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16B1 -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16B1
KR101409816B1 KR1020070060653A KR20070060653A KR101409816B1 KR 101409816 B1 KR101409816 B1 KR 101409816B1 KR 1020070060653 A KR1020070060653 A KR 1020070060653A KR 20070060653 A KR20070060653 A KR 20070060653A KR 101409816 B1 KR101409816 B1 KR 10140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utch
shaft
drive modul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221A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0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장치는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롤러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피동휠과;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과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저속용 및 고속용 용지이송장치의 동력발생장치를 모듈화하여 서로 호환가능하게 할 수 있고, 용지의 급지 중 발생한 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60653
용지이송장치, 자동원고이송장치, 전자클러치, 구동모듈, ADF, Auto Document Feeder

Description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AUTO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고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용지이송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a, 4b는 도 2의 클러치유니트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용지이송장치의 구동모듈(Driving Module)의 확대도,
도 6은 도 2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저속용 구동모듈(Driving Module)이 사용된 도 2의 용지이송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자동원고이송장치 110 : 외장케이스
113 : 전면케이싱 115 : 원고적재대
117 : 배지대 200 : 구동모듈
200a : 저속용 구동모듈 210 : 구동모듈 프레임
211 : 내측 지지프레임 213 : 돌출부
213a : 관통공 215 : 외측 지지프레임
220 : 구동부 223 : 구동피니언
230 : 클러치유니트 231 : 제1클러치유니트
231a : 전동휠 231b : 구동전달휠
231c, 231h : D자 단면부(D-cut) 231d : 탄성부재
231e : 전자석 231f : 클러치축
231g : 단속휠 232 : 단속부
233 : 제2클러치유니트 241 : 감속기어
250, 260, 270 : 전달기어 281 : 스윙기어
283 : 원웨이 기어 300 : 원고이송부
301, 303 : 측면 프레임 305 : 이송경로 프레임
310 : 용지이송롤러 311 : 자동급지롤러(ADF 롤러)
312 : 픽업롤러 313, 314 : 피드롤러
315, 316 : 배지롤러 321 : 자동급지롤러축
323 : 피드롤러축 325 : 배지롤러축
330 : 피동휠, 이송기어 331 : 자동급지기어
333 : 피드기어 335 : 배지기어
340 : 브라켓 340a : 원고적재공간
341 : 러버패드 351 : 반시계방향
352 : 시계방향
본 발명은,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듈이 호환가능한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지이송장치의 일종인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적재대에 적재된 원고를 이 원고에 기록된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독취부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스캐너, 팩시밀리, 복합기, 복사기 등의 정보입력기능을 갖는 장치에 적용된다.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원고이송속도에 따라서 저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와 고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로 나뉜다. 자동원고이송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원고가 선택적으로 급지될 수 있도록 구동부의 동력을 절환하는 동력절환수단이 포함된 동력발생장치를 갖는데, 저속용의 경우 동력절환수단으로서 원웨이 기어 또는 스윙기어가 사용되고 고속용의 경우 전자클러치가 이용된다.
종래의 고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수단으로서 구동모터(30)와 동력절환수단으로서 전자클러치(20)를 가진다.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은 그와 맞물려 있는 구동피니언(41) 및 전달기어(42)를 거쳐 전자클러치기어(20a)에 전달된다. 전자클러치(20)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ON 되면 전자클러치기어(20a)에서 전달받은 동력을 자동급지롤러(11)의 회전축(13)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서로의 회전축이 픽업기어(32)에 의해 연결된 자동급지롤 러(11)와 픽업롤러(12)가 동일한 방향(31a)으로 회전함으로써 적재된 원고가 급지되게 된다.
원고 급지가 종료된 경우에는 전자클러치(20)의 전원이 OFF되고 회전축(13)은 아이들(idle) 상태가 되어 자동급지롤러(11)와 픽업롤러(12)를 수용하고 있는 브라켓(50)이 자중에 의해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려고 한다. 스프링(60)은 미도시된 프레임과 브라켓(50)을 연결하여 탄성력으로 브라켓(50)을 지지하여 소정의 원고 적재공간(도 6의 340a 참조)을 형성한다.
