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01A - 영장류 이동 케이지 - Google Patents

영장류 이동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01A
KR20120008301A KR1020100069083A KR20100069083A KR20120008301A KR 20120008301 A KR20120008301 A KR 20120008301A KR 1020100069083 A KR1020100069083 A KR 1020100069083A KR 20100069083 A KR20100069083 A KR 20100069083A KR 20120008301 A KR20120008301 A KR 2012000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primate
coupled
main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813B1 (ko
Inventor
지승완
남종우
김철규
이수해
심선보
배창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장)
Priority to KR102010006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8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45Boxes or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35Transportable or mobile animal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장류 이동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영장류와 접촉하지 않고 이동 및 실험이 용이한 영장류 이동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장류 이동 케이지는, 영장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본체 케이지와 본체 케이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케이지 및 본체 케이지의 하부에 승하강 장치가 결합된다.
본체 케이지는 영장류 사육 케이지로부터 접촉하지 않고 영장류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면과 후면에 각각 출입문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지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가 승하강 장치에 의해 고정 케이지로 이동된다. 고정 케이지로 이동된 영장류는 실험대에 옮겨질 수 있게 본체 케이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실험대에 옮겨진 고정 케이지는 영장류를 실험 및 관찰하기 위해 내부에 앞 뒤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장류 이동 케이지는, 영장류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실험실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장류 이동 케이지는, 영장류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어 실험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장류 이동 케이지{CAGE FOR TRANSFERRING PRIMATE}
본 발명은 영장류 이동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영장류와 접촉하지 않고 이동 및 실험이 용이한 영장류 이동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원숭이 또는 고릴라와 같은 영장류는 우리 인간과 비슷하며, 그 중에는 인간을 이롭게 하기 위해 백신개발, AIDS, 뇌, 노화, 신약개발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장류를 실험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영장류가 사육되는 케이지로부터 안전하게 실험실로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영장류는 이동 케이지로 옮길 시 정서 및 신경이 예민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포획할 경우 매우 날카롭게 반응하거나 포획시 상처가 날 수 있다.
또한 안전하게 실험실로 옮겨서 실험대에 올리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동 케이지로는 무겁고, 실험을 위해 상태를 관찰하거나 약물을 투여할 때 케이지 내에서 움직임에 따라 원하는 실험을 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래서 케이지 밖으로 빼내서 실험을 할 경우, 영장류는 더욱 요동치며, 심할 때는 물거나 할퀴게 되는 등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장류의 이동과 실험이 용이한 영장류 이동 케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장류 이동 케이지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의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에는 영장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문과 양쪽 측면 각각에는 이동을 위해 설치된 손잡이 및 내부에는 바닥판의 코너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봉을 따라 상기 영장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지와 상기 본체 케이지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 케이지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영장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내부에는 상기 영장류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전면을 향해 앞 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케이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케이지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를 승강 및 하강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의 하단에 결합되는 승하강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영장류 이동 케이지는, 영장류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실험실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장류 이동 케이지는, 영장류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어 실험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이동 케이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본체 케이지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본체 케이지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고정 케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고정 케이지의 고정 장치의 작동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8은 도 1의 승하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와 도 9(b)는 도 1의 승하강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이동 케이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본체 케이지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본체 케이지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고정 케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a)와 도 7(b)는 고정 케이지의 고정 장치의 작동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승하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a)와 도 9(b)는 도 1의 승하강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이동 케이지(100)는 본체 케이지(10), 고정 케이지(50) 및 승하강 장치(8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지(10)는 영장류가 사육되는 사육 케이지(미도시)로부터 실험실로 옮기기 위한 이동 케이지(100)로서 출입문(15,17)을 통해 영장류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안전하게 영장류를 옮길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 케이지(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18)의 중앙부에 개구부(19)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에는 영장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문(15,17)과 양쪽 측면 각각에는 이동을 위해 설치된 손잡이(13) 및 내부에는 바닥판(18)의 코너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봉(23)을 따라 영장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지(10)는 원통 형상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가 교차하여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영장류를 수용할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지(10)가 그물망 구조를 가졌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가진 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 케이지(10)의 후면에 형성된 출입문은 후면 출입구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 1가이드 레일(16)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17)일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7)는 망판 형상을 가지며, 측면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측면 중앙부에 손잡이(17a)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 1가이드 레일(16)은 외형이 ㄷ자 형상을 가진 프레임으로, 내측에 가이드 홈(16a)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7)는 제 1가이드 레일(16)의 가이드 홈(16a)에 슬라이딩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가 삽입되는 쪽의 본체 케이지(10)의 측면에는 슬라이딩 도어(17)를 고정하도록 제 1잠금장치(14)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잠금장치(14)는 후술되는 제 2 내지 제 4잠금장치(15a,53,12)와 동일하며, 스프링 탄성작용에 의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걸림봉(14a,15b,53a,12a)을 포함한다.
