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294B1 - 약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약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294B1
KR101412294B1 KR1020117027544A KR20117027544A KR101412294B1 KR 101412294 B1 KR101412294 B1 KR 101412294B1 KR 1020117027544 A KR1020117027544 A KR 1020117027544A KR 20117027544 A KR20117027544 A KR 20117027544A KR 101412294 B1 KR101412294 B1 KR 10141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washing water
medicament
ur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264A (ko
Inventor
에이지 다케무라
히데오 다카다
시게루 사이토
미츠오 다카미네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2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종래의 약제 케이스에서는, 약제 케이스 내에 세정수가 도입되고 있는 동안은 약액은 거의 유출되지 않고, 세정수의 도입이 정지된 후에, 약제 케이스 내의 농도가 높은 약액이 약제 케이스의 하방으로 소량 유출된다. 이것으로는, 소변기 벽면 전체에 약액을 접촉시킬 수 없어, 소변기의 세정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다.
약제 케이스 내에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상기 벽면에 대치하는 면 (이면) 의 상부에 갖고, 이면의 하부에 유출구를 갖고, 약제 케이스의 내부에 약제를 수납하고, 세정시의 세정수의 일부를 도입구로부터 도입하여 수납부의 약제를 향하여 흘려 보내 약제를 용해시켜 약액을 생성하고, 생성된 약액을 세정 후에도 유출구로부터 소변기 벽면에 유출시키는 약제 케이스에 있어서, 유출구보다 개구 면적이 큰 배수구를 유출구의 상부에 갖고, 세정수가 도입되고 있는 동안, 생성된 약액의 오버플로우분을 배수구로부터 유출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약제 케이스{MEDICINAL AGENT CASE}
본 발명은, 소변기 벽면에 장착되어, 벽면을 따라 세정수가 흐르게 될 때마다 세정액이나 그 밖의 약액을 변기측에 배수하는 약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장치로서, 예를 들어 소변기 벽면에 장착되어, 이 벽면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흘러 오는 세정수를 내부에 유입하는 도입구를 상부에 구비한 용기 본체를 갖고, 용기 본체의 내부에 유입된 세정수에 용해시켜 약액을 생성하는 약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부를 용기 본체에 형성함과 함께, 생성된 약액을 배수하는 유출구를 용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에서는, 소변기 벽면을 따라 흘러 떨어지는 세정수를 약제 케이스 내에 도입하지만, 소정량의 세정수가 약제 케이스 내에 도입되면, 그 후에 도입되는 세정수를 세정수인 상태로 약제 케이스 외에 배수하고, 세정수의 흘러 떨어짐이 정지되어 약제 케이스 내에 세정수가 도입되지 않게 되면, 약제 케이스 내에 생성된 약액을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47256호 (도 2, 도 3)
상기 종래의 약제 케이스에서는, 약제 케이스 내에 세정수가 도입되고 있는 동안은 약액은 거의 유출되지 않고, 세정수의 도입이 정지된 후에, 약제 케이스 내의 농도가 높은 약액이 약제 케이스의 하방에 소량 유출된다. 이것에서는, 소변기 벽면 전체에 약액을 접촉시키지 못하여, 소변기의 세정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약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케이스는, 소변기의 세정수가 흐르는 벽면에 장착되는 상자 형상의 약제 케이스로서, 상기 약제 케이스 내에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상기 벽면에 대치 (對峙) 하는 면 (이후, 「이면」이라고 한다) 의 상부에 갖고, 상기 이면의 하부에 유출구를 갖고, 상기 약제 케이스의 내부에 약제를 수납하고, 세정시의 세정수의 일부를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하여 상기 약제를 향하여 흘려 보내 약제를 용해시켜 약액을 생성하고, 생성된 약액을 세정 후에도 상기 유출구로부터 소변기 벽면에 계속해서 유출시키는 약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보다 개구 면적이 큰 배수구를 상기 유출구의 상부에 갖고, 세정수가 도입되고 있는 동안, 상기 생성된 약액의 오버플로우분을 상기 배수구로부터 소변기 벽면에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제 케이스에 대량의 세정수가 도입되면, 도입된 세정수를 세정수인 상태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약제에 접촉시켜 약액으로 한 후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농도가 다소 낮아지기는 하지만, 대량의 약액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의 하측 가장자리의 높이는 사용전의 초기 상태의 약제의 상측 가장자리의 높이와 일치시키는 것이 기본이지만, 세정수의 도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배수는 배수구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를 흐른다. 그래서, 상기 배수구의 하측 가장자리의 높이를, 수납된 상태에서의 약제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세정수가 계속 도입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도입량과 배수량의 밸런스를 도모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배수구로부터의 약액의 배수량이 많으면 그것만으로 약액이 소변기 벽면을 따라 좌우 (소변기의 이용자로부터 봤을 때 약제 케이스 (1) 의 좌우) 로 퍼지는데, 더욱 좌우로의 퍼짐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약제 케이스의 이면 (소변기의 이용자로부터 봤을 때 약제 케이스 (1) 의 이측) 에, 배수구로부터 배수된 약액을 좌우로 분류 (分流) 하는 산형의 홈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홈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홈통의 선단을 약제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시킴과 함께, 그 선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약액의 방향을 소변기 벽면측을 향하게 하는 유출 방향 조절부를 형성하면, 약액이 홈통으로부터 소변기 벽면에 확실하게 도달하게 된다.
