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509B1 -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 Google Patents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509B1
KR101410509B1 KR1020120121949A KR20120121949A KR101410509B1 KR 101410509 B1 KR101410509 B1 KR 101410509B1 KR 1020120121949 A KR1020120121949 A KR 1020120121949A KR 20120121949 A KR20120121949 A KR 20120121949A KR 101410509 B1 KR101410509 B1 KR 10141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drum
heat insulating
ready
heat
insulat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310A (ko
Inventor
신후철
Original Assignee
엔피에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에프(주) filed Critical 엔피에프(주)
Priority to KR102012012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5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28C5/0825Drum insu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mixed concrete, e.g. having rotatable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복수개로 분할된 인테그랄 스킨 폼 재질의 단열패드(10)가 믹서드럼(D) 외주면을 감싸주되, 상기 단열패드(10)는 단부(11)가 서로 맞물리는 단차구조로 이루어져 균일한 접합면이 형성되는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에 관한 것으로, 인테그랄 스킨 폼 재질을 적용하여 단열재의 외장이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지고, 단열패드의 단차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접합되어 얇고 균일한 두께의 접합면이 형성되므로 기존 믹서드럼의 구조변형 없이 적용이 용이해져 활용도가 높아지며, 단열패드가 폴리머나 흡착판에 의해 믹서드럼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설치가 간소화되고, 접합면의 단차구조가 외부공기나 수분의 직접적인 유입을 차단함에 따라 방수처리의 필요성이 줄어 설치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Mixer drum insulation cover for Ready-mixed concrete vehicles}
본 고안은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제 혼합통 외면에 설치되어 믹서드럼 내부의 콘크리트 조성물이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상태로 보존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에 관한 것이다.
레미콘차량은 사전에 혼합된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작업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믹서드럼이 회전기동하여 내부의 콘크리트가 혼합되므로 운반중의 경화가 방지된다.
그러나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겨울철이나 뜨거운 여름철에는 외부온도의 영향을 받아 믹서드럼 내부의 콘크리트 조성물이 변질되어 기능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 부직포와 같은 단열직물을 믹서드럼 외주면에 감싸 단열성을 개선하고 있으나 이러한 단열직물의 경우 눈이나 비에 쉽게 오염되고, 그 과정에서 흡수된 수분이 믹서드럼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탈색이 쉽게 발생하므로 차량의 외관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76078호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 제시된 레미콘차량의 혼합통 단열커버에 대한 것으로, 발포수지 단열층(11)을 내부에 형성한 합성수지제 커버(10)를 분할하여 혼합통의 외면을 감싸며 커버 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연결편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혼합통에 부착되는 단열커버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레미콘차량의 경우 차체와 믹서드럼 사이의 간격이 20mm 내외 정도인데 비해 상술한 단열커버의 경우 볼트의 삽입공간 확보를 위한 연결편이 절곡 성형됨에 따라 단열재를 제외한 연결편만으로도 20mm이상 폭이 확장되므로 기존차량과 혼합통 간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지 않고는 설치가 어려우며, 이렇게 돌출 성형된 연결편은 혼합통의 회전시 주변 기물이나 작업자에 피해를 끼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서로 맞물리는 연결편의 고정을 위해 다수의 볼트가 사용됨에 따라 볼트체결의 반복으로 고정작업이 번거롭고, 단열커버간의 긴밀한 밀착이 어려워 연결편 사이의 공극이 발생하므로 단열효과가 떨어지며, 상기 공극으로 수분이 유입될 경우 혼합통의 부식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수처리로 인해 설치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편의 돌출구조가 제거되어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부착과정이 간소화되어 설치가 간편한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개로 분할된 인테그랄 스킨 폼 재질의 단열패드(10)가 믹서드럼(D) 외주면을 감싸주되, 상기 단열패드(10)는 단부(11)가 서로 맞물리는 단차구조로 이루어져 균일한 접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열패드(10)는 믹서드럼(D)과의 접촉면에 폴리머(P)가 도포되어 믹서드럼(D)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패드(10)는 믹서드럼(D) 표면에 부착되는 흡착판(13)이 