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348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348B1
KR100570348B1 KR1019990029255A KR19990029255A KR100570348B1 KR 100570348 B1 KR100570348 B1 KR 100570348B1 KR 1019990029255 A KR1019990029255 A KR 1019990029255A KR 19990029255 A KR19990029255 A KR 19990029255A KR 100570348 B1 KR100570348 B1 KR 100570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blocking
se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386A (ko
Inventor
이수영
서창원
전승식
정재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4Repair s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통신 가입자가 사전에 등록해 놓은 임의의 발신번호에 대해서 착신을 거부하거나 음성사서함이나 다른 번호 등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난전화, 유혹전화, 음란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를 포함하는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 및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호 착신시에,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정의 발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 착신거부 및 전환 서비스 등에 이용됨.
착신거부, 착신전환, 악의 호, 음성사서함, 착신정보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Method for selectively switching and intercepting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
(전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
(전환) 번호 등록 및 삭제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전환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발신 단말기 12 : 발신 교환기
13 : 착신 교환기 14 : 홈위치등록기(HLR)
15 : 음성사서함 서버 16 : 착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 개인휴대통신망, 차세대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난전화, 유혹전화, 음란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를 차단하거나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사전에 등록해 놓은 임의의 발신번호에 대해서 착신을 거부하거나 음성사서함이나 다른 번호 등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는 착신자에게 심한 정신적 압박감, 스트레스, 불안감 등을 주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임의의 발신호는 착신자에게 심한 고통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임의의 발신호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강구 되어 왔는데, 특히 유선통신망에서 한정적으로 발신호를 녹음하여 다시 발신자에게 들려주거나 매우 듣기 싫은 소리를 들려주는 방법, 경찰에 신고하는 방법, 전화국에 신청하여 발신호를 추적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부가서비스로는 모든 착신호를 받아들이거나 혹은 모든 착신호를 거부하는 방법, 그리고 선택적으로 사전에 등록한 착신호만을 받아 들이는 방법이 있었고, 선택적으로 착신호를 거부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용자가 특정 발신호에 대해 착신거부 등록을 하여 해당 발신호에 대해서 착신을 거부하거나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통신 가입자가 사전에 등록해 놓은 임의의 발신번호에 대해서 착신을 거부하거나 음성사서함이나 다른 번호 등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난전화, 유혹전화, 음란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를 포함하는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 및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호 착신시에,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정의 발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타 전화번호로 전환시키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장난전화, 유혹전화, 음란전화,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를 포함하는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1 기능;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호 착신시에,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정의 발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하는 제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기능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타 전화번호로 전환시키는 제4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 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내에서 무선통신 사용자가 홈위치등록기에 선택적 본 서비스를 활성화시킨 후에 특정번호들을 사전에 등록하면, 임의의 발신자가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호를 접속 시도하는 경우에, 홈위치등록기에서 무선통신 사용자의 본 서비스 활성화여부를 판단한 다음 활성화일 때 발신자의 번호와 사전에 등록된 착신거부번호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이 호(즉,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에 대해서는 착신을 거부하거나 다른 전화번호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부가서비스로서, 종래의 부가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여 무선통신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무선통신 가입자가 특정 발신번호에 대해서만 착신을 거부하기 위해 홈위치등록기에 사전에 특정번호들을 등록하고, 이 서비스를 활성화시켰을 때 임의의 발신번호를 가진 발신자가 무선통신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하면 이동통신망내의 홈위치등록기가 이동통신가입자의 서비스활성화/비활성화 여부를 조사하여 이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을 경우 발신 단말기의 발신번호와 무선통신 가입자가 착신을 거부하기 위해 사전에 등록해놓은 번호들과 비교한다. 