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228B1 -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228B1
KR100277228B1 KR1019980052767A KR19980052767A KR100277228B1 KR 100277228 B1 KR100277228 B1 KR 100277228B1 KR 1019980052767 A KR1019980052767 A KR 1019980052767A KR 19980052767 A KR19980052767 A KR 19980052767A KR 100277228 B1 KR100277228 B1 KR 10027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subscriber
block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941A (ko
Inventor
신언옥
김영욱
유경오
신기천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2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S 기능을 수용하는 교환기에서 통화중인 통화중대기(CW)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 3의 가입자로부터 착신요구시, 이동가입자가 응답하지 않는다면 호전환(CFNA) 또는 VMS 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던 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호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음성사서함(VMS)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 3의 가입자에 대해 무응답인 경우, CFNA 또는 VMS 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던 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호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CW 서비스와 CFNA/VMS 서비스를 연동 처리하여 이동가입자에 대한 부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하여 사업자 측면에서 경제적 이득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호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 중에 응답이 없을 경우 호가 전환되는 호전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기능을 수용하는 개인 통신용 교환기(이하 PCX ; PCS Exchange)에 있어서, 통화중대기(CW; Call Wating) 서비스 이동가입자가 송신 측으로부터의 발신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는다면, 비록 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을지라도, 센드키(SEND Key)를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3의 가입자에게 호설정이 실패됨을 통보한다. 따라서 통화 대기 상태에 제 3가입자는 연결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존 방식의 가입자간 호처리를 본 명세서의 도면 도 1에서 일례로써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PCX에서는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 A에게 제 3의 가입자 C로부터 호 설정을 요구하는 착신요구가 주어진다면, 가입자 A가 센드키를 누르지 않을 경우, 호설정 실패를 가입자 C에게 통보한다. 그러므로, 가입자 C는 가입자 A와 통화 할 수가 업슴은 물론이다. 더욱이, 가입자A가 통화중 응답하지 않을 경우, 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제 3의 가입자에게도 착신측 무응답으로 인한 호설정 실패를 통보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C 와 제3의 가입자는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서비스함은 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전화 가입자 C가 받을 수 없어서 급한 용무에도 불구하고 한참을 기다렸다가 다시 전송을 시도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이동가입자의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고, 무응답시 호전환 서비스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함께 활성화되어 있어도 발신자는 대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가입자의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응답시, 호전환 서비스에 의해 호출에 대한 무응답시-호전환(CFNA)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동가입자의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함께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호출에 대한 무응답시-호전환(CFNA)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기존 방식에 따른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의 서비스의 가입자간 호처리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간 호전환 적용 후의 호처리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내 블럭간 메시지 흐름도.
본 발명의 호출에 대한 무응답시-호전환(CFNA)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인 이동가입자 A가 일반 혹은 이동가입자 B와 통화중, 제 3의 가입자 C가 가입자 A에게 호를 시도하면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개시된다. 가입자 A가 센드키를 누르면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이루어져, 가입자 A와 통화중이던 가입자 B는 대기상태가 되고 가입자 A와 가입자 C간 통화가 이루어진다. 가입자 A가 응답하지 않으면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가입자 C에게 착신측 무응답으로 인한 호설정 실패통보 메시지가 전송되며, 가입자 A와 가입자 B는 기본 호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호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제3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서비스의 제 1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호의 시도에 의하여 호를 연결하기 위해 PCX 내에서 MCC블럭이 MAPC을 향하여 위치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 제3 가입자가 호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제3 가입자가 착신을 요구하는 호 요구에 대하여 무응답일 경우 이로 인하여 통화중대기서비스요구 타이머가 만료하는 단계; 상기 통화중대기요구 타이머가 만료한 후, MCWC블럭에 의하여 호전환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그 후, 무응답시-호전환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그 활성화 여부에 따라 호를 진행시키는 데, 상기 제 3의 가입자 C로부터 착신요구시, 가입자 A가 센드키를 누르지 않을 경우에도 호설정의 실패가 없이, 착신전환번호로 착신전환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통화중인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 A에게 제 3의 가입자 C로부터 착신요구시, 가입자 A의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가입자 A가 센드키를 누르지 않더라도 제 3의 가입자 C에게 착신측 무응답으로 인한 실패통보 대신 착신통화전환을 하여 가입자 C는 호전환 서비스를 받거나 VM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호처리시 교환기내 블럭간 메시지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통화중인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 A에게 제 3의 가입자 C로부터 착신요구시, 호대기 서비스 가입자의 호처리를 담당하는 교환기내 해당 블럭의 호처리 진행과정을 블럭간 메시지 흐름으로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블럭간 화살표는 메시지의 흐름을 표시하고 화살표 위의 문자는 메시지의 이름이다. 영문 메시지 이름은 PCS 서비스를 위하여 채택한 프로토콜(PAP)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 흐름은 착신 이동가입자가 제 3의 가입자와 동일 교환기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이다. 또한 빗금친 부분의 메시지 흐름이 이하에서 구테적으로 설명될 호처리 과정이다.
