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550B1 -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550B1
KR101648550B1 KR1020140170701A KR20140170701A KR101648550B1 KR 101648550 B1 KR101648550 B1 KR 101648550B1 KR 1020140170701 A KR1020140170701 A KR 1020140170701A KR 20140170701 A KR20140170701 A KR 20140170701A KR 101648550 B1 KR101648550 B1 KR 10164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inquiry
calling terminal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381A (ko
Inventor
김남훈
강현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5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단말 측에서는, 문의방식을 선택하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CALL POSSIBILITY INQUIRING SERVICE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단말 측에서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이 최소한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하는 것이 보편화되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목적의 통화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지인 간에 중요한 용건으로 대화하기 위한 목적, 또는 지인 간에 간단한 안부를 묻기 위한 목적, 기업이나 단체에서 광고(홍보)를 위한 목적 등, 다양한 목적의 통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목적으로 시도되는 통화는, 발신단말에 의해 시도되는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망 장비(예 : 착신교환장치, 무선액세스장치)를 통해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통화착신 처리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착신단말에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게 되고, 착신단말 측에서 통화를 수락하면,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 간에 연결되는 통화로를 통해 연결된다.
헌데, 착신단말 입장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불특정인으로부터의 통화이든 지인으로부터의 통화이든, 그로 인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는 것 자체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착신단말에서 "운전중모드" 또는 "회의중모드" 등과 같은 특정 모드를 설정하면, 발신단말(불특정인, 지인 무관)로부터의 통화가 시도되어도 착신단말에서는 착신링이 울리지 않도록 하는 모드설정서비스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모드설정서비스는, 오로지 착신단말 측의 주도에 의해 이용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발신단말 측의 의사가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또한 통화가 연결되지 않을 것인데도 여전히 망 장비를 통한 통화착신 처리 절차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발신단말 측에서 통화를 시도하기 전에 별도로 문자메시지를 작성 및 착신단말로 전송하여, 통화가능 여부를 먼저 물어보는 식으로 예의를 갖추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발신단말 측 사용자 입장에서, 통화를 시도하기 전에 별도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발신단말 측에서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발신단말 측에서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는, 발신단말로부터 특정 착신단말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하는 통화발신수신부;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류판단부; 상기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을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문의방식 중 상기 발신단말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문의메시지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은, 상기 통화가능문의장치에서 제공하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이며, 상기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은, 착신전환기능에 따라 상기 통화가능문의장치로 착신 전환되어 상기 통화발신수신부에 수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문의방식 안내 시,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하기방식을 상기 발신단말에 더 안내하며, 상기 발신단말에서 상기 통화하기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보류한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하는 통화착신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의방식은, 텍스트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1문의방식, 음성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2문의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의메시지제공부는, 상기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의메시지제공부는, 상기 제2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기 설정된 음성이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류판단부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이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류판단부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발신의 수신 시간이 상기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기 설정된 경우, 상기 문의방식 대신 상기 특정 착신단말이 통화 불가능함을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로부터 특정 착신단말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하는 통화발신수신단계; 상기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류판단단계;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을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하는 안내단계; 및 상기 문의방식 중 상기 발신단말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문의메시지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단계는, 상기 문의방식 안내 시,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하기방식을 상기 발신단말에 더 안내하며, 상기 발신단말에서 상기 통화하기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보류한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의방식은, 텍스트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1문의방식 및 음성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2문의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의메시지제공단계는, 상기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제2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기 설정된 음성이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류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이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류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발신의 수신 시간이 상기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에 의해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기 설정된 경우, 상기 문의방식 대신 상기 특정 착신단말이 통화 불가능함을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발신을 시도하는 발신단말; 및 상기 통화발신을 수신하며, 상기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하고,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을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한 후, 상기 문의방식 중 상기 발신단말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발신단말 측에서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발신을 시도하는 발신단말(10)와,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수신하며, 상기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하고,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한 후, 상기 문의방식 중 발신단말(10)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100)를 포함한다.
이때, 특정 착신단말은,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착신단말(20)이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특정 착신단말로서 착신단말(2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발신단말(10)은,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로 통화발신을 시도하는 단말이다.
