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21B1 -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421B1 KR101409421B1 KR1020120104542A KR20120104542A KR101409421B1 KR 101409421 B1 KR101409421 B1 KR 101409421B1 KR 1020120104542 A KR1020120104542 A KR 1020120104542A KR 20120104542 A KR20120104542 A KR 20120104542A KR 101409421 B1 KR101409421 B1 KR 101409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e size
- layer
- polymer
- metal oxide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29910001593 boeh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FAHBNUUHRFUEAI-UHFFFAOYSA-M hydroxidooxidoaluminium Chemical compound O[Al]=O FAHBNUUHRFUEAI-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group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2702 metal oxide precurs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048 multi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071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a Chemical compound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79 doub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959 polymer blen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09 sing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008 (C1-C10)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MXRIRQGCELJRSN-UHFFFAOYSA-N O.O.O.[Al] Chemical compound O.O.O.[Al] MXRIRQGCELJRS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0896 monocarbox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12287 polyphenylene 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58 core-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882 ultra-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594 polymer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7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0 electrostatic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80 solge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LDXJRKWFNNFDSA-UHFFFAOYSA-N 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N(CC2=NNN=C21)CC(=O)N3CCN(CC3)C4=CN=C(N=C4)NCC5=CC(=CC=C5)OC(F)(F)F LDXJRKWFNNFD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7485 Kynar® 761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ene Chemical compound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MZOGRDCAXLAAR-UHFFFAOYSA-N aluminium isopropoxide Chemical compound [Al+3].CC(C)[O-].CC(C)[O-].CC(C)[O-] SMZOGRDCAXLA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27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QMTUIZTZJXUFM-UHFFFAOYSA-N tetraethoxy 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O[Si](OOCC)(OOCC)OOCC XQMTUIZTZJXUF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OZZOSDBXABUFO-UHFFFAOYSA-N tri(butan-2-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CC(C)[O-].CCC(C)[O-].CCC(C)[O-] WOZZOSDBXABU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PUDPFPXCZDNGI-UHFFFAOYSA-N triethoxy(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OCC)OCC CPUDPFPXCZDN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MUNWXXNJPVALC-UHFFFAOYSA-N 1-[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N1CC2=C(CC1)NN=N2)=O HMUNWXXNJPVA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GHDLJAZIIFENW-UHFFFAOYSA-N 4-[1,1,1,3,3,3-hexafluoro-2-(4-hydroxy-3-prop-2-enylphenyl)propan-2-yl]-2-prop-2-enylphenol Chemical group C1=C(CC=C)C(O)=CC=C1C(C(F)(F)F)(C(F)(F)F)C1=CC=C(O)C(CC=C)=C1 QGHDLJAZIIFE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706 AlOO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41000315672 SARS corona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5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15 heat resistant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0 melt-blown nonwov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52 molecular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14 nanocompos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3 nanor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2 perfluoropolye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silica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25 ultraso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712461 unidentified influenza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01D39/2041—Metallic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01D67/00791—Different components in separat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01D67/00793—Dispersing a component, e.g. as particles or powder, in another compon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1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in a continuous matrix
- B01D69/1411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in a continuous matrix with nanoscale dispersed material, e.g. nano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B01D71/0212—Carbon nano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01D71/10—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01D71/12—Cellulose deriva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8—Polyalkenylalcohols; Polyalkenylesters; Polyalkenylethers; Polyalkenylaldehydes; Polyalkenylketones; Polyalkenylacetals; Polyalkenylketals
- B01D71/381—Polyvinylalcoh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01D71/42—Polymers of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 B01D71/421—Polyacrylonitr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4—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26-B01D71/42
- B01D71/441—Polyvinylpyrrolid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01D71/522—Aromatic polyethers
- B01D71/5222—Poly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or polyaryletherket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B01D71/64—Polyimides; Polyamide-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B01D71/64—Polyimides; Polyamide-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B01D71/641—Polyamide-i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B01D71/64—Polyimides; Polyamide-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B01D71/643—Polyether-i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16—Pore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섬유상 필터는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0.1~2 ㎛인 섬유상 다공체, 그리고 이방성 나노재료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1~100 nm인 나노네트층(nanonet layer)을 갖는 여과층을 포함한다. 섬유상 필터는 바이러스와 중금속과 같은 극미세 입자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여과효율을 가지면서도 여과시 압력손실이 낮아 높은 투과유량을 나타내며, 공기 및 수처리 필터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물의 정화 시스템에서는 여과하려는 입자보다 작은 기공을 지닌 막에 의해 미세입자를 분리하는 멤브레인 필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멤브레인 필터의 예로는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MF; 기공크기 50~2000 nm),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UF; 기공크기 1~200 nm), 담수화에 사용되는 역삼투막(reverse osmosis, RO; 기공크기 0.1~2 nm)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멤브레인 기반 액체 필터 및 분리 기술은 오일/물 에멀젼 분리나 탈염수화 같은 수처리 분야에 유용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등과 같은 극미세 입자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작은 기공으로 인해 압력 손실이 매우 높아지고 낮은 투과성으로 투과유량이 낮아지며, 사용 중에 막의 기공이 폐쇄되어 투과속도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멤브레인 필터는 빈번한 역류 세정(backwashing)이 요구되어 불순물 제거시 다양한 온도적용에 제한을 받으며, 에너지 소모가 크고, 분리막 소재 자체가 강하지 못하여, 분리막이 파괴되거나 기공이 커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섬유필터는 여과 정밀도가 낮고, 수중의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수처리 정밀여과에 사용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현재 필터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용융취입(melt-blown) 부직포의 경우, 구성 섬유의 직경이 커서 바이러스 등과 같은 나노사이즈 크기의 입자를 여과할 수 없다. 또한, 용융취입 방식으로 고분자 블렌드섬유를 제조하고 해성분을 제거하여 5~500 nm의 직경분포를 갖는 초극세 섬유를 제조할 경우에도 큰 직경의 섬유가 혼재되어 큰 기공이 형성되므로 이로 인해 여과 정밀도가 떨어지고 수중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2008-136896은 고분자 블렌드로 압출하여 얻은 초극세섬유를 절단하여 종이로 만든 수처리 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블렌드 방사로 나노섬유를 제조한 후, 이를 2 mm 정도로 절단하여 초지법으로 종이로 이루어진 여과층을 제조하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2009-148748은 기존 부직포 위에 전기방사(electrospinning)로 고분자 나노 섬유를 도포한 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전기방사 방법은 섬유 직경이 수 백 nm인 초극세 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초극세 섬유로 구성된 필터는 종래의 섬유필터에서는 얻을 수 없는 미세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의 작동 압력은 다공막을 이용한 정밀여과 필터에 비해 현저히 낮다.
