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17B1 - 보행형 콩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보행형 콩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17B1
KR101409817B1 KR1020120025143A KR20120025143A KR101409817B1 KR 101409817 B1 KR101409817 B1 KR 101409817B1 KR 1020120025143 A KR1020120025143 A KR 1020120025143A KR 20120025143 A KR20120025143 A KR 20120025143A KR 101409817 B1 KR101409817 B1 KR 10140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outlet
beans
discharging
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025A (ko
Inventor
김창동
Original Assignee
김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동 filed Critical 김창동
Priority to KR102012002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형 콩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하방 양측에 주행을 위하여 장착되는 주행륜과, 프레임의 전방에 주행과 탈곡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조작을 위한 핸들을 장착한 운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운반수단의 프레임에는 기체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구동풀리를 가지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탈곡드럼을 내장시켜 커버로 마감하고, 상기 탈곡드럼의 일측에 탈곡할 콩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대향측에 탈곡된 콩대를 배출하는 콩대배출구와, 상기 콩대배출구의 하방에 형성하여 탈곡 되어 선별된 콩깍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콩깍지배출구와, 상기 기체의 후방에 탈곡된 순수 콩을 배출하는 콩배출구를 가지는 탈곡기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구 위치의 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하는 작업발판과, 상기 콩배출구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콩을 자루에 용이하게 회수하면서 자루 회수시에도 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곡부와, 상기 콩깍지배출구의 하방에 설치하여 콩깍지와 함께 배출되는 잔여 콩을 회수하기 위한 콩회수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보행형 콩 탈곡장치{THRESHING MACHINE FOR SOYBEAN}
본 발명은 보행형 콩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에 의하여 직접 작업지로 이동하여 콩을 탈곡할 수 있도록 개선한 콩 탈곡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수확한 콩을 껍질 및 콩대와 분리하여 알맹이를 얻기 위한 콩 탈곡기는 종래에도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선행하여 특허(제 465753 호)를 받은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이 적용된 콩 탈곡기의 구성을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콩 탈곡기(50)는, 개략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1)의 상부 중앙에 경운기나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구동풀리(52)를 가지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탈곡드럼(53)이 커버(54)로 마감되어 장착된다.
상기 탈곡드럼(53)에는 공급되는 콩을 껍질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탈곡핀(55)을 등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탈곡드럼(53)의 전방에는 탈곡할 콩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56)를 형성한다.
상기 탈곡드럼(53)의 하방에는 탈곡 된 순수 콩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57)을 형성한 선별망(58)을 구비하고, 상기 선별망(58)의 하방에는 탈곡 된 콩을 일측으로 모으는 스크류(60)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60)는 구동풀리(52)의 대향 측에 설치되는 피동풀리(61)와 프레임(51) 하단에 횡 방향에 설치되는 보조축(62)의 일단에 구비되는 풀리(63)와 밸트(64)로 연결하고, 보조축(62)의 다른측에 고정되는 풀리(65)는 스크류(60)의 축(66)에 구비되는 풀리(67)와 밸트(68)로 연결하여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60)의 후측방에는 콩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단 일측에 토출구(69)를 가지는 엘리베이터(70)를 설치하여 탈곡된 콩을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엘리베이터(70)의 구동은 엘리베이터(70) 상측에 구비되는 풀리(71)와 피동풀리(61) 내측에 더 구비되는 풀리(72)를 밸트(73)로 연결한다.
상기 탈곡드럼(53)의 후방에는 탈곡완료된 껍질과 콩대를 탈곡기(50)의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콩대배출구(75)를 형성하고, 선별망(58)의 하방에는 선별망(58)을 통과한 콩이 스크류(6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가이드(76)를 설치하고, 상기 콩대배출구(75)의 하방에는 콩깍지를 배출하기 위한 콩깍지배출구(77)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콩 탈곡장치는 작업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경운기 또는 트랙터와 같은 견인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상 별도의 농기계와 함께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자체적인 동력 또한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탈곡을 위해서도 경운기 또는 트랙터의 힘을 빌려야 하기 때문에 탈곡에 많은 장비들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작업지에 이동한 상태에서도 우리나라 전,답지의 특성상 한 곳에서 넓은 면적이 존재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한 곳에서 집중하여 탈곡을 수행하여 작업을 종료하는 것이 어렵고, 좁은 반경 내에서 자주 이곳저곳을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이 이때마다 견인기와의 동력을 절환하는 작업과 이동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고 이러한 준비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콩 탈곡 작업보다 부수적인 작업에 피로를 더 많이 느끼게 된다.