반면, 종래의 저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사용되는 원웨이기어는 전자클러치(20)와 달리 자동급지롤러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회전축을 가지며, 자동급지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와 치합된다.
고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에서 전자클러치(20)가 자동급지롤러(11)의 회전축(13)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저속용 및 고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서로 다른 길이의 자동급지롤러의 회전축을 갖는다. 또한, 전자클러치(20)는 자동급지롤러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반면, 원웨이 기어는 독립된 회전축을 가지므로 서로 호환가능하지 않다.
또한, 고속용 자동원고이송장치(10)의 경우, 급지 중인 원고에 잼이 발생하여 브라켓(50)을 탈착해야 할 때 회전축(13)에 직접 전자클러치(20)가 연결되어 있어 전자클러치(20)의 전원케이블 등에 의해 탈착이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탄성부재(60)가 브라켓(50)에 연결되어 있어 탈착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속용 및 고속용 용지이송장치의 동력발생장치를 모듈화 하여 서로 호환 가능하며 자동급지롤러 브라켓의 탈착이 용이한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롤러축과;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갖는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동휠과;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과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클러치유니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클러치유니트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단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과;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축과 상기 구동전달휠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휠은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과 함께 회 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축은 서로 평행한 자동급지롤러축과 피드롤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이송롤러는, 상기 자동급지롤러축에 결합되며 접촉된 고무패드와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자동급지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축에 결합되며 상기 낱장의 용지를 소정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피드롤러(feed 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동휠은, 상기 자동급지롤러축에 연결된 자동급지기어와; 상기 피드롤러축에 연결된 피드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자동급지기어에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유니트와; 상기 피드기어에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원고적재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급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브라켓이 하향 회동하여 상기 원고적재공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휠과 상기 구동전달휠 사이에 개재되는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클러치축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 는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롤러축에 결합된 피동휠을 포함하는 메인유니트와;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이송부의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축은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유니트는 상기 클러치유니트가 전원(電源)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1서브유니트와, 상기 클러치 유니트가 전원 없이 작동될 수 있는 제2서브유니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유니트는 상기 클러치유니트를 지지하는 서브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서브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유니트와 일체로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단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과;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축과 상기 구동전달휠을 함께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가지며, 상기 전동휠은 상기 클러치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이송롤러는, 상기 자동급지롤러축에 결합되며 접촉된 고무패드와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자동급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이송장치는, 소정의 원고적재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급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브라켓이 하향 회동하여 상기 원고적재공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휠과 상기 구동전달휠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클러치축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롤러축과;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동휠과;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과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클러치유니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클러치유니트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과;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축과 상기 구 동전달휠을 함께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지 상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롤러축에 결합된 피동휠을 포함하는 메인유니트와;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용지이송부의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축은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유니트는 상기 클러치유니트가 전원(電源)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1서브유니트와, 상기 클러치 유니트가 전원 없이 작동될 수 있는 제2서브유니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소정 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용지이송롤러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전자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 유니 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지이송롤러가 결합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동휠과; 상기 단속부의 상기 축선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상기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원고적재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이 하향 회동하여 상기 원고적재공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휠과 상기 구동전달휠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용지이송장치의 일종인 자동원고이송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자동원고이송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케이스(110)의 전면케이싱(113)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적재대(115)에 적재된 원고(P)는 후술할 동력발생장치인 구동모듈(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원고이송부(300)의 용지이송롤러(310)가 회전하면서 소정의 이송경로(도 6에서 참조번호 S로 C 자형상의 이송 경로)로 급지된다.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원고(P)는 미도시된 독취수단에 의해 원고의 화상정보가 읽혀진 후 용지이송롤러(310)에 의해 배지대(117)로 배출된다.
메인유니트인 원고이송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다. 원고이송부(3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인 측면 프레임(301, 303)과, 원고 이송경로(도 6의 S)를 형성하는 이송경로 프레임(305)과, 원고(P)를 이송하는 복수의 용지이송롤러(310)와, 용지이송롤러(310)의 복수의 회전축(321, 323, 325)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휠(330)을 포함한다.
