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966A -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66A
KR20160002966A KR1020157032993A KR20157032993A KR20160002966A KR 20160002966 A KR20160002966 A KR 20160002966A KR 1020157032993 A KR1020157032993 A KR 1020157032993A KR 20157032993 A KR20157032993 A KR 20157032993A KR 20160002966 A KR20160002966 A KR 2016000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owl
siphon
receiving container
toilet
bea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스 레플러
안케 클렘슈타인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6000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블록 (2) 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 (16) 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1) 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 (1) 는 변기 블록 (2) 용 수용 컨테이너 (3) 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 블록을 통해 플러싱 워터가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수용 컨테이너는 변기통 내에 배치되도록 되며,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는: - 리테이너 (10) 에 의해 변기통의 엣지에 고정될 수 있고, - 사용 위치에서 저부가 되는 수용 컨테이너의 구역에 베이슨 저부 (5) 를 갖는 베이슨 (4) 을 형성하고, - 플러싱 워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6) 및 하나의 출구 (7) 를 구비하고, - 출구 (7) 를 통해 변기통에 유동 연결부를 갖고, 사이펀 (8) 은 출구 (7) 의 상류에 배치되고 수용 컨테이너 (3) 에서 플러싱 워터에 대한 트리거링 한계 레벨 (17)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을 규정하고, 상기 트리거링 한계 레벨 (17)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에 의해 사이펀 (8) 을 통한 플러싱 워터의 배출은 각각 시작 및 중지할 수 있으며, 수용 컨테이너 (3) 는 지지 표면 (9.1) 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 (9) 를 포함하고, 지지 플레이트는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보다 위에서 변기 블록을 홀딩하고, 지지 플레이트 (9) 는 사이펀 (8) 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DISPENSING AN ACTIVE-INGREDIENT PREPARATION INTO A TOILET BOWL}
본 발명은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변기통 테두리보다 아래에서 변기통 내에 배치되도록 되는 수용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플러싱 동안 물이 상기 수용 컨테이너를 가로질러서 유동하게 된다.
변기통들의 자동 세정을 위하여, 케이지형 (cage-like) 수용 컨테이너 내의 덩어리 형태의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의 내부 테두리에 부착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플러싱으로 변기 블록의 활성제 제제의 일부는 플러싱 워터에 용해되어 변기통 내에서 플러싱 워터와 함께 분산된다. 추가적으로, 용해된 활성제 제제의 일부는 마찬가지로 세정을 보장하는 변기통의 잔류 워터에 남게 된다.
당해 유형의 디바이스는 US 4168551 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디바이스는 변기 블록을 포함하는 챔버, 및 하류에 있는 추가의 챔버를 구비한다. 변기 블록을 포함하는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분리 벽에 의해 추가의 챔버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디바이스의 단점들은 여러 개의 피스 디자인 및 분리 벽을 유지시키기 위한 격자형 벽의 사용이고, 따라서 비용 집약적인 디자인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낮은 디자인 복잡성을 가지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당해 유형의 디바이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부들을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변기 블록용 수용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컨테이너는 변기통 내에 배치되도록 되며, 상기 변기 블록을 가로질러서 플러싱 유체가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수용 컨테이너는:
- 홀더에 의해 변기통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고,
- 사용 위치에서 저부가 되는 컨테이너의 구역에서 팬 저부를 갖는 팬을 형성하며,
- 플러싱 유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및 하나의 출구를 구비하고,
- 출구를 통해 변기통에 유체 연통 연결되며,
출구로부터 상류에는 사이펀이 배치되고, 사이펀은 수용 컨테이너 내에서 플러싱 유체에 대한 트리거링 한계 레벨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을 규정하고, 트리거링 한계 레벨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에 의해 사이펀을 통한 플러싱 유체의 배출이 시작 및 정지할 수 있으며, 수용 컨테이너는 베어링 표면을 갖는 베어링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베어링 플레이트는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보다 위에서 변기 블록을 홀딩하고, 베어링 플레이트는 사이펀에 고정된다.