이와 같이, 발신단말(10)에서 착신단말(20)로의 통화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일반적으로는, 발신단말(10)에 의해 시도되는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망 장비(예 : 착신교환장치, 무선액세스장치)를 통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통화착신 처리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착신단말(20)에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게 되고, 착신단말(20) 측에서 통화를 수락하면, 발신단말(10) 및 착신단말(20) 간에 연결되는 통화로를 통해 상호 간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
이때, 통화착신 처리 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을 조금 더 설명하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인지한 발신교환장치(미도시)는, 가입자정보가 등록된 가입자정보등록장치(예 : HLR)에서 착신단말(20)의 위치를 조회하고 위치 조회에 따른 착신교환장치(미도시)로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전달하게 되며, 이에 착신교환장치(미도시)은 통화착신을 착신단말(20)로 전달하게 되는 과정이다. 이처럼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면, 착신단말(20)에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인지한 발신교환장치(미도시)는, 가입자정보등록장치(미도시)에서 착신단말(20)의 위치 조회 시 착신단말(20)이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것으로 확인되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착신교환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대신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발신교환장치(미도시)는, 착신단말(20)이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것으로 확인되면, 착신전환기능에 따라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통화가능문의장치(100)로 착신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발신교환장치(미도시)는, 착신전환기능에 따라,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통화가능문의장치(100)로 착신 전환함과 함께,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착신교환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통화착신 처리 절차를 자연스럽게 수행하지 않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수신하게 되면,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한다.
그리고, 통화가능문의장치(100)는, 착신단말(20)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한 후, 상기 문의방식 중 발신단말(10)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20)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발신단말(10) 측에서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20)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20)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 통화가능문의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통화가능문의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100)는, 발신단말(10)로부터 특정 착신단말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하는 통화발신수신부(110)와,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류판단부(120)와, 상기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하는 안내부(130)와, 상기 문의방식 중 발신단말(10)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문의메시지제공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100)는, 통화착신전달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특정 착신단말은,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을 의미하며, 전술의 도 1을 참조한 설명과 같이 특정 착신단말로서 착신단말(2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통화발신수신부(110)는, 발신단말(10)로부터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화발신수신부(110)는, 전술과 같이 발신교환장치(미도시)에서 착신단말(20)이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것으로 확인되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통화가능문의장치(100)로 착신 전환하여 제공함에 따라,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 즉 착신단말(20)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보류판단부(120)는, 통화발신수신부(110)에서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수신하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화가능문의장치(100)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별로 가입자관련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관련정보에는, 가입자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 및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 통화불가능 안내기능 설정 여부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가 가입자에 의해 설정 및 등록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의 사용자(가입자)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가 저장/관리될 것이다.
이 경우, 보류판단부(120)는,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에 기초하여, 발신단말(10)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보류판단부(120)는, 발신단말(10)이 착신단말(20)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이 아닌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보류판단부(120)는, 발신단말(10)이 착신단말(20)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의 사용자(가입자)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이 저장/관리될 것이다.
이 경우, 보류판단부(120)는,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에 기초하여,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이 수신된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보류판단부(120)는,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는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보류판단부(120)는,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보류판단부(120)에서는, 발신단말(10)이 착신단말(20)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이 아닌 경우, 또는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는 경우, 또는 발신단말(10)이 착신단말(20)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이 아니면서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는 경우, 보류로 판단할 수 있다.
안내부(130)는, 보류판단부(120)에서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착신단말(20)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한다.
이때, 문의방식은, 텍스트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1문의방식, 음성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2문의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내부(130)는, 문의방식 안내 시,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로 통화하기방식을 발신단말(10)에 더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안내부(130)는, 보류판단부(120)에서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착신단말(20)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제1문의방식 및 제2문의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하며, 이와 함께 착신단말(20)로 통화하기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할 수 있다.
한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의 사용자(가입자)에 의한 통화불가능 안내기능 설정 여부 상태가 저장/관리될 것이다.
이에, 안내부(130)는,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에 의해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기 설정된 경우라면, 전술의 문의방식 및 통화하기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하는 대신, 착신단말(20)이 통화 불가능함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착신단말(20) 측에서, 발신단말이 누구이든지 무관하게, 통화 및 착신링이 울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여기서, 안내부(130)에서 발신단말(10)로 안내하는 방식은,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 방식일 수 있고, 음성 안내 및 화면 안내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이때,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서는, 착신단말(20)이 통화 불가능함을 발신단말(10)의 정보(예 : 발신단말번호, 통화발신 시도 시간 등)을 보관하고, 착신단말(20)의 사용자에 의한 조회(열람) 요청 시, 앞서 착신단말(20)에 의해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설정된 시간 동안 통화 불가능함을 안내한 발신단말의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해 줄 수 있다.
