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910A -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910A
KR20080051910A KR20060123742A KR20060123742A KR20080051910A KR 20080051910 A KR20080051910 A KR 20080051910A KR 20060123742 A KR20060123742 A KR 20060123742A KR 20060123742 A KR20060123742 A KR 20060123742A KR 20080051910 A KR20080051910 A KR 20080051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ll
key combination
message
featur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2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12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910A/ko
Publication of KR2008005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91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가입자가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일 때,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착신불가 상태 유형에 맞는 피처 코드를 입력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지능망 서버로 전달하면, 지능망 서버가 피처 코드 신호를 받아 해당 피처 코드에 대해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안내방송 메시지 중 하나를 독출하여 이동 교환기를 통해 상대 발신 가입자측으로 송출한다. 이에 의하여, 착신 가입자가 걸려온 호에 대해 착신 가입자 스스로 상태에 맞는 지능형 안내방송을 상대방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발신 가입자 측으로도 상대방의 구체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전송하여 불필요한 후속호를 방지하도록 하며, 다양하고 무차별적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호에 대해 착신 가입자가 실시간으로 접속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대처할 수 있다.
착신불가, 안내방송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MESSAGES INDICATIVE OF BEING NOT READY TO RECEIVE CALLS}
도 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처 코드와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 맵핑 테이블,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 단말기 4 : 키입력부
5 : 제어부 6 : 메모리
10 : BTS 20 : BSC
30 : MSC 40 : HLR
50 : SMSC 60 : SCP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망(Intelligent Network)은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등 기존 통신망에 No.7 신호망을 통하여 컴퓨터와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DB)를 접속한 수직적인 망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고도의 통신서비스를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는 망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지능망 내의 서비스는 통신 이용자의 요구 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이 도입된 서비스이다. 지능망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서는 주로 안내 방송을 많이 이용하게 되는데 고정망이나 이동망 환경에서 지능망 안내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성 안내방송을 이용하였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능망 서비스 구조는 서비스 제어 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에서 지시하는 로직 수행시(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지정한 상대 단말기로의 안내 방송 송출의 경우), 먼저 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지능형 미디어기(Advanced Intelligent Peripheral)로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 이하 'INAP' 라 함)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기로의 안내 멘트 송출을 지시한다. 이때, 기존의 서비스 제어 방식은 송출할 안내 멘트를 지능형 미디어기에 사전에 녹음시킨 후,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서 송출할 안내 멘트의 번호를 지정하여 알려주면, 지능형 미디어기는 서비스 이용자가 지정한 상대 단말기로 알려준 번호와 일대일대응 하는 안내 멘트를 송 출하였다.
이러한 지능망 서비스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꺼두는 경우, 착신 가입자가 수신이 불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등과 같이 착신 가입자가 착신이 불가능한 상태일 때, 발신 가입자에게 각 경우에 해당하는 착신 불가 안내 멘트를 송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능망 서비스에는 앞서 설명한 착신 불가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 외에 다양한 착신호 관련 서비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호 연결 서비스의 경우에는, 착신가입자가 자신의 착신 불가 상태를 예측하여 다른 전화 및 음성 메시지 저장장치로 호전환을 하기 위해 미리 네크워크(HLR) 상에 설정한다. 무조건 호 전환(Call Forwarding Unconditional)은 부가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착신 호가 이미 설정된 전환 착신 가입자나 일반전화(Forwarded to Number 가입자) 또는 음성저장장치(VMS: Voice Mailling System)로 무조건 전환 되어 통화가 성립한다. DND(Do Not Disturb) 서비스는 착신가입자가 미리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인입되는 모든 호를 사전에 미리 차단하는 것으로, 착신 가입자의 호 차단 정보를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등록하여, 해당 가입자에게 호 착신이 요청되면 HLR이 이를 판별하여 발신측 단말기로 착신차단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또한, 발신번호 이력 제공 서비스(Calling Number History Presentation Service)는 착신가입자가 수신불가(Power-off/Busy/No Answer/No Response)시 네트워크의 지능망 서버(SCP: Service Control Point)가 발신 가입자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추후 착신 가입자측으로 SMS(Short Message Service)로 통보해 주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대표적인 착신호 관련 거부 및 전환 서비스는 모든 착신호에 대한 서비스는 사전 차단 위주로 제공되고 있다. 즉, 착신 가입자가 자신의 상태를 미리 예측하여 네트워크에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모든 착신호가 실제 착신 가입자측으로 연결되기 전에 음성저장장치(VMS:Voice Mailing System) 등으로 전환되거나 사후에 발신번을 SMS(Short Message Service)로 통보 하는 등 망에서 제공되는 착신 불가서비스는 성격상 실시간이 보장되기 힘들며, 착신 가입자의 선택의 여지가 없다.