수용 컨테이너가 홀더에 의해 변기통에 유지되어서, 사용 위치에서 팬은 홀더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 위치에서, 변기 블록은 베어링 플레이트에 의해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보다 위에서 홀딩된다. 예를 들어,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브라킷 형상의 서스펜션 홀더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변기통 안으로 부분적으로 용해된 활성제 물질을 연속적으로 드리핑 (dripping) 하는 것이 감소되거나, 심지어 전적으로 방지된다는 이점들을 갖는다. 플러싱 워터는 변기 블록을 가로질러서 유동할 수 있고, 팬 저부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출구를 통해 변기통 안으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사이펀을 통한 유동이 일단 시작되면, 팬은 반드시 비워지게 된다. 따라서, 플러싱 워터는 플러싱 이후에 어떠한 남아있는 두드러진 워터 잔류물도 없이 수용 컨테이너의 밖으로 유동한다.
베어링 플레이트는 변기 블록이 베어링 표면 측에서 홀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자인된다. 베어링 표면은 사용 위치에서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부측 표면적이다. 베어링 플레이트는 플러싱 워터가 변기 블록을 가로질러서 동시에 유동할 수 있고 변기 블록으로부터 배수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서, 변기 블록에 남겨진 물의 양은 최소화된다. 변기 블록은 두 번의 연속 플러싱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건조하게 유지된다. 이는 베어링 플레이트와 변기 블록 사이의 접촉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달성된다. 하지만, 사용이 진행된 후에도 변기 블록이 수용 컨테이너 내에서 그의 위치를 유지시킨다는 것을 또한 보장하기 위하여, 베어링 플레이트는 수용 컨테이너의 측벽들 사이에 최소 연장부를 가져야 하고,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사이펀이 1 개의 피스 디자인을 갖는 사이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플레이트와 사이펀 커버가 1 개의 피스 디자인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비용 효과적인 구성을 초래하고, 추가적으로 그의 전체적인 배열체에 탑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사이펀은 출구 파이프와 사이펀 커버를 포함한다. 사이펀 커버는 출구 파이프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외부 파이프를 포함한다. 외부 파이프는 베어링 플레이트에 의해 일 단부에서 폐쇄된다. 사이펀 커버는 출구 파이프의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서, 환형의 갭형 류관 섹션이 출구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 사이의 구역에서 형성된다. 더 하류에서는, 출구 파이프 자체가 류관을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류관은 베어링 표면의 반대편에 위치된 베어링 플레이트 측에 의해 또한 경계지어 진다.
사이펀 커버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1 개의 피스 디자인의 결과로서, 변기 블록이 사용 중에 더 오래 지지된다. 이는 변기통 안으로의 활성제 제제의 분배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보장한다. 사이펀 커버, 그리고 따라서 동시에 베어링 플레이트는 간단한 제조 단계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파이프는 세장형 중공 보디의 세그먼트이고, 원형 또는 다른 단면, 예컨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가질 수 있다. 단면 (단면적; cross-sectional surface) 은 수직 단면 (수직 단면적)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수용 컨테이너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베어링 플레이트와 함께 제 위치에서, 즉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보다 위에서 변기 블록을 유지시키도록 디자인된다. 지지 수단은 수용 컨테이너와 1 개의 피스로 바람직하게는 디자인된다. 지지 수단은 5 ㎟ 미만,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표면적 (지지면) 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작은 표면적으로 인해, 변기 블록과의 접촉은 최소화되고, 결과적으로 변기 블록에 부착되어 남아있는 잔류물 워터의 용적이 또한 최소화된다. 