좌측면 프레임(3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급지롤러(311)의 회전축(321)이 관통되는 브라켓(340)을 탈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지지홈(301b)에 의해 회전축(32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좌측면 프레임(301)은 고속용 구동모듈(200)과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301a)를 갖는다. 체결공(301a)에는 간편한 조립을 위해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측면 프레임(30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급지롤러(311)의 회전축(32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송경로 프레임(305)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이송롤러(310)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의 경로의 일면을 형성하며, 피드롤러 수용부(305a)에서 피드롤러(313)를 회전가능하게 수용 지지한다. 이송경로 프레임(305)는 피드롤러축(323)과 배지롤러축(3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측면 프레임(301, 303) 및 이송경로 프레임(305)는 체결구 등 기타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지이송롤러(31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적재대(115)에 적재된 원고(P)를 급지하는 픽업롤러(312)와, 급지된 원고(P)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자동급지롤러(311)와, 원고(P)의 선단을 정렬하고 정렬된 원고(P)를 배지롤러(315, 316)측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피드롤러(313, 314)와, 피드롤러(313, 314)를 지나 미도시된 독취수단에 의해서 독취된 원고(P)를 배지대(117)로 배출하는 한 쌍의 배지롤러(315, 316)를 갖는다.
자동급지롤러(311)와 픽업롤러(312)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경로 프레임(305)의 상부에 마련된 브라켓(340)에 의해 수용되며, 픽업기어(332)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방향(도 3의 351,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자동급지롤러(311)는 이송경로 프레임(305)의 상부에 마련된 소정의 마찰계수를 갖는 러버 패드(Rubber Pad)와 접촉하고 있어 원고(P)를 낱장으로 분리할 수 있다.
피드롤러(313, 314)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러축(323)에 설치되며 이송경로 프레임(305)에 수용 지지되는 주피드롤러(313)와, 이송경로 프레임(305)의 외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주피드롤러(313)와 접촉하는 보조피드롤러(314)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피드롤러(313, 314)가 피드롤러축(323) 상의 양측 1개씩 설치되어 있으나, 각각 하나씩의 롤러로 할 수도 있다. 주피드롤러(3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러축(323)의 일단에 연결된 피드기어(333)로 전달된 구동모듈(200)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한다. 보조피드롤러(314)는 접촉된 주피드롤러(313)가 회전함에 따라서 그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배지롤러(315, 316)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롤러축(325)에 설치되며 이송경로 프레임(305)에 수용되는 주배지롤러(315)와, 이송경로 프레임(305) 외부에서 주배지롤러(315)와 접촉하는 보조배지롤러(316)를 포함한다. 주 배지롤러(3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롤러축(325)의 일단에 연결된 배지기어(335)로 전달된 구동모듈(200)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한다. 보조배지롤러(316)는 접촉된 주배지롤러(315)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동휠(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실한 동력전달 및 공간효율 측면에서 구동모듈(200)과 치합되어 용지이송롤러(310)를 전동하는 이송기어(3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피동휠(330)은 스프라켓이고, 구동모듈(200)과 서로 체인벨트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모듈(200)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도 있다.
브라켓(3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하고 있는 자동급지롤러축(32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같은 방향을 회전하는 자동급지롤러(311) 및 픽업롤러(312)를 수용한다. 서로를 연동시키는 픽업기어(332)에 의해 자동급지롤러(311)와 픽업롤러(312)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브라켓(340)은 좌측면 프레임(301)의 자동급지롤러축(321) 및 자동급지기어(331)와 일체로서 측면 프레임(301, 303)에 탈착 가능하다.
서브유니트인 구동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케이스(110) 내부의 일측에 수용되어 원고이송부(300)의 이송기어(330, 331, 333, 335)에 동력을 전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듈(200)은 서브프레임인 내외측 지지 프레임(211, 215)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20)와, 구동부(220)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이송기어(330)에 전달하는 클러치유니트(220)와, 클러치유니트(200)와 구동부(230) 사이에 개재되어 동력전달을 매개하는 전달기어(250, 260, 270)를 포함 한다. 구동모듈(200)은 제1서브유니트로 호칭될 수 있다.
