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935B1 -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935B1
KR100753935B1 KR1020060064677A KR20060064677A KR100753935B1 KR 100753935 B1 KR100753935 B1 KR 100753935B1 KR 1020060064677 A KR1020060064677 A KR 1020060064677A KR 20060064677 A KR20060064677 A KR 20060064677A KR 100753935 B1 KR100753935 B1 KR 10075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obile terminal
message
voice messag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익병
차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6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에 따르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신자에게 수신될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이동 단말, ARS, 음성, 착신, SMS, 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SERVI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적용되는 다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른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자의 이동 단말이 음성 전송 서버(일명,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착신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ARS는 주로 상대방의 전화를 안내하거나 부재 시 메시지 녹음을 위해 많이 사용되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이동통신 및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응용 분야의 일례로, 수신자가 부재중이거나 수신자의 이동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는 등의 이유로 인해 발신자가 수신자와 통화를 위한 호 접속에 실패한 경우, 교환국에서 통화를 위한 호를 ARS 서버로 연결시킨다. 그러면, 발신자는 기 녹음된 자동 음성 안내에 따라 음성을 녹음하고, ARS 서버는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성 녹음이 남겨져 있음을 수신자에게 알려준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업자는 수신자의 부재 중 또는 호출 미 응답 시 발신자가 저장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SMS 서비스를 통해 해당 ARS 전화 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송신하고, 수신자는 그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음성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ARS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업체 또한 이와 같은 ARS 서버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정보 제공업체에서 특별한 이벤트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음성 정보를 ARS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ARS 서버는 지정된 수신자에게 특별한 이벤트나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ARS는 수신자가 ARS 서버에 직접 접속하지 않으면, 정보 제공업체에서는 발송한 특별한 이벤트 정보나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수신자가 특별한 이벤트 정보나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에도 ARS 서버에 접속하여 자동 음성 안내에 따라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므 로, 수신자 입장에서는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보 제공업체에서 제공한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는 데 있어 시간을 줄이고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이동 단말은, 발신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이동 단말이 제공된다. 이 이동 단말은,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될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될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수신자의 명령에 의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이 발신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상기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이 발신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수신자"라 표기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100), 이동통신망(200), 음성 전송 서버(300) 및 서비스 제공부(40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00)은 이동통신 방식에 의한 음성 통신 및 패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로, 음성 전송 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망(200)을 거쳐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이하, SMS 메시지라 함)를 수신하고, 음성 전송 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을 출력시키는 단말이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음성 전송 서버(300)에 접속하여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100)은 셀룰러폰이나 개인 휴대 단말(PDA) 등이 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200)은 무선 기지국(210), 교환국(220)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SMSC"라 함)를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210)은 이동 단말(100)과 교환기(220)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 단말(100)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의 송수신, 채널 변조 및 복조, 전력 제어, 프로토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국(220)은 무선 기지국(210)과 접속되어 이동 단말(100)과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통신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이동 호 처리에 필요한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SMSC(230)는 교환국(220)과 접속되어 음성 전송 서버(300)로부터 SMS 메시지 전송 요구를 전달받아 해당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교환국(220) 및 무선 기지 국(210)을 통해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SMS 메시지에는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소정의 문자와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40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음성 전송 서버(300)는 접속한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로 서비스 제공부(400)에서 제공한 특정한 이벤트 정보 또는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음성 전송 서버(300)에는 서비스 제공부(400)에서 제공한 특정한 이벤트 정보 또는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음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DB(도시하지 않음) 및 음성 메시지를 제공할 수신자 정보 및 음성 메시지를 제공한 서비스 제공부(400)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 DB(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서비스 제공부(400)는 수신자에게 특정한 이벤트 정보 또는 긴급 상황 정보를 음성 전송 서버(300)를 통해 제공한다. 즉, 서비스 제공부(400)는 특정한 이벤트 정보 또는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음성 정보를 음성 전송 서버(300)를 통해 수신자에게 제공하며, 음성 전송 서버(300)로 특정한 이벤트 정보 또는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음성 정보,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신자 정보 및 자신의 정보를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서비스 모드 설정부(110), 제어부(120), 수신부(130), 표시부(140), 차단 기능 설정부(150), 저장부(160) 및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서비스 모드 설정부(110)는 수신자의 명령에 따라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 또는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는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음성 전송 서버(300)에 접속하여 SMS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이고,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는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고, 수신자가 이 SMS 메시지를 확인한 후 수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음성 전송 서버(300)에 접속하여 SMS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이다.
제어부(120)는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즉,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20)는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대응하는 자동 음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며,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대응하는 수동 음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서버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에 탑재된 플랫폼을 통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수신된 음성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20)는 음성 전송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의 선택 없이 출력시킬 수도 있으며,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시킬 수도 있다. 만약,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20)는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의 청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시지(이하, "음성 청취 확인 메시지"라 함)를 생성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수신부(130)는 SMSC(230)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SMS 메시지에는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소정의 문자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발신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SMS 메시지 및 음성 청취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단 기능 설정부(150)는 이동 단말(100)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 중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서 일부의 음성 메시지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수신자가 지정한 대상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차단할 수도 있으며, 수신자가 지정한 번호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차단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한다.
