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350B1 -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350B1
KR100407350B1 KR10-2001-0012474A KR20010012474A KR100407350B1 KR 100407350 B1 KR100407350 B1 KR 100407350B1 KR 20010012474 A KR20010012474 A KR 20010012474A KR 100407350 B1 KR100407350 B1 KR 10040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terminal
subscriber
notification messages
situation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470A (ko
Inventor
홍성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3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350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피호출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호출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알려주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사서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말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 가입자가 교환시스템으로 상황 등록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 등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시스템이 다수의 상황들중에서 해당하는 상황을 상기 단말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상황들중에서 어느 한 상황을 선택할 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선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음성사서함에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가입자가 호출될 시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호출측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NNOUNCING THE STATE OF ABSENCE FOR MOBILE SUBSCRIB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호출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호출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알려주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형적으로는 가입자들간의 음성 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는 형태이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 및 단말기 제조업체는 이러한 전형적인 음성 통화 기능 뿐만 아니라 가입자들이 통화중에 각종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 가입자가 회의에 참석하거나 영화를 관람하는 등과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또는 부재중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가 소위 "*88 통화(또는 SEND)"키를 눌어 음성 메시지 센터(또는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여 자신이 부재중 상황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게 되면, 이후에 자신이 호출될 시 호출측으로 상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송출되어 호출측 가입자는 어떠한 이유 때문에 피호출측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부재중 상황인지를 알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재중 상황의 통보 기능을 위해서는 부재중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가입자는 음성 메시지 센터에 전화를 걸어서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부재중 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가입자가 보다 편리하게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부재중 상황을 호출측 가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매번 부재중 상황을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등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Aspect)에 따르면,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사서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말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 가입자가 교환시스템으로 상황 등록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 등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시스템이 다수의 상황들중에서 해당하는 상황을 상기 단말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상황들중에서 어느 한 상황을 선택할 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선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음성사서함에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가입자가 호출될 시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호출측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사서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말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교환시스템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음성사서함에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가입자가 호출될 시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호출측으로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 가입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이거나,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단말의 메뉴상에서 선택함으로써 입력되는 정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상황 알림 동작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상황 알림 동작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상황 알림 동작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시스템은 피호출측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인 부재중 상황을 나타내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가 음성 사서함에 보다 편리하게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가 호출될 시 호출측 가입자에게 상기 등록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호출측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을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은 이동 교환시스템 10과, 음성사서함 12와, A 단말 14와, B 단말 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A단말 14는 피호출측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피호출측 가입자는 이 단말14를 통해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으로 자신의 부재중 상황을 등록하게 된다. 상기 A단말 14에 의한 부재중 상황 등록은 후술되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3가지의 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재중 상황 등록의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가 부재중 상황 등록을 요구하고 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이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시 이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어느 상황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거나(도 3 참조),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 12에 저장된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수행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B단말 16은 호출측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호출측 가입자가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를 호출할 시 상기 음성사서함 12에 설정되어 있는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으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음성사서함시스템(VMS: Voice Mailing System) 12는 다수의 상황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상황알림 메시지들중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에 의해 선택되는 메시지를 상기 피호출측 가입자에 대응시켜 설정한다.