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981A - 영장류의 보정기 - Google Patents

영장류의 보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981A
KR20120037981A KR1020127003454A KR20127003454A KR20120037981A KR 20120037981 A KR20120037981 A KR 20120037981A KR 1020127003454 A KR1020127003454 A KR 1020127003454A KR 20127003454 A KR20127003454 A KR 20127003454A KR 20120037981 A KR20120037981 A KR 2012003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nkey
receptor
primat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536B1 (ko
Inventor
료이치 나가타
Original Assignee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03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61D2003/006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with leg or foot restrai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주사 또는, 채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장류의 보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양 측면과 윗면과 저면을 갖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배면 쪽에 설치되고, 상하로 접동함에 의해, 상기 수용체의 배면쪽을 개폐 가능한 문짝부와,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정면 측으로부터 막으면서,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격벽을 가지는 영장류의 보정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수용한 영장류의 후지를 바깥쪽으로 꺼내도록 하기 위한, 후지 돌출구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영장류의 보정기{PRIMATE RES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등의 효과를 영장류(靈長類)를 이용하여 실험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정기(保定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장류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특히, 주사 또는 채혈을 행하기 위한, 보정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진찰, 또는 질병의 치료 등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품의 개발에 있어서는, 그 약제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사전에 조사하기 위하여 그 약제를 동물에 투여해서 그 효과를 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를 위한 실험동물로서는 생쥐, 곰쥐(rat), 개, 토끼, 원숭이 그 외에 많은 동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더욱 적확하게 인간에 투여하기 위한 약제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영장류(이하, 「원숭이」라고 함)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알맞다.
그러나, 원숭이에 약제를 경구투여, 경비위내(經鼻胃內)투여, 또는 정맥주사, 또는 원숭이로부터 채혈하거나 동공의 상태 등을 진찰하고, 필요에 따라서 원숭이의 머리 부분을 누르거나 하기 위해서는 원숭이가 자유롭게 이리저리 돌아다니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보정기로써, 예를 들면, 특허문헌1과 같은 보정기가 제안되어있다.
특허문헌1 : 특공평8-24506호공보
그렇지만 상기(上記)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정기는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한다는 것에만 주목한 것이며, 그 후에 행해지는 처치를 고려한 것이 아니었다. 예를 들면, 주사 또는 채혈을 행할 시의 편리에 대하여 특별히 고려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주사 또는 채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장류의 보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한 것이며,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영장류의 보정기는, 양 측면과 윗면(頂面)과 저면(底面) 이 있는 수용체(收容體)와, 상기 수용체의 배면(背面)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접동(摺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체의 배면 쪽을 개폐 가능한 문짝부와,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정면 쪽에서 막으면서,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할 수 있도록 한 격벽이 있고, 상기 격벽에는 수용한 영장류의 후지(後肢)를 밖으로 꺼내도록 하는 후지 돌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정면(正面)」은 작업자가 보정기를 상대했을 시의 바로 앞 측면을 말한다. 그리고, 「배면(背面)」은 정면과 반대면 즉, 작업자가 보정기를 상대했을 시 안쪽 면을 말한다.
그리고 「수용체(收容體)」는 양 측면과 윗면과 저면의 각 벽면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본적인 모양으로서, 정면 및 배면을 개방한 대략 상자형태라고 할 수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수용체로서는 정면 및 배면이 완전하게 개방 되어있는 모양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배면측은 적어도 원숭이의 출입구로서 사용 할 수 있는 정도로 개방 가능 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또 정면 측은 작업의 용이함 등을 고려해서,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개방되어 있는 모양에 한정 되어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수용체의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 등을 정면 측 혹은 배면 측에 설치함에 의해 정면측 또는 배면 측의 일부가 개방되어있지 않은 모양으로 하여도 좋다.
또 「문짝부(扉部)」는 상기 수용체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접동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체의 배면 측을 개폐 가능한 것이다. 즉, 이 문짝부를 개방 하는것에 의해 수용체의 배면 측에서 원숭이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하여 폐색(閉塞)함에 의해 수용한 원숭이를 수용체 내부에 가두어 두는 것이 가능하다.
「격벽」은 상기 수용체 내부를 정면 측에서 막으면서,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 격벽은, 상기 수용체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형성 하는것에 의하여 이 격벽을 수용체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시켜, 수용한 원숭이의 가동 범위를 제한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원숭이를 수용한 후에 격벽을 배면측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용체의 원숭이 수용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 할수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이 격벽은 상기 수용체 내부에 원하는 위치로 고정 할 수 있기 때문에,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격벽의 고정이란, 적어도 원숭이의 수용공간을 넓게 하는 방향으로, 격벽의 이동을 저해하는 것이면 좋고, 원숭이의 수용 공간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의 격벽의 이동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격벽을 고정하는 구체적 수단으로는 예컨대, 공지의 래치(latch)구조 등 임의의 수단을 이용 할 수 있다.