구동모듈(200)은, 내측 지지프레임(211)의 돌출부(213)에 마련된 복수의 관통공(213a)과 좌측면 프레임(301)의 체결공(301a)에 의해 원고이송부(300)와 서로 체결구로 결합된다. 구동모듈(200)과 원고이송부(300)의 결합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접착제 결합, 억지 끼워맞춤 결합 또는 걸림홈 결합 등 기타 공지된 통상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피니언(223)을 갖는다. 구동모터 피니언(223)은 감속기어(241)과 치합되어 감속기어(241)에 동력을 전달한다.
클러치유니트(230)는, 도 2 내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이송롤러축(321, 323)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용지이송롤러축(321, 323)과 서로 이격된 클러치축(231f)을 가지며, 용지이송롤러축(321, 323)의 이송기어(331, 333)에 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단속부(232)을 갖는다. 이에 의해, 용지이송롤러축(321, 323)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며 용지이송부(300)와 분리된 독립적인 구동모듈(2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구동모듈(200)에 의해 원고의 잼이 발생한 경우 원고이송부(300)의 브라켓(340)을 용이하게 자동원고이송장치(100)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도 5는 외측 지지프레임(215)을 제거한 구동모듈(200)의 정면도이다.
클러치유니트(2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을 자동급지롤러(311)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클러치유니트(231) 와, 자동급지롤러(311)에 의해 급지된 원고의 선단을 정렬시키기 위해 피드롤러(313)에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클러치유니트(233)를 포함한다.
제1클러치유니트(23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급지롤러축(321)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클러치축(231f)과, 클러치축(231f)과 연결되어 자동급지기어(331)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231a)과, 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을 전동휠(231a)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속부(232)를 갖는다. 제1클러치유니트(231)는 필요에 따라서 단속부(2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축(231f)은 지지 프레임(211, 215)에 부싱(231k)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부싱(231k)과 단속부(232) 사이에 와셔(231m)가 삽입될 수 있다. 클러치축(231f)과 전동휠(231a)은, 클러치축(231f)의 일단에 D자 단면부(D-cut part, 231h)가 형성되고 전동휠(231a)의 중심은 그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서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클러치축(231f)와 전동휠(231a)을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공지된 통상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동휠(231a)은 공간효율성 및 확실한 동력전달을 위해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속부(23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클러치축(231f)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231b)과,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기적 인력에 의해 클리치축(231f)과 구동전달휠(231b)을 서로 일체로 회전하게 하는 전자석부(231e, 231g)를 포함한다. 구동전달휠(231b)은 전달기어(253)와 맞물려서 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받는다. 구동전달휠(231b)과 전자석부(231e, 231g)사이에는, 구동전달휠(231b)이 자동급지 기어(331)로 동력 전달될 필요가 없는 때에는 아이들(idle)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미세한 간격이 존재한다.
전자석부(231e, 231g)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부(232)에 전원이 인가되면 클러치축(231f)과 일체로 회전하는 단속휠(231g)과, 단속휠(231g)을 구동전달휠(231b) 방향으로 미세 이동시켜 서로 일체로 회전하게 하는 전자석(231e)을 포함한다. 클러치축(231f)과 단속휠(231g)은 서로 키홈이 대응되도록 마련하고 키홈에 키를 삽입하여 일체회전 시킬 수 있다. 또한, 단속휠(231g)의 내주면에 이격된 돌기를 마련하고 그에 맞물리는 돌기를 클러치축(231f)의 외주면에 마련하여 서로 일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른 공지된 통상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231e)도 클러치축(231f)의 D자 단면부(D-cut part, 231c)에 결합되어 클러치축(231f)와 일체로 회전하게 할 수도 있으나, 회전관성이 커져서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제1클러치유니트(23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달휠(231b)과 전동휠(231a)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31d)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231d)는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브라켓(340)이 자동급지롤러축(321)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231d)는 전동휠(231a)의 일면을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231d)는 클러치축(231f)에 삽입 배치되는 것이 조립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동휠(231a)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고무 재질의 패드와 같이, 그 밖의 다른 공지된 탄성 가압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의해, 제1클러치유니트(231)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231d)와 전동휠(231a)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전동휠(231a)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브라켓(340)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31d)와 전동휠(231a)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은 브라켓(340)의 회동은 저지하되 구동전달휠(231a)의 회전에는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31d)에 의해, 브라켓(340)이 원고적재대(115)에 원고가 없는 경우에 형성되는 소정의 원고 적재공간(도 6의 340a 참조)을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폐쇄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즉, 브라켓(340)의 착탈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브라켓(340)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 자동원고이송장치(10)가 브라켓의 회동을 억제하기 위해 스프링(60)(도 1참조)을 사용함으로써 브라켓(40)의 취출이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전원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231e)에 의해 단속휠(231g)이 구동전달휠(231b)과 맞물려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단속휠(231g)이 구동전달휠(231b)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면 단속휠(231g)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클리치축(231f)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클러치축(231f)의 