지지 수단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10 개,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6 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4 개이다. 적은 수의 지지 지점들로 인해, 변기 블록과의 접촉은 마찬가지로 최소화되고, 결과적으로 변기 블록에 부착되어 남아있는 잔류물 워터의 용적이 또한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표면은 사이펀 커버의 외부 파이프의 외측 단면적보다 더 크고, 바람직하게는 1.5 배 더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2 배 더 크다. 예를 들어, 파이프가 원형 단면을 가지면, 베어링 표면은 pi*(d2)/4 보다 더 크고, 여기서 d 는 사이펀 커버의 외부 파이프의 외측 직경이다. 베어링 표면은 이 평면에서 최대 표면적의 절반보다 바람직하게는 작고, 구체적으로는 1/4 보다 작다. 최대 표면적은 수용 컨테이너의 내부 단면적이다. 추가로, 수용 컨테이너 내에서 워터 유동 역학 (water flow dynamics) 이 유지되도록 베어링 표면을 충분히 작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트리거링 한계 레벨이 도달되자 마자, 특히 변기 블록이 세정 기능을 갖는 활성제 제제를 또한 포함할 때에 사이펀은 물을 배출하기 시작한다. 매우 큰 베어링 표면은 천공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구멍뚫릴 경우에도 매우 오랫동안 수용 컨테이너 내에서 유동을 지연시키고 팬 내의 잔류 워터 또는 연속 드리핑을 초래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이고, 변기통의 테두리와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기통 내부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벽과 변기통 벽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후방벽이 규정된다. 스페이서들은 플러싱 워터가 모세관 작용의 결과로서 변기통 벽과 후방벽 사이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벽의 외측에 바람직하게는 존재하게 된다. 스페이서들은 변기통 벽에의 스트리킹 (streaking) 및 얼룩들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변기 블록용 베어링 플레이트는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에서 적어도 80 %,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기 블록은 변기 블록의 절반이 소비된 후에도 베어링 플레이트에서 홀딩된다. 이는 특히 2 개 또는 여러 개의 피스의 변기 블록들을 사용할 때에 특히 유리하다: 2 개의 접합된 (예컨대, 함께 접착되거나 공압출된) 부분들 또는 2 개의 분리된 부분들이 있을 수도 있고, 이러한 부분들은 예를 들어 사용하기 전에 수용성 PVA 필름으로 함께 포장된다. 여러 개의 피스의 변기 블록들의 경우에, 1 개의 부분은 세정 작용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다른 1 개의 부분은 컬러링 작용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물론, 변기 블록 내에 2 개 이상의 부분들을 가지는 것이 또한 가능해지고, 더욱이 표백, 석회 스케일 방지 또는 위생 기능들과 같은 추가의 활성제 기능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해진다.
변기 블록이 2 개의 피스이고 1 개의 부분이 컬러링 작용을 포함하면, 이러한 부분이 수용 컨테이너의 컬러와 같은 컬러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컬러는 무색이거나 흰색이 아니다. 컬러링 작용을 포함하지 않는 추가의 부분은 다른 컬러, 바람직하게는 흰색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비자는 변기통 안으로 분배되는 컬러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상이한 활성제 제제가 디바이스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 예는 하나의 변기 블록 부분이 파란색이고 다른 부분이 흰색인 파란색 수용 컨테이너이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의 경우에 수용 컨테이너의 전방벽과 후방벽으로부터 최대 3 ㎜ 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변기 블록들이 사용 위치에서 깊은 곳에 있는 것보다 더 높은 곳에 있는 변기 블록들에 특히 적용된다.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의 작은 거리로 인해, 전방벽과 후방벽은 플러싱 워터에 의해 덜 침식되고, 따라서 사용 위치에서 더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표면은 연속 표면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 컨테이너에는 최소 잔류 워터가 남아 있거나, 심지어 잔류 워터가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 달성된다.