그리고 「후지 돌출구(後肢突出口)」는 상기 격벽에 설치되는 것이며, 수용한 영장류의 후지를 밖으로 꺼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 후지 돌출구는 격벽 하부에 설치한 좌우 2개의 개구부로서 설치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모양에 한하지 않고, 하나의 개구부만을 설치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주사 또는 채혈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후지 돌출구의 지름은, 적어도 원숭이의 대퇴부가 통과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고, 격벽을 이동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 할 수 있다. 또한 수용한 원숭이의 후지를 바깥으로 꺼내기 위한 후지 돌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숭이의 후지를 후지 돌출구에서 꺼내어 꽉 잡으면 안전하고 용이하게 주사 또는 채혈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보정기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보정기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보정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1 내지 도3을 참조해가며 설명한다.
( 보정기 10 )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정기(10)는, 도 2에서 나타내듯이 수용체(13)와, 슬라이드셔터(14)와, 협체(12)가 주요한 부재로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정기(10)는, 수용체(13)과, 슬라이드셔터(14)와, 협체(12)에 의해 상자 상태의 케이지(cag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수용체13 및 슬라이드셔터14)
도 1 에서 나타내듯이 수용체(13)는, 봉상부재(50)가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져서 벽면을 형성함에 의해 양 측면과, 윗면과, 저면이 형성 되어있지만 정면과 배면은 개방 되어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면측 에서는 상하로 접동함에 의해, 수용체(13)의 배면쪽을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셔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셔터(14)의 상단은, 수용체 (13)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쉽게 형성되어있다.
이 슬라이드셔터(14)는, 도1 및 도2에서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수용체 13의 배면측을 폐색하고 있지만, 아래와 같이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수용체 (13)의 배면 측을 개방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즉, 도 2에서 나타내듯이, 수용체(13)에는, 슬라이드 셔터(14)의 좌우 지주와 평행하게 각각의 지주에 대응하는, 봉상 셔터가이드부재(21)가 입설 되어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셔터(14)의 하단부는 고리(ring)부(61)를 형성하고 있고, 이 고리부(61)의 구멍에 셔터가이드부재 (21)를 통과함에 의해, 슬라이드셔터(14)를 셔터가이드부재(21)에 따라서, 위쪽으로 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돼있다. 또, 셔터가이드부재(21)의 위쪽 끝은, 역U자모양으로 만곡해서 만곡부(62)를 형성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셔터(14)를 위쪽으로 들어올린 결과, 이 만곡부(62)에 슬라이드셔터(14)의 고리부(61)가 도달하면, 슬라이드셔터(14)의, 위쪽을 앞으로 잡아당겨 쓰러뜨려서, 수용체(13)의 상부에 슬라이드셔터(14)를 겹쳐 놓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에 의해 수용체(13)의 배면측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도록 형성 되어있다.
또, 이 보정기(10)는 원숭이를 사육하는 케이스 정면의 격자의 횡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용체(13)의 배면 상부와, 하부의 적당한 위치에 갈고리(HOOK)(22)가 설치 되어있다. 즉, 이 갈고리(22)를 케이지 정면의, 격자의 횡봉에 걸쳐 놓는 것에 의해, 보정기(10)를 케이지에 고정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지의 정면에는 원숭이의 출입구로서 문짝이 설치되어 있어서, 보정기(10)를 케이지에 고정하는 한편, 케이지에 문짝과 슬라이드셔터(14)를 개방하면, 케이지 내부와 보정기 10의 내부가 연통하게 되고, 케이지의 원숭이를 보정기(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정기(10)를 위에서 본 평면도지만, 이 도3에서 나타내듯이, 보정기(10)의 안에 수용한 원숭이에 상부로부터, 접근하기 위해 수용체(13)의 윗면에는, 윗 문짝(35)을 설치하고 있다. 이 윗 문짝(35)은, 윗 문짝 잠금 장치로 잠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또, 수용체(13)의 양측 면에는 운반용 핸들(23)이 설치되어 보정기(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수용체(13)의 저면에는 보정기를 지상에 안전하게 두기 위한 다리이(15)이 설치되어있다.
(협체12)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협체(12)에 대하여 설명한다.