일측에 마련된 D자 단면부(D-cut, 231h)에 결합된 전동휠(231a)도 클러치축(231f)과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구동전달휠(231b)의 동력이 전동휠(231a)로 전달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전원부에 전원이 차단되면 단속휠(231g)와 구동전달휠(231b)은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동전달휠(231b)은 아이들(idle)상태로 회전하므로 구동전달휠(231b)의 동력이 전동휠(231a)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제1클러치유니트(231)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구동부(220)의 동력을 전동휠(231a)에 전달하고, 전동휠(231a)과 연결되어 있는 자동급지기어(331)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2클러치유니트(233)는,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상술한 구성요소에서 탄성부재(231d)를 제외한 구성요소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클러치유니트(233)의 클러치축(미도시)은 부싱(233k)으로 지지프레임(211, 2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클러치유니트(233)의 전동휠(미도시)은 피드기어(333)에 치합되며, 구동전달휠(미도시)은 구동부(220)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267)에 치합된다. 제2클러치유니트(233)도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피드기어(333)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클러치유니트(231) 또는 제2클러치유니트(233) 중 어느 하나는 제조원가 등의 이유로 원웨이기어 또는 스윙기어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클러치유니트(230)는, 도 4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 클러치유니트(230)의 전원부의 전원 공급여부에 따라 구동전달휠(231b)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동휠(231a)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감속기어(2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피니언(223)에 치합되어 자동공급기어(331)에 치합된 전달기어(250)와 배지기어(335)에 치합된 전달기어(270)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한다.
전달기어(250, 260, 270)는 지지프레임(211, 215)에 스터드 등에 의해서 회 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전달기어(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피니언(223)과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구동전달휠(231b) 사이에 개재되어 제1클러치유니트(231)에 동력을 전달한다. 전달기어(253)는 스터드(미도시)를 갖는 내측 지지프레임(211)에 삽입되고 외측 지즈프레임(215)의 상면에서 체결구(253a)를 체결함으로써 내외측 지지프레임(211, 215)을 서로 결합한다. 전달기어(2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피니언(223)과 제2클러치유니트(233)의 구동전달휠 사이에 개재되어 제2클러치유니트(233)에 동력을 전달한다. 내외측 지지프레임(211, 215)은 다른 체결구(267a)에 의해서도 서로 결합된다. 전달기어(270)는 감속기어(241)와 배지기어(335)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을 배지기어(335)로 전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공급롤러(311)는 원고(P)를 급지하기 위해서는 반시계방향 (도 3의 351)으로 회전해야 하는 반면, 주피드롤러(313)와 주배지롤러(315)는 시계방향(도 3의 352)으로 회전해야 한다. 따라서, 전달기어(250, 260, 270)는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구동모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고의 급지에서 배지까지의 전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적절한 기어 조합을 갖는다. 일례로, 구동모터가 일정하게 정회전(도 5의 반시계방향)한다고 가정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전달기어(250, 270)는 2개의 기어로써 구성되며 전달기어(260)는 4개의 기어로 구성된다. 반면, 구동모터가 일정하게 역회전 한다면 전달기어(250, 260, 270)는 홀수개 의 기어 조합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용 구동모듈(200) 대신에 또 다른 서브유니트인 저속용 구동모듈(200a)을 가질 수 있다. 즉, 자동원고이송장치(100)는 저속 및 고속의 운용조건에 맞게 구동모듈(200, 200a)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구동모듈(200, 200a)을 제외한 나머지 구조물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원가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속용 구동모듈(200a)은 구동모듈(200)의 제1클러치유니트(231)와 제2클러치유니트(233) 대신에 스윙기어(281)와 원웨이기어(283)가 사용된다. 저속용 구동모듈(200a)은, 구동모듈(200)이 전자클러치(230)의 전원을 ON/OFF시킴으로써 동력을 단속하는 것에 비해, 구동부(220)의 구동모터를 정역회전 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저속용 구동모듈(200a)은 제2서브유니트로 호칭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용 구동모듈(200a)은 적절한 개수 및 배치를 갖는 전달기어(250a, 260a, 270a)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술한 구동모듈(200)의 전달기어(250, 260, 270)처럼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저속용 구동모듈(200a)의 원고의 급지에서부터 배지에 이르기 까지의 작동과정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100)는 원고적재대(115)의 원고 유무를 감지하는 원고유무 감지센서(미도시)와, 자동급지롤러(311)와 피드롤러(313, 314) 상의 원고 이송경로(도 6의 S) 상에 배치되어 원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와, 상술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원고의 위치에 따라 전자클러치(230)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미도시)는 상술한 자동원고이송장치(100)와, 자동원고이송장치(100)의 소정 경로를 지나는 원고의 화상정보를 읽을 수 있는 독취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독취수단(미도시)으로서, CIS(Contact Image Sensor) 또는 CCD(Charged Coupled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독수수단으로 원고의 화상정보를 독취하여 이를 화상정보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하는 스캐너이거나 원고의 화상정보를 독취하여 이를 인쇄용지에 복사하는 복사기 또는 복합기 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10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원고(P)의 자동급지가 필요한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구동부(22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를 정회전(도 5에서 시계방향)시킨다. 구동모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피니언(223)이 정회전하면, 감속기어(241) 및 전달기어(251, 253)를 거쳐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구동전달휠(231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어부가 제1클러치유니트(231)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전동휠(231a)이 구동전달휠(231b)와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동휠(231a)와 맞물려 있는 자동급지기어(331)는 반시계방향(도 3의 351 참조)으로 회전하고, 자동급지롤러축(321) 및 자동급지롤러(311)도 그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자동급지롤러(31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픽업롤러(312)에 의해 원고적재대(115)의 원고(P)가 급지되고, 급지된 원고는 자동급지롤러(321)와 러버패드(341)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되어 피드롤러(313, 314) 측으로 이송된다.
