인 형태로써, 정면 및 배면을 개방한 대략 상자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수용체로써는, 정면 또는 배면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배면 측은, 적어도 원숭이의 출입구로써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개방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 정면 측은, 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써는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용체의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 등을 정면 측 또는 배면 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정면 측 또는 배면 측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지 않은 모양으로 해도 좋다.
그런데 이 수용체의 각 벽면은 각각, 종봉부재와 횡봉부재가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지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격자형태」는 종봉부재와 횡봉부재가 서로 직행(直行)하도록 고정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것이면 좋고, 각 봉 형태의 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 같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격자형태가 아니라도 좋다. 즉, 종봉부재 또는 횡봉부재가 일부에 있어서 파단(破斷)된 것과 같은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윗면 및 저면에 있어서 「종(縱)」방향과는 전후 방향으로 하고 「횡(橫)」방향과는 좌우방향으로 한다.
또, 「배면문짝」은, 상기 수용체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접동하는것에 의하여 상기 수용체의 배면측을 개폐가능하게 한 것이다. 즉, 이 배면문짝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수용체의 배면 측으로부터 원숭이를 수용가능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폐색(閉塞)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한 원숭이를 수용체의 내부에 가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격벽」은,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정면 측으로부터 막으면서,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1쌍의 조작핸들에 의해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격벽은, 상기 수용체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이 격벽을 수용체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시켜 수용한 원숭이의 가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원숭이를 수용한 후에 격벽을 배면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용체의 원숭이의 수용공간이 좁혀지게 되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 격벽은 상기 수용체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격벽의 고정은, 적어도 원숭이의 수용공간을 넓게 하는 방향으로의 격벽의 이동을 저해(阻害)하는 것이면 좋고, 원숭이의 수용공간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의 격벽의 이동은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또, 격벽의 고정은,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1쌍의 래치부재 및 그것들에 각각 대응하는 잠금장치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본 제1의 발명에서는, 격벽의 종봉부재 중, 보정 할 때의 원숭이의 사지의 이어지는 부분에 보호통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보호통이라는 것은, 종봉부재의 해당하는 장소에 회전자재하게 외삽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종봉부재의 해당 장소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접하는 곳으로의 압력을 작게하는것이 가능하다. 또, 이 보호통은 회전이 자유자재이기 때문에 접하는 곳이 움직였을 경우에 그에 따라서 회전하는 것으로 마찰이 저감 되도록 되어있다.
(2) 제2의 발명
상기 제2의 과제 해결을 위해, 본원 중 제2의 발명은 상기 제1의 발명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래치부재의 하변 측에는 톱니형태의 잠금용 홈이 복수 형성되어,
상기 장금 장치에는 상기 잠금용 홈과 계합(係合)하는 계합키가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용 홈 중의 임의의 하나가 상기 잠금장치의 맞춤키와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격벽이 상기 수용체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래치부재로 구속한 원숭이의 손발을 결속할 때에, 잠금용 홈이 아래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속된 손발의 손상을 저감 내지는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3) 제3의 발명
상기 제3의 과제 해결을 위해, 본원 중 제3의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발명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배면 문짝의 잠금 부분을 상기 윗면 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원숭이를 수용체 내에 이동시킨 후에 배면 문짝을 폐쇄하고, 이것을 잠그는 부분이 윗면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잠그는 사이에 저면에 접촉해 있는 털이나 손발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 내지는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4) 제4의 발명
상기 제4의 과제 해결을 위해, 본원 중 제4의 발명은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의 발명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수용체의 양 측면에 종봉부재간의 간격을 변경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측면셔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험자가 실험의 필요상 수용체 내에 측면으로부터 손을 넣어 격자부분의 폭을, 수용한 원숭이의 사이즈에 따라서 이 측면 셔터(70)의 개폐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큰 격자부분의 폭에서, 조금 작은듯한 사이즈의 원숭이, 예를 들면 암컷 원숭이가 탈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에 기재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제1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보정기에서 구속할 때, 원숭이의 사지의 이어지는 부분의 손상의 원인이 되는 격벽의 격자의 종봉과의 마찰을 경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손상을 저감 내지는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2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원숭이의 사지를 결속할 때, 사지 선단의 손상을 저감 내지는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상기 제3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원숭이를 홈 케이지로부터 보정기 내에 이동시킨 후에 배면 측의 셔터를 폐쇄하여 잠글 때, 그 잠금 기구에 의하여 원숭이의 털이나 사지를 손상할 가능성을 저감 내지는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4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보정기를 성체 원숭이 중에서도 신체의 크기가 다른 수컷 원숭이 및 암컷 원숭이에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1의 실시 형태에 관련한 보정기의 정면도이다. 다만, 조작핸들 및 래치부재는 생략하였다.