또한 콩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탈곡 된 콩이 배출되는 것을 자루에 수용하게 되는 데, 배출공에 연결된 자루에 콩이 가득 찰 경우 이를 새로운 자루로 교환하여야 하는 데 작업자 혼자서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한 사람은 콩이 채워진 자루를 이탈시키고 다른 한 사람은 새로운 자루를 배출공에 결합하는 동작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자루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호흡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콩이 새로운 자루로 들어가지 못하고 일정시간 동안 바닥으로 배출되므로 다시 이를 수거하기 위한 후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탈곡과정에서 콩대는 콩대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꽁깍지는 콩대배출구 하방에 형성되는 콩깍지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데, 이 과정에서 콩깍지와 함께 잔여 콩들이 배출되므로 탈곡한 콩의 손실이 많게 되므로 콩 수확량을 저하시는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하방 양측에 주행을 위하여 장착되는 주행륜과, 프레임의 전방에 주행과 탈곡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조작을 위한 핸들을 장착한 운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운반수단의 프레임에는 기체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구동풀리를 가지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탈곡드럼을 내장시켜 커버로 마감하고, 상기 탈곡드럼의 일측에 탈곡할 콩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대향측에 탈곡된 콩대를 배출하는 콩대배출구와, 상기 콩대배출구의 하방에 형성하여 탈곡 되어 선별된 콩깍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콩깍지배출구와, 상기 기체의 후방에 탈곡된 순수 콩을 배출하는 콩배출구를 가지는 탈곡기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구 위치의 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하는 작업발판과, 상기 콩배출구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콩을 자루에 용이하게 회수하면서 자루 회수시에도 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곡부와, 상기 콩깍지배출구의 하방에 설치하여 콩깍지와 함께 배출되는 잔여 콩을 회수하기 위한 콩회수대를 더 포함하여;
탈곡기 자체를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주행시켜 작업지로 이동시키고 탈곡할 수 있어 탈곡효율을 높이면서도 탈곡 된 콩의 유실을 방지하여 수확량을 증대시켜 농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하여 자주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운반차에 콩탈곡기를 장착하여 작업지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동력운반차의 동력을 이용하여 탈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탈곡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탈곡된 콩을 수용하는 집곡 과정과 콩깍지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잔여 콩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도시한 정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도시한 배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집곡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집곡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콩회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콩회수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통상적인 콩 탈곡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도시한 정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도시한 배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집곡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집곡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콩회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를 구성하는 콩회수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보행형 콩 탈곡장치(100)는, 프레임(101)의 하방 양측에는 주행을 위한 수단으로 바퀴 또는 무한궤도로 구성되는 주행륜(102)을 장착하고, 상기 프레임(101)의 전방에는 주행과 탈곡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3)과 조작을 위한 핸들(104)을 장착한 운반수단(105)을 구비한다.
상기 운반수단(105)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동력운반차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인 구성과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1)의 상방에는 개략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기체(106)에 엔진(103)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구동풀리를 가지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탈곡드럼(107)을 내장시켜 커버(108)로 마감하여 장착하고, 상기 탈곡드럼(107)의 일측에는 탈곡할 콩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109)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탈곡된 콩대를 배출하기 한 콩대배출구(110)를 형성하고, 상기 콩대배출구(110)의 하방에는 탈곡 되어 선별된 콩깍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콩깍지배출구(111)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106)의 후방(엔진과 반대 방향)에는 탈곡된 순수 콩을 배출하기 위한 콩배출구(112)를 가지는 탈곡기(114)를 설치한다.
상기 탈곡기(114)의 구성과 작동은 공지되고 주지된 상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탈곡기(114)를 가지는 보행형 콩 탈곡장치(100)에 부가되는 새로운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투입구(109) 위치의 프레임(101)에는 작업발판(115)을 접철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작업발판(115)의 외측단과 기체(106) 사이에는 와이어, 로프 또는 체인고 같은 유지수단(116)으로 연결하여 펼친 상태에서 작업발판(115)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탈곡할 콩의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콩배출구(112)에는 배출되는 콩을 자루에 용이하게 회수하면서 자루 회수시에도 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집곡부(1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콩깍지배출구(111)의 하방에는 콩깍지와 함께 배출되는 잔여 콩을 회수하기 위한 콩회수대(140)를 더 설치한다.
상기 집곡부(120)는, 콩배출구(112)에 용접 또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광하협(上曠下狹,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음)형상의 집곡호퍼(121)를 설치한다.
상기 집곡호퍼(121)의 하측에는 자루 교환시 배출공(122)을 통하여 콩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셔터(123)를 설치하고, 상기 셔터(123)의 양측에는 콩을 수용하기 위한 자루를 예비로 보관하기 위한 바형태의 자루보관대(124)를 고정하고, 배출공(122)의 외면에는 자루를 고정하기 위한 자루걸이(125)를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셔터(123)는 배출공(122)의 상부 집곡호퍼(121) 전,후측에 관통되게 셔터홀(126)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홀(126)에는 배출공(122)을 차단하고 개방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차단판(127)을 가지고 상기 차단판(127)의 측방에는 개방홀(128)을 형성한 슬라이더(129)를 결합한다.
