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01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010A
KR20090017010A KR1020070081407A KR20070081407A KR20090017010A KR 20090017010 A KR20090017010 A KR 20090017010A KR 1020070081407 A KR1020070081407 A KR 1020070081407A KR 20070081407 A KR20070081407 A KR 20070081407A KR 20090017010 A KR20090017010 A KR 20090017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mode
call
function
setting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승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08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010A/ko
Publication of KR2009001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01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어느 하나의 번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된 다른 번호로의 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 수신을 구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고, 음성 통화 또는 메시지 확인을 위한 전화번호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설정 모드를 모드 전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통화 연결 조작에 따라 상대방 발신측과 전화 통화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를 복귀하여 부재중 전화 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081407
투폰, 전화번호, 기본번호, 추가번호, 표시아이콘, 통화, 문자 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Two Phone Service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minal Having Two Phone Service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대방과 음성통화나 문자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이면서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원하는 상대방과 음성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단말기마다 단일의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단일의 전화번호가 노출됨에 따라 원하지 않는 상대방과의 통화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가 있고, 개인용 및 업무용 등과 같이 상대방과 구분되는 통화를 원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하나의 단말기에 대해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하는 투폰(Two-Phone) 서비스 기 능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투폰 서비스 기능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되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구분적으로 운용하여 특정 시간대 별로 개인용 및 업무용으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대방 사용자에 대해 개인적인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전화번호를 알려줌으로 인해 상대방에 따라 구분적인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폰 서비스 기능을 갖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해당 단말기에 대해 복수로 할당된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는 해당 활성화 설정된 전화번호를 통한 상대방으로부터의 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 수신에 대해 해당 설정 전화번호로의 수신 여부 및 발신측 전화번호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비활성화 상태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상대방으로부터의 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에 대해서는 활성화 설정된 전화번호와의 용이한 구분이 어렵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의 활성화 전환에 의한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확인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도록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어느 하나의 번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된 다른 번호로의 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 수신을 구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고, 음성 통화 또는 메시지 확인을 위한 전화번호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설정 모드를 모드 전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통화 연결 조작에 따라 상대방 발신측과 전화 통화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를 복귀하여 부재중 전화 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문자메시지 확인 메뉴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설정 모드를 모드 전환하는 기능 및, 사용자의 통화 연결 조작에 따라 상대방 발신측과 전화 통화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를 복귀하여 부재중 전화 처리를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 말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는 기능 및, 사용자에 의해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문자메시지 확인 메뉴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폰 서비스 기능에 따라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모드 설정한 상태에서 해당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있거나,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있게 되면, 해당 호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이 각기 개별적으로 화면 표시되도록 하고,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시 해당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자동 모드전환되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문자 메시지의 수신시 사용자가 설정 모드를 전환해야만 발신측 전화번호의 표시 및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문자 메시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상대방으로부터의 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에 대해 활성화 설정된 전화번호와의 용이한 구분이 가능하고, 전화번호의 활성화 전환에 의한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확인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대방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 이동통신 기지국(14,16),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18,20),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2,24),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6), 단문메시지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 통신사로부터 기본 번호와 추가 번호를 갖는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되고서, 기본 번호 또는 추가 번호의 선택적인 설정 전환에 의해 원하는 상대방과 음성 통화 또는 문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할 당된 기본 번호 또는 추가 번호로 음성 통화를 위한 호발신을 수행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4,16)은 상기 각각의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0)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12)과 무선으로 직접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서, 이는 기저대역의 신호처리와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 무선 패킷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8,20)는 상기 각 이동통신 기지국(14,16)과 