팬 저부가 낮은 지점을 가지는 것 그리고 사이펀이 팬 저부의 가장 낮은 지점에 배치되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플러싱 워터가 수용 컨테이너로부터 사이펀 안으로 유동할 수 있는 사이펀의 입구 개구가 팬 저부보다 기껏해야 10 ㎜,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5 ㎜ 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개구의 레벨은 예를 들어 사이펀 커버와 팬 저부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된다. 사이펀 커버는 예를 들어 치형 하부 엣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부 치형 엣지와 팬 저부 사이의 거리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플러싱 워터는 모세관 작용으로 인해 팬으로부터 외부로 거의 완전하게 유동한다. 이는 사이펀이 팬 저부의 가장 낮은 지점에 배치될 때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변기 블록은 적어도 2 개의 피스이다. 변기 블록의 부분들은 서로 접합될 수 있거나 분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분리되어 있다. 사용 위치에서, 2 개의 부분들 사이의 바운더리는 베어링 플레이트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자의 부분들은 베어링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변기 블록의 양자의 부분들이 상이한 기능을 이행할 때에, 예를 들어 1 개의 세정 부재가 세정 조성물을 함유하고 1 개의 워터 컬러링 부재가 염색 조성물을 함유할 때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근거하여 한 예로서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개방 상태로 도시되고 변기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절단면 A-A 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관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의 절단면 B-B 를 따라서 변기 블록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관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1) 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 (1) 는 브라킷 형상의 홀더 (10) 에 의해 변기통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는 수용 컨테이너 (3)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또한 상이하게 디자인될 수도 있다. 수용 컨테이너 (3) 는 플러싱 워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6) 및 하나의 출구 (7) 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7) 를 통해 변기통에 유체 연통 연결되며, 상기 출구 (7) 로부터 상류에는 사이펀 (8) 이 배치된다. 도 2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사이펀 (8) 은 수용 컨테이너 (3) 의 내부에서 플러싱 워터에 대한 트리거링 한계 레벨 (17)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을 규정한다. 트리거링 한계 레벨 (17) 은 플러싱 워터가 사이펀 (8) 을 통해 수용 컨테이너 (3) 의 내부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하는 때를 결정하는 반면,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은 플러싱 워터가 수용 컨테이너 (3) 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중지하는 때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리거링 한계 레벨 (17)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은 수용 컨테이너 (3) 로부터 플러싱 워터의 원하는, 조절된 배출을 규정한다.
사용 위치에서 저부가 되는 컨테이너의 구역에서, 수용 컨테이너 (3) 는 팬 저부 (5) 를 구비하는 팬 (4) 을 형성하고, 상기 팬 저부 (5) 에는 사이펀 (8) 이 배치된다. 수용 컨테이너 (3) 는 활성제 제제 (16) 를 포함하는 변기 블록 (2) 을 수용한다 (도 3 참조). 입구 (6) 를 통해 수용 컨테이너에 들어갈 수 있는 플러싱 워터는 변기 블록 (2) 을 가로질러서 유동할 수 있다. 베어링 플레이트 (9) 및 지지 수단 (11) 의 결과로서, 변기 블록 (2) 은 팬 저부 (5) 위에서, 그리고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위에서 유지된다. 변기 블록 (2) 이 2 개의 피스인 경우, 부재들 사이의 바운더리 (2.1) 가 베어링 플레이트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 은, 베어링 플레이트 (9) 가 사이펀 (8) 의 일부를 형성하고, 현재 경우에, 베어링 플레이트가 사이펀 커버에 통합식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류관 (19) 을 경계짓는 다는 것을 보여준다. 베어링 플레이트 (9) 는 사이펀 커버의 외부 파이프 (8.1) 의 단면적보다 더 큰 베어링 표면 (9.1) 을 갖는다.
사이펀 커버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1 개의 피스 디자인의 결과로서, 변기 블록은 사용 동안 더 오래 지지된다. 이는, 변기통 안으로의 활성제 제제의 분배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보장한다. 사이펀 커버, 그리고 따라서 베어링 플레이트는 동시에 간단한 제조 단계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위에 배치된다.
