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269B1 -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269B1
KR101407269B1 KR1020130077991A KR20130077991A KR101407269B1 KR 101407269 B1 KR101407269 B1 KR 101407269B1 KR 1020130077991 A KR1020130077991 A KR 1020130077991A KR 20130077991 A KR20130077991 A KR 20130077991A KR 101407269 B1 KR101407269 B1 KR 101407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am pad
pipe
ho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송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의 커버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파이프와 제1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1부착부가 형성된 커버결합부; 폼패드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2부착부가 형성된 폼패드결합부; 및 커버와 폼패드의 결합 시 상기 커버결합부의 제1관통홀과 폼패드결합부의 제2관통홀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WIRE ASSEMBLY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커버와 폼패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폼패드와 폼패드를 감싸는 커버로 형성된다. 폼패드와 커버의 결합 시에는 폼패드로부터 커버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와이어를 장착하여 폼패드와 커버의 구속력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와이어만 결합되는 경우 충격이나 폼패드의 변형 등에 의해 와이어가 절단되거나 절곡되어 돌출되게 되면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등의 위험이 있어 와이어를 다른 재질로 감싼 와이어장치를 장착하여 탑승자를 상해로부터 보호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에 와이어장치(4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와이어장치(40)가 폼패드와 커버가 결합된 내측에 장착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장치(40)의 A-A선 단면도로 두 개의 와이어(10, 20)를 호그링((Hog Ring)으로 결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정확한 고정점에 와이어장치(40)를 구현하기 어려워 폼패드와 커버가 완벽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커버가 들뜨거나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1998-027119 A는 "시트트림(Seat Trim)의 소윙라인(Sewing Line)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폼패드에 와이어를 일체로 매립하고, 커버를 고정시키되 와이어에 후크를 형성하여 고무줄부재의 링이 후크에 걸려도록 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구조가 복잡해 작업이 어려우며 고무줄부재의 노화 등에 의한 끊어짐 발생으로 고정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어 조립 편차를 줄여 커버의 들뜸이나 주름이 방지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8-027119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어 조립 편차를 줄여 커버의 들뜸이나 주름이 방지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는 시트의 커버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파이프와 제1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1부착부가 형성된 커버결합부; 폼패드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2부착부가 형성된 폼패드결합부; 및 커버와 폼패드의 결합 시 상기 커버결합부의 제1관통홀과 폼패드결합부의 제2관통홀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결합부의 제1부착부는 제1파이프의 반지름방향의 일측 최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제1파이프와 제1부착부가 이루는 단면이 원과 접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폼패드결합부의 제2부착부는 제2파이프의 반지름방향의 일측 최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제2파이프와 제부착부가 이루는 단면이 원과 접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결합부와 폼패드결합부는 결합 시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커버결합부는 차량의 시트 커버의 내측에 봉제처리될 수 있다.
상기 폼패드결합부는 차량의 폼패드의 외측에 폼패드와 일체로 발포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커버와 폼패드의 결합 시 와이어가 차례로 관통하여 커버결합부와 폼패드결합부는 일렬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에 따르면 커버결합부와 폼패드결합부가 각각 커버와 폼패드가 성형될 때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와 폼패드의 조립 시 정확한 고정위치에 조립할 수 있으며, 결합부 자체의 크기를 위치나 형상에 따라 자유자재로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여 곡면이나 복잡한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커버와 폼패드에 각각 와이어가 삽입되고 호그링이 적용되던 것을 와이어를 1개로 축소하고 호그링을 삭제함에 따라 부품 수를 줄여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이 간단하고,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좌우편차를 제거할 수 있어 좌우 편차에 의한 시트 커버의 외관 품질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에 와이어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선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에 따르면 시트의 커버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1관통홀(111)이 형성된 제1파이프(110)와 제1파이프(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1부착부(130)가 형성된 커버결합부(100); 폼패드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2관통홀(311)이 형성된 제2파이프(310)와 제2파이프(3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2부착부(330)가 형성된 폼패드결합부(300); 및 커버와 폼패드의 결합 시 상기 커버결합부(100)의 제1관통홀(111)과 폼패드결합부(300)의 제2관통홀(311)을 관통하는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결합부(100)와 폼패드결합부(300)는 이해하기 용이하게 제1파이프(110)와 제2파이프(310)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형상은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파이프형상이되, 재질은 커버결합부(100)는 커버와 동일한 재질 즉, 통상적으로 가죽 등으로 형성되고, 폼패드결합부(300)는 폼패드와 동일한 재질 즉, 폴리우레탄 등으로 형성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커버결합부(100)는 차량의 시트 커버의 내측에 형성되되 시트 커버와 봉제처리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폼패드결합부(300)는 차량의 폼패드의 외측에 폼패드와 일체로 발포성형되므로 커버결합부(100)와 폼패드결합부(300)가 각각 커버와 폼패드가 성형될 때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와 폼패드의 조립 시 정확한 고정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커버결합부와 폼패드결합부는 시트의 시트백이나 시트쿠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결합부(100)와 폼패드결합부(300)는 결합 시 하나의 쌍을 이루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설계에 따라서는 상기 커버결합부(100)의 제1부착부(130)와 폼패드결합부(300)의 제2부착부(3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폼패드와 커버의 결합 시 상기 와이어(500)는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311)을 차례로 혹은 반대의 순서로 관통하고, 커버결합부(100)와 폼패드결합부(300)는 일렬을 형성하여 폼패드와 커버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으며, 커버결합부(100) 또는 폼패드결합부(300) 자체의 크기를 위치나 형상에 따라 자유자재로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므로, 곡면이나 복잡한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311)은 여러가지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311)은 상기 와이어(50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와이어(500)만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폼패드와 커버의 결합 후에도 와이어(500)가 제1관통홀(111) 및 제2관통홀(311)의 내부에서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잘 구속하여 좌우편차를 제거할 수 있어 좌우 편차에 의한 시트 커버의 외관 품질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커버결합부(100)의 제1부착부(130)는 제1파이프(110)의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부착부(130)가 커버의 내측에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폼패드결합부(300)의 제2부착부(330) 역시 제2파이프(310)의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부착부(330)가 폼패드에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결합부(100)의 제1부착부(130)는 제1파이프(110)의 반지름방향의 일측 최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1파이프(100)와 제1부착부(130)가 이루는 단면이 원과 접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500)를 커버측으로 좀 더 밀착하여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폼패드결합부(300)의 제2부착부(330)도 제2파이프(310)의 반지름방향의 일측 최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2파이프(310)와 제2부착부(330)가 이루는 단면이 원과 접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에 의하면 커버결합부와 폼패드결합부가 각각 커버와 폼패드가 성형될 때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와 폼패드의 조립 시 정확한 고정위치에 조립할 수 있으며, 결합부 자체의 크기를 위치나 형상에 따라 자유자재로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여 곡면이나 복잡한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커버와 폼패드에 각각 와이어가 삽입되고 호그링이 적용되던 것을 와이어를 1개로 축소하고 호그링을 삭제함에 따라 부품 수를 줄여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이 간단하고,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좌우편차를 제거할 수 있어 좌우 편차에 의한 시트 커버의 외관 품질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커버결합부 110 : 제1파이프
111 : 제1관통홀 130 : 제1부착부
300 : 폼패드결합부 310 : 제2파이프
311 : 제2관통홀 330 : 제2부착부
500 : 와이어