출력부(17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측이 서비스 제공부(400) 뿐만 아니라, 도 3과 같이 발신 단말(100a)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적용되는 다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발신자의 이동 단말을 "100a"로, 수신자의 이동 단말을 "100b"로, 발신 측 무선 기지국을 "210a"로, 수신측 무선 기지국을 "210b"로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자는 발신 단말(100a), 무선 기지국(210a) 및 교환국(220)을 통해 음성 전송 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음성 전송 서버(300)는 SMSC(230)로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SMS 메시지의 전송을 요구하고, SMSC(230)는 해당 SMS 메시지를 수신 단말(100b)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 단말(100b)은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다음으로,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이동 단말(100)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른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5에서는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이 수동 착신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는 서비스 제공부(400)에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실시 예로 설명하였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의 서비스 모드 설정부(110)에서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한 경우(S401), 서비스 제공부(400)에서 음성 전송 서버(300)로 지정된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가 전송되면(S403), 음성 전 송 서버(300)는 음성 메시지를 음성 DB(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 후, 이동통신망(200)의 SMSC(230)로 지정된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로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SMS 메시지 전송을 요구한다(S405).
음성 전송 서버(300)로부터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SMS 메시지의 전송을 요구받은 SMSC(230)는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소정의 문자와 발신 정보를 포함하여 SMS 메시지를 생성하고(S407), 생성된 SMS 메시지를 교환국(120) 및 무선 기지국(110)을 통해 지정된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S409).
이동 단말(100)의 수신부(130)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S411),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자동 음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즉, 수신부(130)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음성 전송 서버(300)로 접속하여(S413), 음성 전송 서버(300)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다(S415). 그리고 제어부(120)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시킨다(S417). 여기서, 자동 음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부(130)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할 때,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해 자동 착신음을 출력하거나 단말 조명등을 켤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수신자는 일일이 SMS 메시지를 확인하고, 키패드의 조작에 의해 음성 전송 서버(300)에 직접 접속하지 않아도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과 음성 전송 서버(300)간 실시간 음성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의 서비스 모드 설정 부(110)에서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S501), 서비스 제공부(400)에서 음성 전송 서버(300)로 음성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S503)부터 이동 단말(100)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S509)까지는 도 4에 도시한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동 단말(100)의 수신부(130)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S511),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자동 음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즉, 수신부(130)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이동 단말(100)의 표시부(140)를 통해 SMS 메시지를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한다(S513). 그리고 이동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 SMS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SMS 메시지에 표시된 문자에 따라 음성 전송 서버(300)로 바로 접속되는 단축키를 누르다든지 등 음성 전송 서버(300)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S515), 제어부(120)는 음성 전송 서버(300)로 접속하여(S517), 음성 전송 서버(300)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다(S519). 그리고 제어부(120)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시킨다(S521).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제어부(120)에서 설정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의 선택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른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음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음성 전송 서버(300)로부터 음성이 수신되면(S401~S415),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60)는 음성을 저장한다(S419). 그리고 나서, 제어부(120)는 음성 청취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며(S421), 음성 청취 확인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확인키를 누른다든지 등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고자 할 경우(S423),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시킨다(S417).
한편, 도 6에서는 제어부(120)에서 음성 청취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SMSC(230)에서 이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음성 전송 서버(300)에서 음성 메시지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해줄 때(S415, S517), 음성 전송 서버(300)가 음성 청취 확인 메시지 전송을 SMSC(230)로 요구할 수도 있다. 그러면, SMSC(230)에서 음성 청취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기지국(210)을 통해 이동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서는 도 4와 같이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도 5와 같이 수신자의 이동 단말(100)이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번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 출시된 이동 단말의 경우에도 탑재되어 있는 플랫폼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신자가 설정한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음성 메시지를 착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발신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될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될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수신자의 명령에 의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메시지의 자동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 단말.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상기 수신자의 상기 서버로의 접속 여부에 따라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될 음성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기능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7.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소정의 문자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는 발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8. 사용자의 이동 단말이 발신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상기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알림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공받은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자동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동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수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알림 신호를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사용자의 이동 단말이 발신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상기 음성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자동 착신 음성 서비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알림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 및
    상기 접속된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60064677A 2006-07-11 2006-07-11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5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677A KR100753935B1 (ko) 2006-07-11 2006-07-11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677A KR100753935B1 (ko) 2006-07-11 2006-07-11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935B1 true KR100753935B1 (ko) 2007-08-31

Family

ID=3861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677A KR100753935B1 (ko) 2006-07-11 2006-07-11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9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352A (ko) * 2005-12-13 2006-01-24 박정일 발생신호의 음성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음성알림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352A (ko) * 2005-12-13 2006-01-24 박정일 발생신호의 음성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음성알림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0735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0352B1 (en) A mobile st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station in conferencing mod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5264923A (zh) 用于确定推送消息的可靠性的消息传送系统
US5740540A (en) Method for telephone number notification and storage in a portable radio
KR100753935B1 (ko)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721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 넘버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9846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20060002258A (ko)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18704A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20080051910A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KR100615053B1 (ko) 문자자동답변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자동문자답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05330A (ko) 착신링 시간 표시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10488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자동응답 방법
KR101003420B1 (ko) Sms를 이용한 단말기 수신자의 상태정보 알림 장치 및그 방법
KR2004010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부재알림 방법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JP2954198B1 (ja) 留守番電話用件転送報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25103A (ko) 휴대폰 전원 차단시 안내 메시지 등록 방법
KR20070111764A (ko) 착신단말이 통화중인 경우의 대화형 문자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10070916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