도입된 세정수를 약제에 효율적으로 흘려 보내기 위해, 약제 케이스 내에 있어서 약제를 전방측에 편재시키는 칸막이판을 형성함과 함께, 이 칸막이판의 좌우에,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세정수를 약제측에 흘려 보내는 세정수용 개구와, 칸막이판의 중앙에, 약제에 접하여 생성된 약액을 배수구에 대해 유출시키는 약액용 개구를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약액용 개구의 상부에,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세정수의 유세를 완화시키고, 세정수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차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세정수용 개구와 약액용 개구 사이에, 세정수와 약액의 혼합을 방지하는 칸막이를 형성하면, 배수되는 약액의 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통의 후단 가장자리에, 약액의 후방으로의 누출을 방지하고, 좌우로 유도하는 벽부를 형성해도 된다.
추가로 배수구로부터의 약액의 배수가 정지된 후, 홈통에 약액이 흐르지 않으면, 약액을 좌우로 계속 퍼지게 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 홈통의 상부에, 배수구로부터의 약액의 배수가 정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약제 탱크 내의 약액을 홈통 상에 배수하는 보조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약제에 상방으로부터 덮여 약제의 일부를 덮는 커버를 형성하고, 세정수가 도입되었을 때에 내부에 공기를 잔류시켜 커버 내로의 세정수의 진입을 저지하고, 커버로 덮여 있는 부분의 약제에 세정수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약제의 용해 속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약제 케이스에 사용되는 고형의 약제로서, 고체산을 함유하는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입된 세정수를 약액으로 하여 배출할 때에, 세정수가 약제 케이스에 도입되고 있을 때에는 세정수가 오버플로우되기 때문에 그 오버플로우분의 세정수를 약액으로 하여 통상적인 유출구와는 별도 형성한 개구 면적이 큰 배수구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다량의 약액을 소변기 벽면에 흘려 보낼 수 있다. 또, 세정 종료 후에는 오버플로우분이 없기 때문에, 약액은 배수구로부터 배출되지 않게 되어, 통상적인 유출구로부터 계속해서 배출된다. 그 결과, 소변기 벽면이 넓은 범위에 약액을 접촉시킬 수 있어, 약액에 의한 소독이나 세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가 적용되는 2 종류의 소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a) 는 샤워형, (b) 는 스프레더형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세정수 및 약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예 2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3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실시예 4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5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실시예 6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분해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7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실시예 8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실시예 9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 은, 실시예 9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는, 실시예 10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실시예 10 에 관련된 약제 케이스의 조절부 (91) 의 대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입구 (4)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0 의 홈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실시예 11 의 홈통의 사시도 (A) 와 평면도 (B) 와 정면도 (C) 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약제 케이스이고, 소변기 (W) 의 벽면에 장착된 상태의 약제 케이스이고, 걸이 (11) 를 통하여 소변기 (W) 내에 매달려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변기 (W) 에는 2 종류가 있고, 일방은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수의 분출구 (WH) 가 다수 병설된 샤워형으로 불리는 것이고, 타방은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만 분출구 (WH) 가 형성된 스프레더형으로 불리는 것이다. 샤워형에서는 분출구 (WH) 가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의 분출 속도는 느리다. 이에 반하여 스프레더형에서는 분출구가 적기 때문에, 세정수가 강하게 분출되어, 소변기 (W) 전체에 세정수가 널리 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느 형식의 소변기에도 본 발명의 약제 케이스 (1) 를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구 (WH) 에 금속제의 훅 (H) 을 걸어, 그 훅 (H) 에 걸이 (11) 를 걸도록 하였다.