여과층의 기공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 바이러스와 같은 극미세 입자가 고효율로 여과될 수 있지만, 이렇게 작은 기공 크기를 갖는 필터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즉, 기공 크기는 나노섬유 직경 및 기공도에 크게 의존하므로, 바이러스 등과 같은 극미세 입자를 여과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직경을 지닌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이러한 극미세 기공을 지닌 여과층은 매우 높은 여과효율을 갖고 있으나, 기공크기가 너무 작아지기 때문에 높은 작동 압력이 요구되고 압력 손실이 너무 크고 투과용량이 너무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 효율은 증대되나 투과유량이 매우 낮게 되어 고여과효율과 고투과유량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대략 60 nm 이상 크기를 갖는 기공을 지닌 필터는 물오염으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성을 지닌 필터는 식수 공급원, 공기 공급원 또는 혈액으로부터 박테리아나 병원성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최근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와 조류독감이 발생하면서,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호흡마스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바이러스의 크기는 대략 80~200 nm이므로 필터의 기공의 크기는 이러한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극미세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라믹 나노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세라믹 나노필터는 일반적으로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졸-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졸-겔 방법의 단점은 불규칙한 입자의 형성 때문에 기공크기의 제어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졸-겔 방법의 건조 과정에서 핀홀(pinholes)과 크랙(cracks)이 발생되며, 기공 길이가 증대되어 투과유량이 감소하고, 낮은 기공도 및 폐쇄기공(dead end pore)의 존재로 인해 높은 선택성과 높은 투과유량을 지닌 세라믹 필터를 제조하는 것을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세라믹 초극세 섬유만을 사용하는 필터는 세라믹 소재의 깨지는 특성을 그대로 지니기 때문에 필터의 기계적 물성이 약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터의 두께를 증대시키면 투과유량이 급감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되는 초극세 섬유의 직경에 한계가 있어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공 크기 및 기공 크기 분포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방성 나노재료로 이루어진 나노네트(nanonet)층을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내에 도입하여 여과층으로 사용함으로써, 바이러스 등과 같은 극미세 입자를 여과할 수 있으면서 고여과효율/고투과유량을 동시에 만족하는 필터소재를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는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내에 이방성 나노재료의 나노네트층을 도입하여 여과층을 형성함으로써, 바이러스와 같은 극미세 입자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여과효율을 가지면서도 여과시 압력손실이 낮아 높은 투과유량을 나타내는 초극세 섬유상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는 초극세 섬유상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극세 섬유상 다공체 내에 이방성 나노재료의 나노네트층을 도입하여 여과층을 형성함으로써, 바이러스와 같은 극미세 입자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여과 효율 및 높은 투과유량을 나타내는 초극세 섬유상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졸-겔 용액, 또는 고분자 수지에 금속산화물의 졸-겔 용액의 혼합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를 제조할 수 있고, 초극세 섬유 직경과 다공체의 기공 크기 및 기공 크기 분포를 조절하여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를 여과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졸-겔 용액, 또는 고분자 용액과 금속산화물의 졸-겔 용액의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열 및 축적되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대략 0.1~2 ㎛인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가 여과층으로 포함되고, 여과층이 이방성 나노재료로 이루어진 나노네트층을 함유한 초극세 섬유상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되는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및 다공체에 이방성 나노재료의 분산액을 분사하여 형성된 나노네트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초극세 섬유상 필터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수중 및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여과효율을 가지면서 동시에 여과시 압력 손실이 낮아 높은 투과유량을 나타내므로, 공기 및 수처리 필터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초극세 섬유상 필터의 두께에 따른 평균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열압착에 의해 서로 다른 기공도를 갖는 필터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과 이들의 평균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보헤마이트(bohemite) 나노섬유 분산액 및 이를 여과하여 형성시킨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 1-2에 따라, 도 4a는 탄소나노튜브 존재 하에서 보헤마이트를 약 12시간 수열합성 하여 제조한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분산액 및 이의 전자투과현미경사진(TEM)이며, 도 4b는 약 22 시간 반응시켜 제조한 분산액을 여과하여 형성시킨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2-1에 따라, SiO2/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도 5a)에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의 정전스프레이(electrospray)로 형성된 나노네트층(도 5b)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6은 실시예 2-2에 따라, PVdF/PAN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에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분산액의 정전스프레이로 형성된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실시예 2-3에 따라, 실리카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도 7a)에 분사량을 달리하여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을 에어스프레이하여 형성시킨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실시예 3-1에 따라,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의 내부에 있는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도 8a), 양표면의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도 8b), 열압착되어 약 52%의 기공도를 지닌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도 8c)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 및 이들의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도 8d)이다
도 9a 및 도 9b는 실시예 3-2에 따라,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 내부에 부분적으로 형성시킨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도 9a)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 및 이들의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도 9b)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예 3-3에 따라, 메타-아라미드/PVdF 초극세 섬유상 필터(도 10a) 내부에 2개의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도 10b)을 지닌 필터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열압착에 의해 서로 다른 기공도를 갖는 필터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과 이들의 평균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보헤마이트(bohemite) 나노섬유 분산액 및 이를 여과하여 형성시킨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 1-2에 따라, 도 4a는 탄소나노튜브 존재 하에서 보헤마이트를 약 12시간 수열합성 하여 제조한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분산액 및 이의 전자투과현미경사진(TEM)이며, 도 4b는 약 22 시간 반응시켜 제조한 분산액을 여과하여 형성시킨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2-1에 따라, SiO2/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도 5a)에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의 정전스프레이(electrospray)로 형성된 나노네트층(도 5b)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6은 실시예 2-2에 따라, PVdF/PAN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에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분산액의 정전스프레이로 형성된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실시예 2-3에 따라, 실리카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도 7a)에 분사량을 달리하여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을 에어스프레이하여 형성시킨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실시예 3-1에 따라,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의 내부에 있는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도 8a), 양표면의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도 8b), 열압착되어 약 52%의 기공도를 지닌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도 8c)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 및 이들의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도 8d)이다
도 9a 및 도 9b는 실시예 3-2에 따라,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 내부에 부분적으로 형성시킨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도 9a)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 및 이들의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도 9b)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예 3-3에 따라, 메타-아라미드/PVdF 초극세 섬유상 필터(도 10a) 내부에 2개의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도 10b)을 지닌 필터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나노재료의 나노네트층을 지닌 초극세 섬유상 필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졸-겔 용액, 또는 이 고분자 용액과 금속산화물의 졸-겔 용액의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평균섬유직경이 대략 100~3000 nm인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열 및 축적되며, 기공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크기가 약 0.1~2 ㎛인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가 여과층으로 포함되고, 여과층이 평균직경이 약 1~100 nm인 이방성 나노재료의 분산액을 분사하여 형성된 나노네트(nanonet)층을 함유한 섬유상 필터가 제공된다. 또한,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크기는 약 0.1~2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방사(electrospinning)에 의해 제조되는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및 이 다공체에 이방성 나노재료의 분산액을 분사하여 형성된 나노네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극세 섬유상 필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그물구조의 나노네트층을 형성하는 이방성 나노재료는 보헤마이트(AlOOH), 수산화알루미늄(Al(OH)3), 감마-알루미나(γ-Al2O3),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등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fiber),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이중벽 탄소나노튜브( double wall carbon nanotube, D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탄소나노로드(carbon nanorod), 흑연성 탄소나노섬유(graphite nanofib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방성 나노재료의 평균직경 대비 길이의 비는 약 50-3000 이며, 이방성 나노재료의 분산액은 고전압 전기장 하에서 분사하는 정전스프레이 또는 공기압으로 분산액을 분사하는 에어스프레이(air-spray) 방법으로 분사되며, 이방성 나노재료가 그물구조를 형성하는 나노네트층의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크기는 약 1~100 nm이다.