원고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피드롤러(313, 314) 측으로 진입하는 원고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2클러치유니트(233)의 전원을 OFF 상태로 유지하여 피드롤러(313, 314)는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자동공급롤러(311)에 의해 급지되는 원고가 정지된 피드롤러(313, 314)에 의해서 원고의 선단이 일치되도록 제1클러치유니트(231)에는 소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계속 공급한다.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상기 소정의 전원 공급시간은 원고 위치감지센서와 피드롤러(313, 314)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원고의 선단이 정렬된 후, 제어부는 제2클러치유니트(233)에 전원을 공급하여 피드기어(333) 및 주피드롤러(3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드롤러(313, 314)가 서로 접촉회전하면서 원고를 배지롤러(315, 316) 측으로 이송한다. 이송되는 원고는 미도시된 독취수단에 의해 원고의 화상정보가 읽혀지게 된다. 읽혀진 화상정보는 인쇄용지에 복사되거나 화상데이터로 저장되게 된다. 독취수단에 의해 원고가 읽혀진 후 배지기어(335)와 주배지롤러(3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접촉 회전하는 배지롤러(315, 316)에 의해 원고가 배지대(117)로 배출된다. 배지기어(335)와 구동피니언(223) 사이에는 클러치유니트와 같은 동력절환수단이 개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배지롤러(315)는 구동모터가 작동하는 한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어부는, 자동급지가 필요한 원고가 복수매인 경우 원고급지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원고 위치감지센서 및 위치감지센서에 감지된 시간을 이용하여 원고가 이송경로 상에 존재하더라도 제1클러치유니트(231)에 전원을 공급하여 원고적재 대(115) 상의 원고를 급지한다. 즉, 전자클러치(230)의 ON/OFF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절으로써 원고의 이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타이밍 조절은 실험 또는 경험에 의해서 적절하게 결정되며, 그 결정방법은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지유무센서에 의해 원고적재대(115)에 있는 자동이송을 요하는 원고(P)가 모두 급지되어 원고(P)가 없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역회전(도 5에서 반시계방향)시키고 제1클러치유니트(231)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클러치유니트(231)에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전달휠(231a)과 연결된 자동급지기어(331)가 시계방향(도 3의 352참조)으로 회전하며, 그와 일체로 회전하는 자동급지롤러축(321) 및 브라켓(34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브라켓(340)이 자동급지롤러축(3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경로 프레임(305)과 브라켓(340) 사이에는 소정의 원고 적재공간(340a)이 생기게 된다. 그 후, 제어부가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제1클러치유니트(231)의 탄성부재(231d)에 의해 브라켓(340)이 자동급지롤러축(32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351)으로 회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원고적재공간(340a)이 유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원고를 이송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자동원고이송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인쇄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장치와, 이러한 용지이송장치를 가지며 이송된 인쇄용지에 잉크 또는 토너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상하 는 잉크젯 프린터 또는 레이저 프린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저속용 및 고속용 용지이송장치의 동력발생장치를 모듈화 하여 서로 호환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구조물을 공유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원고의 자동 급지 중 잼이 발생한 경우 자동급지롤러를 수용하고 있는 브라켓을 용지이송장치 외부로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0)

  1.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롤러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동휠과;
    상기 롤러축, 상기 용지이송롤러 및 상기 피동휠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속구동모듈 및 저속구동모듈 중의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과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피동휠에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전달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원웨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과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하나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다른 하나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호환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클러치유니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클러치유니트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단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과;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축과 상기 구동전달휠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은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은 서로 평행한 자동급지롤러축과 피드롤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롤러는,
    상기 자동급지롤러축에 결합되며 접촉된 고무패드와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자동급지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축에 결합되며 상기 낱장의 용지를 소정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피드롤러(feed rol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휠은,
    상기 자동급지롤러축에 연결된 자동급지기어와;
    상기 피드롤러축에 연결된 피드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자동급지기어에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클러치유니트와;