도2는 도1에 있어서 격벽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보정기의 좌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보정기의 배면도이다. 단, 갈고리는 생략하였다.
도5는 도1의 보정기의 평면도이다. 단, 격벽, 조작핸들 및 래치부재는 생략하였다.
도6은 도1의 보정기에서 구속할 때 사용되는 결속 밴드(band)의 (A)표면 및 (B)뒷면이다.
도7은 도6의 결속밴드에 의하여 (A)결속 전의 상태, (B)결속의 일례(一例) 및 (C)결속의 별도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8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련한 보정기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격자를 구성하는 종횡의 봉 등을 생략하여 나타낸 중요부분의 측면도이다.
도9는 도8의 보정기의 뼈대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낸 간략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도8의 보정기의 문짝을 고정하는 잠금봉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약(略)식 측면도이다.
도11은 도8의 보정기의 윗 문짝을 반 열림하여 나타낸 입면도(立面圖)이다.
도12는 도8의 보정기의 격벽을 설명하기 위한 약(略)식 사시도 이다.
도13은 도8의 보정기의 격벽의 잠금키 장치의 약(略)식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 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1~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보정기10)
본 실시형태에 관련한 보정기(10)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체(20)와 배면문짝(50)과, 격벽(30)이 주요한 부재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 및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한 보정기(10)는 수용체(20)와 배면 문짝(50)과 격벽(30)에 의하여 상자형태의 케이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수용체20 및 배면문짝50)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체(20)는 둥근 봉(棒) 형태의 스테인리스 강재가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져서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양 측면과 윗면과 저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정면과 배면은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면 측에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하로 접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체(20)의 배면 측을 개폐가능한 배면 문짝(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면문짝(50)의 상단은 수용체(20)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고, 위쪽으로 끌어올리기 쉽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배면 문짝(50)은, 도3 및 도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수용체(20)의 배면 측을 폐색(閉塞)하고 있으나, 아래와 같이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수용체(20)의 배면 측을 개방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즉,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체(20)에는 배면 문짝(50)의 좌우의 지주와 평행하게 각각의 지주에 대응하는 봉 형태의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 문짝(50)의 하단부는 고리부(51)를 형성하고 있어, 이 고리부(51)의 구멍에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를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배면 문짝(50)을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에 따라서 위쪽으로 접동시키는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의 위쪽단은 역U자 형태로 만곡하여 만곡부(21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면문짝(50)을 위쪽으로 들어올린 결과, 이 만곡부(21a)에 배면 문짝(50)의 고리부(51)가 도달하면, 배면 문짝(50)의 위쪽 측을 바로 앞으로 잡아당겨 쓰러뜨리고, 수용체(20)의 윗면에 배면 문짝(50)을 겹쳐두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용체(20)의 배면 측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상태로 자유롭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배면 문짝(50)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배면 문짝 잠금장치(22)는 수용체(20)의 윗면의 후단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도5 참조).