이방성 나노재료가 나노네트층을 형성한 후, 부러지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방성 나노재료 분산액에 고분자 바인더가 소량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바인더의 양이 지나치게 많을 때, 나노네트층의 기공구조가 폐쇄될 수 있으므로, 바인더를 최소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보헤마이트(bohemite) 분산액과 이를 여과할 때 형성되는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을 보여주고 있다. 도 4a는 탄소나노튜브 존재 하에서 보헤마이트를 약 12시간 수열합성 하여 제조한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분산액 및 이의 전자투과현미경사진(TEM)이며, 도 4b는 약 22 시간 반응시켜 제조한 분산액을 여과하여 형성시킨 나노네트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나노네트층을 형성하는 이방성 나노재료 분산액을 다양한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위에 정전스프레이 또는 에어스프레이할 때,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구조 위에 나노네트 구조가 형성된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각각 SiO2/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위에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을 정전스프레이할 때 그리고 PVdF/PAN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위에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분산액의 정전스프레이할 때, 나노네트층이 형성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실리카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위에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을 서로 다른 분사량으로 에어스프레이할 때, 분사량에 따라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전구체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형성된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두께, 기공도, 그리고 구성 섬유의 직경은 필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다.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두께를 증대시킬 때, 필터의 여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투과경로가 길어지므로 투과유량이 감소될 수 있다.
하기 비교예 1, 표 1, 그리고 도 1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기공도를 유지하면서 필터의 두께를 증대시키면, 평균 기공크기는 감소하지만, 기공크기 분포는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필터의 두께가 증대하여도 큰 기공은 사라지지 않으며, 이는 미세 입자의 여과효율이 증대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필터의 기공도를 감소시키면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 분포가 급격히 감소하여, 미세입자의 여과효율이 증대할 수 있다. 그러나 표 2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여과효율의 증대는 있으나, 기공도의 감소는 투과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공도를 줄이기 위해 다공체를 압착하는 과정은 구성 섬유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이는 유량의 투과 저항을 증가시키므로 투과 유량이 감소할 수 있다. 필터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직경이 감소하면,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가 감소하지만, 평균 섬유직경이 큰 필터보다도 기공도 감소에 따른 투과유량의 감소가 더 적기 때문에, 더 적은 투과유량 손실 하에서 미세입자의 여과효율이 높을 수 있다.
필터의 여과 정밀도, 즉 여과효율과 투과유량은 여과층의 기공도와 기공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비교예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여과층인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크기, 기공 분포, 그리고 기공도는 구성섬유의 평균 직경 및 직경 분포의 영향을 받는다. 섬유 직경이 작을수록, 기공 크기가 작아지며 기공 크기 분포도 작아진다. 또한, 섬유의 직경이 작을수록, 섬유의 비표면적이 증대되므로 필터에서 여과액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능력도 커질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의 경우 표면의 기공크기와 멤브레인 내부의 기공크기 및 기공도가 다르다. 이는 멤브레인 제조공정에서 멤브레인 표면과 내부에서 용매의 증발 또는 용출속도의 차이 때문이며, 여과에 기여를 하지 못하는 데드 엔드 포어(dead end pore)가 존재한다. 그러나 섬유로 이루어진 필터의 경우 표면의 기공크기 및 기공도는 필터 벌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며, 데드 엔드 포어도 존재하지 않는다. 기공도는 필터의 성능평가에 직접적인 요소는 아니나, 기공도가 높으면 투과유량이 높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에서 여과층이 높은 여과효율과 높은 투과유량을 지닐 수 있는 기공크기를 조절하는 한 방법으로 구성 섬유의 직경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여과층을 구성하는 섬유상 다공체의 평균 섬유직경은 약 100~3000 nm 범위이다. 예를 들어, 필터를 구성하는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는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졸-겔 용액, 또는 이 고분자 용액과 금속산화물의 졸-겔 용액의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열 및 축적되어 이루어졌으며, 초극세 섬유상 다공층은 비교예 2와 같은 압착공정을 통해 기공도를 낮추거나 초기 초극세 섬유의 평균섬유직경을 최소화하여,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크기가 약 0.1~2 ㎛인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를 여과층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섬유상 다공체는 섬유직경이 가늘수록 기공도 및 기공크기가 비례하여 감소하지 않는다. 즉, 섬유직경의 감소에 비하여 기공도 및 기공크기는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바이러스와 같은 극미세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기공크기로 약 1~100 nm가 요구되고 있으나, 전기방사로 제조한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크기를 이와 같이 감소시키기는 매우 어려우며, 이와 같이 작은 기공크기를 지닌 다공체를 제조할 경우 높은 여과효율을 얻을 수는 있으나 낮은 투과속도로 인하여 투과유량이 현저히 낮아진다. 따라서 투과유량에 큰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이들 초극세 고분자 섬유 다공체를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 내지 용융온도(Tm)의 범위에서 열압착하여, 기공도 및 기공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에 의해 고분자만으로 이루어진 섬유상 다공체를 열압착을 할 경우, 기공도가 약 20% 이하까지도 낮아질 수 있으며, 더 많은 열압착을 할 경우 고분자 성분의 용융에 의해 기공구조가 거의 붕괴될 수 있다.
그러나 여과층 전체의 기공크기 분포에서, 여과층은 단일 크기의 기공만을 갖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작은 기공과 큰 기공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층은 더 큰 직경의 섬유로 구성되어 기공크기가 큰 다공층일 수 있고, 위층에는 더 가는 직경의 섬유로 구성되어 작은 크기의 기공들을 갖는 다공층일 수 있으며, 이러한 다공층은 다층구조 또는 경사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 또는 경사구조를 갖는 여과층의 형성은 전기방사 과정에서 먼저 직경이 큰 섬유를 축적한 후 점차 직경이 가는 섬유를 축적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러스와 같은 극미세 입자를 고효율로 여과하기 위하여, 여과층의 기공크기가 약 1~100n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60 nm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여과층이 바이러스를 여과할 수 있는 약 0.1 ㎛ 이하의 미세 기공크기를 갖기 위하여, 기공도를 과도하게 낮추게 되면, 투과유량의 감소할 수 있으며, 전기방사에 의해 평균 섬유직경을 약 100nm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최대 빈도의 기공크기가 약 0.1~2 ㎛인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여과층을 포함하며, 여과층은 평균직경이 약 1~100 nm인 이방성 나노재료의 분산액을 분사하여 형성된 나노네트층을 포함한다. 그물구조를 갖는 나노네트층은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크기가 약 1~100 nm일 수 있다.
