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095B1 -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095B1
KR101407095B1 KR1020120082428A KR20120082428A KR101407095B1 KR 101407095 B1 KR101407095 B1 KR 101407095B1 KR 1020120082428 A KR1020120082428 A KR 1020120082428A KR 20120082428 A KR20120082428 A KR 20120082428A KR 101407095 B1 KR101407095 B1 KR 10140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nection
caller
message
information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952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8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0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실패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에 따라 해당 착신자에 대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발신자 정보와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이고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이 생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SERVER FOR CALL ALARM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의 통화가 착신자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착신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화는 당사자간 1:1 통화가 기본이다.
따라서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이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C라는 사람이 A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통화중음을 듣게 되고, 이때 A는 B와 통화하고 있었기 때문에 C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었는지를 모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신자 기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가 제시된 바 있다.
착신자 기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 가입자들로 하여금 이동통신사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하고, 착신자의 서비스 신청 여부에 따라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예에서 A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였다면, C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었던 사실을 추후 A에게 안내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착신자 기반으로 동작-즉, 착신자의 해당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어서, 발신자들의 선택이 반영될 여지가 전혀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발신자는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발신자)이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었었다는 사실을 쉽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자에게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착신자가 이미 상술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였다면 중복된 안내 메시지를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신자의 선택 또는 발신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착신자에게 발신자가 전화를 걸었었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하면서도, 중복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실패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에 따라 해당 착신자에 대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는,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발신자 정보와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이고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이 생략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실패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에 따라 해당 착신자에 대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발신자 정보와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이고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이 생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 가입 여부의 기준에 의해 착신자에게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특히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이미 가입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착신자 단말기에 중복된 내용의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신자 단말기의 상태에서 따라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조절할 수 있고, 발신자의 용이한 선택에 따라 특정 착신자에 대해서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알림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알림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신호 및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알림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300), 착신자 단말기(400), 이통사 서버(200),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자 단말기(300)는 통화 호를 발생시키는 즉,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발신자가 조작하는 단말기이고, 착신자 단말기(400)는 통화 호를 수신하는 즉, 전화를 받는 착신자가 조작하는 단말기이다.
본 실시예에서 발신자 단말기(300)와 착신자 단말기(400)는 모두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간 통화를 할 수 있는 단말기들은 모두 포함된다. 즉, 발신자 단말기(300)와 착신자 단말기(4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은 물론이고 유선 단말기에 해당할 수도 있고, 다만 발신자 단말기(300)와 착신자 단말기(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면 된다.
이통사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의 일 예로써, 발신자의 요청에 따른 통화 연결 실패시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예를 들어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해당 착신자에 대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착신자에게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통사 서버(200)는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었지만 착신자가 다른 통화를 하고 있거나 또는 착신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꺼놓고 있는 경우 등 통화 연결에 실패한 경우 그 사실(즉, 발신자가 전화를 걸었으나 통화에 실패했었다는 사실)을 착신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이통사 서버(200)는 착신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이통사 서버(200)는 단일 하드웨어 장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장비로 이루어진 시스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이통사 서버(200)와 통신하여 소정 정보를 수신하고, 착신자에 대한 발신자로부터 통화 연결이 있었으나 실제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해당 내용을 알리는 메시지 즉,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발신자의 회원 가입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가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는 앞서 설명한 이통사 서버(200)가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일 수 있으나, 그 전송 주체가 다름을 고려하여 용어를 구별한 것이다.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가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통화 연결 연결 안내 메시지는 발신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자 지정 문구는 발신자가 직접 입력하여 전송 또는 기 등록한 문구에 해당할 수도 있고, 또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가 제공하는 여러 개의 문구 중에 발신자의 선택에 의해 지정되는 문구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이통사 서버(200)와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통사 서버(200)와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서로 동일한 하드웨어 서버에 구축되면서 소프트웨어적어로 구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회원 가입 처리부(110), 데이터베이스부(120), 정보 수신부(130), 판단부(140),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 가입 처리부(110)는 각 단말기 사용자들로부터 서비스 신청을 받거나 회원으로의 가입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의 가입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회원 가입 처리부(110)는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등록 및 저장한다.