또한, 이 보정기(10)는 원숭이를 사육하는 케이지의 정면의 격자의 횡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용체(20)의 배면의 상부와 하부와의 적당한 위치에 갈고리(2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갈고리(23)를 케이지의 정면의 격자의 횡봉에 거는 것에 의하여, 보정기(10)를 케이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케이지의 정면에는 원숭이의 출입구로써 문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정기(10)를 케이지에 고정한 상태에서 케이지의 문짝과 배면 문짝(50)을 개방하면 케이지의 내부와 보정기(10)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되어 케이지 내의 원숭이를 보정기(10)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도5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한 보정기(10)를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지만, 이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정기(10)의 안에 수용한 원숭이의 상부에서 접근하기 위하여 수용체(20)의 윗면에는 윗면문짝(60)이 설치되어있다. 이 윗면문짝(60)은 윗면문짝 잠금장치(26)로 잠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또, 이 윗면 문짝(60)의 격자의 전후방향의 간격은, 수용체(20)의 윗면의 격자의 전후방향의 간격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윗면문짝(60)의 격자의 사이로부터 원숭이에 점안약(占眼藥)투여등, 원숭이의 위쪽에서 접근하는 실험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체(20)의 양 측면에는 상하방향에 슬라이드 가능한 측면 셔터(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측면 셔터(70)는 역시 양 측면에 설치된 측면 셔터 잠금장치(27)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도3에 나타낸 상태는 측면 셔터(70)가 측면 셔터 잠금장치(27)에 의하여 폐쇄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이 측면 셔터(70)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면 조작 공간(28)의 격자의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는 암컷 원숭이와 같은 비교적 몸이 작은 원숭이를 피 실험체로써 이용하는 경우에, 이 측면조작 공간(28)으로부터 도망을 방지하기에 적절하다. 한편, 이 측면 셔터 잠금 장치(27)를 일단 해제하고 측면 셔터(70)를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켜, 그 사이에 측면 셔터의 잠금장치(27)를 원래대로 되돌리지 않고, 측면 셔터(70)가 위쪽으로 이동한 개방위치에서 고정시킨 것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의 폐쇄위치의 경우와 비교해 측면조작 공간(28)의 격자의 폭이 넓어진다. 이 상태는 수컷원숭이와 같은 비교적 몸이 커 측면조작 공간(28)의 격자로부터 도망의 우려가 없는 원숭이를 피 실험체로써 이용하는 경우에 적절하다.또, 이 측면조작 스페이스(28)는 여기에서 실험자가 손을 삽입하여 안의 원숭이에 정해진 조작을 하는 것에 이용되는 것으로, 안의 원숭이의 도망의 우려가 없는 한, 이 폭은 되도록 넓게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 실험체로써 사용되는 원숭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실험상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이 측면 셔터(70)를 개방상태로 고정하고, 그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폐쇄상태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수용체(20)의 양 측면에는 운반용 핸들(24)이 설치되어 보정기(10) 자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운반용 핸들(24)의 폭은, 실험에 필요한 기구를 걸어서 매달 때의 편의를 고려하여 종래제품보다도 크게 설계되어 있다.
더욱이는, 수용체(20)의 저면에는 보정기(10)를 지상에 안정되게 놓기 위한 다리부분(29)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30)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한 격벽(30)에 대하여 설명한다.
격벽(30)은, 수용체(2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수용체(20)내에 있어서 원숭이의 수용공간을 좁혀, 이것에 의하여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격벽(30)은 수용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안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벽(30)의 정면 측에는 그 이동조작용으로 제공되는 조작핸들(40)과, 이동한 격벽(30)을 수용체(20)의 내부에 임의의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래치부재(44)가 연결되어 있다(단,도1 및 도2에서는 조작핸들(40) 및 래치부재(44)는 생략되어있다.).
