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714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714B1
KR100319714B1 KR1020000008958A KR20000008958A KR100319714B1 KR 100319714 B1 KR100319714 B1 KR 100319714B1 KR 1020000008958 A KR1020000008958 A KR 1020000008958A KR 20000008958 A KR20000008958 A KR 20000008958A KR 100319714 B1 KR100319714 B1 KR 10031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ke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s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147A (ko
Inventor
조정우
Original Assignee
홍경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경
Priority to KR1020000008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7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vagina, i.e. vagin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함에 있어, 원터치 방식에 의한 키패드 조작을 통해 매우 간단하게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는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자동응답 키의 눌림을 인식하여,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셋팅하고, 동시에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을 기록하는 제 1 단계;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응답 키가 소정의 제 1 기준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눌렸음을 인식한 후, 자동응답 모드 상태에서 소정의 자동응답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메시지들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자동응답 메시지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지 않았으면,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이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Method for changing auto response message by one touch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패드 조작을 최소화하여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하기 위한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자동응답 전화기는 부재중 착신되는 호가 있는 경우, 소정 시간동안 응답이 없으면, 상대측으로 음성안내 메시지를 송출하여 필요한 음성 메시지를 남기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자동응답 전화기의 사용자는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와 음성 메시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게된다.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이동통신 단말기도, 수신자가 걸려온 전화를 일정 시간내에 받지 않으면, 송신자에게 자동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주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자동응답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가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 등을 송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현 상황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중 메뉴 키를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을 통해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게 되고(101), 이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중 자동응답 항목을 키패드를 통해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에 자동응답에 관한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102).
이때, 사용자가 디스프레이된 항목중 자동응답 메시지 설정 항목을 키패드를 통해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에 자동응답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103).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자동응답 메시지는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운전중이라 전화를 받을 수 없으니 잠시후 다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및 '회의중이오니 잠시후 전화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등에 관한 다수의 메지시들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자동응답 메시지들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시를 선택하면(104),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에 자동응답 메시지가 선택되었는지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 주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선택한 자동응답 메시지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105), 설정되지 않았으면, 메시지 선택 과정(104)으로 넘어간다.
만일, 확인 과정(105)에서 선택한 자동응답 메시지가 설정되었으면, 사용자는 키패드를 통해 메뉴 선택을 종료한 후(106), 전화가 걸려올 경우 선택한 자동응답 메시지가 송신자에게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키패드를 통해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한다(107).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하는 경우, 자동응답 설정을 위해 키패드를 여러번 조작하므로써, 자동응답 메시지를 설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로 인해 용무가 급한 사용자의 경우 미쳐 자신의 현상황에 적합한 자동응답 메시지를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함에 있어, 원터치 방식에 의한 키패드 조작을 통해 매우 간단하게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는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응답 키를 이용하여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을 인식하여,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셋팅하고, 동시에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을 기록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동응답 키가 소정의 제 1 기준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눌렸음을 인식한 후, 자동응답 모드 상태에서 소정의 자동응답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메시지들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자동응답 메시지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이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과정에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응답 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여(201), 눌렸으면,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셋팅(setting)하고, 동시에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을 체크(check)하여 저장한다(202). 여기서, 자동응답 키는 자동응답 변경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장착된 키이다.
만일, 판단 과정(201)에서 자동응답 키가 눌리지 않았으면, 현재 설정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유지하면서, 계속하여 자동응답 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한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자동응답 키의 눌림이 해제되었는가를 판단하여(203), 해제되었으면, 자동응답 키가 짧은 시간 동안 눌린 것으로 인식하고, 이와 동시에 눌림 플래그를 리셋(reset)시킨다(204). 여기서, 짧은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제 1 기준시간이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205),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모드를 무시하고 자동응답 변경을 종료한다.