각 이동통신 교환기(22,24)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기지국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 무선 모뎀에 대한 무선채널의 할당 및 해제기능과, 무선 모뎀과 기지국 간의 송신출력 제어기능,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기능, 각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각 이동통신 교환기(22,24)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해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 전화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12)로부터의 호발신 또는 문자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음성호 또는 문자 메시지 데이터 교환을 위한 착/발신 호처리를 수행하며,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를 구비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홈위치 등록기(26)는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2)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 정보, 위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복수 전화번호의 할당 정보를 갖추고 있다.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28)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를 보안 기능을 갖춘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의 형태로 해당 수신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로부터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할당된 복수의 전화 번호 중에서 발신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통해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한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키입력부(30)와, 디스플레이부(32), 프로그램 저장부(34), 데이터 저장부(36), 마이크로 프로세서(38), 데이터 처리부(40), 통신신호 처리부(42), 마이크로폰(44), 스피커(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30)는 음성 통화를 위한 상대방 전화번호의 입력과 문자 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문자 입력을 위한 숫자/문자 입력키 버튼 및 기능키 버튼을 갖춘 것으로서, 이는 기본 번호 또는 추가 번호의 선택적인 모드 설정과 선택적인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확인을 위한 기능키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2)는 투폰 서비스 기능에 따라 기본 번호 또는 추가 번호의 선택적인 모드 설정 상태와, 기본 번호 또는 추가 번호의 모드 설정 상태에서 비활성화된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를 구분적으로 표시하고, 번호 설정 모드의 전환에 따른 음성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확인을 위한 화면 표시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34)는 투폰 서비스 기능의 설정 및 실행을 위한 단말기의 펌웨어 프로그램과 미들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36)는 투폰 서비스 기능에 따라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에 대해 설정된 다양한 메뉴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고, 각 전화번호 별로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8)는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의 투폰 서비스를 위한 기본 번호 또는 추가 번호의 설정에 따라 그 설정 사항을 데이터 저장부(36)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설정된 모드 하에서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그 상태가 표시되도록 하고, 호착신에 대해서는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의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신 문자 메시지에 대해서는 키입력부(30)의 사용자 조작에 의한 전화번호 설정 모드 전환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0)는 상기 통신신호 처리부(42)를 통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정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8)로부터의 디지털 정보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그 중간주파수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신호 처리부(42)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통신신호 처리부(42)는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폰(44)은 음성 통화를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40)에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46)는 음성 통화에 따른 상대방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한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8)는 상기 키입력부(3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 환경 설정 메뉴 상에서 투폰 서비스 기능의 실행을 위한 투폰 설정을 수행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폰 설정 메뉴 상에서 해당 단말기에 할당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 설정 모드의 모드 전환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화번호 설정 모드의 모드 전환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는,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기본번호를 설정한 상태에서 추가번호로의 모드 전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예컨대 #1234)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추가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에 있어서, 사용 환경 설정 메뉴 상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한 번호 전환키(예컨대 ##)를 키입력하게 되면, 다른 전화번호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투폰 서비스 기능에서는 각 기본 번호와 추가 번호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메뉴 항목과,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해 모두 공통적 으로 적용될 수 있는 메뉴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개별적인 설정 메뉴 항목은 착신 벨소리 종류의 설정 메뉴와, 대기화면 설정 메뉴, 전화번호 등록 메뉴, 전화번호 그룹관리 메뉴, 전화번호 찾기 메뉴, 최근 통화기록 조회 메뉴, 문자보내기 메뉴, 사진 보내기 메뉴, Shot 메일 보내기 메뉴, 문자 메시지 수신함, 발신함, 임시 보관함 메뉴 등이 있다.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해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메뉴 항목으로는, 벨/진동 선택 메뉴, 소리크기 설정 메뉴, 경고음 선택 메뉴, 버튼음 선택 메뉴, 폴더음 선택 메뉴, 새 멜로디 받기 메뉴, 다이얼링 화면 설정 메뉴, 메뉴색상 선택 메뉴, 메뉴 스타일 선택 메뉴, 화면 밝기/배경 조명 선택 메뉴, 자기번호 보기 메뉴, 자동지역번호 메뉴, 스팸메일함, 첨부파일함, 통화시간 조회 및 통화제한 설정 메뉴, 무선인터넷 관련 메뉴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8)는 투폰 서비스 기능에 따른 전화번호의 설정 상태와, 호착신시 및 문자 메시지 수신시의 상태를 각각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가지 표시 아이콘을 제공하게 되는 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설정 상태를 표시해주는 추가번호 전환 표시아이콘(50)과, 기본 번호로의 호착신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기본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2), 추가 번호로의 호착신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추가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4), 기본 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기본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6), 추가 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추가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8)을 포함 한다.