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은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부재중 가입자의 상황을 등록하는 동작과 등록된 부재중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호출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A단말 14로부터 부재중 상황 등록 요구가 있을 시,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은 다수의 상황중에서 해당하는 상황을 상기 A단말 14의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상황들중에서 어느 한 상황을 선택할 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선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 12에 설정한다. 다른 예로, 상기 A단말 14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황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입력될 시,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은 상기 입력된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 12에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B단말 16이 상기 A단말 14를 호출할 시, 상기 이동 교환시스템 10은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 12에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B단말 16으로 송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 1의 A단말 14인 경우에는 부재중 상황 등록 동작을 수행하고, B단말 16인 경우에는 부재중 상황에 있는 A단말 14를 호출하는 동작과 음성사서함 시스템 12에 설정되어 있는 상황알림 메시지를 제공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 105와,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송수신기 110과, 마이크로폰(Micro-phone) 115와, 송신(TX) 처리기 120과, 수신(RX) 처리기 125와, 스피커 130과, 키입력부 135와, 제어부 140과, 표시부 145 및 메모리 150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105는 송신을 위한 RF 신호를 공기중으로 방사하고, 공기중에 방사된 RF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 송수신기 110은 상기 TX 처리기 120에 의해 송신 처리된 신호를 송신하기에 적합한 RF 신호로 대역 변환한 후 상기 안테나 105로 인가한다. 상기 TX 처리기 120은 상기 마이크로 폰 11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상기 제어부 14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송신 처리한다. 여기서 송신 처리란 기저 대역 신호에 대해 변조, 주파수 상승 변환 등을 행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 마이크로폰 115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수신 처리기 125는 상기 RF 송수신기 110에 의해 수신 처리된 신호를 입력하여 주파수 하강 변환, 복조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상기 수신 처리기 125에 의해 처리된 신호중 음성 신호는 상기 스피커 130으로 인가되고,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부 140으로 인가된다. 상기 스피커 130은 상기 수신 처리기 125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상기 입력부 135 및 상기 표시부 145는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입력부 135는 통화 및 통화와 관련된 각종 기능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를 위한 다이얼링 키들 및 통화와 관련된 각종 기능들을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시 상기 입력부 135를 통해서 가입자는 부재중 상황 등록을 요구하거나, 상기 음성사서함시스템 12에 저장된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요구를 입력한다.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는 가입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일 수 있고, 단말기의 메뉴상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45는 통화 상태 및 통화와 관련된 각종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시 상기 표시부 145에는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Menu)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50은 롬(ROM: Read Only Memory)과,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상기 롬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데이터 및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처리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 14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상황 등록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 140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보다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상황 알림 동작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단말과 교환시스템(또는 기지국) 사이에 미리 약속된 단축키(예: "*??")를 가입자가 누르는 경우, 상기 교환시스템은 단말이 부재중 상황 알림 등록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가입자가 다수의 부재중 상황중 어느 한 상황을 선택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상황을 설정하는 것에 해당한다. 즉 이 실시예는 가입자가 미리 약속된 단축키를 누르는 경우 상기 교환시스템이 소위 부재중 상황 알림 모드로 돌입한 후 가입자에게 부재중 상황을 등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A단말 14로부터 상황 알림 요구를 나타내는 단축키 "*??"가 눌리어지는 경우, 302단계에서 교환시스템 10은 다수의 상황들중에서 해당하는 상황을 상기 A단말 14의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를 상기 A단말 14로 송신한다. 상기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303단계에서 상기 A단말 14의 가입자가 상기 상황들중에서 어느 한 상황을 선택하게 되면, 304단계에서 상기 교환시스템 10은 음성사서함 시스템 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선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305단계에서 B단말 16의 가입자가 상기 A단말 14를 호출하면, 306단계에서 상기 교환시스템 10은 상기 304단계에서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 12에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상황 알림 동작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단말과 교환시스템(또는 기지국) 사이에 미리 약속된 단축키(예: "*??A abcd")를 가입자가 직접 눌러서 입력하는 경우,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단축키가 지시하는 부재중 상황 알림 메시지를 설정하는 것에 해당한다. 즉 이 실시예는 가입자가 단말기상에 미리 약속된 단축키를 누르는 경우 상기 교환시스템이 소위 부재중 상황 알림 모드로 돌입하여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을 등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가입자는 교환시스템과의 사이에 미리 약속된 부재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들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A단말 14의 가입자가 다수의 상황 알림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소위 "*??A abcd"의 단축키를 누르면, 402단계에서 교환시스템 10은 음성사서함 시스템 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단축키의 A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축키의 A는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ab는 해당 상황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cd는 해당 상황의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403단계에서 B단말 16의 가입자가 상기 A단말 14를 호출하면, 404단계에서 상기 교환시스템 10은 상기 402단계에서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 12에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상황 알림 동작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단말기의 메뉴(Menu)상에 부재중 상황 알림 모드를 추가하고 가입자가 이 부재중 상황 알림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해당하는 상황을 선택하는 경우, 교환시스템이 상기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상황 알림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당한다. 