본 도면의 (a) 에서는 근접하는 2 개의 분출구에 훅을 설치하기 때문에, 2 개의 도입구가 세정수의 분출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효과적으로 세정수를 도입할 수 있다. 또 훅 (H) 이 전방으로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된 세정수의 흐름이 훅에 닿아 여기저기로 튀지 않는다. 또, (b) 의 훅도 약제 케이스를 매달음으로써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분출된 세정수가 훅에 닿아 흩날리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약제 케이스 (1) 는 케이스 본체 (2) 와 덮개 (3) 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 (2) 의 좌우측면에는 걸이 (11) 가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소변기 (W) 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변기 (W) 의 벽면에 대치하게 되는 이면에는, 상부에 좌우 1 쌍의 도입구 (4) 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수 (Wa) 는 이 2 개의 도입구 (4) 로부터 케이스 본체 (2) 내에 도입되어, 후술하는 내부의 약제 (C) 가 용해된 약액 (Wf) 이 되고, 동일하게 이면의 하부에 형성한 3 개의 유출구 (51) 로부터 유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유출구 (51) 로부터 유출되는 약액 (Wf) 을 소변기 (W) 의 벽면에 확실하게 흐르도록, 중앙의 유출구 (51) 의 하부에 가이드 (5) 를 형성하였다. 도입구 (4) 는 도 3 및 도 4 에서는 좌우에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늘고 긴 개구 1 개여도 되고, 작은 개구 3 개 이상이어도 되고, 그 위치도 좌우가 아니라 중앙이나 중앙 근처여도 된다. 요컨데, 세정수 (Wa) 를 약제 케이스의 내부에 순조롭게 유입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디여도 된다.
상기 도입구 (4) 와 이 가이드 (5) 의 3 점에서 소변기 (W) 의 벽면에 접해 약제 케이스 (1) 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좌우의 유출구 (51) 에는 각각 서브 가이드 (52) 를 형성하여, 동일하게 약액을 소변기 (W) 의 벽면에 흐르도록 하였다.
도입구 (4)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에는 배수구 (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예 1 인 것에서는, 이 배수구 (7) 의 하측 가장자리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 내에 수납된 약제 (C) 의 상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케이스 본체 (2) 의 좌우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 (22)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 (3) 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격벽 (6) 을 형성하였다. 이 격벽 (6) 은 가이드 (22) 에 걸어맞춰 케이스 본체 (2) 내에 수납되는데, 내부에 수납되는 약제 (C) 는 이 격벽 (6) 의 앞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격벽 (6) 의 하부에는 좌우에 세정수용 개구 (61) 를 형성하여, 도입된 세정수 (Wa) 가 이 개구 (61) 를 통해 약제측에 흐르도록 하였다. 또, 흘러든 세정수 (Wa) 는 약제 (C) 에 접촉하여 약액 (Wf) 이 되는데, 그 약액 (Wf) 이 통과하는 개구 (62) 를 격벽 (6) 의 중앙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 개구 (62) 를 통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른 약액 (Wf) 은 배수구 (7) 로부터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또한, 특히 스프레더형 소변기 (W) 에서는 세정수 (Wa) 가 도입구 (4) 로부터 강하게 케이스 본체 (2) 내에 도입된다. 그래서, 그 유세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차양 (61a, 62a) 을 각각의 개구 (61, 62) 의 상부에 형성하였다.
