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644A -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644A
KR20060103644A KR1020050025451A KR20050025451A KR20060103644A KR 20060103644 A KR20060103644 A KR 20060103644A KR 1020050025451 A KR1020050025451 A KR 1020050025451A KR 20050025451 A KR20050025451 A KR 20050025451A KR 20060103644 A KR20060103644 A KR 2006010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ll
called terminal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7084B1 (ko
Inventor
이승열
박상훈
제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2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08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02Core bits
    • E21B10/04Core bits with core destro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2Rotary drag type drill bits with teeth, blades or like cutting elements, e.g. fork-type bits, fish tail bits
    • E21B10/43Rotary drag type drill bits with teeth, blades or like cutting elements, e.g. fork-type bits, fish tail b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eeth or other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발신자가 상대방과 직접 통화하지 않고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상대방의 통화 가능 또는 불가능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관리 서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통화 가능 알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고,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보받으면 다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성 메시지, 메시지 콜, 통화 가능 알림, message call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SSAGE CALL SERVICE DEPENDING ON THE STATE OF RECEIPE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busy)에서 통화 종료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위치(no page response)하였다가, 음영 지역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에서 발신자가 상대방과 직접 통화하지 않고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상대방의 통화 가능 또는 불가능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시지 콜(message call) 서비스란 발신자가 휴대전화에서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전송하면 착신자의 전화기가 울리면서 확인하면 바로 청취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메시지 콜 서비스는 발신자가 휴대전화에서 일정한 특성 코드(feature code)와 함께 상대방 번호를 누르고 음성 메시지를 녹음 후 전송하는 서비스로서, 착신자는 단말기 상에서 전화벨이 울리고 메시지 콜임을 알리는 문구와 함께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콜 서비스는 기존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에 익숙치 않은 고객이 간편하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시지 콜 서비스는 기존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와는 달리 음성으로 쉽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어, 직접 통화를 요하지 않는 간단한 보고, 지시, 인사말 및 광고 등을 편리하게 전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시지 콜 서비스는 음성 메시징 서버에서 착신 가입자에게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때 착신 가입자가 현재 자신의 단말기의 전원을 끈 상태(power off)이거나, 통화 중(busy) 또는 현재 음영 지역에 위치(no page response)하여 통화 불가능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음성메시징 서버는 착신 가입자의 통화 가능 상태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음성메시지를 전송하므로 이동통신망 내에서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 착신 가입자가 전원을 켜거나(power on), 통화 종료 또는 음영 지역에서 벗어나게 되어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될 경우에도, 착신 가입자는 즉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없고 상기 음성 메시징 서버에서 설정된 주기에 의해서만 음성 메시지를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종래의 메시지 콜 서비스는 착신 가입자가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 일정한 주기에 따라 약 3~4회 정도의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재전송을 반복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하면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기 때문에, 고객이 전송할 메시지를 원하는 착신자에게 정상적으로 발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와 직접 통화하지 않고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착신 가입자가 통화 불능 상태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더라도,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이후에 즉시 상기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제1 단계;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를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2 단계; 홈 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는 제4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함을 통지받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전송 보류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관리 서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통화 가능 알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고,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보받으면 다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제1 단계;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2 단계; 홈 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는 제4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함을 통지받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전송 보류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40)에서 착신자의 통화 가능 상태에 따라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메시지 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발신 단말기(10,11,12)와,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와,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와,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60)와,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 및 착신 단말기(80)를 포함한다.
상기 발신 단말기(10,11,12)는 메시지 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상대방과 직접 통화하지 않고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휴대폰(10) 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 컴퓨터(12) 등 각종 유무선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발신 단말기(10,11,12)를 이용하여 음성 뿐만 아니라 그림, 사진, 동영상 등 각종 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상기 발신 가입자가 발신 단말기(11,12,13)에 입력하여 전송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내부에 구성된 메모리(미 도시)에 저장하며, 착신 단말기(80)의 통화 가능 여부에 관한 상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한다. 그러나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이후 에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로부터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보받으면 다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발신 단말기(3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호 처리 및 중계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가입자가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는 내부에 '통화 알림 기능'을 설정하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였다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란 전화 상대방이 통화 불능 상태에 있음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이 후 상대방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이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착신 가입자가 자신의 착신 단말기(80) 전원을 끈 상태(power off)이거나, 통화 중(busy) 또는 현재 음영 지역에 위치(no page response)하여 통화 불가능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방과 통화를 못한 경우, 이후에 상대방이 단말기의 전원을 켜거나(power on), 통화 종료 또는 음영 지역에서 벗어나게 되어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될 경우에,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발신 가입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는 이동 통신망(40)을 통하여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등과 연결되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통지받은 경우에, 이를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알리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발신 및 착신 이동 단말기(10,11,12,8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록 및 보관하며,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에는 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 등록된 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가입자가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는 상기 등록된 서비스에 '통화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호 처리 및 중계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가입자가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는 내부에 '통화 알림 기능'을 설정하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40)에 가입한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10), 유선 전화(11) 또는 유무선 인터넷(12) 등의 유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메시지를 저장한다(단계 201). 여기서 전송할 메시지에는 음성, 영상 또는 각종 미디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상기 발신 단말기(10,11,12)로부터 제공 받은 메시지를 내부 메모리(미 도시)에 저장하며, 이 후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80)로 호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먼저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202). 이 때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의 일정 필드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하여,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에 대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에 의하여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203).