도 5a에서, 기본 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기본번호 대기화면 상에서는 기본 번호가 설정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별도의 표시아이콘이 표시되지는 않지만, 기본 번호의 설정 하에서 예컨대 추가 번호로의 호착신이 있게 되면 해당 추가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4)을 표시해 주게 되고, 예컨대 기본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이 있게 되면 해당 기본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6)을 표시해 주게 된다.
도 5b에서, 추가 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추가번호 대기화면 상에서는 추가번호가 설정됨을 보여주는 추가번호 전환 표시아이콘(50)이 표시되고, 추가 번호 설정 하에서 예컨대 기본 번호로의 호착신이 있게 되면 해당 기본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2)을 표시해 주게 되고, 예컨대 추가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이 있게 되면 해당 추가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8)을 표시해 주게 된다.
이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호착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기본 번호가 모드 설정되어 있는 기본번호 대기화면 상에서 해당 기본 번호로의 호착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기본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2)이 표시되면서 발신자 표시기능(Caller ID)에 따라 호발신을 진행한 상대방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2)의 전화번호가 동시에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30)의 통화키 버튼을 키조작하여 통화를 진 행하게 되면, 통화 연결 시간이 표시되면서 실질적인 음성 통화가 진행되도록 하게 되고, 음성 통화가 종료되고 사용자가 통화 목록을 조회하고자 하게 되면 상기 기본번호 설정 모드 하에서의 해당 기본 번호에 따른 통화 목록을 보여주게 된다.
하지만, 상대방으로부터의 호발신에 대해 수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부재중 전화가 표시되면서 호착신 시간과, 호발신을 수행한 상대방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해주게 되고, 통화 목록을 조회하고자 하게 되면 부재중 전화 표시가 있는 전화번호의 수신 목록을 보여주게 된다.
한편, 추가 번호가 모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추가 번호로 호착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추가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32)이 화면 표시되면서 상대방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보여주고, 통화키 버튼 조작에 따른 통화시 해당 추가번호를 통한 음성 통화가 진행되도록 하며, 전화를 받지 않게 되면 부재중 전화 표시와 함께 해당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기본번호가 모드 설정되어 있는 기본번호 대기화면 상에서 추가 번호로의 호착신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8)는 기본번호 설정 모드 하에서 추가 번호로의 호착신이 있음을 인식하게 되면, 기본번호 설정 모드로부터 추가번호 설정 모드로 자동적인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2)에 추가번호 전환 표시아이콘(50) 및 추가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4)을 표시함과 더불어, 상대 방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표시해주게 된다.
사용자의 통화키 버튼 조작에 따라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8)는 모드 전환된 추가번호 설정 모드 하에서 실질적인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추가번호로의 호착신에 대해 수신자가 통화를 진행하지 않게 되면, 해당 기본번호 설정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부재중 전화가 왔음을 표시하고, 호착신 시간을 표시하게 되지만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는 표시해주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키입력부(30) 조작에 의해 기본번호 설정 모드로부터 추가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 부재중 전화 표시와 함께 호착신 시간과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도 표시해주게 되고, 사용자가 통화 목록을 조회하고자 하게 되면 부재중 전화 표시가 이루어진 수신 목록을 표시해 주게 된다.