또한, 착신호에 대해서 착신 가입자가 일방적으로 호 종료 버튼을 눌러 착신을 거부하거나 배터리를 제거하는 등의 통화 불가상태를 강제로 유발하여 안내방송을 강제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즉, 현재 걸려온 호에 대한 착신 가입자의 선택은 수신하거나 수신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착신 가입자의 상태가 수신하기 어렵거나 잠시 후 다시 전화를 받고 싶더라도 현재는 상대방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 착신 가입자는 네트워크에 부가서비스를 활성화 하여 사전에 호가 인입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여 모든 호의 인입을 막거나, 걸려온 전화에 대해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배터리를 제거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 가입자가 걸려온 호에 대해 착신 가입자 스스로 상태에 맞는 지능형 안내방송을 상대방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발신 가입자 측으로도 상대방의 구체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전송하여 불필요한 후 속호를 방지하도록 하며, 다양하고 무차별적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호에 대해 착신 가입자가 실시간으로 접속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대처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가입자가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일 때,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착신불가 상태 유형에 맞는 피처 코드를 입력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지능망 서버로 전달하면, 지능망 서버가 피처 코드 신호를 받아 해당 피처 코드에 대해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안내방송 메시지 중 하나를 독출하여 이동 교환기를 통해 상대 발신 가입자측으로 송출한다. 안내 방송 메시지는 통화포기/통화불가/지연통화(예를 들어, 5분 후 통화, 10분 후 통화 등)/가능시간 지정 통화의 안내방송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 BTS(Base Transceiver Station)(10), BSC(Base Station Controller)(20), MSC(Mobile Switching Center)(30) 및 HLR(Home Location Register)(40), SMSC(Short Messaging Service Center)(50), SCP(Service Control Point) 서버(60), VMS(Voice Mailing System)(70)로 구성된다. BTS(10)는 BSC(20)를 통해 MSC(30)와 정합되며 이동 단말기(1)의 무선 접속, 동기 유지, 통화 채널 할당 및 해제 등의 기능을 수 행한다. BSC(20)는 BTS(10)와 MSC(30)의 사이에 존재하며, BST(10)의 제어, 무선자원 관리,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한다. MSC(3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간에 위치하여 BSC(20), HLR(40), 그밖에 부가 서비스 센터와 정합하여 음성 및 비음성의 통화로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HLR(40)은 이동통신에서 가입자 이동 단말기의 정보를 관리하는 대용량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서, 다른 장비들과 상호 작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한다.
MSC(30)는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도시 않음) 및 HLR(40)로부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착신호 채널을 설정하고, 착신측 단말기에 링 백 톤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MSC(30)가 착신호 채널(예를 들어, 시그널 채널(signal channel)을 통해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피처코드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가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HLR(40)로부터 확인하고, 피처코드 신호를 SCP 서버(60)로 전송한다.
SCP 서버(5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통신망과 연결되며, 지능망 안내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유하여, MSC(30)의 서비스 호 처리 지시 요구에 대해 호 처리를 수행하며,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SCP 서버(60)는, 복수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 각각에 대해 단말기의 피처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SCP 서버(60)는 MSC(30)로부터 전송된 피처코드 신호에 해당하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독출하여, 독출한 안내방송 메시지를 MSC(30)로 전송하고, MSC(30)가 발신측 단말기에 독출한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에서 피처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신호가 송수신되는 RF부(11)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키입력부(4)와, RF부(11)에서 송수신되는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3)와, 데이터 처리부(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2)와, 메모리(6)와, 카메라(7)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8)와, 영상처리부(8)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9)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구비한다.
키입력부(4)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 발신(send), 지움(C), 종료(end), #, * 의 특수키를 구비한다.
메모리(6)에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 방송을 위한 복수의 키 조합 신호가 미리 저장된다. 키 조합 신호는 피처코드를 포함한 키입력부(4)의 키입력 신호 조합으로서, 이하에서는 간단히 피처코드라 칭하기로 한다.
제어부(5)는 호 착신시 링 백 톤을 송출하는 상태에서, 키입력부(4)를 통해 키 조합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 조합 신호가 메모리(6)에 저장된 피처코드인지 확인하여, 피처코드이면 착신호 채널(예를 들어, 시그널 채널(signal channel)을 통해 피처코드 신호를 BTS(10)와 BSC(20)를 통해 MSC(30)로 송신한다.