그리고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홈 위치 등록기(HLR)(60) 및/또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8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문의한다(단계 204). 이 때 상기 착신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HLR)(60) 및/또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205).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또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 는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전원을 끈 상태(power off)이거나, 통화 중(busy) 또는 음영 지역 위치(no page response) 등의 사유로 인하여 통화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현재 착신 가입자가 응답할 수 없는 상태임을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알린다(단계 206). 그러면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한다.
이후,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전원을 켜거나(Power On), 통화 종료 또는 음영 지역에서 벗어난 경우에,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또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단계 207).
그러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또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버(RCC)(50)로 현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단계 208).
그리고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에게 현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단계 209).
그러면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다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210).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및/또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단계 211),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및/또는 상기 착신측 이 동 교환기(MSC_t)(7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상기 착신 단말기(8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212).
그러면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 사이에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단계 213).
그리고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의 호출을 위하여 페이징을 하며(단계 214),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상기 페이징에 대하여 응답하면,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 단말기(80) 사이에 호가 설정됨으로써(단계 215), 상기 착신 단말기(8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부터 사용자가 저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세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전원을 끈 상태(power off)이거나, 통화 중(busy) 또는 음영 지역 위치(no page response) 등의 사유로 인하여 통화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발신자가 저장한 메시지의 전송을 일시 보류한 후,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전원을 켜거나(power on), 통화 종료 또는 음영 지역에서 벗어남으로 인하여 통화 가능 상태가 된 경우에 다시 보류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경우 각 블록간에 동일한 메시지의 처리 및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40)에 가입한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발신 단말기(10,11,12)를 이용하여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메시지를 저장하면(단계 301),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302).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에 의하여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303). 그리고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8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문의한다(단계 304). 따라서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305).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전원을 끈 상태(power off)이기 때문에 통화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현재 착신 가입자가 응답할 수 없는 상태임을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알린다(단계 306). 그러면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한다.
이후,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전원을 켬으로써 파워 온(pwer on) 상태가 되 면, 상기 착신 단말기(80)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o)(70)을 경유하여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자신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게 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단계 307,308).
그러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로 현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고(단계 309), 이어서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현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단계 310). 그리고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다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311).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312). 그러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내부에 저장된 상기 착신 단말기(8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에 대하여 라우팅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313,314).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상기 착신 단말기(8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315).
그러면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 사이에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단계 316). 그리고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의 호출을 위하여 페이징을 하며(단계 317),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상기 페이징에 대하여 응답하면,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 단말기(80) 사이에 호가 설정됨으로써(단계 318), 상기 착신 단말기(8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부터 사용자가 저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busy)에서 통화 종료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40)에 가입한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발신 단말기(10,11,12)를 이용하여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메시지를 저장하면(단계 401),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402).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에 의하여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403). 그리고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8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문의한다(단계 404). 따라서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405).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라우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406). 여기서 상기 라우팅 요청 메시지에는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라우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단계 407).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현재 통화 중(busy)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라우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때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중(busy)임을 알린다(단계 408). 그러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전송 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중(busy)임을 알린다(단계 409).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상태가 종료되어 통화가 가능하면 알릴 것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410,411).
이후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종료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착신 단말기가 통화 종료되었음을 통지하고(단계 413).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통화 종료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더 이상 통화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414).
그러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버(RCC)(50)로 현 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고(단계 415), 이어서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현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단계 416). 그리고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다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417).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및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를 통하여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418 내지 421).
이후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 사이에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단계 422).
그리고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의 호출을 위하여 페이징을 하며(단계 423),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상기 페이징에 대하여 응답하면,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 단말기(80) 사이에 호가 설정됨으로써(단계 424), 상기 착신 단말기(8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부터 사용자가 저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위치(no page response)하였다가, 음영 지역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40)에 가입한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발신 단말기(10,11,12)를 이용하여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메시지를 저장하면(단계 501),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502).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에 의하여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503). 그리고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8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문의한다(단계 504). 따라서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호 시도임을 인식하고,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한다(단계 505).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라우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506). 여기서 상기 라우팅 요청 메시지에는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라우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내부에 통화 가능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단계 507). 이어서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라우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508). 그러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상기 착신 단말기(8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509). 그러면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획득한 착신 단말기(8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을 전송하여 호 설정을 시도한다(단계 510). 그러면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에 대하여 페이징을 한 후 응답을 기다린다(단계 511).