적절한 평균 섬유직경을 지닌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체를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 내지 용융온도(Tm)의 범위에서 열압착하고, 기공도 및 기공도 크기분포를 사전에 조절한 다공체 위에 이방성 나노재료의 분산액을 분사하여 나노네트층을 형성함으로써, 필터의 여과층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를 제조하는 전기방사 과정에서 초극세 섬유층을 소정 두께로 적층한 후 나노네트층을 적층하고, 나노네트층 위에 초극세 섬유층을 소정 두께로 적층한 다공체를 열압착하고,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를 조절함으로써, 필터의 여과층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나노네트층은 단층 구조 외에도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기방사 과정에서 초극세 섬유층의 적층과 동시에 나노네트 분산액을 분사시켜 초극세 섬유층과 나노네트층이 혼재된 다공체가 제조될 수 있고, 열압착에 의해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 분포를 조절함으로써, 필터의 여과층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극미세 기공을 갖는 여과층은 매우 높은 여과효율을 갖고 있으나, 압력 손실이 커서 투과용량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여과층의 기공크기만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와 같은 극미세입자를 여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바이러스를 흡착할 수 있으므로, 나노네트층이 보헤마이트를 함유할 때 여과층의 기공 크기를 과도하게 줄이지 않아도 투과유량이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수지는 필터 소재로 사용되는 고분자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및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및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및 그 공중합체,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그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외에도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라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페닐렌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을 포함하는 고내열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열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술폰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PEEK) 및 술폰화 폴리술폰 등과 같이 -SO3H, COOH 또는 이온성 작용기를 지닌 고분자 수지 또한 이들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혼합으로 이루어진 초극세 고분자 섬유의 경우, 각각의 고분자 성분이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질 때, 초극세 섬유는 한 성분이 코어 구조로 다른 성분이 쉘 구조로 형성되는 멀티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다른 고분자의 선택에 따라 쉘 구조에 친수성 성분의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코어 구조에 내열성 고분자가 도입될 때, 내열성이 향상된 초극세 고분자 섬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쉘성분의 고분자가 용융이 가능한 고분자인 경우, 기공도 조절을 위한 열압착 과정에서 초극세 섬유간 융착이 일어나므로 필터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초극세 섬유는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초극세 섬유일 수 있다. 금속산화물은 그 전구체가 M(OR)x, MRx(OR)y, MXy 또는 M(NO3)y로 표시되며, 여기서 M은 Si 또는 Al 또는 Ti 또는 Zr이고, R은 C1-C10 알킬기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고, x 및 y는 1 내지 4의 정수일 수 있으며, 이들 전구체의 졸-겔 반응 용액으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고분자와 금속산화물 혼합 초극세 섬유는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졸-겔 용액과 고분자의 혼합용액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되거나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고분자나 용융 전에 열분해가 되는 고분자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전구체 졸-겔 용액, 알루미나 전구체 졸-겔 용액, 이산화티탄 전구체 졸-겔 용액, 또는 이들 혼합물의 졸-겔 용액과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용액으로부터 섬유가 형성될 때, 고분자 수지의 융점 또는 유리전이온도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도 섬유의 형태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고, 섬유의 열분해온도가 크게 상승하여 내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금속산화물 초극세 섬유 단독은 내열성이 우수하나, 깨지는(brittle)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와 금속산화물 혼합 초극세 섬유는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졸-겔 용액과 고분자의 혼합용액으로부터 제조되는 초극세 섬유로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극세 섬유의 내부 구조는 금속산화물 성분은 초극세 섬유의 표면층(스킨층)을 형성하고, 고분자 성분이 표면층 안에 쉘(shell)층을 형성하고, 금속산화물이 멀티-코어(multi-core)를 형성하는 스킨 멀티코어-쉘 나노구조(skin multicore-shell nanostructure)이거나, 또는 표면층 없이 고분자 성분이 쉘층을 형성하고 금속산화물이 멀티-코어를 형성하는 멀티 코어-쉘 나노구조(multicore-shell nanostructure)일 수 있다. 이러한 나노구조의 초극세 섬유는 고분자 섬유가 지닌 유연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금속산화물이 지닌 내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우수한 보헤마이트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
초극세 섬유가 금속산화물 단독이거나, 고분자와 금속산화물의 혼합물인 경우, 기공도 조절을 위한 열압착후에 약 150~350℃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졸-겔 반응을 완결시킬 수 있다. 열처리 과정은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금속산화물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를 탈수시킬 수 있다. 열처리 과정에서 고분자 섬유상 다공체는 탈수반응이 진행함에 따라 수축이 일어나지만 탈수반응이 종료된 후에는 더 이상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 열처리 온도가 약 350 ℃를 넘는 경우, 보헤마이트와 같은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나노네트층은 열처리 과정에서 알루미나(Al2O3)로 전환될 수 있다.
초극세 섬유의 제조방법은 특별이 한정되지 않으나,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졸-겔 용액, 또는 고분자용액과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졸-겔 용액과의 혼합용액을 전기방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가는 섬유 직경을 갖는 초극세 섬유가 제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졸-겔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초극세 고분자섬유를 형성시키는 전기방사의 원리는 여러 문헌에 잘 나타나 있다[G. Taylor. Proc. Roy. Soc. London A, 313, 453(1969); J. Doshi and D. H. Reneker, J. Electrostatics, 35 151(1995)]. 임계전압 이상의 고전압 전기장 하에서 저점도의 액체가 극미세 방울로 분무되는 현상인 정전스프레이와는 달리, 전기방사는 충분한 점도를 지닌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또는 이들 혼합물의 졸-겔 용액, 또는 이들 졸-겔 용액과 고분자의 혼합용액에 고전압의 정전기력이 인가되며, 전기방사에 의해 초극세 섬유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방사 및 정전스프레이 장치는 동일한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용액을 저장하는 배럴, 일정 속도로 용액을 토출하는 정량 펌프, 그리고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된 방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정량 펌프를 통하여 토출되는 고점도의 용액은 고전압 발생기에 의하여 하전된 방사 노즐을 통과하면서 초극세 섬유로 방출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집전판 위에 다공성 초극세 섬유가 축적된다. 이와 같은 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수 내지 수천 나노미터 크기를 갖는 초극세 섬유가 제조될 수 있고, 섬유의 생성과 동시에 3차원의 네트워크 구조로 융착되어 적층된 형태를 갖는 다공성 웹이 제조될 수 있다.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는 기존 섬유보다 높은 부피 대비 표면적 비를 가지며, 높은 기공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방사는 용융취입(melt-blowing), 플래쉬 방사(flash spinning) 또는 이들 공정의 변형으로서 고전압 전기장과 에어분사에 의해 초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전기취입(electro-blowing)법을 포함하며, 이들 방법들 모두 전기장 하에서 노즐을 통해 압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졸-겔 용액, 또는 고분자 용액과 금속산화물의 졸-겔 용액의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평균 섬유직경이 약 100~3000 nm인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열 및 축적되며, 이의 기공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크기가 약 0.1~2 ㎛인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가 여과층으로 필터에 포함되고, 여과층은 평균직경이 약 1~100 nm인 이방성 나노재료의 분산액을 분사하여 형성된 나노네트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섬유상 필터여재를 포함하는 여과층의 기공도를 줄이지 않는 대신, 중금속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극미세 입자를 흡착할 수 있는 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나노네트층을 필터의 여과층에 도입함으로써, 바이러스 등과 같은 극미세 입자를 여과할 수 있으면서 고여과효율/고투과유량을 동시에 만족하는 필터소재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헤마이트 나노 복합체가 도입된 여과층을 갖는 필터의 형태는 평판인 상태로 적층한 형태, 플리츠(pleats)형, 또는 스파이럴(spiral) 형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터에서, 섬유 직경, 기공 크기, 기공도, 여과 효율, 그리고 투과유량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1. 필터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
내열성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다공체의 표면 또는 단면의 SEM 사진으로부터 Sigma Scan Pro 5.0, SPSS를 사용하여 초극세 고분자섬유의 직경, 섬유의 평균직경, 그리고 섬유직경 분포가 측정되었다.