제 1잠금장치(14)는 슬라이딩 도어(17)가 가이드 레일(16)의 가이드 홈(16a)으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슬라이딩 도어(17)의 일측면에 제 1잠금장치(14)의 걸림봉(14a)이 걸리도록 결합하여 슬라이딩 도어(1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 케이지(10)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문은 전면 출입구 상부에 설치된 힌지(15d)에 결합되는 접이식 도어(15)일 수 있다.
접이식 도어(15)는 망판 형상을 가지며 먹이나 관찰을 위한 도구를 넣어 주거나 슬라이딩 도어(17)처럼 영장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힌지(15d)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접이식 도어(15)의 하단 양측에는 접이식 도어(15)를 고정하도록 제 2잠금장치(15a)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잠금장치(15a)는 제 2잠금장치(15a)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고리(15c)에 제 2잠금장치(15a)의 걸림봉(15b)이 걸리도록 결합하여 접이식 도어(15)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복수의 가이드 봉(23)은 일단은 본체 케이지(10)의 바닥판(18)의 코너에 수직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본체 케이지(10)의 상부의 후술되는 제 2가이드 레일(11)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본체 케이지(10)의 손잡이(13)는 본체 케이지(10)의 양쪽 측면 각각에 설치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체 케이지(10)의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는 영장류가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지(10)의 바닥판(18) 상부에 상기 바닥판(18)의 개구부(19)보다 크게 형성된 이동 프레임(20a)과 가이드 봉(23)을 따라 이동하도록 각각의 가이드 봉(23)에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 링(20b)과 이동 프레임(20a)과 복수의 파이프 링(20b)을 연결하는 이동 프레임(20a)의 측판(20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링(20b)은 속이 빈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이동 프레임(20a)의 측판에 결합되어 이동 프레임(20a)과 일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파이프 링(20b)은 가이드 봉(23)이 삽입되도록 내경이 가이드 봉(23)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프레임(20a)의 원할한 이동을 위해 복수의 파이프 링(20b)의 내경은 가이드 봉(23)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 케이지(10)의 내부로 이동된 영장류는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의 상승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고 고정 케이지(50) 내부로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는 후술되는 승하강 장치(80)에 결합되어 상승 및 하강되어질 수 있다.
도 1과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케이지(50)는 본체 케이지(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영장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55)와 내부에는 영장류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전면을 향해 앞 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케이지(50)는 본체 케이지(10)와 같이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교차하여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영장류를 수용할 공간이 형성된다.
고정 케이지(50)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어 본체 케이지(10)의 개방된 상면과 마주보며 결합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영장류가 본체 케이지(10)에서 고정 케이지(5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케이지(50)의 고정 장치(70)는 고정 케이지(50)의 전면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복수의 링(71)과 절곡되어 양 끝단이 복수의 링(71)에 삽입되어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복수의 인출 손잡이(73)와 고정 케이지(50)의 내부에서 복수의 인출 손잡이(73)의 끝단에 결합하여 영장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판(7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70)는 영장류가 고정 케이지(50) 내부로 이동 시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해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고정 장치(70)의 인출 손잡이(73)를 복수의 링(71)에 가이드 되어 전방을 향해 잡아 당기게 되면 인출 손잡이(73)에 일체로 결합된 망판 형상을 가진 고정판(75)이 영장류를 가압하게 되어 유동 못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케이지(50)는 본체 케이지(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 케이지(10)에 고정 케이지(50)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본체 케이지(10)의 양측면의 상단과 고정 케이지(50)의 양측면의 하단 각각에는, 내측에 가이드 홈(11a,52a)이 형성된 제 2 및 제 3가이드 레일(11,52)이 결합되며, 본체 케이지(10)의 제 2가이드 레일(11)의 가이드 홈(11a)에 고정 케이지(50)의 제 3가이드 레일(52)이 수용 결합될 수 있다.