격벽(30)은, 수용체(20)의 내부를 정면 측으로부터 막아, 수용체(20) 내부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더욱이는 수용체(20)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수용체(20)의 내부는, 격벽(30)에 의해 전후로 나뉘게 된다. 또, 격벽(30)의 벽면은,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체(20)의 벽면과 같은 모양으로 종봉(縱棒)부재(31)와 횡봉(橫棒)부재(32)가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격벽(30)을 구성하는 종봉부재(31) 중, 폭 방향을 가로지르는 2개의 횡봉부재(32)의 상하로 위치하고 또, 중앙쪽에 위치해 있는 4개에는 이들 종봉부재(31)의 외경(外徑) 보다 큰 내경(內徑)의 파이프재가 외삽되어 있다. 이 파이프재를 보호통(33)이라고 부른다. 이 보호통(33)은 그 내부공간에 있는 종봉부재(31)에 대하여 충분한 틈을 가지고 외삽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종봉부재(31)에 대한 회전이 자유자재로 되어 있다. 또, 격벽(30)을 구성하는 횡봉부재(32)중 제일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중앙부분에서 분단되어 있다. 이 분단된 부분을 분단부(34)라고 부른다. 이 분단부(34)는 예를 들면 수컷 원숭이를 피 실험체로써 이용할 경우, 실험상 필요할 경우에는 그 고환을 저면으로부터 꺼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격벽(30)에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앞 측으로 이어지는 측면으로 보아 コ자형의 조작핸들(40)이, 정면으로 보아 좌우에 2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조작핸들(40)은 상하로 평행한 상변부(41) 및 하변부(42)와, 이것들의 선단을 연결하는 수직부(43)로, 측면으로 보아 コ자 형으로 나타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핸들(40)을 안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격벽(30)을 배면 측으로 이동하는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작핸들(40)을 앞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격벽(30)을 정면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좌우 각각의 조작핸들(40)의 상변부(41)와 하변부(42)와의 사이에는 이것들과 평행하게 판 형태의 래치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치부재(44) 각각은 수용체(20)에 설치된 격벽 잠금장치(25)의 래치부재 삽입구(25a)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격벽 잠금장치(25)는 격벽(30)의 전후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격벽(30)을 수용체(20)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즉, 이 래치부재(44)에는 밑면에 톱니형태의 잠금용 홈(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래치부재 삽입구(25a)의 아래에 설치된 격벽 잠금장치(25)의 계합키(25c)(도3 참조)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격벽(30)은 배면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고, 정면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또, 격벽(30)을 정면방향으로 이동하고 싶은 경우에는 격벽 잠금장치(25)의 잠금 해제 핀(25b)을 아래쪽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래치부재(44)의 잠금용 홈(45)과 격벽 잠금장치(25)의 계합키(25c)와의 계합을 해제한 상태로 이동시키면 된다.
(사용 예)
이 보정기(10)의 구체적인 사용 예는 아래와 같다.
먼저 원숭이를 수용하는 케이지의 정면 격자의 동살(橫棧)에 보정기(10)의 갈고리(23)를 걸어서, 보정기(10)를 케이지에 고정한다.
그리고, 격벽 잠금장치(25)의 잠금 해제 핀(25b)을 조작하여 격벽 잠금장치(25)의 계합 키(25c)와 래치부재(44)의 잠금용 홈(45)과의 계합을 해제하여 조작핸들(40)을 앞으로 당긴다. 이것에 의하여 격벽(30)을 정면 측으로 이동하고 수용체(20) 내에 있어서의 원숭이의 수용공간을 충분한 넓이로 한다.
다음으로, 배면 문짝(50)을 위쪽으로 끌어올려서 그 위측을 앞으로 당겨 수용체(20)의 윗면에 이것을 겹쳐둔다. 이것에 의하여, 수용체(20)의 배면측을 개방한다. 그리고 케이지의 문짝을 열어 케이지와 보정기(10)와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원숭이를 보정기(1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원숭이를 보정기(10)의 내부로 이동시켰으면 배면 문짝(50)을 내림과 동시에 케이지의 문짝을 닫는다. 그리고, 윗 문짝 잠금장치(26)에 의하여 배면 문짝(50)을 잠근다.