통화중 대기CW 서비스와 무응답시 호전환을 위한 CFNA/VMS 서비스와 연동하기 위해 교환기내 각 서비스 담당 블럭들간의 호처리 과정을 메시지 흐름으로 구성하였다.(도 3 참조). 도 3에 있어서, 메시지 흐름의 순서를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가입자간 호처리 흐름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호를 생성하는 단계 1에서, PCX 장치 내에서 제 3의 가입자(도 2에서 가입자 C)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통화중의 이동가입자(도 2에서 가입자 C)에게 호를 시도한다. 이 호의 생성 단계1에 의하여 단계2에서, 이동중 호처리의 제어를 담당한 MCC(Mobile Call Control) 블럭은 제 3의 가입자C 로부터의 이동가입자B 에 대한 착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MAPC(Mobile Application Part Control) 블럭으로 위치요구 메시지를 보낸다. 이 위치 요구 신호를 받은 MAPC 블록은 단계3 에서, 착신 이동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얻기 위하여 LOCREQ(Location Request Invoke) 메시지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보낸다. LOCREQ 메시지를 수신한 HLR은, 착신 이동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LOCREQ 응답(Location Request Return Result) 메시지에 실어 다시 MAPC로 보낸다.(단계 4에서). 단계 5에서, MAPC 블럭은 MCC 블럭으로 위치요구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이어서, 단계 6에서, 위치요구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CC 블럭은 착신 이동가입자가 자국 교환기에 위치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자국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로 착신요구 메시지를 보내고, 타국 교환기에 위치 등록되어 있는 경우, 타국 교환기로 착신요구 메시지를 보낸다.
그후 단계 7에서, 착신요구를 수신한 VLR은 착신 가입자가 유휴 상태인지 통화중 상태인지 검사한다. 유휴 상태인 경우, 호설정을 위한 착신요구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화중인 경우 통화중대기 서비스 활성화 여부를 검사하여, 비활성 상태이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착신요구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활성화 상태이면 MCC 블럭으로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요구하는 착신요구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착신요구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CC 블록은 단계 8에서 통화중대기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MCWC(Mobile Call Waiting Control) 블럭으로 통화중대기 서비스 개시를 요구한다. 단계 9에서, MCWC는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에게 호대기의 톤을 송출한다.
단계 10에서는,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의 무응답으로 통화중대기 서비스 요구의 타이머가 만료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11에서,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MCWC 블럭은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의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단계 12에서는,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MCC 블럭에 통화중대기서비스요구 응답으로 호설정 실패를 통보한다.
단계 13에서는,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MCC 블럭에 착신통화전환 요구를 보낸다.
단계 14에서, MCC 블럭은 호전환을 위한 착신호전환번호 및 음성사서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HLR로 TTNR(TransferToNumberRequest Invoke) 메시지를 보낸다. 단계 15에서, HLR은 TTNR응답(TransferToNumberRequest Return Result) 메시지에 착신호전환번호 및 음성사서함에 대한 정보를 실어 MAPC 블럭으로 보낸다.