착신불가 상태 안내 방송의 송출을 요청하기 위한, 키입력부(14)의 버튼조작은 다음과 같다. 키입력부(4)에서, 피처 코드 + 하나 이상의 숫자버튼 + send를 가 압하여, 네자리 숫자버튼에 해당하는 시간이 지연된 후에 통화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주 제어부(5)가 입력된 피처 코드 신호를 MSC(30)를 통해 SCP 서버(60)에 전송하여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숫자 버튼은, 네자리 숫자를 나타내는 버튼의 시퀀스(sequence)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네자리 숫자 중 앞의 두자리는 시간 정보(00, 01,..,10,..,23)이고, 뒤의 두자리는 분 정보(00,..,59)이다. 또한, 키입력부(4)에서 피처 코드 + 하나 이상의 숫자버튼 + send를 가압하여, 숫자버튼에 해당하는 지정날짜 및 시간에 통화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입력부(4)를 통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숫자버튼은 여섯자리 숫자를 나타내는 버튼의 시퀀스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여섯자리 숫자 중 앞의 두자리는 날짜 정보(01,..,30)이고, 뒤의 네자리는 시간 정보(01,..,24)와 분 정보(00,..,59)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피처 코드 및 그에 대응하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화 포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키입력부(14)에서, '피처 코드 + 특정 숫자버튼(예를 들어, #0) + send'를 누르면, 이동통신망과 SCP 서버(60)의 동작에 의해, "고객은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라는 안내방송이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된다. 그리고, 통화 불가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피처 코드 + 특정 숫자버튼(예를 들어, #1) + send'를 누르면, "고객은 현재 응답할 수 없는 지역에 있습니다."라는 안내방송이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된다.
또한, 일정 시간 후 통화 가능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키입력부의 조작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0분 후 통화가능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피처 코드 + 특정 숫자버튼(예를 들어, 0010) + send' 버튼을 누르면, "고객은 현재 용무중이라 10분후 통화가능합니다."라는 안내방송이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된다. 둘째, 20분후 통화가능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피처 코드 + 특정 숫자버튼(예를 들어, 0020) + send' 버튼을 누르면, "고객은 현재 용무중이라 20분후 통화가능합니다."라는 안내방송이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된다. 셋째, 1시간후 통화가능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피처 코드 + 특정 숫자버튼(예를 들어, 0100) + send' 버튼을 누르면, "고객은 현재 용무중이라 1시간후 통화가능합니다."라는 안내방송이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된다. 넷째, 지정시간 통보하기 위해, '피처 코드 + 특정 숫자버튼(예를 들어, 251630) + send'버튼을 누르면, "고객이 금일(25일) 16시30분에 통화 요청하셨습니다."라는 안내방송이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SCP 서버(60)에서, 복수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 각각에 대해 단말기의 피처코드를 설정하여 저장한다(S1). MSC(30)가 착신 단말기의 호 연결을 요청받는다(S3). MSC(30)가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도시 않음) 및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MSC(30)가 위치정보에 의해 착신호 채널을 설정하고(S5), 착신측 단말기에 링 백 톤을 송출한다. 착신 가입자가 링 백 톤에 응답하지 않고 착신 단말기의 키입력부(4)를 통해 피처코드를 입력하면, 착신 단말기의 제어부(5)가 착신호 채널을 통해 피처코드 신호를 송신한다. MSC(30)가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피처코드 신호를 수신하면(S7), 착신 단말기가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9). 착신 단말기가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MSC(30)는 피처코드 신호를 SCP 서버로 전송한다(S11). SCP 서버(60)가 수신한 피처코드 신호에 해당하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독출하여(S13), 독출한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MSC(30)로 전송한다(S15). MSC(30)는 발신측 단말기에 독출한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전송한다(S17).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로 호 연결요청을 하면, 착신 가입자는 착신된 호의 기본정보(발신번호 등)를 확인하고 인입된 착신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고 단말기의 키입력부의 조작을 통해 자신의 조건에 맞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요청을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착신 가입자는 피처 코드와 안내방송 종류를 선택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SCP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 코드와 안내방송 종류로서, 통화포기/통화불가/지연통화가능(5분후 통화, 10분후 통화 등 가능시간)을 지정하여 통보하도록 한다. 이동통신망은 피처 코드를 SCP 서버(60)에 전송하면, SCP 서버(60)는 피처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방송 메시지를 독출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SCP 서버(60)가 MSC(30)에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저장하여 착신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SCP 서버(60)가 착신불가 상태를 안내하는 SMS 메시지를 SMSC(50)에 전송하여 저장하게 하면, SMSC(50)가 HLR(40)를 통해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하고, 착신불가 상 태 안내 SMS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키입력부에서 피처 코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동 단말기의 메뉴화면에 복수의 착신불가 상태를 안내하는 피처 코드를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피처 코드를 선택하도록 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착신 가입자가 미리 자신의 착신여부에 대해 네트워크에 미리 설정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필요한 사전 동작이 없으며, 착신가입자는 걸려온 착신호에 대해 현재 자신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이거나, 원하지 않는 상대방의 전화통화일 경우 적당한 안내방송을 발신 가입자측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발신 가입자도 착신 가입자의 착신 불가사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안내 받을 수 있어 발신 가입자가 연결 실패 후 불필요한 호연결 시도를 반복하는 등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착신 가입자의 실시간 통화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다. 종래의 착신서비스는 발신 가입자별로 선택할 수 없으며, 모든 호에 대해 무차별적으로 제공되는 일방적인 착신연결 서비스였다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착신 가입자가 걸려온 호에 대해 실시간으로 제공 받으면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 및 원하지 않는 통화 등에 대해 선택적으로 호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착신 불가한 상태에서 필요한 착신호에 대해 실시간으로 발신 가입자측으로 후속호 연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셋째, 회의 및 기타 사유로 착신 가입자가 통화 할 수 없는 경우 발신 가입자측으로 후속호 연결 가능시간에 대한 착 신 가입자의 정보를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이후 유효통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경우 발신 가입자는 착신 가입자측으로 불필요하게 호를 반복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요소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캐리어 웨이브로 구체화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 또는 캐리어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의해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이상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신 가입자가 걸려온 호에 대해 착신 가입자 스스로 상태에 맞는 지능형 안내방송을 상대방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발신 가입자 측으로도 상대방의 구체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전송하여 불필요한 후속호를 방지하도록 하며, 다양하고 무차별적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호에 대해 착신 가입자가 실시간으로 접속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대처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9)

