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68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680A
KR20060056680A KR1020040095854A KR20040095854A KR20060056680A KR 20060056680 A KR20060056680 A KR 20060056680A KR 1020040095854 A KR1020040095854 A KR 1020040095854A KR 20040095854 A KR20040095854 A KR 20040095854A KR 20060056680 A KR20060056680 A KR 2006005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ll
party
comm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167B1 (ko
Inventor
조운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방과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즉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메시지 작성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기 설정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설정시간 이내에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이 설정시간 이내에 입력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바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경우 보다 간편한 메시지 접근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상 효율성과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통화연결/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of calls not answer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통화 종료화면 및 메시지 작성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메시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핫키(Hot Key)를 포함한 키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통화 종료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통화 종료화면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즉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메시지 작성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원(Power)이 오프되어 있거나 착신이 있은 후 일정시간동안 전화를 받지 않을 경우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어 자동응답 메시지가 송출된 후 음성 메시지를 남기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신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르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간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 링크인 액세스(access)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발신 번호, 착신 번호, 전자 일련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 이하, 'ESN라 칭함)를 전송한다.
해당 기지국은 발신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낸 해당 번호 정보를 받아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를 통해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로 보낸다.
해당 교환기는 수신한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에 등록되어 있다는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에 전송한다. 이에, 기지국 제어기는 음성 통신을 위한 통화 채널을 할당하고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통화 채널을 할당한다.
또한, 통화 채널 할당과 동시에 교환기는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방문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 VLR)에게 확인하여 교환기로 해당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알려준다.
해당 교환기는 착신 가입자가 있는 지역을 담당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페이징 신호를 보낸다.
이때, 착신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호가 착신되면, 착신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해당 착신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일반 음성 통화를 하게 된다.
한편, 해당 착신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발신 가입자에게 음성사서함을 접속할 것인지를 요청하게 된다. 발신가입자가 음성사서함을 이용하기를 원하면 소정 시간 이후에 음성사서함에 접속하여, 해당 음성사서함에 메시지(예컨대, 음성메시지 또는 이동전화 호출)를 저장한 후, 착신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메시지 수신했다는 표시를 한다.
이처럼, 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를 남기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문자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을 경우 음성 사서함을 이용하는 것보다 통화모드를 종료하고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다.
착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음성 사서함의 음성 멘트가 나오면 단말기의 종료버튼을 눌러 통화 상태를 종료한다.
그러면, 단말기의 화면에 현재 통화 시간과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동안 디스플레이 되는데, 이때 종료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대기 상태(Stand-by Mode)로 전환된다.
이후, 단말기의 사용자는 대기 상태에서 메시지 기능을 관리하는 핫키(Hot Key)를 이용하여 '메시지 보내기' 기능에 접근한 후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다시 입력하고 메시지를 작성하여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통화버튼을 두 번 입력하고 단말기가 대기상태로 전환된 후에 다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최근 통화목록에서 전화번호를 찾아 메시지를 보내야만 했다.
즉,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통화 종료, 대기상태로의 전환, 메시지 기능으로의 접근 단계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메시지 전송 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자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메시지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시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자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메시지 작성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시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단 계;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기 설정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설정시간 이내에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이 설정시간 이내에 입력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단계는 메시지 기능으로 진입하기 위한 핫키(Hot Key)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메시지 기능의 실행여부를 묻는 옵션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옵션메뉴를 통해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메시지 기능으로의 이동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통화중에 전화가 끊기게 되면 즉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대방과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화가 끊기거나,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종료 버튼을 누르거나, 통화중에 전화가 끊기는 경우, 즉시 메시지 기능으로 전환되어 신속하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메시지 전송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연결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종래기술에 기술되어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통화중에 전화가 끊겨 통화모드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판단결과(S10),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카운트된 통화시간을 기 설정시간(통상, 2초)동안 디스플레이한다(S11).
이때, 상기 설정시간이내에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여기서, 상기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은 단말기의 키 패널에 구성되어 메시지 기능을 직접(Direct) 실행할 수 있는 핫키를 이용한다(도 3).
상기 판단결과(S12), 상기 설정시간이내에 메시지 기능 핫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시간 경과 후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단말기에 설정된 기본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3).
한편, 상기 판단결과(S12), 상기 설정시간이내에 메시지 기능 핫키가 입력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메시지' 작성환경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종료화면(도 2a)에 디스플레이 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된다(S14).
그리고, 사용자가 '확인'명령을 입력하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15, S16).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화면(도 2c)상에서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해당 수신번호로 전송한다(S17, S18).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통화종료화면(도 2a)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기능 핫키를 입력하면 대기모드로의 전환과 메시지 수신번호 재입력 단계를 거치지 않고 메시지 기능으로 바로 전환된다.
제 2 실시예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통화중에 전화가 끊겨 통화모드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판단결과(S20),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메시지 기능 실행여부를 묻는 옵션 메뉴(Option Menu)를 디스플레이한다(S21).