그리고 조작핸들(40)을 안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격벽(30)을 배면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수용체(20)내의 원숭이의 수용공간을 좁혀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숭이의 움직임이 구속되면, 원숭이의 사지를 4개의 보호통(33)의 각각의 바깥쪽에 있는 격자로부터 정면으로 꺼내게 한다. 꺼내진 사지 중에 상지(上肢)는 래치부재(44)에, 또 하지(下肢)는 조작핸들(40)의 하변부(42)에 각각 끈 등으로 결속하는 것으로 각각 보정한다. 이때, 사지의 이어진 부분이 종봉부재(31)에 닿아서 마찰하는 것을 보호통(33)에 의하여 접하는 부분의 넓이가 넓어진 것으로 마찰에 의한 압력을 저감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사지의 접하는 부분이 움직였다고 해도, 보호통(33)이 종봉부재(3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찰에 의한 압력이 저감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사지를 고정할 때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결속 벨트(8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속벨트(80)는 띠 형태의 천조각의 겉과 안의 중앙 영역에 벨크로의 루프(loop)면(81)이 장착되어 진 한편, 겉쪽의 한쪽 끝 영역 및 안쪽의 다른 한쪽 끝 영역에 벨크로의 후크(hook)면(82)이 장착되어 있다(이들 루프(81)면과 후크면(82)은 서로 교체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도7(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지(L)와 조작 핸들(40)(래치부재(44)또는 하변부(42),이하생략)과의 사이에 이 결속 벨트(80)를 끼어서, 서로의 면의 후크면(82)을 다른 면의 루프면(81)에 접착하는 것으로 도7(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면으로 보아 8자 형태로 사지(L)를 조작 핸들(40)에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7(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면의 후크면(82)을 동일면의 루프면(81)에 접착하는 것으로도 사지(L)의 결속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그때마다 편리한 방법으로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 외)
이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한 영장류의 보정기(10)는, 각각 금속제의 윗면 격자부(11)와, 측면 격자부(12)와, 저면 격자부(13)를 일체로 접속하여,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긴 사각형의 수용체(20)를 구성하고, 그 개방되는 후면에는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열리도록 한 원숭이를 보정기(10)에 넣고 꺼내기 위한 격자형태의 배면문짝(5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배면문짝(50)의 상단은 윗면 격자부(11)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조작하기에 편리하게 되어있다.
수용체(20)의 후면에는 수용체(20)의 저면 격자부(13)위를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수용체(20) 내에 장치되어, 수용체(20)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격자형태의 격벽(30)이 배치되어 있다.
보정기(10)는 통상 원숭이를 키워두는 케이지 전면의 격자의 횡봉에 설치하여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측면 격자부(12)의 후단의 세로 테두리(12a)의 상부와 하부와의 적당한 위치에 갈고리(23)가 고정되어 있다.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윗면 격자부(11)의 양 측단의 가로 테두리 부재(11a)에서 수용체(20)의 후방을 향하여 위쪽으로 역U자 형태의 만곡부(21a)를 형성하여 밑쪽으로 이어지는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에 따라서 배면 문짝(5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하도록 설치한다. 그 때문에 배면 문짝(50)의 하단의 가로 테두리 부재(52)의 양 단을 고리부(51)에 형성하여 이 안으로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를 통과하게 한다. 배면 문짝(50)을 들어올려 전부 열고, 고리부(51)가 배면 문짝 가이드 부재(21)의 상부의 만곡부(21a)에 도달한 위치에서 배면 문짝(50)을 90도 바로 앞으로 쓰러뜨려 연 배면 문짝(50)을 수용체(20)의 윗면 격자부(11)의 위에 겹쳐 두는 것에 의하여 배면 문짝(50)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세로테두리(12a)의 상단에는 횡봉(12b)이 고정되어 있어, 배면 문짝(50)을 안쪽 면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배면 문짝(50)을 폐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면 격자부(13) 중앙의 외 측면에 따라서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체(20)의 전면에서 배면 문짝(50) 하단의 가로 테두리 부재(52)에 도달하는 잠금 막대(13a)가 저면 격자부(13)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끔 저면 격자부(13)의 하단 횡봉(13b)에 고정한 지지부재(13c)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잠금 막대(13a)의 전단에는 이것을 조작하는 핸들(13d)이 설치되어 있다.