여기서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라는 것은 발신자가 전화를 걸었으나 착신자와 통화를 하지 못한 경우 착신자에게 발신자로부터 통화 시도가 있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발신자 정보를 활용한 판단에 따라(예를 들어 발신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이루어지는 서비스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착신자 정보를 활용한 판단에 따라(예를 들어 착신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이루어지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앞서 설명한 이통사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는 발신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고, 앞서 설명한 이통사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는 착신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는 회원정보는 앞서 설명한 회원 가입 처리부(110)에 의해 등록될 수도 있지만, 관리자에 의해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굳이 회원 가입 처리부(110)는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정보 수신부(130)는 이통사 서버(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데, 이러한 제어 정보에는 발신자 정보와 착신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 단말기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의 개인 정보나 각종 서비스 가입 정보 등, 발신자 단말기 또는 발신자와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고, 착신자 정보는 착신자 단말기 전화번호 또는 착신자의 개인 정보나 각종 서비스 가입 정보 등, 착신자 단말기 또는 착신자와 관련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착신자 정보에는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통사 서버(200)가 착신자의 회원 가입 기반으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 이통사 서버(200)는 해당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가입 여부를 착신자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착신자 정보에는 이통사 서버(200)가 직접 해당 착신자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전송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수신부(130)에 제어 정보가 수신된다는 것은 이미 이통사 서버(200)에서 발신자에 의한 착신자로의 통화 연결이 실패되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제어 정보에 그러한 통화 연결 실패 사실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보 수신부(130)가 이통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에는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가 포함될 수 있는데,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는 착신자 단말기(400) 전화번호에 추가된 숫자, 문자, 특수키 값에 해당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정보 수신부(130)에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40)는 발신자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정보(일 예로 '회원 정보'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가능한 고객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판단부(140)는 정보 수신부(130)에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140)는 이통사 서버(200)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착신자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기초로 확인하고, 그에 따라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판단부(140)는 제어정보의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 단말기(400)와 통신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가 운영하는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각 착신자 단말기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에 기 가입된 회원)이고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은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가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직접 또는 단문 메시지 센터를 경유하거나 착신자 단말기(400)에 발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가 발신자 단말기(300)로 하여금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도록 제어하는 간접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간접방식의 경우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발신자 단말기(300)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발송을 요청하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발신자 단말기(300)가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직접 또는 단문 메시지 센터를 경유하여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발신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는 발신자에 의해 미리 지정 및 선택되거나 직접 입력되어 발신자 단말기(300)에 저장된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에 의해서 착신자 단말기(400)에 발송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되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히 문자 메시지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단문 메시지 전송 센터(SMSC)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된 단문 메시지 전송 센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착신자 단말기(400)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수신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에 해당 수신 가능한 시점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나 착신자 단말기(400)의 전원이 꺼져 있어서 해당 메시지가 착신자 단말기(400)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의 전원이 켜지는 시점에 다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미리 착신자 단말기(400)의 상태(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 등의 상태)를 확인하고, 착신자 단말기(400)가 해당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착신자 단말기(400)의 상태(전원이 켜져 있는지 등의 상태)는 착신자 단말기(400)와의 통신에 의해 실시간 확인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써 통신 단말기와 직접 통신하지는 않더라도 이통사 서버(200)로부터 기지국과 착신자 단말기(400)와의 최근 통화 상태 또는 통신 채널 연결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착신자 단말기(400)의 현재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가 별도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센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의 전송 결과 정보를 단문 메시지 전송 센터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이때 문자 메시지가 실제로 착신자 단말기(400)에 도달하게 된 시간 정보가 해당 결과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가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통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에는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는 착신자 단말기(400) 전화번호에 추가된 숫자, 문자, 특수키 값에 해당할 수 있는데,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이러한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에 따라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발신자가 착신자 단말기(400)의 전화번호에 특정 문자를 추가하여 전송한 경우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에는 1회에 한하여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발송을 생략할 수도 있고, 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에 대해서는 추후의 변경이 있기까지는 계속하여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발송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인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비록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의 기 가입된 회원인 경우에도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인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하는 것이다.