2.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크기
평균 기공크기는 모세관 흐름 다공성 측정기(capillary flow porometer, PMI사, 버전 7.0)를 사용하여 약 0-30 psi의 압력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기공크기는 측정된 습류(wet flow) 및 건류(dry flow) 곡선으로부터 계산되었으며, 습윤제(wetting agent)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ropene 1,1,2,3,3,3 hexafluoro, oxidized, polymerized)가 사용되었다.
3. 기공도 평가
내열성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도 평가는 하기식의 부탄올 함침법으로 평가되었다
부탄올 함침법 P(%) ={(MBuOH/ρBuOH)/(MBuOH/ρBuOH+Mm/ρp)}×100
(흡수됨 BuOH 무게, Mm: 내열성 고분자 섬유상 다공체 무게, ρBuOH: BuOH 밀도, ρp: 내열성 고분자 섬유 밀도)
4. 여과 정밀도(여과 효율) 평가
직경 약 200 nm 및 약 105 nm의 폴리스티렌 라텍스 입자(Magsphere Inc.) 약 10 중량%의 현탁 수용액을 탈이온수로 희석하여 제조한 약 0.1 중량% 현탁액 약 30 mL는 공급액과 투과액 사이의 압력차이가 약 20 kPa가 되도록 진공시스템을 사용하여 내열성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다공체를 투과하도록 공급되었다. 이후, 원래 현탁액과 내열성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다공체를 투과한 투과액에 함유된 라텍스 나노입자의 농도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meter)에 의해 약 200~205 nm에서의 흡광도 세기로 정량 평가되었고, 하기의 식에 따라 필터 효율이 평가되었다. 또한, 투과액 약 5 ㎕를 채취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고 진공 건조한 후, 라텍스 입자 수를 계산함으로써 필터 효율이 평가되었다.
필터효율(%) = [1-(Ct/Co)]×100
Ct :투과액 라텍스 입자농도, Co: 원래 라텍스 현탁액 농도
5. 투과유량 평가
여과 정밀도 측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필터가 필터 홀더에 장착되었고, 약 25℃의 탈이온수가 약 20 kPa의 압력차로 공급되면서, 필터를 투과한 투과액 약 5 mL마다 투과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투과 유량이 측정되었다.
비교예
1:
초극세
섬유상
필터 제조
테트라에톡시오르토실리케이트(TEOS, Aldrich사) 약 37.5g, 메틸트리에톡시실란(Aldrich사) 약 16.0g, 에틸알콜 약 24.9g, 물 약 9.6g 및 염산수용액 약 0.28g가 혼합된 후, 약 70℃에서 약 3시간 동안 교반되어 약 31g의 실리카 졸-겔 용액이 제조되었다. 제조된 용액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Kynar 761) 약 14 g가 용해된 DMF 용액 약 140 g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이 제조된 후, 이 혼합용액을 약 20kV의 고전압 전기장, 약 30 ㎕/분의 토출속도 및 약 30G의 방사 노즐 하에서 전기방사함으로써, 약 87 %의 기공도를 가지며, 평균 섬유직경 약 380 nm인 실리카 /PVdF 복합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대략 63㎛, 189 ㎛, 315㎛, 그리고 441㎛인 다공체가 제조되었다. 기공도가 대략 60%가 제조된 다공체들이 약 130℃에서 열압착된 후, 약 180℃에서 약 10분 동안 열처리되어, 최종 두께 대략 24㎛, 72㎛, 120㎛, 그리고 168㎛를 갖는 섬유상 필터가 제조되었고, 이들 섬유상 필터의 기공크기 및 분포와 통기도는 표 1과 도 1에 나타냈다.
비슷한 기공도를 유지하면서 필터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경우, 평균 기공크기는 감소하고 통기도는 약간 줄어든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공크기 분포는 작아지지 않으므로 큰 기공의 존재로 인하여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막두께(㎛) | 겉보기 기공도 (%) |
통기도 (Gurley number) |
평균기공크기 (nm) | 가장 큰 기공크기(nm) | |
초기 | 압착 후 | ||||
63 | 24 | 60 | 11 | 377 | 600 |
189 | 72 | 60 | 24.9 | 329 | 546 |
315 | 120 | 57 | 47.0 | 282 | 518 |
441 | 168 | 61 | 41.7 | 273 | 541 |
비교예
2:
초극세
섬유상
필터 제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사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전기방사하지만, 각각 대략 25 ㎕/분, 15㎕/분, 그리고 10㎕/분의 토출속도로 방사하여, 평균 섬유직경이 각각 대략 355nm, 235nm, 그리고 201 nm인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체가 제조된 후, 다공체를 열압착하여 서로 다른 기공도를 지닌 필터가 제조된다. 제조된 필터의 기공크기 및 분포와 통기도는 표 2와 도 2에 나타냈다.