즉, 이 실시예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부재중 상황을 단말기상에 메뉴 정보로서 구현한 상태에서 가입자가 해당하는 부재중 상황을 선택하여 교환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A단말 14의 가입자가 상기 A단말 14의 메뉴상에서 상황 알림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A단말 14의 표시부 145상에서는 502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502단계에서 표시되는 화면은 상황알림 모드의 하위 화면으로 다수의 부재중 상황들을 나타내는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화면으로부터 가입자가 해당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번호를 선택하면, 그 하위 화면으로서 503단계에서와 같이 부재중 상황의 시작 시간 및 종료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즉, 가입자가 상기 502단계 및 503단계에서 다수의 부재중 상황들중에서 해당하는 부재중 상황을 선택하고 그 부재중 상황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입력하게 되면, 이러한 입력으로부터 정해지는 상황알림 메시지 지시 정보가 504단계에서 교환시스템 10으로 송신된다. 상기 504단게에서 송신된 상황알림 메시지 지시 정보에 응답하여, 505단계에서 교환시스템 10은 음성사서함 시스템 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해당하는 상황 알림 메시지를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506단계에서 B단말 16의 가입자가 상기 A단말 14를 호출하면, 507단계에서 상기 교환시스템 10은 상기 505단계에서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 12에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단축키나 메뉴를이용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사전에 등록해 놓으면, 상기 가입자가 부재중이더라도 호출측 가입자는 해당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공받아 부재중 가입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사서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말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가입자가 교환시스템으로 상황 등록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 등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시스템이 다수의 상황들중에서 해당하는 상황을 상기 단말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상황들중에서 어느 한 상황을 선택할 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선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음성사서함에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가입자가 호출될 시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호출측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2.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사서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말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교환시스템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음성사서함에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가입자가 호출될 시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호출측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 가입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 가입자가 상기 단말의 메뉴상에서 선택함으로써 입력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5.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사서함과,
    상황 등록을 요구하는 단말과,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다수의 상황들중에서 해당하는 상황을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상황 선택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어느 한 상황이 선택될 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선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음성사서함에 설정하고, 상기 단말이 호출될 시 상기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호출측으로 송출하는 교환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말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시스템.
  6.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사서함과,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과,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의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음성사서함에 설정하고, 상기 단말이 호출될 시 상기 설정된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상기 호출측으로 송출하는 교환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단말 가입자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재중 상황 알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의 가입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재중 상황 알림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황 알림 메시지들중에서 어느 한 메시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의 메뉴상에서 상기 단말의 가입자가 선택함으로써 입력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시스템.
KR10-2001-0012474A 2001-03-10 2001-03-10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040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474A KR100407350B1 (ko) 2001-03-10 2001-03-10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474A KR100407350B1 (ko) 2001-03-10 2001-03-10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470A KR20020072470A (ko) 2002-09-16
KR100407350B1 true KR100407350B1 (ko) 2003-11-28

Family

ID=2769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474A KR100407350B1 (ko) 2001-03-10 2001-03-10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26B1 (ko) * 2002-08-09 200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단말기의 수신제한 상황 알림방법
KR100575716B1 (ko) * 2002-12-1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 연결신호 제공방법
KR100813171B1 (ko) * 2005-06-20 2008-03-17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470A (ko)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5240B2 (en) Method of notifying a caller of message confi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362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incoming emergency calls to a wireless phone
KR2002003267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100407350B1 (ko)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KR100450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US20050037785A1 (en) Method of handling a received telephone call
KR100286451B1 (ko)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KR2003006067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 전달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00346226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자동 문자 메시지 응답 방법
KR20010018704A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JP3399410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461041B1 (ko) 휴대폰에 있어서 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3197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KR100576004B1 (ko)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421958B1 (ko) 휴대폰의 사용자상태메시지 처리방법
KR20040044595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메시지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