상기 슬라이더(129)의 선단에는 슬라이더(129)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30)를 고정하고, 차단판(127)의 선측과 개방홀(128)의 후방에는 정 위치에 차단판(127)과 개방홀(128)이 배출공(122)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콩회수대(140)는, 프레임(101) 또는 기체(106)의 하측에 콩깍지배출구(111)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자중에 의하여 콩깍지배출구(111)의 직하방으로 낙하하는 콩을 회수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박스(141)를 설치한다.
상기 수용박스(141)의 외측벽(142)의 내면에는 유도판(143)를 연접시켜 상,하향으로 이동시켜 탈곡기(114)에 의하여 탈곡되어 콩깍지와 함께 바람에 의하여 배출되는 콩이 부딪쳐 수용박스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도판(143)에는 장공 형상의 조절공(144)을 형성하여 외측벽(142)에 고정되는 조절볼트(145)에 의하여 움직임이 단속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벽(142)은 콩이 부딪쳐 자연스럽게 수용박스(141)로 미끄러져 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행형 콩 탈곡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탈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반수단(105)의 엔진(103)을 작동시켜 작업지로 이동시키는 데, 이 과정에는 엔진(103)의 동력이 탈곡기(114)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작업지로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탈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반수단(105)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엔진(103)의 동력을 탈곡기(114)로 전달하여 탈곡기(114)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탈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는 콩을 한 곳에 모으지 않고 탈곡장치를 저속으로 주행시키면서 베어진 콩을 작업자가 투입구(109)로 공급하여 탈곡을 수행하여도 무방할 것이므로 이는 이용자 또는 작업자의 선택적인 사항이라 할 것이다.
상기 엔진(103)의 동력을 탈곡기(114)로 전달하고 차단하는 과정은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구비되는 클러치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탈곡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탈곡기(114)의 투입구(109) 위치의 프레임(101)에 설치된 작업발판(115)을 펼쳐서 작업자가 작업발판(115)에 올라선 상태에서 탈곡하고자 하는 콩을 탈곡기(114)로 공급하여 탈곡드럼(107)에 의하여 탈곡되어 콩과 콩대 및 콩깍지가 분리되어 콩은 콩배출구(112)로 배출되고, 콩대는 콩대배출구(110)로, 콩깍지는 콩깍지배출구(111)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콩배출구(112)로 배출되는 콩은 집곡부(120)를 통하여 자루에 수용되는 데, 자루에 콩이 가득 채워져 새로운 자루로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호퍼(121) 하방에 더 구비되는 자루보관대(124)에 보관된 새 자루를 준비한 후 슬라이더(129)를 후진시켜 슬라이더(129)의 차단판(127)이 배출공(122)을 차단시키도록 하여 자루로 콩의 낙하를 방지한 후 콩이 채워진 자루를 이탈시킨 후 새 자루를 자루걸이(125)에 걸어서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29)를 전진시켜 차단판(127)이 배출공(122)을 벗어나고 개방홀(128)이 배출공(122)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콩이 새 자루로 유입되게 되며, 자루를 교환하는 동안에는 콩이 호퍼(121)이 일시 저장되므로 콩의 유출로 인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콩이 탈곡되어 콩깍지가 배출될 때에는 콩깍지와 함께 일부 콩이 탈곡기(11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데. 이를 콩깍지배출구(111)의 하방에 더 설치되는 콩회수대(140)를 통하여 회수하므로 콩의 유실과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콩깍지배출구(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용박스(141)의 외측벽(142)에 결합 된 유도판(143)을 상승시켜 바람에 의하여 날려 배출되는 콩이 지면으로 낙하하지 않고 유도판(143)에 부딪치게 함으로서 가능하게 되며, 유도판(143)에 부딪친 콩은 경사지게 구비되는 유도판(143)과 외측벽(142)을 따라 자연스럽게 수용박스(141)의 바닥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탈곡기 자체를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주행시켜 작업지로 이동시키고 탈곡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저속으로 작업지에서 운행시키면서 탈곡이 가능하고, 집곡부와 콩회수대에 의하여 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수확량을 증대시켜 농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콩대 등을 정리하거나 자루교환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콩 탈곡장치
105; 운반수단
114; 탈곡기
115; 작업발판
120; 집곡부
121; 호퍼
123; 셔터
129; 슬라이더
140; 콩회수대
141; 수용박스
143; 유도판

Claims (4)