막 시료 | 두께 (㎛) |
기공도(%) | 평균섬유직경(nm) | 통기도(Gurley number) | 평균기공크기(nm) | 투과유량 (L/hr/m2),20kPa |
여과효율(%),20kP1 ) | ||
200nm 입자2 ) |
105nm 입자2 ) |
||||||||
1 | 초기막 | 130 | 89 | 355 | 6 | 799 | - | ||
열압착후 | 50 37 30 25 |
71 61 52 43 |
375 385 492 529 |
12 28 66 190 |
387 198 138 87 |
8100 979 596 176 |
11.9(10.1) 40.4[76.4] 85.9 88.0 |
6.9(4.1) 9.8 30.4 51.8 |
|
2 | 초기막 | 110 | 89 | 235 | 7 | 550 | - | ||
열압착후 | 42 31 25 21 |
68 57 47 37 |
250 255 310 347 |
20 31 69 185 |
282 232 163 122 |
6966 896 561 166 |
32.6 51.2 88.3 95.3 |
13.2 20.1 41.5 63.0 |
|
3 | 초기막 | 131 | 87 | 201 | 8 | 442 | - | ||
열압착후 | 61 47 36 |
72 63 52 |
271 354 408 |
18 33 72 |
239 162 100 |
5812 676 341 |
48.9 82.7 99.7 |
31.0 43.5 71.0 |
|
1) 1 사이클 여과, 2) 100ppm-polystyrene latex 분산용액, [ ] : 두께 105㎛, 기공도 60%, 투과유량 81 L/hr/m2(20kPa), ( ):상용막-기공도 75%, 두께 170 ㎛, 통기도 27.5, 평균기공크기 188nm, 투과유량 2566 L/hr/m2(20kPa), |
압착률이 커져 기공도가 저하되는 경우, 평균 기공크기 및 분포는 작아지고 큰 기공이 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압착률의 증대는 구성 섬유의 압착으로 인하여 평균섬유 직경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기도 및 투과 유량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초기 구성 섬유의 평균 직경이 감소하는 경우, 압착에 의해 기공도가 감소하여도 통기도의 큰 손실 없이 더 작은 기공과 기공 분포도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평균 섬유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전기방사시 토출 속도를 크게 줄여야 하며, 이는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
보헤마이트
(
bohemite
) 나노섬유의 제조
알루미늄 부톡사이드 [Al(O-secButyl)3] 약 15 mL을 증류수 약 1450 mL에 넣고 약 10.9 mL의 염산을 가하여 백색 분산액이 제조되었다. 백색 분산액에 약 38 g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Al(O-isoPropyl)3]이 첨가된 후, 얼음 욕조에서 초음파로 약 1 시간 동안 교반된다. 교반된 용액은 테프론 튜브로 연결된 고압반응기에서 약 섭씨 150 도에서 약 22 시간 반응된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백색 분산액이 제조되었다.
도 3은 분산액을 여과하여 얻은 나노네트 구조로 이루어진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다공층의 표면을 보여 주는 주사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분산액을 사용하는 경우 필터에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도입될 수 있다.
실시예
1-2:
보헤마이트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알루미늄 부톡사이드 [Al(O-secButyl)3] 약 15 mL을 증류수 약 1450 mL에 넣고 약 10.9 mL의 염산을 가하여 백색 분산액이 제조되었다. 백색 분산액에 약 38 g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Al(O-isoPropyl)3]과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Nanocyl 공급품)가 첨가된 후, 얼음 욕조에서 초음파로 약 1 시간 동안 교반된다. 교반된 용액은 테프론 튜브로 연결된 고압반응기에서 약 섭씨 150 도에서 약 12 시간 및 22 시간 반응된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분산액이 제조되었다.
도 4a는 약 12 시간 반응 시킨 후 얻은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분산액 및 이의 전자투과현미경사진(TEM)을 보여 주고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보헤마이트가 흡착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4b는 약 22 시간 반응시켜 제조한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분산액을 여과하여 얻은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이루어진 나노네트 구조의 다공층의 표면을 보여 주는 주사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보헤마이트 나노섬유가 성장되어 탄소나노튜브와 혼재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으며, 분산액을 사용하여 필터에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 나노네트층이 도입될 수 있다.
실시예
2-1:
SiO
2
/
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에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의 정전스프레이
비교예 2에서 제조된 SiO2/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위에[도 5a],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이 약 27G 방사노즐을 통해 12kV의 고전압 전기 장하에서 약 30㎕/분 토출속도로 분사되었다.
도 5b는 섬유상 다공체 표면에 형성된 보헤마이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나노네트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실시예
2-2:
PVdF
/
PAN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에
보헤마이트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분산액의 정전스프레이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평균 섬유직경 약 650 nm인 PVdF/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Mw Polyccience, 분자량 약 150,000)(1/1 중량비)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 표면 위에 실시예 1-2[도 4a]의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분산액이 약 27G 방사노즐을 통해 약 10kV의 고전압 전기 장하에서 약 25㎕/분의 토출속도로 분사되었다.
도 6은 섬유상 다공체 표면에 형성된 보헤마이트/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나노네트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실시예
2-3: 실리카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에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의
에어스프레이
테트라에톡시오르토실리케이트(TEOS, Aldrich사) 약 37.5g, 메틸트리에톡시실란(Aldrich사) 약 16.0g, 에틸알콜 약 24.9g, 물 약 9.6g 및 염산수용액 약 0.28g가 혼합된 후, 약 70℃에서 약 3시간 동안 교반되어 실리카 졸-겔 용액이 제조되었다. 제조된 실리카 졸-겔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한 도 7a의 평균 섬유직경 약 280 nm의 실리카 나노섬유 다공체 표면에,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보헤마이트(bohemite) 나노섬유 분산액이 공기압으로 각각 대략 10 mL, 20mL, 30mL를 에어분사되었다.
도 7b 내지 도 7d는 각각 분사량을 달리하여 얻은 보헤마이트 나노네트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3-1: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을
갖는 실리카/
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 제조
비교예 2에서의 평균섬유직경이 약 201 nm인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두께 약 131㎛ 다공체 제조 조건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지만, 전기방사과정에서 먼저 약 65㎛의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이 축적된 후, 그 위에 실시예 2-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을 공기압으로 에어분사하여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도입되고[도 8a], 다시 약 65㎛의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이 축적되었다[도 8b].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도입되어도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의 두께는 나노네트층이 없는 다공체와 차이가 없었다. 제조된 다공체는 약 130℃에서 열압착된 후, 약 180℃에서 약 10분 동안 열처리되어 최종 두께 각각 약 61㎛(기공도 약 72%) 및 약 36㎛(기공도 약 52%)를 갖는 섬유상 필터[도 8c]가 제조되었다.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도입된 것과 도입되지 않은 섬유상 필터의 기공크기 및 분포는 도 8d에 나타나 있다.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비슷한 막두께와 평균섬유직경을 갖는 기공도 약 87%의 초기막에서,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도입됨으로써 평균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큰 기공들도 크게 줄었다. 또한 기공도기 대략 72% 및 52%가 되도록 압착하는 경우,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가 작아지고, 큰 기공이 사라졌다. 특히, 나노네트층이 도입됨으로써 최대 빈도를 갖는 기공이 기공도 약 72%에서는 약 280nm에서 약 128nm로, 기공도 약 52%에서는 약 125nm에서 약 74nm로 크게 작아졌다. 필터의 투과유량은 약 20kPa 압력에서 기공도 약 72% 및 약 52%에서 각각 대략 582L/hr/m2 및 421 L/hr/m2이었으며, 약 100ppm농도의 약 102nm polystyrene latex 분산용액의 필터효율은 각각 대략 89.0% 및 95.0 %이었다.
실시예
3-2: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을
갖는 실리카/
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필터 제조
비교예 2에서의 평균섬유직경이 약 235 nm인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두께 약 110㎛ 다공체 제조조건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지만, 전기방사과정에서 먼저 약 55㎛의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이 축적된 후, 그 위에 실시예 2-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보헤마이트 나노섬유 분산액이 공기압으로 에어분사되지만, 도 9a와 같이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부분적으로 도입되었고, 이 위에 다시 약 55㎛의 실리카/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이 축적되었다. 제조된 다공체가 약 130℃에서 기공도 약 70% 수준으로 열압착되어 섬유상 필터가 제조되었다.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도입된 것과 도입되지 않은 섬유상 필터의 기공크기 및 분포를 도 9b에 나타나 있다.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이 부분적으로 도입되어도 평균 기공크기 및 기공크기분포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큰 기공들도 사라졌다. 특히, 나노네트층이 도입됨으로써 최대 빈도를 갖는 기공이 기공도 약 70%에서는 약 286nm에서 약 175nm로로 크게 작아졌다. 투과유량은 약 571L/hr/m2 이었으며, 약 100ppm농도의 약 105 nm polystyrene latex 분산용액의 필터효율은 약 81.2 %이었다.