배면 문짝(50)의 하단의 가로 테두리 부재(52)에는 중앙부에서 밑쪽으로 돌출된 잠금 막대(13a)의 넣음 부재(53)가 고정되어 있다. 이 넣음 부재(53)에는 잠금 막대(13a)의 자유단(自由端)이 감합하는 개구(開口)(54)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 막대(13a)는 저면 격자부(13)에 설치된 적당한 스프링 장치(13e)에 의하여 잠금 막대(13a)의 자유단을 넣음 부재(53)의 개구(54) 쪽으로 압력을 주어 배면 문짝(50)을 폐쇄상태로 했을 때, 배면 문짝(50)이 상하로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잠근다.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정기(10) 안에 수용한 원숭이에 위쪽에서 접근하기 위하여 윗면 격자부(11)의 격자의 횡봉 일부를 이용하여 격자형태의 윗 문짝(60)을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또, 이 윗 문짝(60)은 내부에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도록 적당한 수단으로 격자의 횡봉 일부를 자물쇠로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용체(20)의 측면 격자부(12)에는 적당한 위치의 횡봉에 보정기(10)의 운반용 핸들(24)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격자형태의 격벽(30)은, 수용체(20)의 내부에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하여 폐색한 배면 문짝(50)과 격벽(30) 사이의 원숭이가 들어갈 빈 공간(S)을 원하는 넓이로 좁혀, 원숭이가 빈 공간(S)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목적을 위해서, 도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격자형태의 격벽(30)의 양측의 세로 테두리 부재(35)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그곳에서 각각 앞쪽으로 정해진 길이로 수평 하게 신장하는 격벽(30)의 이동용 상변부(41)와 하변부(42)가 앞단에 위치하는 수직부(43)의 양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격벽(30)의 세로 테두리 부재(35)와 수직부(43)에는 격벽이동용의 상변부(41)와 하변부(42)의 중간부에 격벽(30)을 수용체(20) 후방, 즉 배면 문짝(50)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그것과 반대의 전방으로 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톱니형태의 잠금용 홈(45)을 형성한 래치부재(44)가 고정되어 있다.
잠금용 홈(45)을 가지는 래치부재(44)와 협동하여 격벽(30)을 수용체(20)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측면 격자부(12)의 전단의 세로 테두리 부재(12c)에 격벽 잠금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 잠금장치(25)는 도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싱(casing)(25d)과 그 상단에 배치한 스프링(25e)의 작용을 받아서 케이싱(25d)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래치부재(44)의 잠금용 홈(45)에 맞물리는 계합키(25c)로 이루어져 있다.
계합키(25c)를 스프링(25e)의 힘에 저항하여 끌어올려서, 잠금용 홈(45)과 계합키(25c)와의 계합을 해제하고 격벽(30)을 배면문짝(50)을 향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싱(25d)에 세로 홈(縱溝)(25f)이 설치되어 있어 계합키(25c)를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계합키(25c)에 고정한 잠금 해제 핀(25b)이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영장류의 보정기(10)는 지금까지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한 원숭이에 대한 약물 투여 그 외의 실험을 행하기 위해서는 원숭이를 수용한 케이지의 전방 격자의 횡봉에 보정기(10)의 갈고리(23)를 걸어서 보정기(10)를 케이지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격벽 잠금장치(25)의 잠금 해제 핀(25b)를 들어올려서 계합키(25c)를 래치부재(44)의 잠금용 홈(45)에서 이탈하여 격벽(3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보정기(10)의 배면 문짝(50)과 격벽(30) 사이의 원숭이 수용부의 빈 공간(S)을 충분하게 넓힌 위치에 고정한다.
거기에서 잠금 막대(13a)의 핸들(13d)을 실험자 쪽으로 당겨서 잠금 막대(13a)의 자유단을 배면 문짝(50)의 넣음 부재(53)의 개구(54)에서 빼고, 배면 문짝(50)의 시정(施錠)을 해제하고 배면 문짝(50)을 위쪽으로 열어서 수용체(20)의 윗면 격자부(11) 윗면에 겹친 후, 케이지의 문짝을 열어서 원숭이를 수용체(20)의 내부의 빈 공간(S)에 넣는다.
원숭이를 케이지로부터 보정기(10)에 용이하게 옮겨 넣기 위해서는 미리 원숭이에 목걸이를 설치하여 이것과 협동하여 막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원숭이가 보정기(10)의 빈 공간(S)에 들어갔다면 배면 문짝(50)과 케이지의 문짝을 폐쇄하고 뒤이어 격벽(30)을 배면 문짝(50) 쪽으로 이동해 빈 공간(S)을 좁혀 원숭이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없도록 한다. 그래도 원숭이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원숭이의 목덜미에 미리 걸어 설치한 링에 봉(棒)을 꽂아 격자를 이용하여 봉을 고정하여 원숭이의 움직임을 멈추게 한다.