만약,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홈위치등록기는 발신자가 접속된 이동통신교환기에 착신을 거부하고 강제로 호를 종료하거나 혹은 음성사서함이나 임의의 특정번호로 착신을 전환시키도록 지시를 내리고, 발신 교환기는 이동통신가입자가 사전에 정의해 놓은 처리방법에 따라 호를 거부하거나 혹은 착신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에 대해 착신을 거부하거나 전환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은, 홈위치등록기(14)에 미리 이동통신 사용자가 특정 전화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거나, 착신자가 통화도중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임을 인식하여 통화중 또는 통화후에 특정 버튼(DTMF : Dual Tone Multiple Frequency)을 눌러 착신 교환기(13)에 차단을 요청하는 특정신호(예를 들면, 훅(Hook) 스위치, "#"이나 "*" 등)를 전송하여 착신 교환기(13)에서 발신번호를 식별해 홈위치등록기(14)에 등록한다. 이후에, 임의의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호를 접속 시도하는 경우에, 홈위치등록기(14)에서 서비스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활성화시 발신자의 번호와 사전에 등록된 착신거부번호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이 호(즉,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에 대해서는 착신을 거부하거나 기 설정된 다른 전화번호로 전환시킨다. 이때, 착신 거부시에는 음성사서함에 기 저장된 메시지(예를 들면, 부재중 메시지, 경고 메시지, 싸이렌, 녹음중 메시지 등)를 발신자에게 발송하고 호를 강제 종료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 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를 차단 및 전환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6)와 호를 연결하기 위해 발신교환기(12)에 접속하면, 이때 발신 교환기(12)는 착신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홈위치등록기(14)에 착신정보를 요청한다. 이후에, 홈위치등록기(14)는 해당 착신 가입자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특정번호에 대한 착신거부(또는 전환)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발신 단말기(11)의 전화번호와 이동통신 사용자가 사전 등록한 전화번호들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일치시에는 발신 교환기(12)로 하여금 기 설정된 다른 전화번호로 전환시키도록 하거나, 호를 강제 차단시키거나 발신 교환기(12)에 해당되는 안내메시지를 보내고 호를 강제 종료할 것을 지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 처리 과정은, 먼저 착신 단말기(16)에서 착신 교환기(13)로 특정코드를 발송하여 호(즉, 착신거부(전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호)를 시도하면(201), 착신 교환기(13)가 이 특정코드가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코드임을 인지하여 홈위치등록기(14)로 해당 가입자의 착신번호 등을 보내어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처리를 요청한다(202). 이때, 홈위치등록기(14)는 해당 가입자의 가입자 데이타 베이스에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고, 이의 결과를 착신 교환기(13)로 반송한다(203).
다음으로, 착신 교환기(13)가 착신 단말기(16)로 확인신호음이나 안내멘트를 통해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처리요청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204).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번호 등록 및 삭제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번호 등록 및 삭제 처리 과정은, 먼저 착신 단말기(16)에서 착신 교환기(13)로 특정코드 및 특정번호를 발송하여 호(즉, 착신거부(전환) 번호 등록/삭제를 위한 호)를 시도하면(301), 착신 교환기(13)가 이 특정코드가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의 번호 등록/삭제코드임을 인지하여 홈위치등록기(14)로 해당 가입자의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의 번호 등록/삭제 처리를 요청한다(302). 이때, 홈위치등록기(14)는 해당 가입자의 가입자 데이타베이스에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에 대한 번호를 등록/삭제시키고, 이의 결과를 착신 교환기(13)로 반송한다(303).
다음으로, 착신 교환기(13)가 착신 단말기(16)로 확인신호음이나 안내멘트를 통해 서비스의 등록/삭제 처리요청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304).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 단말기(16)에서 미리 착신 교환기(13)로 특정코드 및 특정번호를 발송하여 호(즉, 착신거부(전환) 번호 등록/삭제를 위한 호)를 시도함을 가정하였으나, 착신자가 통화도중 장난전화, 음란전 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임을 인식하여 통화중 또는 통화후에 특정 버튼(DTMF)을 눌러 착신 교환기(13)에 차단을 요청하는 특정신호(예를 들면, 훅(Hook) 스위치, "#"이나 "*" 등)를 전송하여 착신 교환기(13)에서 발신번호를 식별해 홈위치등록기(14)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함은 자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착신거부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거부 처리 과정은, 먼저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6)와 호를 연결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12)에 호 접속을 시도하면(401), 발신 교환기(12)는 착신정보(즉, 착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홈위치등록기(130)로 착신정보를 요청한다(402). 이때, 홈위치등록기(14)는 해당 착신 단말기(16)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선택적 착신거부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발신 단말기(11)의 전화번호와 착신거부 등록번호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일치시에는 발신 교환기(12)에 착신 거부를 처리하라는 지시를 내린다(403). 이때, 발신 교환기(12)는 착신 거부 처리를 위해 해당 접속 호를 바로 종료하거나 안내멘트 등을 보내고 호를 종료한다(404).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중 선택적 착신전환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화 방법중 선택적 착신전환 처리 과정은, 먼저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6)와 호를 연결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12)로 호 접속을 시도하면(501), 발신 교환기(12)는 착신정보(즉, 착신 단말 위치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홈위치등록기(14)로 착신정보를 요청한다(502). 이때, 홈위치등록기(14)는 해당 착신 단말기(16)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선택적 착신전환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발신 단말기(11)의 전화번호와 착신거부 등록번호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일치시에는 타 전화번호로 착신전환하기 위해 착신전환시킬 착신 단말기(16)가 속한 착신 교환기(13)로 착신경로 정보를 요구하고(503), 이에 대한 결과를 반송받는다(504).