도 5 에 나타내는 것은 실시예 2 이고, 도 3 에 나타낸 실시예 1 과의 차이점은 배수구 (7) 의 하측 가장자리의 높이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3 에 나타낸 실시예 1 에서는, 배수구 (7) 의 하측 가장자리는 약제 (C) 의 상측 가장자리와 거의 동일한 높이이지만, 도 5 에 나타내는 실시예 2 규격은 이 배수구 (7) 의 하측 가장자리를 5 ㎜ 낮게 하였다.
다음으로 도 6 에 나타내는 실시예 3 에서는, 배수구 (7) 의 하측 가장자리의 높이는 실시예 1 과 동일하지만, 이 배수구 (7) 의 하부에 산형의 홈통 (8) 을 형성하였다. 이 홈통 (8) 의 선단 (82) 은 케이스 본체 (2) 의 측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단 (82) 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약액의 방향을 소변기 (W) 의 벽면측으로 굽는 유출 방향 조절부 (81) 를 형성하였다. 이 유출 방향 조절부 (81) 는 각도 α 후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예 4 에서는, 상기 도 5 에 나타낸 실시예 2 에, 도 6 의 실시예 3 의 홈통 (8) 을 추가하였다.
도 8 에 나타내는 실시예 5 에서는 이 실시예 4 에 대해 추가로 차양 (61a) 을 제거하고, 차양 (62a) 만을 남겼다.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예 6 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실시예 5 에 대해, 개구 (61, 61) 와 개구 (62) 를 나누는 칸막이판 (63) 을 형성하였다.
도 10 에 나타내는 실시예 7 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예 4 에 대해, 통 (8) 의 후부에 세로벽 (83) 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도 11 에 나타내는 실시예 8 에서는, 동일하게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예 4 에 대해, 홈통 (8) 의 상부에 보조 배수구 (84) 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에 나타내는 약제 케이스를 소변기 (W) 에 장착하고, 실제로 세정수를 흘려 보내, 약액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3 개의 유출구 (51) 는 모두 직경 1.5 ㎜ 의 원형이고, 유출구 (51) 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배수구 (7) 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양에 비하면 유출구 (51) 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양은 적다. 그러나, 세정수가 정지된 후에 약제 케이스 내에 고인 약액이 유출구 (51) 로부터 유출되기 때문에, 약제 케이스 (1) 아래 부분의 소변기 벽면을 약액이 세정수에 희석되지 않고 흘러, 변기 하부의 배수 트랩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변기 벽면 중앙부와 배수 트랩의 더러움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C) 로서, 27 g 의 고체산을 세로 25 ㎜ * 가로 52 ㎜ * 높이 17 ㎜ 의 크기로 성형하고, 샤워형 소변기 (W) 인 TOTO 사 제조의 벽걸이 스톨형 소변기 (U370) 에 장착하여, 10 분 간격으로 10 초간 세정수를 흘려보냈다. 그리고, 장착 후 18 시간 경과한 후에 변기의 트랩수와 세정수가 흐르고 있는 10 초간의 용기 하부 (폭 60 ㎜) 와 용기 좌측 (폭 60 ㎜) 의 세정수를 채취하여 약액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시험시의 수온은 21 ℃ 내지 23 ℃ 이고, 약제 케이스 내의 잔존 약제의 중량은 21 g ∼ 22 g 이었다.
고체산으로는, 푸마르산, 아디프산, 오르토프탈산, 숙신산, 말레산, 메틸렌숙신산, 붕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체산은 1 종 단독, 혹은 2 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또, 계면활성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계면활성제로는,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물 및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의 혼합물, 그리고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물 및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사용하였다.