내측면(12)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패드(10)는 내측면(12)에 다수의 홈(14)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테그랄 스킨 폼 재질을 적용하여 단열재의 외장이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지고, 단열패드의 단차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접합되어 얇고 균일한 두께의 접합면이 형성되므로 기존 믹서드럼의 구조변형 없이 적용이 용이해져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열패드가 폴리머나 흡착판에 의해 믹서드럼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설치가 간소화되고, 접합면의 단차구조가 외부공기나 수분의 직접적인 유입을 차단함에 따라 방수처리의 필요성이 줄어 설치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의 단열커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에 흡착판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에 흡착판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의 내측면에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복수개로 분할된 인테그랄 스킨 폼 재질의 단열패드가 믹서드럼 외주면을 감싸주되, 상기 단열패드는 단부가 서로 맞물리는 단차구조로 이루어져 균일한 접합면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패드(10)는 인테그랄 스킨 폼 가공방식으로 제작되며, 외부온도의 영향을 쉽게 받는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D) 표면에 부착되어 단열층을 형성한다. 믹서드럼(D) 표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분할 가공되어 개별 부착되므로 레미콘차량에 설치된 믹서드럼(D)을 분리하지 않고도 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각각의 단열패드(D)는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11)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서로 맞물리므로 접합부위를 포함하는 단열패드(10)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어 믹서드럼(D)과 레미콘 차량사이의 공간인 20mm내의 두께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단열패드(10) 부착을 위한 믹서드럼(D)의 구조 변경 필요성이 줄어들며, 결합부위가 돌출되어 믹서드럼(D) 회전시 주위 기물에 손상을 입히는 상황이 방지된다.
또한, 단부(11)가 단차형성되어 단열패드(10) 내외측으로 노출되는 접합선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에 따라 외부공기나 수분, 이물질의 직접적인 유입을 차단되어 기밀유지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단열패드(10)와 믹서드럼(D)의 결합은 각각의 단열패드(10)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볼트를 체결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일반적인 방식을 적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방식은 통상의 것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상기 단열패드(10)를 구성하는 인테그랄 스킨 폼은 밀도가 높은 표피층과 가볍고 부드러운 내부의 발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형 폴리우레탄폼의 일종이며 단열, 방음효과가 우수한 발포층을 질긴 표피층이 감싸 보호함으로써 폴리우레탄폼의 고질적인 파손문제가 개선되었다. 가볍고 촉감과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발포층이 완충효과를 가져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므로 기계부품이나 각종설비의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단열패드(10)는 믹서드럼(D)과의 접촉면에 폴리머(P)가 도포되어 믹서드럼(D)에 일체로 부착된다. 폴리머(P)는 점성을 갖는 액상으로 믹서드럼표면에 도포되어 피막을 형성하며 레진, 아크릴, 우레탄, 테프론 계열의 폴리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머(P)는 내수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하므로 금속제 믹서드럼(D) 표면이 수분이나 대기에 직접 노출되어 부식이나 변성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피막이 경화되기 전에 단열패드(10)가 부착되어 별도의 부착수단 없이도 단열패드(1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폴리머(P)는 단열패드(10)간의 체결력 강화를 위해 단열패드(10) 단부(11)의 접합면 상에도 도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접합면의 기밀유지가 개선되어 내수성과 단열성을 보강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패드(10)는 믹서드럼(D) 표면에 부착되는 흡착판(13)이 내측면(12)에 구비된다. 상기 흡착판(13)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단열패드(10)의 내측면(12)에 복수개가 분산 배치되며, 체결력 강화를 위해 단열패드(10)의 내측면(12)에 일체로 발포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피층이 조밀하고 매끈한 조직으로 형성되는 인테그랄스킨폼의 특성상 흡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패드(10)와 일체로 발포 성형됨에 따라 단열패드(10)와 흡착판의 분리되는 성형 및 고정불량현상이 방지된다. 참고로, 각각의 흡착판(13)은 믹서드럼(D) 표면에 동시에 압착되어 하중을 분산지지하므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단열패드(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인테그랄 스킨 폼으로 제작되고 복수 개로 분할되어 경량화가 용이하므로 흡착판(13)만으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단열패드(10)는 믹서드럼(D)과의 접촉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홈(14)이 가공된다. 각각의 홈(14)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단열패드(10)의 내측면(12)에 가공되며 믹서드럼(D)과 결합을 통해 공기층을 형성해 단열효과가 개선되고, 작동과정에서의 소음유출을 감소시켜주며, 부착과정에서 폴리머(P)가 홈(14)상으로 일부 유입되어 단열패드(10)의 고정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10 : 단열패드 11 : 단부