실시예
3-3: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을
갖는
메타
-
아라미드
/
PVdF
초극세
섬유상
필터 제조
약 750 g의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에 염화칼슘 약 30 g를 용해시킨 용매에 메타-아라미드(m-aramid, Aldrich) 약 79.8g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Kynar 761) 약 23.2g를 용해시켜 제조한 m-aramid/PVdF 용액이 약 20kV 고전압 전기 장하에서 약 10 ㎕/분의 토출속도로 전기방사되어,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평균 섬유직경이 약 145 nm인 메타-아라미드/PVdF 복합 나노섬유가 제조되었다. 초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과정에서 먼저 약 40㎛의 메타-아라미드/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 에어분사에 의한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도 10b], 약 40㎛의 메타-아라미드/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 그리고 약 40㎛의 메타-아라미드/PVdF 복합 초극세 섬유층을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보헤마이트 나노네트층을 갖는 약 120 ㎛ 두께의 메타-아라미드/PVdF 복합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공체가 약 130℃에서 기공도 약 70% 수준으로 열압착되어 섬유상 필터가 제조되었다. 필터의 기공도 약 70%에서 평균 기공크기가 약 87 nm이었으며, 최대 빈도를 갖는 기공이 약 65nm로 크게 작아졌다. 투과유량은 약 271L/hr/m2 이었으며, 약 100ppm농도의 약 105 nm polystyrene latex 분산용액의 필터효율은 약 99.9%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0.1~2 ㎛인 섬유상 다공체, 그리고
나노 섬유 형태의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이방성 나노재료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1~100 nm이고, 상기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 내에 위치하는 나노네트층(nanonet layer)
을 포함하는 여과층을 포함하는 섬유상 필터.
- 제1항에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보헤마이트(AlOOH), 수산화알루미늄(Al(OH)3), 감마-알루미나(γ-Al2O3), 이산화티탄(TiO2) 또는 산화아연(ZnO)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상 필터.
- 제1항에서,
상기 이방성 나노재료의 평균 직경은 1-100 nm이며, 평균 섬유직경 대비 섬유길이의 비가 50-3000인 섬유상 필터.
- 제1항에서,
상기 이방성 나노재료는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fiber),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이중벽 탄소나노튜브( double wall carbon nanotube, D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탄소나노로드(carbon nanorod), 흑연성 탄소나노섬유(graphite nanofib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섬유상 필터.
- 제1항에서,
상기 초극세 섬유는 평균 직경이 100~3000 nm이며, 고분자 초극세 섬유, 금속산화물 초극세 섬유, 또는 고분자 및 금속산화물 혼합 초극세 섬유인 섬유상 필터.
- 제5항에서,
상기 초극세 섬유에서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셀룰로우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페닐렌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SO3H, COOH 또는 이온성 작용기를 갖는 고분자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혼합물인 섬유상 필터.
-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0.1~2 ㎛인 섬유상 다공체, 그리고
이방성 나노재료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1~100 nm인 나노네트층(nanonet layer)을 포함하는 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초극세 섬유는 고분자 초극세 섬유, 금속산화물 초극세 섬유, 또는 고분자 및 금속산화물 혼합 초극세 섬유이고,
상기 고분자가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혼합물인 경우, 한 성분이 멀티코어 구조를 가지며, 다른 성분은 쉘 구조를 갖는 섬유상 필터.
- 제5항에서,
상기 초극세 섬유에서 금속산화물은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섬유상 필터.
- 제8항에서,
상기 금속산화물의 전구체가 M(OR)x, MRx(OR)y, MXy 또는 M(NO3)y로 표시되며, 여기서 M은 Si, Al, Ti, 또는 Zr이고, R은 C1-C10 알킬기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고, x 및 y는 1 내지 4의 정수인 섬유상 필터.
- 초극세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0.1~2 ㎛인 섬유상 다공체, 그리고
이방성 나노재료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공 크기 분포에서 최대 빈도의 기공 크기가 1~100 nm인 나노네트층(nanonet layer)을 포함하는 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초극세 섬유는 고분자 및 금속산화물 혼합 초극세 섬유이며,
상기 고분자 및 금속산화물 혼합 초극세 섬유는 금속산화물 성분의 표면층, 고분자 성분의 쉘층, 그리고 금속산화물 성분의 멀티 코어를 갖는 스킨 멀티코어-쉘 나노 구조이거나, 또는 표면층 없이 고분자 성분의 쉘층, 금속산화물 성분의 멀티 코어를 갖는 멀티 코어-쉘 나노구조인 섬유상 필터.