또, 용해한 약제에 착색시키기 위해, 색소를 함유시켜도 된다. 이 색소로는, 식용 청색 1 호 (브릴리언트 블루 FCF) 단독 또는 식용 청색 1 호와 다른 수용해성 색소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1380041-pct00001
또,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스프레더형 소변기로서 TOTO 사 제조의 자동 세정 소변기 (US820C) 에 장착한 경우의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91380041-pct00002
그런데, 상기 약제 케이스 (1) 는 장착되는 소변기의 종류나 형상, 또 수압 등에 의해 내부에 유입되는 수량에 편차가 있다. 그 때문에, 물이 유입되기 어려운 경우로서 충분한 수량의 물을 내부에 유입하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반대로 물을 유입하기 쉬운 지점에 장착하면, 매우 많은 물이 유입되어, 약제 (C) 의 용해 속도가 빨라져 약제 (C) 의 소모가 격렬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C) 에 대해 커버 (9) 를 씌우도록 하였다. 이 커버 (9) 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약제 (C) 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씌워 약제 (C) 의 일부를 덮도록 하였다. 약제 케이스 (1) 내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에 커버 (9) 내의 공기는 커버 (9) 내에 잔류하기 때문에, 물은 커버 (9) 내에 진입할 수 없다. 그 결과, 약제 (C) 의 커버 (9) 로 덮여 있는 부분은 물과 접촉하지 않아, 약제 (C) 의 용해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9) 의 측면에는 현장에서 적절히 잘라낼 수 있는 조절부 (91) 를 형성하였다. 이 조절부 (91) 를 적절한 깊이로 잘라내면, 잘려진 위치까지 물이 커버 (9) 내에 진입하기 때문에, 약제 (C) 와 물의 접촉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 (91) 는 절취가 용이하도록 주위보다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취부의 높이가 상이한 조절부 (91) 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약제의 용해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절부 (91) 대신에 미리 열린 높이가 상이한 구멍 (92) 을 점착 시트나 플라스틱제의 마개 (93) 로 봉해 두고, 필요한 높이의 구멍 (92) 을 개방함으로써 약제의 용해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런데, 약제의 용해 속도는 도입구 (4) 로부터 도입되는 세정수의 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스프레더형 소변기에 있어서는 샤워형 소변기보다 세정수의 분출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약제의 용해가 빨라진다. 그래서,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변기의 세정 방식에 의한 약제의 용해 속도를 변동을 조절하기 위해, 도입구 (4) 의 선단 부분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절개부 (41) 를 형성해 두고, 스프레더형과 같이 세정수의 분출 속도가 빠른 소변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측부 (41a) 를 컷함으로써 도입구 (4) 로부터 도입하는 세정수의 양을 감소시켜, 약제의 용해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9 에서는 커버 (9) 를 별체로 형성했는데, 도 14 에 나타내는 실시예 10 과 같이, 커버 (9) 를 덮개 (3) 에 대해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11:장척 홈통 (8A)〉
도 17 은, 실시예 11 에서, 도 10 의 홈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에 있어서, 8A 가 실시예 11 에 관련된 장척 형상의 홈통 (장척체) 이다. 이 장척 홈통 (8A) 은 단면 コ 자형으로 전체가 약제 케이스 (1) 의 가로폭의 3 배강에 이르는 길이이다. 장척 부분 중 평면에서 봤을 때 (도 17(B)) 약제 케이스 (1) 에 접하는 부분은 곧고, 그곳에서부터 비어져 나와 좌우로 연장되는 부분은 완만하게 정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장척 홈통 (8A) 은 정면에서 봤을 때 (도 17(C))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정점으로 한 완만한 산형을 하고 있다. 장척체의 전체 길이는 사용하는 소변기 벽면의, 예를 들어 뇨석 등을 제거하고 싶은 범위의 길이로 되어 있고, 만곡의 곡률은 사용하는 소변기 벽면의 만곡의 곡률과 일치시키고 있다. 도 17 에서는, 장척 홈통 (8A) 은 약제 케이스 (1) 의 높이의 약 중간의 높이에 그 산형의 정점을 장착하고 있다.