12 : 내측면 13 : 흡착판
14: 홈 D : 믹서드럼
P : 폴리머

Claims (4)

  1. 복수개로 분할된 인테그랄 스킨 폼 재질의 단열패드(10)가 믹서드럼(D) 외주면을 감싸주되,
    상기 단열패드(10)는 단부(11)가 서로 맞물리는 단차구조로 이루어져 균일한 접합면이 형성되고, 믹서드럼(D)과의 접촉면에 폴리머(P)가 도포되어 믹서드럼(D)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10)는 믹서드럼(D) 표면에 부착되는 흡착판(13)이 내측면(12)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10)는 내측면(12)에 다수의 홈(14)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미콘 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KR1020120121949A 2012-10-31 2012-10-31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KR10141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49A KR101410509B1 (ko) 2012-10-31 2012-10-31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49A KR101410509B1 (ko) 2012-10-31 2012-10-31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10A KR20140055310A (ko) 2014-05-09
KR101410509B1 true KR101410509B1 (ko) 2014-06-30

Family

ID=5088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949A KR101410509B1 (ko) 2012-10-31 2012-10-31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8269B (zh) * 2019-12-21 2021-06-22 济南铭洋建设机械有限公司 一种双卧轴搅拌机
CN113059698A (zh) * 2021-04-12 2021-07-02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一种多层保温混凝土搅拌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481A (ja) * 1994-04-15 1995-10-31 Nibetsukusu Kk ガラス戸用断熱パネル
KR0126017Y1 (ko) * 1996-03-23 1998-09-15 최종탁 레미콘차량의 혼합통 보온커버
JP2008036970A (ja) * 2006-08-07 2008-02-21 Nishimatsu Constr Co Ltd ドラムカバーおよび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車
KR20120107574A (ko) * 2011-03-22 2012-10-04 김정근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481A (ja) * 1994-04-15 1995-10-31 Nibetsukusu Kk ガラス戸用断熱パネル
KR0126017Y1 (ko) * 1996-03-23 1998-09-15 최종탁 레미콘차량의 혼합통 보온커버
JP2008036970A (ja) * 2006-08-07 2008-02-21 Nishimatsu Constr Co Ltd ドラムカバーおよび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車
KR20120107574A (ko) * 2011-03-22 2012-10-04 김정근 경량 단열 욕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10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59B1 (ko)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KR20080086805A (ko) 신축이음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1410509B1 (ko) 레미콘차량의 믹서드럼 단열커버
JP2006291610A (ja) 流し台のカウンター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557775B1 (ko) 폴리에틸렌수지시트가 금속판에 접합된 방수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구조 및 방법
KR101455586B1 (ko)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공법 및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시스템
JP2014005930A (ja) 流水管補修工法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1614749B1 (ko) 방수기능을 겸비한 방수층 보호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65374B1 (ko) 조인트가 구비된 합성 수지관 및 그 접속 구조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2759187B2 (ja) シートパネル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取り付け構造
JP4859624B2 (ja) コンクリートの誘発目地部の化粧目地材
JP2008156940A (ja) キッチンカウンタ
JPS6363828A (ja) コンクリ−ト構造体の防水接合方法
JP4644024B2 (ja) パイプシャフト構造
KR0136830B1 (ko) 건축물바닥의방진패드
KR20038421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286472Y1 (ko) 수팽창성 지수재
JP3876800B2 (ja) 止水用シーリング工法
JP2010216134A (ja) 防水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852178B2 (ja) 防食被覆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目地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