  1. 프레임의 하방 양측에 주행을 위하여 장착되는 주행륜과, 프레임의 전방에 주행과 탈곡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조작을 위한 핸들을 장착한 운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운반수단의 프레임에는 기체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구동풀리를 가지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탈곡드럼을 내장시켜 커버로 마감하고, 상기 탈곡드럼의 일측에 탈곡할 콩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대향측에 탈곡된 콩대를 배출하는 콩대배출구와, 상기 콩대배출구의 하방에 형성하여 탈곡 되어 선별된 콩깍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콩깍지배출구와, 상기 기체의 후방에 탈곡된 순수 콩을 배출하는 콩배출구를 가지는 탈곡기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구 위치의 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하는 작업발판과;
    상기 콩배출구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콩을 자루에 용이하게 회수하면서 자루 회수시에도 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곡부와;
    상기 콩깍지배출구의 하방에 설치하여 콩깍지와 함께 배출되는 잔여 콩을 회수하기 위한 콩회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콩 탈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곡부는, 콩배출구에 고정되는 상광하협(上曠下狹)형의 집곡호퍼와;
    상기 집곡호퍼의 하단에 설치하여 자루 교환시 배출공을 통하여 콩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양측에 구비하여 콩을 수용하기 위한 자루를 예비로 보관하기 위한 자루보관대와;
    상기 배출공 외면에 고정하여 콩을 수용하는 자루를 고정하는 자루걸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콩 탈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회수대는, 프레임 또는 기체의 하측에 콩깍지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자중에 의하여 콩깍지배출구의 직하방으로 낙하하는 콩을 회수하여 수용하도록 설치하는 수용박스와;
    상기 수용박스의 외측벽 내면에 연접시켜 상,하향으로 이동시켜 콩깍지와 함께 바람에 의하여 배출되는 콩이 부딪쳐 수용박스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판과;
    상기 유도판에 형성하는 장공의 조절공과;
    상기 외측벽에 고정되어 조절공을 통하여 유도판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콩 탈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배출공의 상부 집곡호퍼퍼 전후측에 관통되게 형성하는 셔터홀과;
    상기 셔터홀에 결합 되어 배출공을 차단하고 개방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차단판을 가지고 상기 차단판의 측방에 개방홀을 형성하는 슬라이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콩 탈곡장치.
KR1020120025143A 2012-03-12 2012-03-12 보행형 콩 탈곡장치 KR101409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43A KR101409817B1 (ko) 2012-03-12 2012-03-12 보행형 콩 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43A KR101409817B1 (ko) 2012-03-12 2012-03-12 보행형 콩 탈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25A KR20130104025A (ko) 2013-09-25
KR101409817B1 true KR101409817B1 (ko) 2014-06-24

Family

ID=4945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43A KR101409817B1 (ko) 2012-03-12 2012-03-12 보행형 콩 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044B1 (ko) * 2021-09-27 2023-10-24 주식회사 태광공업 탑승수단을 갖는 보행용 동력 제초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188B1 (ko) * 1991-09-09 1994-01-12 문병현 탈곡장치
KR20030063293A (ko) * 2003-07-04 2003-07-28 김창동 콩 탈곡장치
KR20040078086A (ko) * 2004-08-20 2004-09-08 김창동 곡물 탈곡장치
KR100766650B1 (ko) * 2006-12-11 2007-10-15 김창동 곡물 탈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188B1 (ko) * 1991-09-09 1994-01-12 문병현 탈곡장치
KR20030063293A (ko) * 2003-07-04 2003-07-28 김창동 콩 탈곡장치
KR20040078086A (ko) * 2004-08-20 2004-09-08 김창동 곡물 탈곡장치
KR100766650B1 (ko) * 2006-12-11 2007-10-15 김창동 곡물 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25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810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existing turf and installing new turf
CN104919922B (zh) 自走式残膜回收机
JP2008054572A (ja) 脱穀装置
KR101381473B1 (ko) 콩 탈곡장치
KR20200079615A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JP5476698B2 (ja) 作物分離収穫機
KR101961857B1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JP2009261348A (ja) 野菜収穫機
KR101409817B1 (ko) 보행형 콩 탈곡장치
KR101237835B1 (ko) 가축 배설물 선별 및 수거장치
JP2008056076A (ja) 走行車両
KR101449498B1 (ko) 잡곡 탈곡기
CN106068882B (zh) 自走式花生联合收获机
JP2008054571A (ja) コンバイン
CN104521413B (zh) 茨菰收获机
JP7042632B2 (ja) メンテナンス治具
CN205883992U (zh) 一种果实风力筛选分离装置
JP2017079605A (ja) コンバイン
WO2017155062A1 (ja) コンバイン
JP5407481B2 (ja) 根菜類収穫機
JP2016116473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JPH0521529B2 (ko)
JP2010268811A (ja) コンバイン
JP6542136B2 (ja) コンバイン
JP6487356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