《장척 홈통 (8A) 에 형성된 슬릿 (K) 과 방해판 (J) 의 형상》
그리고, 비어져 나온 부분의 단면 コ 자형의 이측 측벽 (A2) 에는, 그 길이 방향의 복수 지점 (도 17 에서는 3 지점) 에 세로로 긴 폭이 좁은 슬릿 (K) 을 형성하고, 또한 장척 홈통 (8A) 의 내부를 통과하는 약액 (Wf) 의 일부가 슬릿 (K) 을 향하도록 이측 측벽 (A2) 이 슬릿 (K) 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슬릿 (K) 의 상류측 단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장척 홈통 (8A) 의 내부 중앙 근방까지 연장 형성된 방해판 (J) 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장척 홈통 (8A) 의 양 선단에서는 표측 측벽 (A1) 의 단부 (E ; 도 17(B)) 가 소변기 벽면을 향하도록 곡절되어 있다.
《슬릿 (K) 과 방해판 (J) 의 작용·효과》
장척 홈통 (8A) 의 내부를 통과하는 약액 (Wf) 의 일부는 방해판 (J) 에 의해 방향이 슬릿 (K) 방향으로 바뀌고, 슬릿 (K) 으로부터 강하게 소변기 벽면을 향하여 분출된다. 또, 방해판 (J) 과 표측 측벽 (A1) 사이를 빠져나간 약액 (Wf) 은, 하류에 있는 다음의 방해판 (J) 에 의해 방향이 슬릿 (K) 방향으로 바뀌고, 슬릿 (K) 으로부터 강하게 분출되거나, 또는 방해판 (J) 과 표측 측벽 (A1) 사이를 빠져나간다. 모든 방해판 (J) 을 빠져나간 약액 (Wf) 은, 최종적으로 장척 홈통 (8A) 의 선단 (E) 의 슬릿 (K) 으로부터 소변기 벽면을 향하여 강하게 분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척 홈통 (8A) 의 내부를 통과하는 약액 (Wf) 은, 어느 슬릿 (K) 으로부터 소변기 벽면을 향하여 강하게 분출되거나, 혹은 장척 홈통 (8A) 의 선단에 형성된 슬릿 (K) 으로부터 소변기 벽면을 향하여 강하게 분출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17 에 의하면, 오버플로우분의 약액 (Wf) 은 장척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방해판 (J) 에 의해 복수개의 각 슬릿 (K) 으로부터 강하게 분출되기 때문에, 소변기 벽면의 전체면에 걸쳐 약액 (Wf) 이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장척 홈통 (8A) 의 설치 장소》
도 17 에서는, 장척 홈통 (8A) 은 약제 케이스 (1) 에 장착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장척 홈통 (8A) 은 약제 케이스 (1) 로부터 분리하여 약제 케이스 (1) 의 하방에 장착해도 된다. 그 경우, (1) 장척 홈통 (8A) 은 소변기 (W ; 도 1) 에 직접 장착해도 되고, (2) 약제 케이스 (1) 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따로 형성하여, 그것에 장착해도 된다. (2) 의 경우에는, 장척 홈통 (8A) 이 장착된 수납 용기를 도 1 과 같이 소변기 (W) 에 장착하고, 소변기 (W) 에 장착한 수납 용기 중에 약제 케이스 (1) 를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수납하도록 한다. 사용이 끝난 약제 케이스 (1) 는 수납 용기로부터 취출하여, 새로운 약제 케이스 (1) 를 수납 용기 중에 수납하도록 하면, 장척 홈통 (8A) 이 없는 약제 케이스 (1) 의 교환이기 때문에 교환 작업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또, 분리되는 홈통은 도 17 의 장척 홈통 (8A)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6 ∼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홈통 (8) 이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는 특정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9년 5월 2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9-123628호, 2009년 9월 9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9-208008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 … 약제 케이스
2 … 케이스 본체
3 … 덮개
4 … 도입구
5 … 가이드
6 … 격벽
7 … 배수구
8 … 홈통
8A … 장척 홈통
A1 … 표측 측벽
A2 … 이측 측벽
E … 단부
H … 훅
J … 방해판
K … 슬릿
W … 소변기
Wa … 세정수
Wf … 약액
WH … 세정수 분출구

Claims (11)

  1. 소변기의 세정수가 흐르는 벽면에 장착되는 상자 형상의 약제 케이스로서,