1 디바이스
2 변기 블록
2.1 변기 블록의 가능한 분리부
3 수용 컨테이너
4 팬
5 팬 저부
6 입구
7 출구
7.1 출구 파이프
8 사이펀
8.1 외부 파이프
9 베어링 플레이트
9.1 베어링 표면
10 홀더
11 추가의 베어링 표면
12 제 2 개구들
13 입구 개구들
14 출구 파이프
15 하부 구역
16 활성제 제제
17 트리거링 한계 레벨
18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9 류관

Claims (12)

  1. 변기 블록 (2) 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 (16) 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1) 로서,
    변기 블록 (2) 용 수용 컨테이너 (3)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는 변기통 내에 배치되도록 되며,
    상기 변기 블록 (2) 을 가로질러서 플러싱 유체가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는:
    - (브라킷 형상의) 홀더 (10) 에 의해 상기 변기통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고;
    - 사용 위치에서 저부가 되는 컨테이너의 구역에 팬 저부 (5) 를 갖는 팬 (4) 을 형성하며;
    - 플러싱 워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6) 및 하나의 출구 (7) 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7) 를 통해 상기 변기통에 유체 연통 연결되고,
    상기 출구 (7) 로부터 상류에는 사이펀 (8) 이 배치되고,
    상기 사이펀 (8) 은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에서 플러싱 유체에 대한 트리거링 한계 레벨 (17)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을 규정하고, 상기 트리거링 한계 레벨 (17) 및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에 의해, 상기 사이펀 (8) 을 통한 플러싱 워터의 배출이 시작 및 정지할 수 있고,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는 베어링 표면 (9.1) 을 갖는 베어링 플레이트 (9) 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9) 는 상기 터미네이팅 한계 레벨 (18) 보다 위에서 상기 변기 블록 (2) 을 홀딩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9) 는 상기 사이펀 (8) 에 고정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8) 은 바람직하게는 1 개의 피스인 사이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9) 및 상기 사이펀 커버는 1 개의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표면 (9.1) 은 사이펀 커버의 외부 파이프의 외측 단면적보다 더 큰, 바람직하게는 1.5 배 더 큰, 더 바람직하게는 2 배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표면 (9.1) 은 수용 컨테이너 (3) 내의 이러한 평면에서 최대 이용가능한 표면적의 절반보다 작은, 구체적으로는 1/4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9) 는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의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에서 적어도 8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는 베어링 플레이트 (9) 와 함께 상기 변기 블록 (2) 을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9) 는 상기 수용 컨테이너 (3) 의 전방벽과 후방벽으로부터 각각 최대 3 ㎜ 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표면 (9.1) 은 연속 표면으로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블록 (2) 은 2 개의 이상의 피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피스 디자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블록의 2 개의 부분이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9) 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은 플러싱 유체가 상기 수용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사이펀 (8) 안으로 유동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팬 저부 (5) 보다 기껏해야 10 ㎜, 더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5 ㎜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블록으로부터 변기통 안으로 수용성 활성제 제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57032993A 2013-04-19 2014-03-12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60002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7126.4 2013-04-19
DE102013207126.4A DE102013207126A1 (de) 2013-04-19 2013-04-19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Wirkstoffzubereitung in ein Toilettenbecken
PCT/EP2014/054788 WO2014170067A1 (de) 2013-04-19 2014-03-12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wirkstoffzubereitung in ein toilettenbec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66A true KR20160002966A (ko) 2016-01-08

Family

ID=5027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993A KR20160002966A (ko) 2013-04-19 2014-03-12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32576A1 (ko)
EP (1) EP2986786B1 (ko)
KR (1) KR20160002966A (ko)
CN (1) CN105143566A (ko)
DE (1) DE102013207126A1 (ko)
RU (1) RU2015149309A (ko)
WO (1) WO2014170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9705B2 (en) 2016-07-05 2020-06-02 Willert Home Products, Inc. Toilet bow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290602A1 (en) 2016-09-05 2018-03-07 Eurvest S.A. A toilet basket with a clean water tank sweeping the flow of active water
EP4137374A1 (en) 2018-07-12 2023-02-22 Amsted Rail Company, Inc. Brake monitoring systems for railcars
USD912761S1 (en) 2019-06-07 2021-03-09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block