원숭이를 보정기(10)내에서 이와 같이 구속 상태로 한 후, 예를 들면 원숭이의 다리 등을 격벽(30)의 격자 사이에서 꺼내어 주사 그외의 조작을 할 수 있고, 또 윗 문짝(60)을 열어서 원숭이의 머리 부분 등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영장류의 보정기(10)를 사용하면 원숭이를 실험자가 단독으로 케이지로부터 보정기(10) 내에 넣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숭이의 위해를 받는 일 없이 원하는 실험을 계속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보정기(10)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원숭이를 여러명이 붙잡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숭이에게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 없고, 정상적인 상태로 실험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영장류를 실험 동물로써 이용하는 실험을 할 때, 이것을 그 실험 동안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보정기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5)

  1. 양 측면과 윗면과 저면을 가지는 수용체로,
    상기 수용체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접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용체의 배면 측을 개폐가능한 배면 문짝과,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정면 측으로부터 막으면서,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서 정면 측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상변부 및 하변부와, 이들 상변부 및 하변부의 각 선단을 연결하는 수직부로 구성된 1쌍의 조작핸들과,
    상기 격벽에서 정면 측으로 상기 상변부와 하변부와의 사이로 평행하게 이어짐과 동시에 선단이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는 1쌍의 래치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정면 양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래치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
    를 가지는 영장류의 보정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상기 배면 문짝 및 상기 수용체의 양 측면, 윗면 및 저면은 종봉부재와 횡봉부재가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져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격벽의 종봉부재 중, 영장류의 사지를 정면방향으로 돌출시켜 보정 할 때에, 각 사지의 이어진 부분이 접하는 곳에 보호통이 그 종봉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외삽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의 보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의 하변 측에는 톱니형태의 잠금용 홈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에는 상기 잠금용 홈과 계합하는 계합키가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용 홈의 임의의 하나가 상기 잠금장치의 계합키와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격벽이 상기 수용체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의 보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문짝의 잠금 부분을 상기 윗면 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의 보정기.
  4.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양 측면에 종봉부재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측면 셔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의 보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양 측면에 종봉부재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측면 셔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의 보정기.
KR1020127028989A 2012-05-22 2012-10-01 영장류의 보정기 KR101412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6136 2012-05-22
JP2012116136A JP5074635B1 (ja) 2012-05-22 2012-05-22 霊長類の保定器
PCT/JP2012/075307 WO2013175652A1 (ja) 2012-05-22 2012-10-01 霊長類の保定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92A KR20140003992A (ko) 2014-01-10
KR101412501B1 true KR101412501B1 (ko) 2014-06-27

Family

ID=4727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989A KR101412501B1 (ko) 2012-05-22 2012-10-01 영장류의 보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63979B2 (ko)
EP (1) EP2853157B1 (ko)
JP (1) JP5074635B1 (ko)
KR (1) KR101412501B1 (ko)
CN (1) CN103547147B (ko)
CA (1) CA2873345C (ko)
PH (1) PH12014502610A1 (ko)
RU (1) RU2603028C2 (ko)
WO (1) WO2013175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864B (zh) * 2014-09-02 2020-01-03 北京中科灵瑞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猴多功能组合型实验笼
CN104970782B (zh) * 2015-07-15 2017-09-29 广西南宁灵康赛诺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套用于清醒状态测量灵长类动物血压的装置
CN205105939U (zh) * 2015-08-24 2016-03-30 江苏中恒宠物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导轨提拉式宠物笼子门