    상기 약제 케이스 내에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상기 벽면에 대치하는 면 (이후, 「이면」이라고 한다) 의 상부에 2 개를 갖고, 상기 이면의 하부에 유출구를 갖고, 상기 약제 케이스의 내부에 약제를 수납하고, 세정시의 세정수의 일부를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하여 상기 약제를 향하여 흘려 보내 약제를 용해시켜 약액을 생성하고, 생성된 약액을 세정 후에도 상기 유출구로부터 소변기 벽면에 계속해서 유출시키는 약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보다 개구 면적이 큰 배수구를 상기 유출구의 상부에 갖고, 상기 배수구는 2 개의 도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세정수가 도입되고 있는 동안, 상기 생성된 약액의 오버플로우분을 상기 배수구로부터 소변기 벽면에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하측 가장자리의 높이를, 초기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약제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케이스의 이면에, 배수구로부터 배수된 약액을 좌우로 분류하는 산형의 홈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의 선단을 약제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시킴과 함께, 그 선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약액의 방향을 소변기 벽면측을 향하게 하는 유출 방향 조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제 케이스 내에 있어서 약제를 전방측에 편재시키는 칸막이판을 형성함과 함께, 이 칸막이판의 좌우에,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세정수를 약제측에 흘려 보내는 세정수용 개구와, 칸막이판의 중앙에, 약제에 접하여 생성된 약액을 배수구에 대해 유출시키는 약액용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용 개구의 상부에,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세정수의 유세를 완화시키고, 세정수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차양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용 개구와 약액용 개구 사이에, 세정수와 약액의 혼합을 방지하는 칸막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의 후단 가장자리에, 약액의 후방으로의 누출을 방지하고, 좌우로 유도하는 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의 상부에, 배수구로부터의 약액의 배수가 정지된 후에도 계속해서 약제 탱크 내의 약액을 홈통 상에 배수하는 보조 배수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제에 상방으로부터 덮여 약제의 일부를 덮는 커버를 형성하고, 세정수가 도입되었을 때에 내부에 공기를 잔류시켜 커버 내로의 세정수의 진입을 저지하고, 커버로 덮여 있는 부분의 약제에 세정수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케이스.
  11. 삭제
KR1020117027544A 2009-05-21 2010-05-20 약제 케이스 KR101412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3628 2009-05-21
JPJP-P-2009-123628 2009-05-21
JPJP-P-2009-208008 2009-09-09
JP2009208008 2009-09-09
PCT/JP2010/058571 WO2010134582A1 (ja) 2009-05-21 2010-05-20 薬剤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264A KR20120010264A (ko) 2012-02-02
KR101412294B1 true KR101412294B1 (ko) 2014-06-25

Family

ID=4312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544A KR101412294B1 (ko) 2009-05-21 2010-05-20 약제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445980B2 (ko)
KR (1) KR101412294B1 (ko)
CN (1) CN102439237B (ko)
HK (1) HK1170277A1 (ko)
TW (1) TWI381084B (ko)
WO (1) WO2010134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7683B2 (ja) * 2011-10-21 2016-03-08 株式会社ダスキン 小便器用薬液供給装置の線状取付具
JP5877692B2 (ja) * 2011-11-18 2016-03-08 株式会社ダスキン 小便器用薬液供給装置
KR102328483B1 (ko) * 2019-12-19 2021-11-17 정준우 소변기 세정기
CN112900568A (zh) * 2021-01-20 2021-06-04 广州蓝月亮实业有限公司 洁厕用品容器及液体引流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483U (ko) * 1980-02-06 1981-09-07
JP2003517124A (ja) 1999-12-14 2003-05-2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液吐出便器クリーナ
KR200349570Y1 (ko) * 2004-02-20 2004-05-06 천용건 좌, 소변기용 세정기
JP2005525488A (ja) 2002-05-10 2005-08-2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垂直ウイッキング・システムを使用する便器リム取り付け液体分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3076A (en) * 1986-09-04 1989-02-07 Pfizer Inc. Controlled release device for an active substance
NL9101759A (nl) * 1991-10-22 1993-05-17 Sara Lee De Nv Vloeibaar-reinigings- en/of verfrissingsmiddel voor een toiletpot.