문의메시지제공부(140)는, 발신단말(10)에 안내한 문의방식 중 발신단말(10)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2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의메시지제공부(140)는, 발신단말(10)에서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발신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된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의메시지제공부(140)는, 발신단말(10)에서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서비스서버(200, 예 : SMSC)과 연동하여, 발신단말(10)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다수의 문의메시지용 텍스트 중 발신단말(10)로부터 선택되는 텍스트가 포함된 형태로 구성된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문의메시지제공부(140)는, 메시지서비스서버(200, 예 : SMSC)과 연동하여, 착신단말(20)에 의해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된 형태로 구성된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문의메시지제공부(140)는, 발신단말(10)에서 제2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발신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기 설정된 음성이 포함된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의메시지제공부(140)는, 발신단말(10)에서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서비스서버(200, 예 : SMSC)과 연동하여, 발신단말(10)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음성 또는 기 설정된 다수의 문의메시지용 음성 중 발신단말(10)로부터 선택되는 음성이 포함된 형태로 구성된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문의메시지제공부(140)는, 메시지서비스서버(200, 예 : SMSC)과 연동하여, 착신단말(20)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이 포함된 형태로 구성된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발신단말(10)에서 문의방식을 선택한 경우, 발신단말(10) 측에서는 통화발신을 시도하면 착신단말(20)에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자동 제공되는 것으로 인지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착신단말(20)에 통화가능 여부 문의 메시지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되지 않을 것인데도 여전히 망 장비를 통한 통화착신 처리 절차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던 기존과는 달리,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 전달을 보류하기 때문에 망 장비의 불필요한 처리(프로세스) 로드 발생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문의방식(제1문의방식, 제2문의방식) 및 통화하기방식을 안내 받은 발신단말(10)에서는, 문의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통화하기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는, 발신단말(10) 측 사용자가, 통화가능 여부를 먼저 문의하고 싶은지, 아니면 중요한 용건이기 때문에 문의 없이 바로 통화하고 싶은지 등의 사용자 의사가 반영되는 부분일 것이다.
통화착신전달부(150)는, 발신단말(10)에서 문의방식이 아닌 통화하기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전술에서 보류하고 있던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착신단말(10)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화착신전달부(150)는, 발신단말(10)에서 문의방식이 아닌 통화하기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전술에서 보류하고 있던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전술한 발신교환장치(10)와 같이, 착신단말(20) 위치 조회에 따른 착신교환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통화착신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면, 착신단말(20)에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발신단말(10)에서 통화하기방식을 선택한 경우, 발신단말(10) 측에서는 통화발신을 시도하면 기존과 같이 통화착신 처리 절차가 진행되어 착신단말(20)에 착신링이 울리는 것으로 인지할 것이다.
물론, 통화착신전달부(150)는, 전술의 보류판단부(120)에서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도록 판단한 경우라면, 전술한 발신교환장치(10)와 같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착신단말(20) 위치 조회에 따른 착신교환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통화착신 처리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이처럼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면, 착신단말(20)에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100)에 따르면, 발신단말(10)에서 착신단말(20)로 통화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시킨 채, 발신단말(10)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라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하는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통화가능문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에 따르면, 발신단말 측에서는, 문의방식을 선택하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로부터 특정 착신단말 즉 착신단말(20)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한다(S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발신교환장치(미도시)에서 착신단말(20)이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것으로 확인되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통화가능문의장치(100)로 착신 전환하여 제공함에 따라,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 즉 착신단말(20)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을 수신하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S12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착신단말(20)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에 기초하여, 발신단말(10)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이 착신단말(20)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 경우(S110 Yes),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이 착신단말(20)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이 아닌 경우(S110 No), 착신단말(20)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에 기초하여,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이 수신된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는 경우(S120 Yes),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 수신 시간이 착신단말(20)의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S120 No),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도록 판단한 경우라면(S110 Yes, S120 No), 전술한 발신교환장치(10)와 같이,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착신단말(20) 위치 조회에 따른 착신교환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통화착신 처리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S180). 이처럼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면, 착신단말(20)에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게 된다(S19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20단계에서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착신단말(20)로 전달하지 않고 보류한다(S13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착신단말(20)에 의해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기 설정된 상태인지 판단하여(S140),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면(S140 Yes) 착신단말(20)이 통화 불가능함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할 수 있다(S170).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S140 No), 착신단말(20)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제1문의방식, 제2문의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하며, 이와 함께 착신단말(20)로 통화하기방식을 발신단말(10)에 안내할 수 있다(S150).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에서 문의방식을 선택하는지 또는 통화하기방식을 선택하는지 확인한다(S155).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에서 문의방식을 선택하는 경우(S155 ①),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20)로 제공한다(S16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에서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발신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된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에서 제2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발신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기 설정된 음성이 포함된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에서 통화하기방식을 선택하는 경우(S155 ②), S130단계에서 보류하고 있던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착신단말(10)로 전달한다(S180).