이후, 홈위치등록기(14)는 발신 교환기(12)에 해당 경로로 호를 전환시키도록 지시한다(505).
마지막으로, 발신 교환기(12)는 발신 단말기(11)로 음성사서함에 저장된 음성멘트를 송출하거나, 기 설정된 타 전화번호로 착신전환시킨다(506).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은, 먼저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6)와 호를 연결하기 위해 호 접속을 시도하여(601), 발신 교환기(12)에 접속한다(602). 이때, 발신 교환기(12)는 착신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홈위치등록기(14)로 착신정보를 요청한다(603).
이후, 홈위치등록기(14)는 해당 착신 단말기(16)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 활성화/비활성화 여부를 조사하고, 서비스 활성화시 발신 단말기(11)의 전화번호와 가입자가 착신을 거부(전환)하기 위해 사전에 등록한 착신거부(전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604) 일치여부를 검사한다(605).
검사결과, 일치시에는 발신 교환기(12)에 착신거부(전환) 처리하도록 지시하여(606) 발신 교환기(12)에서 발신 단말기(11)로 음성사서함에 저장된 안내멘트를 송출하거나, 착신거부(전환)시킨다(607). 이때, 착신거부/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착신 거부 처리를 위해 해당 접속 호를 바로 종료하거나 안내멘트 등을 송출한 후에 호를 종료하거나, 착신 전환 처리를 위해 기 설정된 타 전화번호로 착신전환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홈위치등록기의 기능을 활용하여 착신거부(전환) 서비스를 쉽게 구현 가능하고, 무선통신 가입자가 착신을 원하지 않는 호를 사전에 등록하여 그 호(즉, 장난전화, 유혹전화, 음란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신호)에 대해 착신을 거부하거나 특정번호 등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난전화, 유혹전화, 음란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를 포함하는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 및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호 착신시에,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정의 발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타 전화번호로 전환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 비교결과, 일치시에는 타 전화번호로 착신전환하기 위해 홈위치등록기가 착신전환시킬 착신 단말기가 속한 착신 교환기로 착신경로 정보를 요구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반송받는 제 5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발신 교환기에 해당 경로로 호를 전환시키도록 지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기 설정된 타 전화번호로 착신전환시키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음성사서함에 기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출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전화번호를 차단 및 전환하기 위하여, 미리 무선통신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전화번호들에 대해 상기 홈위치등록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전화번호를 차단 및 전환하기 위하여, 착신자가 통화도중 상기 소정의 발신호임을 인지하여 통화중이나 통화후에 소정의 버튼(DTMF)을 눌러 상기 교환기에 차단 및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교환기가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발신전화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발신전화번호에 대해 상기 홈위치등록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 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단되는 전화번호들이 저장되되, 무선통신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된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단되는 전화번호들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소정의 발신호로 판단되는 전화번호들을 저장시키고 저장된 상기 소정의 발신호로 판단되는 전화번호들을 삭제하는 과정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 특정코드 및 특정번호를 발송하여 호(즉, 착신거부(전환) 번호 등록/삭제를 위한 호)를 시도하는 제 8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특정코드가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의 번호 등록/삭제코드임을 인지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해당 가입자의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의 번호 등록/삭제 처리를 요청하는 제 9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해당 가입자의 가입자 데이타베이스에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에 대한 번호를 등록/삭제시키고, 등록/삭제 결과를 상기 착 신 교환기로 반송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확인신호음이나 안내메시지를 통해 서비스의 등록/삭제 처리요청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기 위해, 호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에 접속하는 제 8 단계;
    상기 발신 교환기가 착신정보(착신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받기 위해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착신정보를 요청하는 제 9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해당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 활성화/비활성화 여부를 조사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0 단계의 조사결과, 서비스 활성화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가입자가 착신을 거부(전환)하기 위해 사전에 등록한 착신거부(전환)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의 선택적 착신거부(전환)를 위한 상기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 활성화/비활성화 처리 과정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 특정코드를 발송하여 호(즉, 착신거부(전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호)를 시도하는 제 12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이 특정코드가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코드임을 인지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해당 가입자의 착신전화번호를 보내어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처리를 요청하는 제 13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해당 가입자의 상기 가입자 데이타베이스에 선택적 착신거부(전환) 서비스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고, 이의 결과를 상기 착신 교환기로 반송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확인신호음이나 안내메시지를 통해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처리요청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11.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장난전화, 유혹전화, 음란전화,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 호를 포함하는 소 정의 발신호로 판정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1 기능;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호 착신시에,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정의 발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차단하는 제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의 비교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상기 발신전화번호에 대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발신호를 타 전화번호로 전환시키는 제4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29255A 1999-07-20 1999-07-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KR10057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255A KR100570348B1 (ko) 1999-07-20 1999-07-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255A KR100570348B1 (ko) 1999-07-20 1999-07-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386A KR20010010386A (ko) 2001-02-05