예를 들어, 상기 옵션 메뉴는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보내기로 이동하시겠습니까?'라는 질의 메시지와 함께 '예'와 '아니오' 코멘드를 포함한 사용자 메뉴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옵션 메뉴를 통해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상기 판단결과(S22), 사용자가 옵션 메뉴상에서 '아니오' 코멘드를 입력하면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기본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3).
한편, 상기 판단결과(S22) 사용자가 옵션 메뉴상에서 '예' 코멘드 즉,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기능으로 전환되면 통화종료화면(도 5)에 디스플레이 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된다(도 2b)(S24).
그리고, 사용자가 '확인'명령을 입력하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화면(도 2c)이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텍스트 입력화면상에서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해당 수신번호로 전송한다(S25~S28).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통화종료화면(도 5)상에서 메시지 기능의 실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메시지 기능에 접근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통화중에 전화가 끊겨 통화모드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결과(S30),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 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메시지 기능으로의 이동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면,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메시지 기능으로 이동하겠습니다.")를 디스플레이 한다(S31).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통화종료화면(도 7)에 디스플레이 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도 2b)(S32).
그리고, 사용자가 '확인'명령을 입력하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화면(도 2c)이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텍스트 입력화면상에서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해당 수신번호로 전송한다(S33~S36).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즉시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메시지 기능으로의 전환기능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전에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해서만 메시지 기능으로의 자동 전환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의 효과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메시지 기능을 실행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둘째,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바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경우 보다 간편한 메시지 접근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상 효율성과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기 설정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설정시간 이내에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이 설정시간 이내에 입력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단계는 메시지 기능으로 진입하기 위한 핫키(Hot Key)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3.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메시지 기능의 실행여부를 묻는 옵션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옵션메뉴를 통해 메시지 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면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4.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메시지 기능으로의 이동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메시지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시지의 수신번호로 자동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40095854A 2004-11-22 2004-11-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2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854A KR100628167B1 (ko) 2004-11-22 2004-11-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854A KR100628167B1 (ko) 2004-11-22 2004-11-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680A true KR20060056680A (ko) 2006-05-25
KR100628167B1 KR100628167B1 (ko) 2006-09-26

Family

ID=3715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854A KR100628167B1 (ko) 2004-11-22 2004-11-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16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25B1 (ko) * 2006-04-20 2007-06-13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상대방번호자동입력방법
KR20100138206A (ko) * 2009-06-24 201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05940B1 (ko) * 2007-10-0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송신 방법
KR20210106715A (ko) *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301534B2 (en) 2017-06-07 2022-04-12 Hyperconnect Inc. Mediating method and device
US11457077B2 (en) 2019-09-09 2022-09-27 Hyperconnect Inc. Server of mediat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mediating method thereof
US11501564B2 (en) 2019-12-16 2022-11-15 Hyperconnect Inc. Medi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550860B2 (en) 2016-06-03 2023-01-10 Hyperconnect LLC Matchmaking video chatting partners
US11606397B2 (en) 2018-03-07 2023-03-14 Hyperconnect Inc.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25B1 (ko) * 2006-04-20 2007-06-13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상대방번호자동입력방법
KR101405940B1 (ko) * 2007-10-0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송신 방법
KR20100138206A (ko) * 2009-06-24 201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50860B2 (en) 2016-06-03 2023-01-10 Hyperconnect LLC Matchmaking video chatting partners
US11301534B2 (en) 2017-06-07 2022-04-12 Hyperconnect Inc. Mediating method and device
US11947612B2 (en) 2017-06-07 2024-04-02 Hyperconnect Inc. Mediating method and device
US11606397B2 (en) 2018-03-07 2023-03-14 Hyperconnect Inc.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457077B2 (en) 2019-09-09 2022-09-27 Hyperconnect Inc. Server of mediat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mediating method thereof
US11501564B2 (en) 2019-12-16 2022-11-15 Hyperconnect Inc. Medi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210106715A (ko) *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570402B2 (en) 2020-02-21 2023-01-31 Hyperconnect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167B1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36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628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JP4191016B2 (ja) 電話端末の通話モード切替方式
KR100564984B1 (ko) 통신장치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KR20090098027A (ko)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640473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100713338B1 (ko) 다자간 통신을 서비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제통화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26518B1 (ko) 이동 가입자 상태 안내 서비스 방법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3022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있어서발신자의대기시간을최소화하는방법
KR2001007593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중지안내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97469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연속 통화 방법
KR100693271B1 (ko) 수신대기버튼을 이용한 수신대기 서비스 방법
KR100548374B1 (ko) 이동 단말기의 디테치 방법
KR100588309B1 (ko)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밍 알림 방법
KR100728433B1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방법
US2007005466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63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20010019273A (ko) 휴대폰에서 예약통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