제 2가이드 레일(11)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일자형으로 후단에 스토퍼(11b)가 형성되고, 제 3가이드 레일(52)은 제 1가이드 레일(16)과 같은 ㄷ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제 2 및 제 3가이드 레일(11,52)은 각각의 내측에 가이드 홈(11a,5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3가이드 레일(52)이 제 2가이드 레일(11)의 가이드 홈(11a)에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고정 케이지(50)가 본체 케이지(1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의 결합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제 3가이드 레일(52)의 외각 프레임의 크기가 제 2가이드 레일(11)의 가이드 홈(11a)에 수용되도록 가이드 홈(11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케이지(50)의 제 3가이드 레일(52)의 가이드 홈(52a)에 탈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부 덮개(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덮개(51)는 망판 형상을 가지며 손잡이(51a)가 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덮개(51)는 영장류가 본체 케이지(10)에서 고정 케이지(50)로 이동 후 고정 케이지(50) 내부에 가둬두기 위해 제 3가이드 레일(52)의 가이드 홈(52a)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나중에 다시 본체 케이지(10)로 영장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 홈(52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덮개(51)가 삽입되는 쪽의 고정 케이지(50)의 전면에는 하부 덮개(51)를 고정하도록 제 3잠금장치(53)가 설치될 수 있다.
제 3잠금장치(53)는 하부 덮개(51)가 제 3가이드 레일(52)의 가이드 홈(52a)으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하부 덮개(51)의 일측면에 제 3잠금장치(53)의 걸림봉(53a)이 걸리도록 결합하여 하부 덮개(5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체 케이지(10)의 양측면의 상단에는 고정 케이지(50)를 고정하도록 제 4잠금장치(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 4잠금장치(12)는 고정 케이지(50)가 본체 케이지(10)에 결합 시 본체 케이지(10)의 제 2가이드 레일(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케이지(50)의 손잡이(55)의 하부 측면에 제 4잠금장치(12)의 걸림봉(12a)이 걸리도록 결합하여 고정 케이지(5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4잠금장치(12)가 제 2가이드 레일(11)의 선단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 케이지(50)의 손잡이(55)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제 4잠금장치(12) 위치 또한 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8을 참조하면, 본체 케이지(10)의 하단에는,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를 승강 및 하강하도록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승하강 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 장치(80)는 본체 케이지(10) 내로 이동된 영장류를 고정 케이지(50)로 이동시키기 위해 본체 케이지(1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 장치(80)는 테이블 리프트일 수 있다.
상기 테이블 리프트는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의 이동 프레임(20a) 또는 이동 프레임(20a)의 측판(20c)의 하면에 결합되는 테이블(85)과 테이블(85)에 결합되고 유압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테이블(85)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펴지거나 접어지면서 테이블(85)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접철식 암부재(83)와 유압 실린더를 작동하게 하는 유압모터(82)와 테이블(85), 복수의 접철식 암부재(83), 유압 실린더 및 유압모터(82)를 수용하고 본체 케이지(10)의 바닥판(18)과 결합되는 수용함(81)과 유압유가 내부에 흐르며 유압모터(82)와 유압모터(82)를 작동시키는 페달 스위치(87)를 연결하는 유압선(84)과 유압모터(82)의 동력원인 전원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전원부는 전원 코드가 구비되어 전원 콘센트에 꽂아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용 충전 밧데리를 내장하여 전원 코드 없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페달 스위치(87)는 상승을 위한 상승 누름발판(87a)과 하강을 위한 하강 누름발판(87b)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테이블(85)은 이동 프레임(20a) 또는 이동 프레임(20a)의 측판(20c)과 볼트 결합 또는 용접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테이블 리프트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지만 승하강 장치(80)의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용 바퀴는 본체 케이지(10)가 손잡이와 함께 이동하기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장류 이동 케이지(100)의 작동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장류 이동 케이지(100)의 본체 케이지(10) 상단의 제 2가이드 레일(11)에 고정 케이지(50)의 제 3가이드 레일(52)을 삽입시킨 후 제 4잠금장치(12)로 고정 케이지(50)를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 케이지(50)의 고정 장치(70)는 고정판(75)이 고정 케이지(5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영장류 이동 케이지(100)를 영장류 사육 케이지의 출입문(미도시)으로 이동시킨다.