협체(12)는, 수용체(13)에 설치 되는 것이고, 수용체(13)에 있어서 원숭이의 수용 공간을 좁히고, 이에 의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협체 (12)는 수용체(13)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 가능한 격벽(43)과, 격벽(43)의 이동 조작용으로 제공되는, 협체핸들(41)과, 이동한 격벽(43)을 수용체(13)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래치부재(42)를 가지고 있다.
격벽(43)은 수용체(13) 내부를 정면 쪽에서 가로막고, 수용체(13)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져 있는 것이고, 이에 더하여, 수용체(13)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 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격벽(43)은 수용체 (13)를 전후로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벽 (43)에는, 바로 앞으로 연장되는 측면으로 볼 때 コ모양의 협체 핸들(41)이, 정면에서 볼 때 좌우에 2개 고정되어있다. 그리고 이 2개의 협체 핸들(41) 하변부 각각이, 수용체(13)의 하부에 설치된 파이프형태 협체 핸들 지지부재(33)에 의해 접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협체 핸들(41)을 안쪽으로 누름으로서, 격벽(43)을 배면측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협체 핸들(41)을 앞으로 끌어당김으로, 격벽(43)을 정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좌우 각각의 협체 핸들(41)의 상변과 하변 사이에는, 이것 들과 평행하게 판형태의 래치부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치부재(42) 각각은, 수용체(13)에 설치된 래치부재 삽입구 (32)에 삽입되고, 격벽(43)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격벽(43)을 수용체(13)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즉, 이 래치부재(42)는, 상면에 톱형태의 이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걸쇄부재 삽입구(32) 위에 설치된 협체 장금 장치(31)의 키와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이에 의해 격벽(43)은 배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정면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게 되어있다. 또한, 격벽(43)을 정면방향으로 이동하고 싶을 경우에는, 협체 잠금 장치(31)의 잠금 해제핀(34)를 조작하여 래치부재(42)의 이(齒)와 협체 잠금 장치(31)의 키와의 계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좋다.
(후지돌출구56)
그런데 앞에서 언급한 격벽(43)의 벽면은, 도1에서 나타내듯이 봉 형태(棒狀)부재(50)이 격자 상으로 쌓아 올려진 구조로 되어있다. 즉, 세로로 가교(架橋)된 격벽 종봉(縱棒)(51)과, 가로로 가교된 격벽 횡봉(橫棒)(52)이, 직행하도록 고정된 것에 의하여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격벽(43) 하부에는 타원형 모양의 후지 돌출구(56)가 좌우로 2개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개구연(緣)이, 고리형태 부재(55)에 의해 보강 되어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격벽(43)을 이동해서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했을 시, 이 후지 돌출구(56)에서 원숭이의 후지를 나오게 하는 게 가능하다.
그리고, 후지 돌출구(56)가 설치된 부분 이외의 격자 부분은, 후지 돌출구 (56)보다 개구가 작은 듯한 간격으로 격자가 형성돼있기 때문에, 원숭이가 후지 이외 부분(예를 들면 전지)을 밖으로 꺼내는 것이 곤란하도록 형성되어있다.
(사용예)
이 보정기(10)의 구체적 사용 예는 아래와 같다.
즉, 우선 원숭이를 수용하는 케이지의 정면 격자의 동살(橫棧)에, 보정기( 10)의 갈고리(22)를 걸어서 보정기(10)를 케이지에 고정한다. 그리고 협체 잠금장치(31)의 잠금 해제 핀(34)를 조작하여, 협체 잠금장치(31)의 키(key)와, 래치부재 (42)의 이(齒)와의 계합을 해제해서, 협체 핸들(41)을 바로 앞으로 당긴다. 이에 의해 격벽(43)을 정면 쪽으로 이동하고, 수용체(13)내에 있어서 원숭이의 수용 공간을 충분한 넓이로 한다.
다음으로, 슬라이드셔터(14)를 위쪽으로 끌어올려서, 슬라이드셔터(14)의 위쪽을 바로 앞으로 당겨 쓰러뜨리고, 수용체(13) 상부에 슬라이드셔터(14)를 겹쳐 놓는다. 이에 의해 수용체(13)의 배면 측을 개방한다. 그래서 케이지 문짝을 열어, 케이지(10)와 보정기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원숭이를 보정기(1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원숭이를 보정기(10) 내부로 이동시켰으면, 슬라이드셔터(14)를 아래로 내림과 동시에 케이지의 문짝을 닫는다.
그리고 협체 핸들(41)를 안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격벽(43)을 배면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수용체(13)의 원숭이의 수용공간을 좁히고,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원숭이의 움직임이 구속되면, 원숭이의 후지를 잡아서 후지 돌출구(56)에서빼내고 주사와 채혈 등의 처치를 행한다.