이는 착신자 단말기(400)에 중복된 내용이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통화 연결 실패시 착신자가 이미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는 이통사 서버(200)는 착신자 단말기(400)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의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가 다시 착신자 단말기(400)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착신자는 중복하게 비슷한 내용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또한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상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송 결과를 발신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 제어부(150)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였는지 여부 및 그 이유(예를 들어 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전송하지 않았다는 이유)와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어 실제로 착신자 단말기(400)에 도달하게 된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발신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신자로부터 회원 가입을 받고 발신자의 회원 가입 여부와 착신자의 이통사 서버(200)에의 회원 가입 여부에 따라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등 회원 가입 기반으로 운영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신호 및 제어 흐름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각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발신자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에 회원으로 가입한 상태를 전제로 한다. 이때 회원 가입시 발신자 단말기(300) 전화번호 등을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발신자 단말기(300)가 착신자 단말기(400)로 통화 시도를 하는 경우(단계 S1), 이통사 서버(200)는 착신자 단말기(400)의 상태를 조회한다(단계 S3). 예를 들어 착신자가 현재 다른 상대방과 통화하고 있는 경우 이통사 서버(200)는 발신자 단말기(300)에 통화중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5), 착신자 단말기(400)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7).
판단결과 착신자 단말기(400)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이통사 서버(200)는 '통화중이어서 발신자 단말기(300)로부터의 통화가 연결되지 않았다'는 메시지지 즉,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단계 S9).
이어서 이통사 서버(200)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에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1).
여기서 이통사 서버(200)가 전송하는 제어 정보에는 이통사 서버(200)가 직접 착신자 단말기(400)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였다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발신자 정보로써 발신자 단말기(300)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발신자 인증을 처리하는데(단계 S13), 예를 들어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회원으로 등록된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발신자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제어 정보의 분석을 통해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이미 이통사 서버(200)가 착신자 단말기(400)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착신자 단말기(400)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은 생략한 채로 발신자 단말기(300)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 전송 결과를 안내한다(단계 S15).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S21 내지 단계 S27까지의 과정은 도 3에서 단계 S1 내지 단계 S7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이통사 서버(200)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단계 S31), 이때 이통사 서버(200)가 전송하는 제어 정보에는 착신자 단말기(400)의 통화중으로 인하여 통화 연결에 실패하였다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발신자 단말기(300) 전화번호와 같은 발신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발신자 인증을 처리한 후(단계 S33) 기 등록된 회원에 해당하는 경우 착신자 단말기(400)에 '발신자로부터 통화 연결이 있었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34).
이어서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발신자 단말기(300)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였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35).
즉, 도 3과 도 4를 참조한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착신자 단말기(400)에 통화중으로 인해 발신자 단말기(300)에 의한 통화가 연결되지 못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중복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착신자가 상술한 서비스-통화중 등으로 인해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전화를 받지 못한 사실을 알려주는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발신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해 있으면 착신자 단말기(400)에 필요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았고, 착신자 단말기(400)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도 5에서 단계 S41 내지 단계 S51은 착신자 단말기(400)가 통화중이 아니라 전원이 아예 꺼져 있어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를 제외하고는 도 4의 단계 S21 내지 단계 S31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발신자 인증을 수행(단계 S53)한 후에 착신자 단말기(400)의 상태를 확인하는데(단계 S55), 이때 착신자 단말기(400)의 전원이 꺼진 상태(단계 S42)이므로 일단 대기한다.
물론 이 시점에서 발신자 단말기(300)에 착신자 단말기(400)의 전원 off 상태에 따라 대기하고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착신자 단말기(400)의 전원이 on 되어서(단계 S57)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가 이를 감지하는 경우(단계 S59)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고(단계 S61), 그 결과를 발신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단계 S63).
이때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400)에 전송한 시간 정보를 결과에 포함시켜 발신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착신자가 이통사 서버(200)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았고, 발신자가 일종의 명령 코드를 포함시켜 호를 발신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발신자 단말기(300)는 발신자가 선택하는 일종의 명령 코드를 포함하여 통화를 시도(호 발신)할 수 있는데(단계 S71), 예를 들어 착신자 전화번호 앞 또는 뒤에 특정 숫자 또는 문자, 기호 등을 포함시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신자는 1회에 한하여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하는 명령 코드를 포함시켰다고 가정한다.