USD923139S1 (en) 2019-06-07 2021-06-22 S. C. Johnson & Son, Inc. Set of toilet rim-blocks
USD914131S1 (en) 2019-06-07 2021-03-23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block holder
USD968556S1 (en) * 2020-11-18 2022-11-01 Henkel Ag & Co. Kgaa Toilet rim blocks
USD969962S1 (en) * 2020-11-18 2022-11-15 Henkel Ag & Co. Kgaa Toilet rim blocks
DE102021111040A1 (de) 2021-04-29 2022-11-03 Henkel Ag & Co. Kgaa Thermogeformtes WC-Körbchen mit Lippe zum Auffangen von Spülwass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8551A (en) 1978-04-24 1979-09-25 Globol-Werk Gmbh Toilet flush water colorizer
GB2194258B (en) * 1986-08-15 1990-11-21 Jeyes Group Ltd Lavatory cleansing devices
US4777670A (en) * 1988-01-13 1988-10-18 S. C. Johnson & Son, Inc. Under-the-rim dispensing unit
US6055679A (en) * 1995-03-03 2000-05-02 S. C. Johnson & Son, Inc. Passive lavatory cleanser dispensing system
GB2339210A (en) * 1998-07-06 2000-01-19 Reckitt & Colman France Toilet bowl dispenser with means to delay water egress
ATE406433T1 (de) * 2001-11-13 2008-09-15 Reckitt Benckiser Inc Verbesserungen an hilfsmitteln zur säuberung einer toilettenschüssel
US6662380B1 (en) * 2002-08-29 2003-12-16 S.C. Johnson & Son, Inc. Dual action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GB0314928D0 (en) * 2003-06-26 2003-07-30 Reckitt Benckiser Inc Improved dispensing device
GB0406616D0 (en) * 2004-03-24 2004-04-28 Jeyes Group Ltd Dispenser for releasing treatment composition into a toilet bowl
AU2004235680A1 (en) * 2004-12-07 2006-06-22 Re.Le.Vi. S.P.A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DE602007001200D1 (de) * 2006-03-14 2009-07-16 Deoflor Spa Vorrichtung zur Abgabe von Reinigungs-, Desinfekti/oder zum Mischen dieser Mittel mit dem Spülwasser von Toilettenbecken oder Wasser- und Sanitäreinrichtungen allgemein
WO2007148054A1 (en) * 2006-06-23 2007-12-27 Reckitt Benckiser Inc. Improvements in dispensing devices and compositions therefor
GB0817944D0 (en) * 2008-10-01 2008-11-05 Reckitt Benckiser Inc Improvements in lavatory dispensing devices
CN201395841Y (zh) * 2008-11-17 2010-02-03 张大光 可重新充填洗洁剂的自动定量释出盒
CN202099856U (zh) * 2010-10-21 2012-01-04 叶大卫 一种水箱内溶剂缓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07126A1 (de) 2014-10-23
CN105143566A (zh) 2015-12-09
EP2986786B1 (de) 2021-04-28
US20160032576A1 (en) 2016-02-04
EP2986786A1 (de) 2016-02-24
RU2015149309A (ru) 2017-05-24
WO2014170067A1 (de)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2966A (ko)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US7971284B2 (en) Flushing water guiding arrangement for a toilet bowl
US3521306A (en) Dispensers for flush tank toilet fixtures
ES2135233T5 (es) Cestilla de inodoro para preparaciones de sustancia activa liquidas o pastosas.
RU24941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ел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флюида активного вещества в промывочную воду унитаза, а также для ароматизации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EP1341974B1 (en) Device with multiple toilet care action
KR20170019381A (ko) 위생도기 세정 시스템
US4534071A (en) Automatic dispenser for disinfectant and bowl cleaning fluid
US20090064401A1 (en) Toilet Device With Improved Fragrance Delivery
JP5469093B2 (ja) オンタンク式トイレディスペンサ
US8266728B2 (en) Toilet device with cleanser and fragrance
KR101479138B1 (ko) 플로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자동공급기
US10947712B2 (en) Device for delaying introduction of agents to a cistern
KR101908846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HRP20050264A2 (en) Multiple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bowl
EP3114286B1 (en) Sanitary ware product comprising dispenser
GB2563227A (en) In-the-bowl dispensing device
KR101412294B1 (ko) 약제 케이스
US6820287B2 (en) Down-stroke dispenser
US20180305913A1 (en) Tablet Diffusing Device
GB2495307A (en) Dispensing Apparatus and Valve Means for delivering a dose of a liquid additive into a lavatory cistern
ATE331850T1 (de) Abgabevorrichtung für farbige flüssigkeit in ein toilettenbecken
HRP20040585B1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GB2339210A (en) Toilet bowl dispenser with means to delay water egress
RU2343248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смывную жидкость в туалетном бачк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