여기서, 추가번호 설정 모드 하에서 기본 번호로의 호착신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본번호 설정 모드로 자동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해당 기본번호 설정 모드 하에서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화를 받지 않은 경우에 해당 추가번호 설정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표시하지 않고 부재중 전화가 왔음을 표시해 주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기본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 부재중 전화가 온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추가 번호가 모드 설정되어 추가번호 전환 표시아이콘(50)이 표시되어 있는 추가번호 대기화면 상에서, 해당 추가 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추가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8)이 표시되면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 발신측의 전화번호가 동시에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부(30) 조작에 의해 문자 메시지의 확인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추가 번호에 대해 할당된 문자 메시지 수신함에 보관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목록을 보여주게 되고, 그 수신 목록 중에서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2) 상에 확인 표시해 주게 된다.
한편, 기본번호 설정 모드가 모드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기본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추가 번호가 모드 설정되어 있는 추가번호 대기화면 상에서 기본 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있는 경우에, 추가번호 설정 모드가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2)에 추가번호 전환 표시아이콘(50) 및 기본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6)을 표시함과 더불어,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로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표시해 주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전환을 위해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번 호 전화키를 키입력하여 추가번호 설정 모드로부터 기본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전환을 수행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추가번호 전환 표시아이콘(50)의 표시가 해제되고,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표시해주게 된다.
사용자의 키입력부(30) 조작에 의해 문자 메시지의 확인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해당 기본 번호에 대해 할당된 문자 메시지 수신함에 보관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목록을 보여주게 되고, 그 수신 목록 중에서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2) 상에 확인 표시해 주게 된다.
한편, 기본번호 설정 모드 하에서 추가 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키입력 조작에 의해 추가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져야만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로 모드가 설정되고 해당 설정 모드의 전화번호로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기본 번호가 모드 설정되어 있는 기본번호 대기화면 상에서, 해당 기본번호로의 호착신이 있게 되면 기본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2)이 화면 표시되고,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통화키 버튼 조작에 의해 실질적인 음성통화가 진행된다.
상기 기본 번호를 통한 상대방 발신측과의 음성 통화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해당 기본 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기본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6)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부(30) 조작에 의한 통화 종료 처리에 의해 기본번호 대기화면으로 복귀하고 나서 문자 메시지의 확인 메뉴 실행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해당 기본 번호에 대해 할당된 문자 메시지 수신함에 보관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목록을 보여주게 되고, 그 수신 목록 중에서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2) 상에 확인 표시해 주게 된다.
한편, 추가번호 설정 모드가 모드 설정되고 그 추가번호를 통한 상대방과의 음성통화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해당 추가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기본 번호가 모드 설정되어 있는 기본번호 대기화면 상에서 해당 기본번호로의 호착신이 있게 되면, 기본번호 전화수신시 표시아이콘(52)이 화면 표시되고,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통화키 버튼 조작에 의해 실질적인 음성통화가 진행된다.
상기 기본 번호를 통한 상대방 발신측과의 음성 통화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추가 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추가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8)이 화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추가 번 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부(30) 조작에 의한 통화 종료 처리에 의해 기본번호 대기화면으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의 기본번호 대기화면 상에는 신규 메시지의 수신 표시와 함께 추가번호 문자수신시 표시아이콘(58)의 표시가 유지되지만,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는 표시하지 않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전환을 위해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번호 전화키를 키입력하여 추가번호 설정 모드로부터 기본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전환을 수행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추가번호 전환 표시아이콘(50)이 표시됨과 더불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표시해주게 된다.
사용자의 키입력부(30) 조작에 의해 문자 메시지의 확인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 상에는 해당 추가 번호에 대해 할당된 문자 메시지 수신함에 보관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목록을 보여주게 되고, 그 수신 목록 중에서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2) 상에 확인 표시해 주게 된다.