위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정기에 의하면, 원숭이의 움직임을 구속함과 동시에 원숭이의 후지를 조작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용이하게, 주사와 채혈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의약품 등의 효과를 영장류를 이용하여, 실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정기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양측 면과 윗면과 저면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접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용체의 배면 측을 개폐 가능한 문짝부와,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정면 측으로부터 막으면서, 상기 수용체의 내부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격벽을 가지는 영장류의 보정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수용한 영장류의 후지를 바깥쪽으로 꺼내도록 하기 위한, 후지 돌출구가 설치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의 보정기.
KR1020127003454A 2009-08-07 2010-08-06 영장류의 보정기 KR101217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4258 2009-08-07
JPJP-P-2009-184258 2009-08-07
PCT/JP2010/063363 WO2011016547A1 (ja) 2009-08-07 2010-08-06 霊長類の保定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981A true KR20120037981A (ko) 2012-04-20
KR101217536B1 KR101217536B1 (ko) 2013-01-02

Family

ID=4354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454A KR101217536B1 (ko) 2009-08-07 2010-08-06 영장류의 보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20582B2 (ko)
EP (1) EP2462801B1 (ko)
JP (1) JP5058377B2 (ko)
KR (1) KR101217536B1 (ko)
CN (1) CN102480928B (ko)
CA (1) CA2769858C (ko)
RU (1) RU2544374C2 (ko)
SG (1) SG178206A1 (ko)
WO (1) WO20110165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01B1 (ko) * 2012-05-22 2014-06-27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864B (zh) * 2014-09-02 2020-01-03 北京中科灵瑞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猴多功能组合型实验笼
CN105877865B (zh) * 2014-09-03 2019-05-17 北京中科灵瑞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猴特殊型实验笼
CN115812623B (zh) * 2022-11-16 2023-08-22 武汉科技大学 一种小鼠慢性疲劳综合征单因素造模-束缚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12276A1 (ru) * 1979-01-11 1981-03-15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институт Физиологии Им. И.П.Павлова Клетка дл животных
US4770127A (en) * 1986-10-08 1988-09-13 Volk Seymour A Animal restraining apparatus
US4781147A (en) * 1987-08-14 1988-11-01 Delino Jr Joseph V Portable safety seat and carrier for small animal
JPH0824506B2 (ja) * 1993-12-01 1996-03-13 株式会社新日本科学 霊長類の保定器
JPH119129A (ja) * 1997-06-19 1999-01-19 Tanabe Seiyaku Co Ltd モンキーチェア
US5950566A (en) * 1997-10-30 1999-09-14 Animal Restraint Company Multi-directional telescoping restraining cage for animals
US7162977B1 (en) * 2005-03-01 2007-01-16 Charvat Leeroy Small animal restraint chute
JP3788626B1 (ja) * 2005-09-21 2006-06-21 学校法人立教学院 霊長類の拘束装置
KR100770600B1 (ko) * 2005-10-31 2007-10-26 계룡과학주식회사 원숭이용 케이지
KR100783000B1 (ko) * 2006-10-18 2007-12-07 주식회사 한주 씨엠아이 실험용 동물 사육장 포획장치
JP2008212410A (ja) * 2007-03-05 2008-09-18 Teiyoku Ri 実験動物用保定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01B1 (ko) * 2012-05-22 2014-06-27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영장류의 보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2801A4 (en) 2015-01-14
CA2769858C (en) 2018-03-13
JPWO2011016547A1 (ja) 2013-01-17
EP2462801B1 (en) 2021-09-29
CN102480928B (zh) 2013-09-25
RU2544374C2 (ru) 2015-03-20
US9320582B2 (en) 2016-04-26
EP2462801A1 (en) 2012-06-13
KR101217536B1 (ko) 2013-01-02
RU2012105624A (ru) 2013-09-20
CN102480928A (zh) 2012-05-30
US20120186531A1 (en) 2012-07-26
WO2011016547A1 (ja) 2011-02-10
SG178206A1 (en) 2012-03-29
JP5058377B2 (ja) 2012-10-24
CA2769858A1 (en)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535B1 (ko) 영장류의 보정기
KR101217536B1 (ko) 영장류의 보정기
EP2853157B1 (en) Restrainer for primates
JPH0824506B2 (ja) 霊長類の保定器
JP5931647B2 (ja) 霊長類の保定器
KR101051456B1 (ko) 원숭이 사육용 케이지
SG185658A1 (en) Primate restrai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