    상기 피드기어에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소정의 원고적재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급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브라켓이 하향 회동하여 상기 원고적재공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휠과 상기 구동전달휠 사이에 개재되는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클러치축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3.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롤러축에 결합된 피동휠을 포함하는 메인유니트와;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속구동모듈 및 저속구동모듈 중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피동휠에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전달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원웨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과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하나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다른 하나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유니트에 호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축은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구동모듈의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전원(電源)에 의해서 작동되고, 상기 저속구동모듈의 원웨이 기어는 전원 없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상기 클러치유니트를 지지하는 서브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고속구동모듈의 구동부는 서브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고속구동모듈과 일체로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단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과;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축과 상기 구동전달휠을 함께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가지며,
    상기 전동휠은 상기 클러치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롤러는, 자동급지롤러축에 결합되며 접촉된 고무패드와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자동급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이송장치는, 소정의 원고적재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급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상기 브라켓이 하향 회동하여 상기 원고적재공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휠과 상기 구동전달휠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클러치축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21.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롤러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동휠과;
    상기 롤러축, 상기 용지이송롤러 및 상기 피동휠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속구동모듈 및 저속구동모듈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과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피동휠에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전달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원웨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과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하나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다른 하나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호환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클러치유니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클러치유니트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과;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축과 상기 구동전달휠을 함께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용지 상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롤러축에 결합된 피동휠을 포함하는 메인유니트와;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속구동모듈 및 저속구동모듈 중 하나를 포함하는 서브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전동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피동휠에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전달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원웨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과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하나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다른 하나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유니트에 호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축은 상기 롤러축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구동모듈의 상기 클러치유니트는 전원(電源)에 의해서 작동되고, 상기 저속구동모듈의 상기 원웨이 기어는 전원 없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소정 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롤러와;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지지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속구동모듈 및 저속구동모듈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용지이송롤러의 축선과 이격된 축선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전자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속부를 갖는 클러치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용지이송롤러에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전달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원웨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과 상기 저속구동모듈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하나가 상기 고속구동모듈 및 상기 저속구동모듈 중의 다른 하나로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호환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롤러가 결합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동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속구동모듈은,
    상기 단속부의 상기 축선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축과;
    상기 클러치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동휠에 상기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휠과;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전달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소정의 원고적재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지이송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이 하향 회동하여 상기 원고적재공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휠과 상기 구동전달휠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