한편, 추가번호 설정 모드 하에서 추가 번호를 통한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기본 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키입력 조작에 의해 통화를 종료하고 기본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져야만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투폰 서비스 기능의 초기 설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투폰 서비스 기능에서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모드로부터 다른 전화번호 설정모드로 모드 전환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투폰 서비스 기능의 기본 번호 설정모드와 추가 번호 설정모드 하에서의 각각의 표시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본번호 대기화면 상태에서 해당 기본번호로 전화가 착신되거나, 추가 번호로 전화가 착신되는 경우의 기능 동작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번호 대기화면 상태에서 해당 추가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기본 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기능 동작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본번호로 전화통화가 진행되는 상태에서 해당 기본 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추가 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기능 동작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이동통신 단말기, 14,16:이동통신 기지국,
18,20:기지국 제어기, 22,24:이동통신 교환기,
26:홈위치 등록기, 30:키입력부,
32:디스플레이부, 34:프로그램 저장부,
36:데이터 저장부, 38:마이크로 프로세서,
40:데이터 처리부, 42:통신신호 처리부,
44:마이크로폰, 46:스피커.

Claims (17)

  1.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설정 모드를 모드 전환하는 제2단계; 및
    사용자의 통화 연결 조작에 따라 상대방 발신측과 전화 통화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를 복귀하여 부재중 전화 처리를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가 추가 번호의 설정 모드이면, 추가번호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에 따라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화면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자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모드로 모드 복귀함에 따라 부재중 전화로 처리되는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가 미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부재중 전화로 처리된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가 화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설정 모드의 전환은, 모드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 또는 모드 전환용으로 지정된 번호전환 키입력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6.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문자메시지 확인 메뉴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가 추가 번호의 설정 모드이면, 추가번호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로의 설정 모드에 따라 상대 방 발신측 전화번호가 미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설정 모드의 전환은, 모드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 또는 모드 전환용으로 지정된 번호전환 키입력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가 모드 설정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통해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전화 통화가 종료되고 나서 사용자에 의해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문자메시지 확인 메뉴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
  11.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제1기능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설정 모드를 모드 전환하는 제2기능; 및
    사용자의 통화 연결 조작에 따라 상대방 발신측과 전화 통화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를 복귀하여 부재중 전화 처리를 하는 제3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가 추가 번호의 설정 모드이면, 추가번호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능에서,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호착신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 을 화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되면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를 화면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14.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의 복수의 전화번호가 할당된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번호 및 추가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모드로 모드 설정하는 제1기능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 상태를 현재 설정 모드와 구분적으로 화면 표시하는 제2기능; 및
    사용자에 의해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문자메시지 확인 메뉴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가 추가 번호의 설정 모드이면, 추가번호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능은,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로의 설정 모드에 따라 상대방 발신측 전화번호가 미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 설정 모드가 모드 설정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통해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 다른 전화번호를 통한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을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기능은, 상기 전화 통화가 종료되고 나서 사용자에 의해 다른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문자메시지 확인 메뉴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전화번호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폰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81407A 2007-08-13 2007-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Withdrawn KR20090017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407A KR20090017010A (ko) 2007-08-13 2007-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407A KR20090017010A (ko) 2007-08-13 2007-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010A true KR20090017010A (ko) 2009-02-18

Family

ID=4068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407A Withdrawn KR20090017010A (ko) 2007-08-13 2007-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0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722A3 (en) * 2009-09-22 2011-07-21 Microsoft Corporation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20160086176A (ko)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케이티 소프트웨어 유심을 이용한 투폰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722A3 (en) * 2009-09-22 2011-07-21 Microsoft Corporation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8843116B2 (en) 2009-09-22 2014-09-23 Microsoft Corporation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9860686B2 (en) 2009-09-22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10206057B2 (en) 2009-09-22 2019-0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20160086176A (ko)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케이티 소프트웨어 유심을 이용한 투폰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8656B2 (en) Multi-mode terminal device
CN101288291A (zh) 无需讲话就响应语音连接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终端设备
WO2007091261A1 (en) Non-linear voicemail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56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JP201027307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20090098027A (ko)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0473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CN102546951A (zh) 一种来电处理方法及终端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20060096214A (ko) 사용자별 통신내역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내역 제공방법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0407350B1 (ko)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0836258B1 (ko)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1084119B1 (ko)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답장 발송방법
KR100613979B1 (ko)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044595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메시지확인방법
KR100753935B1 (ko)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655967B1 (ko) 자동 발신번호 전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KR1008389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착신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