CN1138628A (zh) * 1995-06-16 1996-12-25 成都爱伦精细化学品实业公司 卫生间用固体清洁块
DE19901457B4 (de) * 1999-01-15 2004-03-18 Jeye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en in das Spülwasser eines Toilettenbeckens oder dergleichen
JP3801930B2 (ja) * 2002-02-26 2006-07-26 株式会社ダスキン 水洗トイレ用薬液供給装置
JP4476027B2 (ja) * 2004-06-02 2010-06-09 株式会社ダスキン 小便器用薬液供給装置の取付機構
CN2771339Y (zh) * 2005-02-02 2006-04-12 士平有限公司 用于小便斗的除臭装置
TWI255876B (en) * 2005-03-22 2006-06-01 Airsir Entpr Co Ltd Cleaning and aromatizing device for urinal
US20060236445A1 (en) * 2005-04-20 2006-10-26 Airsir Enterprise Limited Cleaning and aromatizing apparatus for ur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483U (ko) * 1980-02-06 1981-09-07
JP2003517124A (ja) 1999-12-14 2003-05-2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液吐出便器クリーナ
JP2005525488A (ja) 2002-05-10 2005-08-2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垂直ウイッキング・システムを使用する便器リム取り付け液体分配装置
KR200349570Y1 (ko) * 2004-02-20 2004-05-06 천용건 좌, 소변기용 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34582A1 (ja) 2012-11-12
KR20120010264A (ko) 2012-02-02
WO2010134582A1 (ja) 2010-11-25
HK1170277A1 (en) 2013-02-22
TWI381084B (zh) 2013-01-01
CN102439237B (zh) 2014-11-05
CN102439237A (zh) 2012-05-02
JP5445980B2 (ja) 2014-03-19
TW201105840A (en)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3608B1 (en) Rimless toilet with flush water distribution apparatus
JP7065066B2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KR101412294B1 (ko) 약제 케이스
US20200063420A1 (en) Toilet anti-splash device
ES2213026T3 (es) Recipiente dispensador.
PT3002374T (pt) Cestinho de sanita com elemento de distribuição de água de enxaguamento
KR20160002966A (ko)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JP5578814B2 (ja) 薬剤供給具
US20100125942A1 (en) Pool Skimmer with Integral Disinfectant Dispenser
CN101082225B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PL198922B1 (pl) Dozownik płynu do czyszczenia miski ustępowej
JP4291636B2 (ja) 水はね防止具
JP5020309B2 (ja) 薬剤供給具
JP3801930B2 (ja) 水洗トイレ用薬液供給装置
JP4457719B2 (ja) 薬液吐出容器
JP4341339B2 (ja) 薬液吐出容器
JP6455800B2 (ja) 小便器
JP6669981B2 (ja) 小便器
JP6514450B2 (ja) 排水口用ぬめり取り器
JP5796820B2 (ja) 洗面器
KR100822893B1 (ko) 남성용 비데
CN209907500U (zh) 排水管清洁剂供给装置
JP4461324B2 (ja) 薬剤供給具
TR2021021125A2 (tr) Temi̇zleme sivisinin i̇leti̇lmesi̇ i̇çi̇n bi̇r yönlendi̇ri̇ci̇ si̇stem
JP2001115533A (ja) 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