하지만, 확인 과정(205)에서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동응답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액정화면에 저장된 자동응답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한 후(206),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동응답 메시지가 있는지를 확인하여(207), 없으면, 사용자가 하나의 자동응답 메시지를 선택할 때까지 자동응답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자동응답 메시지가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을 통해 선택한 자동응답 메시지가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208).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자동응답 메시지는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운전중이라 전화를 받을 수 없으니 잠시후 다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및 '회의중이오니 잠시후 전화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다수의 메지시들이 있다.
한편, 해제 판단 과정(203)에서, 눌림이 해제되지 않았으면, 현재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이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209), 초과하지 않았으면, 해제 판단 과정(203)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제 2 기준시간은 상기 제 1 기준시간보다 긴 시간으로서, 자동응답 키가 사용자에 의해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이다.
만일, 판단 과정(209)에서,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210), 설정되어 있으면, 자동응답 모드를 해제시키고, 이를 액정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211). 여기서,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고, 자동응답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액정화면을 통해 표시한다(212).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패드의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자동응답 변경에 따른 소요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둘째, 자동응답 변경이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급한 용무에 처하더라도 자신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자동응답 메시지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어, 주변 사람들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여 줄 수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응답 키를 이용하여 자동응답 메시지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을 인식하여,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셋팅하고, 동시에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을 기록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동응답 키가 소정의 제 1 기준시간보다 짧은 시간동안 눌렸음을 인식한 후, 자동응답 모드 상태에서 소정의 자동응답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메시지들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자동응답 메시지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이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이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이 해제되었으면, 상기 자동응답 키가 상기 소정의 제 1 기준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눌린 것으로 인식하여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모드를 설정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눌림 플래그를 리셋(reset)시키는 제 2-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2-3 단계;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이 해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3 단계로 넘어가는 제 2-4 단계;
    상기 제 2-3 단계에서 자동응답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모드를 무시하고 자동응답 변경을 종료하는 제 2-5 단계;
    상기 제 2-3 단계에서 자동응답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동응답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액정화면에 저장된 자동응답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6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한 자동응답 메시지들중 하나의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 2-7 단계;
    상기 제 2-7 단계에서 하나의 자동응답 메시지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2-6 단계로 넘어가는 제 2-8 단계; 및
    상기 제 2-7 단계에서 하나의 자동응답 메시지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을 통해 선택한 자동응답 메시지가 설정되었음을 표시하는 제 2-9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이 상기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3-1 단계;
    상기 제 3-1 단계에서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이 상기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 2 단계로 넘어가는 제 3-2 단계;
    상기 제 3-1 단계에서 상기 자동응답 키의 눌림 시간이 상기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을 초과하였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3-3 단계;
    상기 제 3-3 단계에서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동응답 모드를 해제시키고, 이를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제 3-4 단계; 및
    상기 제 3-3 단계에서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고, 이를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제 3-5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 2 기준시간은 상기 소정의 제 1 기준시간보다 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 변경 방법.
KR1020000008958A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KR10031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958A KR100319714B1 (ko)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958A KR100319714B1 (ko)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147A KR20010084147A (ko) 2001-09-06
KR100319714B1 true KR100319714B1 (ko) 2002-01-09

Family

ID=1964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958A KR100319714B1 (ko) 2000-02-24 2000-02-2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85B1 (ko) * 2001-09-08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호진행음 송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147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463B1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문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JP3017193B1 (ja) 通信端末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1003197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KR100350454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옵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90098027A (ko)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50037785A1 (en) Method of handling a received telephone call
KR200600003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 원격 제어 방법
KR100346226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자동 문자 메시지 응답 방법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407350B1 (ko)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3326A (ko) 수신자의 수신불가 메시지 전송방법
US20010016507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originator acknowledge function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JP2000069561A (ja) 無線通信端末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05039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예외적인 자동응답 방법
KR100461041B1 (ko) 휴대폰에 있어서 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879874B1 (ko) 휴대폰에서의 부재중 음성 및 문자 자동응답 방법
KR20030056869A (ko) 통화중 저장된 음성 전송 방법
KR20040093247A (ko) 자동응답메세지 선택 송출방법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KR19990084617A (ko)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