WO2018014130A1 (en) * 2016-07-22 2018-01-25 The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Mcgill University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straining an animal in a fixed position for a medical procedure
US10123501B1 (en) * 2017-08-24 2018-11-13 Monsanto Technology Llc Soybean variety 01064722
CN111526715B (zh) * 2018-01-26 2022-03-29 株式会社新日本科学 繁殖鳗鲡目鱼类仔鱼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454A (ko) * 2005-10-31 2007-05-03 계룡과학주식회사 원숭이용 케이지
KR20120008301A (ko) * 2010-07-16 2012-01-30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영장류 이동 케이지
KR20120037981A (ko) * 2009-08-07 2012-04-20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KR20120038480A (ko) * 2009-08-07 2012-04-23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035A (en) * 1876-02-01 Improvement in stock-cars
US3905333A (en) * 1974-05-13 1975-09-16 Schroer Mfg Co Cage for laboratory animals
US4040545A (en) * 1975-07-07 1977-08-09 The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Clothing hanger guard
SU812276A1 (ru) * 1979-01-11 1981-03-15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институт Физиологии Им. И.П.Павлова Клетка дл животных
US4770127A (en) * 1986-10-08 1988-09-13 Volk Seymour A Animal restraining apparatus
JPH0824506B2 (ja) * 1993-12-01 1996-03-13 株式会社新日本科学 霊長類の保定器
US5373810A (en) * 1994-02-03 1994-12-20 Martin; Edwin R. Cage door combination lock-latch
JPH119129A (ja) * 1997-06-19 1999-01-19 Tanabe Seiyaku Co Ltd モンキーチェア
US5924388A (en) * 1998-02-25 1999-07-20 Peeples; James D. Animal restraint device and method
JP3946762B2 (ja) * 2005-08-01 2007-07-18 株式会社薬物安全性試験センター チャンバー装置、呼吸系薬理試験システム及び安全性薬理試験方法
JP3788626B1 (ja) * 2005-09-21 2006-06-21 学校法人立教学院 霊長類の拘束装置
AU2007233561B2 (en) * 2006-03-30 2013-05-02 Proway Livestock Equipment Pty Ltd Livestock handling device
WO2009029212A1 (en) * 2007-08-22 2009-03-0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ystems, apparatus and devices for use in animal studies
US8235004B2 (en) * 2007-10-09 2012-08-07 Baby Trend Inc. Pet co-sleeper
US8985058B2 (en) * 2011-01-26 2015-03-24 Mid-West Metal Products Co., Inc. Collapsible wire crate and method of assembly
US20130019410A1 (en) * 2011-07-20 2013-01-24 Julie Willi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rotective guard for furniture legs
US9363978B2 (en) * 2013-02-19 2016-06-14 Central Garden & Pet Company Animal habitat
US9107385B2 (en) * 2013-04-15 2015-08-18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Animal kennel for scientific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454A (ko) * 2005-10-31 2007-05-03 계룡과학주식회사 원숭이용 케이지
KR20120037981A (ko) * 2009-08-07 2012-04-20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KR20120038480A (ko) * 2009-08-07 2012-04-23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KR20120008301A (ko) * 2010-07-16 2012-01-30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영장류 이동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47147B (zh) 2016-01-13
US20150128871A1 (en) 2015-05-14
EP2853157B1 (en) 2022-02-16
CA2873345A1 (en) 2013-11-28
CN103547147A (zh) 2014-01-29
JP5074635B1 (ja) 2012-11-14
PH12014502610B1 (en) 2015-01-21
CA2873345C (en) 2019-10-29
RU2014144505A (ru) 2016-07-20
JP2013240301A (ja) 2013-12-05
US9363979B2 (en) 2016-06-14
EP2853157A4 (en) 2016-01-27
EP2853157A1 (en) 2015-04-01
RU2603028C2 (ru) 2016-11-20
KR20140003992A (ko) 2014-01-10
WO2013175652A1 (ja) 2013-11-28
PH12014502610A1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501B1 (ko) 영장류의 보정기
KR101217535B1 (ko) 영장류의 보정기
KR101217536B1 (ko) 영장류의 보정기
JP5931647B2 (ja) 霊長類の保定器
KR20160005922A (ko) 구급차용 들것 가이드 장치
EP1346632B1 (en) Rear gate for domestic animal pen
SG185658A1 (en) Primate restraint device
JP6603052B2 (ja) 小動物用保定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