- 고분자 용액, 금속산화물 전구체 졸-겔 반응용액, 또는 고분자와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졸-겔 용액의 혼합용액을 전기방사(electrospinning)하여,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를 포함하는 여과층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나노섬유 분산액을 상기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에 분사하여, 상기 섬유상 다공체의 기공 내에 나노네트층을 형성하되, 상기 분사는 정전스프레이(electrospray)에 의한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섬유상 필터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서,
상기 전기방사는 용융취입(melt-blowing), 플래쉬 방사(flash spinning), 또는 전기취입(electro-blowing)인 섬유상 필터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11항에서,
상기 초극세 섬유상 다공체는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 내지 용융온도(Tm)의 범위에서 열압착된 것인 섬유상 필터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서,
상기 섬유상 다공체는 150~350℃ 온도 구간에서 열처리된 것인 섬유상 필터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542A KR101409421B1 (ko) | 2012-09-20 | 2012-09-20 |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US13/764,068 US20140076797A1 (en) | 2012-09-20 | 2013-02-11 | Fiber-based filter with nanonet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542A KR101409421B1 (ko) | 2012-09-20 | 2012-09-20 |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8157A KR20140038157A (ko) | 2014-03-28 |
KR101409421B1 true KR101409421B1 (ko) | 2014-06-18 |
Family
ID=5027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4542A KR101409421B1 (ko) | 2012-09-20 | 2012-09-20 |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076797A1 (ko) |
KR (1) | KR1014094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6486A (ko) | 2018-02-09 | 2019-08-20 | (주)코레쉬텍 | 공기청정용 필터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40797B1 (en) | 2014-11-26 | 2023-12-12 | Microban Products Company | Textile formulation and product with odor control |
KR101691636B1 (ko) * | 2015-05-06 | 2017-01-0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고투과유량 및 고여과효율을 갖는 초극세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US20160346718A1 (en) * | 2015-05-25 | 2016-12-01 | Yulia Holenberg | Devic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emulsions and filtering organic materials from aqueous samples |
KR101810830B1 (ko) | 2015-08-13 | 2017-12-20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휴대용 정수 파우치 |
KR101887368B1 (ko) * | 2015-08-13 | 2018-08-10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필터여재용 나노섬유, 이를 포함하는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CN106540490B (zh) * | 2015-09-16 | 2020-08-07 |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 一种复合型纳米滤料、其制备方法及应用 |
US10695486B2 (en) | 2015-10-14 | 2020-06-30 | Amogreentech Co., Ltd. | Liquid drug-filtering filter medium and filter module |
CN105289329A (zh) * | 2015-11-14 | 2016-02-03 | 常州大学 | 一种PVDF/纳米TiO2共混改性平板膜组件制备方法 |
TWI568491B (zh) * | 2015-12-31 | 2017-02-0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過濾材料 |
ES2692884B1 (es) * | 2017-02-13 | 2020-01-23 | Saiz Manuel Munoz | Sistema y procedimiento de filtrado a nivel de partículas nanopartículas, moléculas y átomos |
US20180290087A1 (en) * | 2017-04-11 | 2018-10-11 | Hollingsworth & Vose Company | Polyethersulfone fiber webs |
CN107362701B (zh) * | 2017-08-25 | 2019-09-03 | 河北科技大学 | 一种可重复利用纳米蛛网空气过滤膜及其制备方法 |
CN108525655B (zh) * | 2018-05-03 | 2020-07-24 |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将羟基氧化为羰基的新型复合催化剂的制备方法与应用 |
CN109943202B (zh) * | 2018-05-10 | 2021-09-21 | 江拥 | 一种水性环氧纳米纤维重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
CN108772108B (zh) * | 2018-05-31 | 2020-12-08 | 苏州大学 | 一种可见光响应的二氧化钛纳米线/金属有机骨架/碳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及应用 |
CN108755104B (zh) * | 2018-06-15 | 2021-02-19 | 北京化工大学常州先进材料研究院 | 一种表面修饰二氧化钛纳米颗粒聚酰亚胺纤维膜的制备方法 |
CN109011841B (zh) * | 2018-08-16 | 2020-11-03 | 安徽鸿禄滤材有限公司 | 一种高稳定性除尘滤料的制备方法 |
CN111379074A (zh) * | 2018-12-28 | 2020-07-07 | 张家港市清泉水处理有限公司 | 一种用于处理印染废水的纤维素纳米纤维复合膜的制备方法 |
US20200316531A1 (en) * | 2019-04-08 | 2020-10-08 | Esquel Enterprises, Limited | Composite Membrane for Industrial Water Filtration |
KR20230076803A (ko) * | 2020-03-31 | 2023-05-31 | 메트레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 개인 보호 장비에 사용하기 위한 전기방사 나노섬유 중합체 멤브레인 |
GR1010180B (el) * | 2020-04-24 | 2022-03-01 | Bl Nanobiomed Private Company, | Συστημα νανοφιλτρου για μεσα προσωπικης και ιατρικης προστασιας, νανο-ασπιδες αντιστοιχα, και μεθοδος για την παραγωγη τους |
KR20220106296A (ko) | 2021-01-22 | 2022-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집진 필터 |
CN116761914A (zh) * | 2021-01-22 | 2023-09-15 | 东丽株式会社 | 湿式无纺织物片 |
CN112999896B (zh) * | 2021-03-11 | 2023-12-22 | 西西埃热能(南京)有限公司 | 一种勃姆石改性吸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5974414B (zh) * | 2022-12-29 | 2024-09-13 | 江苏华鸥玻璃有限公司 | 一种低膨胀耐腐蚀高硼硅玻璃试剂瓶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01262B1 (en) * | 2001-06-22 | 2009-10-13 | Argonide Corporation | Sub-micron filter |
KR101118475B1 (ko) * | 2010-01-22 | 2012-03-12 | (주)바이오니아 | 친수화 표면개질된 복합 다공막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142853B1 (ko) * | 2010-05-03 | 2012-05-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내열성이 향상된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92712A (en) * | 1987-09-04 | 1990-01-09 | Nutech Energy Systems Inc. | Fluid purification |
US7296691B2 (en) * | 2003-07-18 | 2007-11-20 | Kx Technologies Llc | Carbon or activated carbon nanofibers |
KR100648952B1 (ko) * | 2002-12-23 | 2006-1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하는 필터 |
US8303693B2 (en) * | 2007-04-26 | 2012-11-06 |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 Nanofiber filter facemasks and cabin filters |
US8414806B2 (en) * | 2008-03-28 | 2013-04-09 |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 Membrane made of a nanostructured material |
-
2012
- 2012-09-20 KR KR1020120104542A patent/KR1014094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2-11 US US13/764,068 patent/US20140076797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01262B1 (en) * | 2001-06-22 | 2009-10-13 | Argonide Corporation | Sub-micron filter |
KR101118475B1 (ko) * | 2010-01-22 | 2012-03-12 | (주)바이오니아 | 친수화 표면개질된 복합 다공막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142853B1 (ko) * | 2010-05-03 | 2012-05-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내열성이 향상된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6486A (ko) | 2018-02-09 | 2019-08-20 | (주)코레쉬텍 | 공기청정용 필터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8157A (ko) | 2014-03-28 |
US20140076797A1 (en) | 2014-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9421B1 (ko) |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
US9994488B2 (en) | Ultrafine continuous fibrous ceramic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101142853B1 (ko) | 내열성이 향상된 초극세 고분자 섬유상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89901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 |
Jia et al. | Flexible ceramic fibers: Recent development in preparation and application | |
CN109219475B (zh) | 过滤器集合体、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模块 | |
KR101691636B1 (ko) | 고투과유량 및 고여과효율을 갖는 초극세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
WO2014178454A1 (ko) | 수처리용 나노섬유-그래핀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용 나노섬유—그래핀 분리막 | |
KR101361704B1 (ko) | 수처리용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80217807A1 (en) | Composite fiber filter comprising nan0-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
JP5062630B2 (ja) | 複合繊維体、その製造方法、フィルタ及び流体濾過方法 | |
WO2006115270A1 (ja) | フィルタ濾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ならびにフィルタユニット | |
KR102216454B1 (ko) | 포러스 탄소 나노섬유들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
RU2008114377A (ru) |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ий воздушный фильтр | |
WO2015084266A1 (en) | A composite nanofiber membrane for membrane distillation and a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 |
JP2006326579A (ja) | フィルタ濾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ならびにフィルタユニット | |
CN112774457B (zh) | 一种聚合物微滤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JP2016089197A (ja) | アルカリ水電気分解隔膜用基材 | |
Yu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MIA nanofiber filter membrane for air filter | |
KR101319558B1 (ko) | 나노그물망 구조의 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90123010A (ko) |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 |
Yin et al. | Electrospun fibers for filtration | |
CN106669384B (zh) | 可释放负离子的复合防雾霾窗纱及其静电纺丝装置和方法 | |
KR102376501B1 (ko) | 미세먼지집진용 복합막 여과체 및 그의 제조방법 | |
Yalcinkaya et al. | 12 Nanofibers in liquid filt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