영장류를 사육 케이지로부터 본체 케이지(10)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육 케이지의 출입문과 본체 케이지(10) 후면의 슬라이딩 도어(17)와 상호 맞닿도록 하여, 사육 케이지의 출입문과 본체 케이지(10)의 슬라이딩 도어(17)를 열어 영장류를 본체 케이지(1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영장류를 본체 케이지(10) 내부로 이동시킨 후, 제 1가이드 레일(16)에 슬라이딩 도어(17)를 삽입하고 제 1잠금장치(14)로 슬라이딩 도어(17)를 고정한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17) 사용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본체 케이지(10) 전면의 접이식 도어(15)를 개방하여 영장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 후 영장류 이동 케이지(100)를 손잡이를 잡고 이동용 바퀴를 이용하여 실험실로 이동시킨다.
도 8과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실험실로 이동된 영장류 이동 케이지(100)의 본체 케이지(10) 내부에 있는 영장류를 고정 케이지(50)로 이동시키기 위해, 승하강 장치(80)의 작동 스위치(87)의 상승 누름발판(87a)을 발로 누른다.
곧,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는 가이드 봉(23)을 따라 위로 이동됨과 동시에 영장류도 위로 이동하여 본체 케이지(10)의 개방된 상면과 고정 케이지(5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고정 케이지(5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 케이지(50) 내부로 영장류가 이동되면 고정 케이지(50)의 제 3가이드 레일(52)에 하부 덮개(51)를 삽입한 후 제 3잠금장치(53)로 하부 덮개(51)를 고정한다.
그 후 본체 케이지(10)의 제 4잠금장치(12)를 풀어 고정 케이지(50)의 손잡이(55)를 잡고 고정 케이지(50)를 본체 케이지(10)로부터 분리한 후 실험대에 옮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실험대에 옮겨진 고정 케이지(50)의 영장류를 실험 또는 실험 내용을 관찰하기 위해 고정 장치(70)의 인출 손잡이(73)를 밖으로 잡아 당긴다. 고정 장치(70)의 인출 손잡이(73)를 잡아 당김에 따라 고정판(75)이 영장류를 유동 못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실험에 필요한 약을 주사하거나 관찰 도구를 이용하여 영장류의 몸의 상태를 검진 또는 관찰할 수 있다.
실험이 끝나면 고정 장치(70)를 안쪽으로 밀어 영장류가 유동이 자유롭게 한다.
그 후 고정 케이지(50)를 본체 케이지(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고정 케이지(50)를 제 4잠금장치(12)로 고정시킨 후 하부 덮개(51)를 제 3잠금장치(53)를 해제하여 고정 케이지(50)로부터 분리한다.
이 후 다시 도 8과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승하강 장치(80)의 작동 스위치(87)의 하강 누름발판(87b)을 누르게 되면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20)가 하강하게 되어 영장류를 고정 케이지(50)에서 본체 케이지(10)로 내려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케이지(100)를 사육 케이지 출입문으로 이동 후 슬라이딩 도어(17)를 열어 사육 케이지 출입구를 통해 영장류는 본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전술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케이지 20:슬라이드 칸막이 장치
50:고정 케이지 70:고정 장치
80:승하강 장치 100:영장류 이동 케이지

Claims (13)

  1.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의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에는 영장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문;과
    양쪽 측면 각각에는 이동을 위해 설치된 손잡이; 및
    내부에는 바닥판의 코너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봉을 따라 상기 영장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지와,
    상기 본체 케이지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 케이지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영장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내부에는 상기 영장류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전면을 향해 앞 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케이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케이지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를 승강 및 하강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의 하단에 결합되는 승하강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지의 후면에 형성된 출입문은 후면 출입구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 1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지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문은 전면 출입구 상부에 설치된 힌지에 결합되는 접이식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삽입되는 쪽의 상기 본체 케이지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고정하도록 제 1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도어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접이식 도어를 고정하도록 제 2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지에 상기 고정 케이지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지의 양측면의 상단과 상기 고정 케이지의 양측면의 하단 각각에는,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 2 및 제 3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 케이지의 제 2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에 상기 고정 케이지의 제 3가이드 레일이 수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케이지의 제 3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부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지의 슬라이드 칸막이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지의 바닥판 상부에 상기 바닥판의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된 이동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각각의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 링 및;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파이프 링을 연결하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케이지의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케이지의 전면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복수의 링;과
    절곡되어 양 끝단이 상기 복수의 링에 삽입되어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복수의 인출 손잡이; 및
    상기 고정 케이지의 내부에서 복수의 인출 손잡이 끝단에 결합하여 상기 영장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가 삽입되는 쪽의 상기 고정 케이지의 전면에는 상기 하부 덮개를 고정하도록 제 3잠금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지의 양측면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 케이지를 고정하도록 제 4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는 테이블 리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장 장치의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이동 케이지.