즉,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10)에서 문의방식이 아닌 통화하기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전술에서 보류하고 있던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전술한 발신교환장치(10)와 같이, 착신단말(20) 위치 조회에 따른 착신교환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통화착신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면, 착신단말(20)에서 착신링(예 : 멜로디, 진동 등)이 울리게 된다(S19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발신단말(10)에서 착신단말(20)로 통화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단말(10)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착신단말(20)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시킨 채, 발신단말(10)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라 발신단말(10)과의 통과가능 여부 문의하는 문의메시지를 착신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통화가능문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발신단말 측에서는, 문의방식을 선택하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발신단말 측에서는, 문의방식을 선택하는 간단한 개입 만으로 착신단말 측에 착신링이 울리기 전 통화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착신단말 측에서는, 수시로 착신링이 울리는 대신 통화가능 문의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발신단말 20 : 착신단말
100 : 통화가능문의장치
110 : 통화발신수신부 120 : 보류판단부
130 : 안내부 140 : 문의메시지제공부
150 : 통화착신전달부

Claims (17)

  1. 발신단말로부터 특정 착신단말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하는 통화발신수신부;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류판단부;
    상기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 및 상기 특정 착신단말과의 통화하기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상기 문의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문의방식 중 상기 발신단말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문의메시지제공부; 및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상기 통화하기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보류한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하는 통화착신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착신단말은, 상기 통화가능문의장치에서 제공하는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이며,
    상기 통화가능문의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은, 착신전환기능에 따라 상기 통화가능문의장치로 착신 전환되어 상기 통화발신수신부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방식은,
    텍스트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1문의방식, 음성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2문의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메시지제공부는,
    상기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메시지제공부는,
    상기 제2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기 설정된 음성이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판단부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이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판단부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발신의 수신 시간이 상기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기 설정된 경우, 상기 문의방식 대신 상기 특정 착신단말이 통화 불가능함을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10. 발신단말로부터 특정 착신단말로 시도되는 통화발신을 수신하는 통화발신수신단계;
    상기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보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류판단단계;
    보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통화가능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방식 및 상기 특정 착신단말과의 통화하기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하는 안내단계;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상기 문의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문의방식 중 상기 발신단말에서 선택되는 문의방식에 따른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가능 여부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문의메시지제공단계; 및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상기 통화하기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보류한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을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방식은,
    텍스트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1문의방식 및 음성 형태의 문의메시지를 제공하는 제2문의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메시지제공단계는,
    상기 제1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제2문의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기 설정된 음성이 포함된 상기 문의메시지를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화이트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이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착신단말에 의해 기 설정된 서비스적용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발신의 수신 시간이 상기 서비스적용시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발신에 따른 통화착신이 보류 없이 상기 특정 착신단말로 전달되도록 판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에 의해 통화불가능 안내기능이 기 설정된 경우, 상기 문의방식 대신 상기 특정 착신단말이 통화 불가능함을 상기 발신단말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가능문의장치의 동작 방법.
  17. 삭제
KR1020140170701A 2014-12-02 2014-12-02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4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01A KR101648550B1 (ko) 2014-12-02 2014-12-02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01A KR101648550B1 (ko) 2014-12-02 2014-12-02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81A KR20160066381A (ko) 2016-06-10
KR101648550B1 true KR101648550B1 (ko) 2016-08-16

Family

ID=5619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01A KR101648550B1 (ko) 2014-12-02 2014-12-02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5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744B1 (ko) * 1999-02-23 2002-04-03 이병선 휴대폰의 통화보류 및 축약메시지 전달방법
KR20050032774A (ko) * 2003-10-02 2005-04-08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가입자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999857B1 (ko) * 2013-01-15 2019-07-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예외번호 관리를 통한 수신 제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81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2474A1 (en) Text Alternative To Established Voice Call Session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JP2007274171A (ja) 通信支援システム、通信支援方法、通信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端末
KR20080048523A (ko) 선택적 호 무선 통신기에서 호를 처리하는 것과 이를 위한방법
JP200628793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での電源を切っている被呼者への再ダイヤル
KR101147694B1 (ko) 발신자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0450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all setup
KR101648550B1 (ko) 통화가능문의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통화가능문의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WO20080503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ll completion of unanswered calls made to or from a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1239689B1 (ko) 호 설정 프로세스의 제어
US8880029B2 (en)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device
JP5014190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メッセージサーバ、及び通信端末
KR102135462B1 (ko) Ars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시스템
US201803243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 group call
KR20070015675A (ko) 착신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07095B1 (ko)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0788996B1 (ko) 음성 전달 방식을 변경하는 방식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1929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26518B1 (ko) 이동 가입자 상태 안내 서비스 방법
KR101223281B1 (ko) 자동 메시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95854B1 (ko) 발신호 발신 전에 착신자 현지시각을 안내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1646748B1 (ko) 단말장치 및 그룹통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통화서비스장치
KR101510299B1 (ko) 착신대상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통화 그 방법
KR20070022458A (ko) 통화단절에 의한 미통화 내용 전달 서비스 방법
KR20040088622A (ko) 통화중 또는 통화종료후 착신자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