Claims (7)

  1. 시트의 커버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파이프와 제1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1부착부가 형성된 커버결합부;
    폼패드측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제2부착부가 형성된 폼패드결합부; 및
    커버와 폼패드의 결합 시 상기 커버결합부의 제1관통홀과 폼패드결합부의 제2관통홀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부의 제1부착부는 제1파이프의 반지름방향의 일측 최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제1파이프와 제1부착부가 이루는 단면이 원과 접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결합부의 제2부착부는 제2파이프의 반지름방향의 일측 최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제2파이프와 제부착부가 이루는 단면이 원과 접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부와 폼패드결합부는 결합 시 하나의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부는 차량의 시트 커버의 내측에 봉제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결합부는 차량의 폼패드의 외측에 폼패드와 일체로 발포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커버와 폼패드의 결합 시 와이어가 차례로 관통하여 커버결합부와 폼패드결합부는 일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KR1020130077991A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KR101407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91A KR101407269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91A KR101407269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269B1 true KR101407269B1 (ko) 2014-06-13

Family

ID=5113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991A KR101407269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2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119A (ko) * 1996-10-14 1998-07-15 김영귀 시트트림(seat trim)의 소윙라인(sewing line) 고정구조
JPH10250440A (ja) * 1997-03-14 1998-09-22 Araco Corp リヤシ−トクッションの組付け構造
KR200237489Y1 (ko) 1999-05-06 2001-09-25 남상은 시트커버와 쿠션재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가진 차량의 시트
KR200368786Y1 (ko) 2004-08-21 2004-12-03 주식회사 몰라노 자동차 시트커버 요저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119A (ko) * 1996-10-14 1998-07-15 김영귀 시트트림(seat trim)의 소윙라인(sewing line) 고정구조
JPH10250440A (ja) * 1997-03-14 1998-09-22 Araco Corp リヤシ−トクッションの組付け構造
KR200237489Y1 (ko) 1999-05-06 2001-09-25 남상은 시트커버와 쿠션재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가진 차량의 시트
KR200368786Y1 (ko) 2004-08-21 2004-12-03 주식회사 몰라노 자동차 시트커버 요저부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8310B2 (en) Seat trim retention clip
US8911022B2 (en) Fastening system, covering apparatus, seating device, and vehicle
KR101816465B1 (ko)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US20140070579A1 (en) Fastening tape for seat pad and seat pad having the sam
WO2015105000A1 (ja) 車両用シート
CN103661224B (zh) 车辆座椅及其制造方法
US20150307002A1 (en) Vehicle seat
US8690256B2 (en) Seat cushion with foamed-in fastening element
US9440569B2 (en)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508206A (ja) パネルを支持体に締め付けるためのクリップ、および結果として得られるアセンブリ
US20170282769A1 (en) Upholstered element for a vehicle seat
US20140373313A1 (en) Device for anchoring a belt lock
US20180105084A1 (en) Hooking Structure of Seat and Method of Hooking Trim Cover in Seat
JP6491968B2 (ja) トリムカバー用固定具及びトリムカバー並びに車両用シート
KR101407269B1 (ko) 차량용 시트의 와이어 결합장치
US9821756B2 (en) Buckle device
US10486569B2 (en) Motor vehicle seat headrest
US9725062B2 (en) Seat arrangement with side airbag
JP6164484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2016159870A (ja) 乗物用シート
JP2015223955A (ja) 車両用シートの構造
KR10156273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2013121741A (ja) 車両用シートのポケット取付け構造
JP2015003731A (ja) エアポンプ装備自動車用シート
CN102874317A (zh) 轿车c柱内护板安装卡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