KR100570348B1 true KR100570348B1 (ko) 2006-04-12

Family

ID=1960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255A KR100570348B1 (ko) 1999-07-20 1999-07-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2B1 (ko) * 2012-02-23 2013-11-25 주식회사 한국케이블텔레콤 통화 일시 정지에 의한 통화 가능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782A (ko) * 1999-12-13 2001-07-04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거부 방법
KR100735340B1 (ko) * 2001-02-28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대기 호 수신 제한방법
KR100749201B1 (ko) * 2001-08-02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430307B1 (ko) * 2001-08-16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택적 착신호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829156B1 (ko) * 2001-09-17 2008-05-13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로 수신되는 호통화를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63036B1 (ko) * 2001-11-17 2008-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30048263A (ko) * 2001-12-11 2003-06-19 (주)코스모브리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화정보 처리방법
KR20030055408A (ko) * 2001-12-26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선택적 호 거절 서비스 방법
KR20040018755A (ko) * 2002-08-27 2004-03-04 김호연 인터넷을 이용한 착신방법
KR100628935B1 (ko) * 2002-09-26 2006-09-27 엘지노텔 주식회사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20040031981A (ko) * 2002-10-08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화 수신거부 서비스 방법
KR100510669B1 (ko) 2002-12-31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 무선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착신 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646065B1 (ko) * 2005-04-04 2006-1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환기의 rte 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07024040A1 (en) * 2005-08-25 2007-03-01 Betawave Co., Ltd. Wireless and wir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using method
WO2007024039A1 (en) * 2005-08-25 2007-03-01 Betawave Co., Ltd. Wireless and wir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erminal and using method
US20070195158A1 (en) * 2006-02-23 2007-08-23 Kies Jonathan K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video calls on a wireless device
KR100752046B1 (ko) * 2006-03-10 2007-08-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선별착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785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착신거부기능 등록 여부 확인 방법
KR20000034221A (ko) * 1998-11-28 2000-06-15 구자홍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전환방법
KR20000037941A (ko) * 1998-12-03 2000-07-05 이계철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KR20010001693A (ko) * 1999-06-08 2001-01-05 이계철 악의 호 차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785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착신거부기능 등록 여부 확인 방법
KR20000034221A (ko) * 1998-11-28 2000-06-15 구자홍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전환방법
KR20000037941A (ko) * 1998-12-03 2000-07-05 이계철 이동통신서비스(pcs)에서 호전환(cfna) 방법
KR20010001693A (ko) * 1999-06-08 2001-01-05 이계철 악의 호 차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2B1 (ko) * 2012-02-23 2013-11-25 주식회사 한국케이블텔레콤 통화 일시 정지에 의한 통화 가능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386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34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EP0727122B1 (en) A caller name and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system with caller screening option
US6249674B1 (en) Emergency disablement of termination restrictions
US70353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creening calls during voicemail messaging
KR100828210B1 (ko) 모바일 음성 메일 스크리닝 방법
US8204175B2 (en) Electronic surveillance via correlation of call legs
US72126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nti-telemarketing feature in a telephony network
JPH0936965A (ja) 電話番号を変更したネットワーク加入者への呼出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80817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ll monitoring service for multiple telecommunications units
US107084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ating computer-generated, telemarketing, and robo-calls to phones
US6813347B2 (en) Selective call waiting
US20050170811A1 (en) Protected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7346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onymous call redirection in a wireless network
US7313228B1 (en) Dynamic call processing control
US6560316B1 (en) Method of monitoring a subscriber of an intelligent network
US7006818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ublic voicemail service to private network subscribers
EP1388250B1 (en) Services in a telephony system
KR100628935B1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20000065678A (ko) 악의 호를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98171B1 (ko) 악의호에 대한 실시간 신고 방법
KR10064133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 일반 착신번호와 착신전환에 의한 착신번호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55720A (ko) 우선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1119968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inbound telephone calls
KR2005001915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시스템 및 그 방법
JPH07183949A (ja) 迷惑電話防止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