  1.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 각각에 대해 이동 단말기의 키 조합 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키 조합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키 조합 신호에 대응하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독출하여 전송하는 지능망 서버와,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을 요청시 설정한 착신호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키 조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키 조합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지능망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상기 키 조합 신호에 해당하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측 단말기에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합 신호는 피처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키입력 신호 조합이고,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제1 숫자 신호, 및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통화 포기 메시지이며,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제 2 숫자 신호,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통화 불가 메시지인, 이동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합 신호는 피처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키입력 신호 조합이고,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3 숫자 신호,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상기 제 3 숫자 신호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 후에 통화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며,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통화 지정 시간을 나타내는 제4 숫자 신호,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상기 제 4 숫자 신호에 해당하는 지정날짜 및 시간에 통화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인, 이동통신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키입력부로부터의 입력키 조합 신호가 안내방송 메시지용 키 조합 신호인지 확인하여, 상기 안내방송 메시지용 키 조합 신호에 해당하면 상기 피처 코드를 송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이동 교환기와, 홈 위치 등록기와, 지능망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으로서,
    상기 지능망 서버가 하나 이상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 각각에 대 해 이동단말기의 키 조합 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교환기가 호 연결을 요청 받아 착신호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키 조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키 조합 신호를 상기 지능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서버가 상기 키 조합 신호에 해당하는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교환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합 신호는 피처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키입력 신호 조합이고,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제1 숫자 신호, 및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통화 포기 메시지이며,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제 2 숫자 신호,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통화 불가 메시지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합 신호는 피처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키입력 신호 조합이고,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3 숫자 신호,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상기 제 3 숫자 신호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 후에 통화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며,
    상기 키 조합 신호가 피처 코드, 통화 지정 시간을 나타내는 제4 숫자 신호, 발신(send)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는 상기 제 4 숫자 신호에 해당하는 지정날짜 및 시간에 통화 가능함을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키입력부로부터의 입력키 조합신호가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용 키 조합 신호인지 확인하여,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용 키 조합 신호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메시지용 키 조합 신호를 송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 안내방송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060123742A 2006-12-07 2006-12-07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KR20080051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3742A KR20080051910A (ko) 2006-12-07 2006-12-07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3742A KR20080051910A (ko) 2006-12-07 2006-12-07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910A true KR20080051910A (ko) 2008-06-11

Family

ID=3980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23742A KR20080051910A (ko) 2006-12-07 2006-12-07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9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97A1 (ko) * 2012-03-02 2013-09-06 Kim Han Seok 부재중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6418A (ko) * 2014-12-02 2016-06-10 스마트비투엠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97A1 (ko) * 2012-03-02 2013-09-06 Kim Han Seok 부재중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6418A (ko) * 2014-12-02 2016-06-10 스마트비투엠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642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отклика в системе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US64081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management with voice channel conservation
EP1058994B1 (en) Procedure to transmit information at telephone answering service
KR19990029493A (ko) 전화 응답 지연 방법
US2013007897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KR20060105597A (ko)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동작 방법
KR20060092472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KR20080051910A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KR100541495B1 (ko)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US6658255B1 (en) Enhanced wireless radio channel utilization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20070072972A (ko) 화상 전화망에서의 통화 대기 서비스 방법
KR20060002258A (ko)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46197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5894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신호 선택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41990B1 (ko) 단발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637039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98613B1 (ko)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753935B1 (ko)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