그러나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현재 음영 지역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응답이 없는 경우(no page response)가 발생할 수 있다(단계 512).
그러면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TTNR(Transfer To Number Request) 메시지에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무응답(no page response) 상태임을 표시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전송하고(단계 513), 이에 대한 응답(ttnr)을 수신한다(단계 514).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ATM(Activate Trace Mode)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발신자가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자임을 알리고(단계 515), 이에 대한 응답(atm)을 수신한다(단계 516).
이후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음영 지역으로 부터 벗어나게 되면(단계 517),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로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음영 지역에서 탈피하여 현재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고(단계 518),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519).
이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는 통화 가능 알림 서버(RCC)(50)로 현 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고(단계 520), 이어서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5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 현재 착신 단말기(80)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단계 521).
그러면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는 다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522).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60) 및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를 통하여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523 내지 526).
이후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30)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AM)를 전송하여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 사이에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단계 527).
그리고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70)는 상기 착신 단말기(80)를 호출하기 위하여 페이징을 하며(단계 528), 상기 착신 단말기(80)가 상기 페이징에 대하여 응답하면,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와 상기 착신 단말기(80) 사이에 호가 설정됨으로써(단계 529), 상기 착신 단말기(80)는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20)로부터 사용자가 저장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가입자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라 메시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가입자가 메시지 콜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와 직접 통화하지 않고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착신 가입자가 통화 불능 상태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더라도,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즉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시 착신자가 통화 불능한 경우 메시지 를 주기적으로 반복 재송신한 후 폐기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자의 통화 가능 상태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동 통신망 내에 불필요한 트래픽의 발생 방지 및 메시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제1 단계;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를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2 단계;
    홈 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는 제4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함을 통지받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전송 보류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위치 등록을 요청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 상태에서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속한 착신측 이동교환기(MSC_t)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담당하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의 페이징에 대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응답하지 않음을 통지받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음영지역으로부터 탈피한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지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담당하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 각각에 상기 메시지가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하여 발송된 것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6.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관리 서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통화 가능 알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고,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보받으면 다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 및 중계 기능을 담당하는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 및 중계 기능을 담당하는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 및
    상기 메시지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를 켬으로써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는,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 상태에서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통보받는 경우,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로부터 페이징에 대하여 무응답 상태에 있다가 음영지역에서 탈피하여 응답을 하는 경우, 상기 통화 가능 알림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 및 상기 착신측 이동 교환기(MSC_t)는 각각 내부에 상기 메시지가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하여 발송된 것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12.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제1 단계;
    발신측 이동 교환기(MSC_o)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2 단계;
    홈 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보류하는 제4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함을 통지받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전송 보류된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50025451A 2005-03-28 2005-03-28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2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451A KR100727084B1 (ko) 2005-03-28 2005-03-28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451A KR100727084B1 (ko) 2005-03-28 2005-03-28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644A true KR20060103644A (ko) 2006-10-04
KR100727084B1 KR100727084B1 (ko) 2007-06-13

Family

ID=3762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451A KR100727084B1 (ko) 2005-03-28 2005-03-28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95B1 (ko) * 2012-07-27 2014-06-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541225B1 (ko) * 2013-12-24 2015-07-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영지역에서의 호 연결 방법, 호 제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472A (ja) 1997-03-28 1998-10-13 Nec Commun Syst Ltd 被呼加入者状態通知方式
US6154644A (en) 1998-09-08 2000-1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an interactive callback feature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97457A (ko) * 2001-06-21 2002-12-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KR100550072B1 (ko) * 2003-08-12 2006-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KR100542378B1 (ko) * 2003-08-14 2006-0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의 착신 상태를 발신단말기로 통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12692B1 (ko) * 2004-05-13 2006-08-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95B1 (ko) * 2012-07-27 2014-06-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연결 알림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541225B1 (ko) * 2013-12-24 2015-07-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영지역에서의 호 연결 방법, 호 제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084B1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084B1 (ko)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60092472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US20040266401A1 (e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KR20020097457A (ko)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20020040466A (ko) 이동 가입자에 대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JP5014190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メッセージサーバ、及び通信端末
KR100508973B1 (ko) 음성사서함 모드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착신호 확인 방법
JP2848265B2 (ja) 移動端末への伝言伝達方法および伝言伝達装置
CN100550948C (zh) 一种无应答前转的控制方法及系统
KR20070022458A (ko) 통화단절에 의한 미통화 내용 전달 서비스 방법
KR100559467B1 (ko) 이동통신망의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단말기 상태정보제공방법
KR1006375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신 호 설정과정 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100509155B1 (ko) Gsm/umts에서의 착신불가호에 대한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4912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처리 방법
KR100616280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080051910A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KR100295414B1 (ko)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KR100650700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 발신 장치 및 방법
KR101019774B1 (ko) 불완료호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0277228B1 (ko)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KR100691118B1 (ko) 문자 메시지 수신 결과 통보 방법
KR20040025350A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0806177B1 (ko) 유무선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