이후의 과정 단계 S73 내지 단계 S81은 도 4의 단계 S23 내지 단계 S31에 대응되는 단계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통사 서버(200)가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에 전송하는 제어 정보에는 발신자가 선택한 명령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이러한 발신자가 선택한 명령 코드를 확인한다(단계 S83).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자가 선택한 명령 코드가 '1회에 한하여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하라는 명령'에 해당하므로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비록 발신자가 서비스 회원에 가입한 상태라 하더라도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하고, 그 생략 결과를 발신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단계 S87).
본 실시예에서는 명령 코드가 1회에 한하여 안내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하라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명령 코드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안내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하라는 명령에 해당하는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7은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가 착신자 단말기(400)로부터 직접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문의하여(단계 S111) 그 응답을 수신(단계 S113)하고, 그 응답에 따라(단계 S115) 착신자 단말기(400)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단계 S117)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그 외 부분은 도 4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과 같은 상황은 예를 들어 착신자 단말기(400)에 소정의 앱을 설치하도록 하고, 통화 연결 알림 서버(100)는 착신자 단말기(400)에 설치된 앱과 통신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400)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 또는 해당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들의 각 과정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특정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발신자 단말기나 착신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메시지는 반드시 단문 메시지 형태가 아니라 앱을 이용한 푸시 데이터의 전송 방식이나 기타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통화 연결 알림 서버
200 : 이통사 서버 300 : 발신자 단말기
400 : 착신자 단말기 110 : 회원 가입 처리부
120 : 데이터베이스부 130 : 정보 수신부
140 : 판단부 150 : 메시지 전송 제어부

Claims (15)

  1. 통화 연결 실패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에 따라 해당 착신자에 대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발신자 정보와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이고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이 생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착신자 정보에는 상기 통신사 서버가 직접 해당 착신자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전송했는지 여부가 포함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에 따라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수신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에 해당 수신 가능한 시점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상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송 결과를 발신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에는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에 따라 착신자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와 기 저장된 회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와;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의 제어방법.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9. 통화 연결 실패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에 따라 해당 착신자에 대한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발신자 정보와 착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이고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상기 통신사 서버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인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이 생략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착신자 정보에는 상기 통신사 서버가 직접 해당 착신자에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를 전송했는지 여부가 포함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수신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에 해당 수신 가능한 시점에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상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의 전송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송 결과를 발신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에는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선택 명령 코드에 따라 착신자로의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가 통화 연결 안내 서비스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착신자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서비스 제공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알림 서버.
KR1020120082428A 2012-07-27 2012-07-27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40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28A KR101407095B1 (ko) 2012-07-27 2012-07-27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28A KR101407095B1 (ko) 2012-07-27 2012-07-27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952A KR20140015952A (ko) 2014-02-07
KR101407095B1 true KR101407095B1 (ko) 2014-06-16

Family

ID=5026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28A KR101407095B1 (ko) 2012-07-27 2012-07-27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0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644A (ko) *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20267A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비씨엔커뮤니케이션 부재 중 통화 알림 시스템 및 부재 중 통화 알림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644A (ko) *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20267A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비씨엔커뮤니케이션 부재 중 통화 알림 시스템 및 부재 중 통화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952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02734A (zh) 通知处理方法、通知处理装置和终端
KR20100029983A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문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5295147B2 (ja) 通信端末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7095B1 (ko)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593340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및 장치
JP5014190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メッセージサーバ、及び通信端末
KR10093688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79971B1 (ko) 부가 서비스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상태 정보 관리 방법 및 통화 호 처리 방법
KR101078938B1 (ko) 일반전화의 통화가능 상태를 통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26518B1 (ko) 이동 가입자 상태 안내 서비스 방법
KR101648550B1 (ko)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43771B1 (ko)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KR20180086561A (ko) 고령자 자동 신상관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34392A (ko) 상황별 통화 대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6117870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JP3862157B2 (ja) 文字送受信システム
JP6060129B2 (ja) 交換機
KR101465630B1 (ko)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54360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KR101568976B1 (ko) Ims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KR100451195B1 (ko)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CN113315840A (zh) 基于二维码的酒店客服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82350A (ko) 착신전환 방법
KR101223281B1 (ko) 자동 메시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