KR1020100069083A 2010-07-16 2010-07-16 영장류 이동 케이지 KR10115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083A KR101159813B1 (ko) 2010-07-16 2010-07-16 영장류 이동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083A KR101159813B1 (ko) 2010-07-16 2010-07-16 영장류 이동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01A true KR20120008301A (ko) 2012-01-30
KR101159813B1 KR101159813B1 (ko) 2012-06-27

Family

ID=4561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083A KR101159813B1 (ko) 2010-07-16 2010-07-16 영장류 이동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8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01B1 (ko) * 2012-05-22 2014-06-27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KR20150101754A (ko) * 2014-02-27 2015-09-04 이상철 영장류 케이지
CN109303006A (zh) * 2017-12-14 2019-02-05 上海浦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易于抓取和转移动物的多功能猴笼
CN112997893A (zh) * 2021-02-26 2021-06-22 苏州建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方便转移的动物笼具
WO2021215020A1 (ja) * 2020-04-20 2021-10-28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ペット用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06B2 (ja) * 1993-12-01 1996-03-13 株式会社新日本科学 霊長類の保定器
JPH1175598A (ja) 1997-09-05 1999-03-23 Takeda Chem Ind Ltd サル用飼育ケージ及びサル捕獲具
KR100770600B1 (ko) * 2005-10-31 2007-10-26 계룡과학주식회사 원숭이용 케이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01B1 (ko) * 2012-05-22 2014-06-27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KR20150101754A (ko) * 2014-02-27 2015-09-04 이상철 영장류 케이지
CN109303006A (zh) * 2017-12-14 2019-02-05 上海浦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易于抓取和转移动物的多功能猴笼
WO2021215020A1 (ja) * 2020-04-20 2021-10-28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ペット用ケージ
JP2021170938A (ja) * 2020-04-20 2021-11-0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ペット用ケージ
CN112997893A (zh) * 2021-02-26 2021-06-22 苏州建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方便转移的动物笼具
CN112997893B (zh) * 2021-02-26 2022-05-20 苏州建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方便转移的动物笼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813B1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813B1 (ko) 영장류 이동 케이지
EP3354164A1 (en) Crib
CN102480929B (zh) 灵长类动物的束缚器
AU2012367841A1 (en) Apparatus for self - levelling storing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trays
JP5074635B1 (ja) 霊長類の保定器
CN105947432A (zh) 一种试条盒
CN102480928B (zh) 灵长类动物的束缚器
CN214612415U (zh) 一种自动化载药纳米探针合成仪
KR200470263Y1 (ko) 모니터 승강장치
CN213133271U (zh) 一种带有可伸缩试管架的实验台
CN211096620U (zh) 一种输液架
CN213787982U (zh) 用于实验动物的保定装置
CN219290160U (zh) 一种针灸针盒
CN203968904U (zh) 一种实验动物饲养笼具
CN208905008U (zh) 一种蓝牙测试仪
CN218705188U (zh) 一种可循环取药的药瓶存储盒
JP4552063B2 (ja) 抽斗装置
CN211484662U (zh) 一种阴拭子集中采样储纳装置
CN214622666U (zh) 一种动物用肠道细菌检测设备
CN219340272U (zh) 具有消毒液浓度检测装置的容置桶
CN214553768U (zh) 一种医学检验折叠式试管放置架
CN212189218U (zh) 一种采血装置
CN215306730U (zh) 一种畜牧兽医用便携式医疗箱
CN211021312U (zh) 一种行李箱
CN211187828U (zh) 一种急诊外科急救处理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