KR1020070060653A 2006-07-19 2007-06-20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409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7675 2006-07-19
KR1020060067675 2006-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21A KR20080008221A (ko) 2008-01-23
KR101409816B1 true KR101409816B1 (ko) 2014-06-25

Family

ID=3897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653A KR101409816B1 (ko) 2006-07-19 2007-06-20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23879B2 (ko)
KR (1) KR101409816B1 (ko)
CN (1) CN1011108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3010B2 (ja) * 2010-07-13 2014-12-1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
JP5386570B2 (ja) * 2011-12-09 2014-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CN102729649B (zh) * 2012-07-03 2015-05-06 广东金赋信息科技有限公司 打印机出纸托架
TW201408495A (zh) * 2012-08-31 2014-03-01 Primax Electronics Ltd 自動饋紙裝置
CN104210864B (zh) * 2013-06-05 2016-08-24 崴强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送稿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417A (en) * 1997-03-14 2000-10-17 Nisca Corporation 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for simplex, duplex and 2-in-1 document handling
US20040240916A1 (en) * 2003-05-27 2004-12-02 Sohichi Takata Sheet transport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20070109562A1 (en) 2005-11-12 2007-05-17 Kaname Nagatani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driving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7113A (en) * 1986-08-19 1987-11-17 Xerox Corporation Document feeder for moving platen copiers
US4990967A (en) * 1989-08-21 1991-0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pying method and apparatus
US5159395A (en) * 1991-08-29 1992-10-27 Xerox Corporation Method of scheduling copy sheets in a dual mode duplex printing system
JP3554984B2 (ja) * 1992-07-14 2004-08-1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US5918089A (en) * 1996-06-03 1999-06-29 Xerox Corporation Modular control assembly for xerographic printer
KR100273973B1 (ko) 1998-09-07 2000-12-15 윤종용 무선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JP3857544B2 (ja) 2001-06-13 2006-1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KR100449021B1 (ko) 2002-08-16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
KR100485789B1 (ko) * 2003-01-17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US7359097B2 (en) * 2003-07-11 2008-04-15 Nisca Corporation Document feede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the same
TW200507618A (en) * 2003-08-08 2005-02-16 Avision Inc Multi-purpose scan device using the same power source
KR200416273Y1 (ko) 2005-09-20 2006-05-12 정운태 부하종류 및 용도별 배전반
TWI280222B (en) * 2005-10-28 2007-05-01 Lite On Technology Corp Automatic document fee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417A (en) * 1997-03-14 2000-10-17 Nisca Corporation 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for simplex, duplex and 2-in-1 document handling
US20040240916A1 (en) * 2003-05-27 2004-12-02 Sohichi Takata Sheet transport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20070109562A1 (en) 2005-11-12 2007-05-17 Kaname Nagatani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driv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21A (ko) 2008-01-23
US20080019747A1 (en) 2008-01-24
CN101110885A (zh) 2008-01-23
US8023879B2 (en)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2721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538314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single drive source
KR101409816B1 (ko) 용지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362705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523982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용지이송방법
JP3004626B2 (ja) 自動給紙装置
US2003002526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07753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5011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837489B2 (en) Jam removing apparatus of machine having ADF function
US20100252988A1 (en) Automatic documen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54848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367128B1 (ko) 양면 인쇄 화상형성장치
JP200425200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3707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供給装置
KR20150136795A (ko)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1002282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613230B2 (ja) 印字装置
JP3991005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駆動力伝達機構
JP2008220132A (ja) モーター位置決め構造
JP4007946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5772510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9120364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2000219355A (ja) 記録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71774B1 (ko) 화상형성기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