단계 16에서는, MAPC 블럭이 MCC 블럭으로 전환번호요구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단계 17에서, MCC 블럭은 MAPC 블럭으로부터 수신한 전환번호 및 음성사서함으로 호를 전환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PCX에서 통화중대기 서비스와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상호 연동할 경우, 통화중대기 서비스 중에도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즉, 통화중대기 서비스 가입자의 통화중 무응답으로 인하여 통화중대기서비스요구 타이머 만료 후,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검사하여 활성화 여부에 따라 호를 진행시킨다. 그러므로 이동가입자에 대한 부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응답시-호전환 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하여 사업자 측면에서 경제적 이득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여겨지는 것이 기술되어 있을 지라도 이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호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3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서비스의 제 1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호의 시도에 의하여 호를 연결하기 위하여 PCX 내에서 MCC블럭이 MAPC을 향하여 위치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가입자가 착신을 요구하는 호 요구에 대하여 무응답일 경우 이로 인하여 통화중대기서비스의 메시지 타이머가 만료하는 단계;
    상기 통화중대기요구 타이머가 만료한 후, MCWC블럭에 의하여 호전환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그 후, 무응답시-호전환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그 활성화 여부에 따라 호를 진행시키는 데, 상기 제 3의 가입자 C로부터 착신요구시, 가입자 A가 센드키를 누르지 않을 경우에도 호설정의 실패가 없이, 착신전환번호로 착신전환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타이머가 만료되는 단계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MCC블럭에 통화중대기 응답에 대하여 호 설정의 실패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타이머가 만료되는 단계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MCC블럭에 통화중대기 응답에 대하여 착신통화전환 요구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통화전환 요구를 통보하는 단계에서 MCC블록은 호전환을 위한 착신호전화번호 및 음성사서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HLR으로 TTNR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그에 대한 응답으로 HLR은 TTNR응답 메시지에 착신호 전화번호 및 음성사서함에 대한 정보를 실어 MAPC블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APC블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MAPC 블럭이 MCC 블럭으로 전환번호요구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MCC 블럭이 MAPC 블럭으로부터 수신한 전환번호 및 음성사서함으로 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6.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호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3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서비스의 제 1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호의 시도에 따라 호가 생성되면 PCX 내에서 MCC블럭이 MAPC을 향하여 위치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와의 통화중 제3 가입자가 호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제3 가입자가 착신을 요구하는 호 요구에 대하여 무응답일 경우 이로 인하여 통화중대기서비스요구 타이머가 만료하는 단계;
    상기 통화중대기요구 타이머가 만료한 후, MCWC블럭에 의하여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그 후, 무응답시 음성사서함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그 활성화 여부에 따라 호를 진행시키는 데, 상기 제 3의 가입자 C로부터 착신요구시, 가입자 A가 센드키를 누르지 않을 경우에도 호설정의 실패가 없이, 음성사서함으로 착신전환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타이머가 만료되는 단계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MCC블럭에 통화중대기 응답에 대하여 호 설정의 실패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타이머가 만료되는 단계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MCC블럭에 통화중대기 응답에 대하여 착신통화전환 요구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통화전환 요구를 통보하는 단계에서 MCC블록은 호전환을 위한 착신호전화번호 및 음성사서함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HLR으로 TTNR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그에 대한 응답으로 HLR은 TTNR응답 메시지에 착신호 전화번호 및 음성사서함에 대한 정보를 실어 MAPC블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APC블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MAPC 블럭이 MCC 블럭으로 전환번호요구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MCC 블럭이 MAPC 블럭으로부터 수신한 전환번호 및 음성사서함으로 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전환 방법.
KR1019980052767A 1998-12-03 1998-12-03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KR10027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767A KR100277228B1 (ko) 1998-12-03 1998-12-03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767A KR100277228B1 (ko) 1998-12-03 1998-12-03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941A KR20000037941A (ko) 2000-07-05
KR100277228B1 true KR100277228B1 (ko) 2001-01-15

Family

ID=1956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767A KR100277228B1 (ko) 1998-12-03 1998-12-03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348B1 (ko) * 1999-07-20 2006-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94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79804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all forwarding when roaming from a first type network to a second type network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40102954A (ko) 호 완료 서비스 방법
KR2001002810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불완료호 처리 방법
KR100277228B1 (ko)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US20020077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until call completion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20020040466A (ko) 이동 가입자에 대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KR2003007772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중 호 대기 서비스장치 및방법
US20020077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transceiver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CN100550948C (zh) 一种无应答前转的控制方法及系统
KR100727084B1 (ko)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28310A (ko)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접속 요청을 알리는 방법
KR100258258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해제 경보음 통보방법
KR1006375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신 호 설정과정 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627630B1 (ko) 통화 연결 중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59467B1 (ko) 이동통신망의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단말기 상태정보제공방법
KR0154481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호처리 프로세스 제어방법
KR2004003954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완료호 자동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234833B1 (ko) 호 전환 실패 호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전환 방법
KR20040086669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완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6310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처리방법
KR1003296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메시지대기통보방법
KR100295414B1 (ko)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KR960020572A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가입자 발신호 제어방법
JP2859201B2 (ja) 通話中着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