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206A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8206A KR20100138206A KR1020090056629A KR20090056629A KR20100138206A KR 20100138206 A KR20100138206 A KR 20100138206A KR 1020090056629 A KR1020090056629 A KR 1020090056629A KR 20090056629 A KR20090056629 A KR 20090056629A KR 20100138206 A KR20100138206 A KR 201001382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selected terminal
- operation mode
- terminal
- mo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통화 발신중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모드 전환키를 마련하고,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상태에서 모드 전환키가 동작하면, 통화 연결의 요청을 중단하고,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발신상태에서 모드 전환키의 동작에 따라 바로 통화를 요청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통화, 발신,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와 발신중인 상태에서 바로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일정 시간동안 상대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어 발신상태가 지속되면, 음성 사서함 모드로 전환되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는 음성 사서함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싶은 경우, 통화 종료버튼을 눌려통화 연결의 요청을 중단하고 문자 전송 모드로 진입한 후, 다시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문자를 전송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 발신중인 상태에서 곧바로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선택된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통화 발신중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모드 전환키,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고, 상기 모드 전환키의 동작시, 상기 통화의 요청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선택된 단 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 메뉴에서 진입 선택시, 상기 통화의 연결을 중단하고 상기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일정시간 동안 상기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에서 진입이 선택된 경우, 상기 통화의 연결을 중단하고 상기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발신중인 상태에서 모드 설정키를 동작시켜 곧바로 통화를 요청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통화가 일정시간 동안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도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통화 발신중인 상태에서 조작 횟수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음성통화나 화상통화 등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200).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통화 발신중 상태가 된다.
통화 연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S205), 제어부(180)는 통화의 종료가 선택시까지 통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25, S230).
그러나, 통화 발신중 상태에서, 통화 발신중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기능이 설정된 모드 전환키가 동작하는 경우(S210),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의 요청을 중단한다(S215).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의 중단 후,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곧바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220). 이때,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의 예로는, 발신번호, 즉 선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드나, 선택된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부에 링크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전송하는 모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동작 모드 중에서 모드 전환키 동작시 진입하는 동작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그 메뉴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동작 환경에 따라서는,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그 메뉴에서 진입이 선택된 경우에만 관련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모드 전환키의 동작시 통화가 요청되었던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바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음성통화나 화상통화 등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300).
통화 연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S305), 제어부(180)는 통화의 종료가 선택시까지 통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35, S340).
그러나, 통화가 연결되지 않고 통화 발신 상태가 설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지속되는 경우(S305, S310), 제어부(180)는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팝업창 형태 등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15).
이때,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의 예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드나, 선택된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부에 링크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전송하는 모드 등이 있다.
또한, 설정시간은 대략 1분 20초 내지 1분 30초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설정시간은 사용자의 의해 조정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설정 상태에 따라서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미리 설정된 관련 동작 모드로 곧바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선택 메뉴에서 진입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의 요청을 중단하고(S325).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곧바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33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설정시간 동안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도, 선택 여부에 따라 통화가 요청되었던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의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통화를 요청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 걸기 화면(400)에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아이콘(405)을 터치하면,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가 요청된다. 이와 같이 통화가 요청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발신중임을 나타내는 화면(420)이 표시된다.
통화의 요청은 전화번호의 입력외에 단축번호나 전화번호부에서 검색된 이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통화 발신중인 상태에서 모드 전환키가 동작하거나, 통화 발신중인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메시지 전송 모드로 진입하여 메시지 전송 화면(440)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메시지 전송 화면(440)에서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 항목(450)에는 통화가 요청되었던 발신번호가 입력된 상태로 된다.
도 7은 통화 발신중인 상태에서 모드 전환키가 동작하거나, 통화 발신중인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이메일 전송 모드로 진입하여 이메일 전송 화면(460)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이메일 전송 화면(460)에서 이메일 주소가 입력되는 항목(470)에는 통화가 요청되었던 발신번호와 링크된 이메일 주소가 입력된 상태가 된다. 즉, 통화가 요청되었던 발신번호가 저장된 전화번호부 목록에 이메일 주소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이메일 주소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통화 발신중인 상태에서 관련 동작 모드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 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6)
- 선택된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통화 발신중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모드 전환키; 및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모드 전환키의 동작시, 상기 통화 연결의 요청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일정시간 동안 상기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상기 메뉴에서 진입이 선택된 경우, 상기 통화의 연결을 중단하고 상기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관련된 동작 모드는, 상기 선택된 단말기를 수신자로 하는 메시지 전송 모드, 및 상기 선택된 단말기에 링크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전송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메뉴는, 팝업창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일정시간은,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 선택된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상기 선택된 단말기와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 메뉴에서 진입 선택시, 상기 통화의 연결을 중단하고 상기 관련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6629A KR101582234B1 (ko) | 2009-06-24 | 2009-06-24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6629A KR101582234B1 (ko) | 2009-06-24 | 2009-06-24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8206A true KR20100138206A (ko) | 2010-12-31 |
KR101582234B1 KR101582234B1 (ko) | 2016-01-04 |
Family
ID=4351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6629A KR101582234B1 (ko) | 2009-06-24 | 2009-06-24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223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6362A (ko) * | 2003-02-25 | 2004-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
KR20060056680A (ko) * | 2004-11-22 | 2006-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
KR20070055692A (ko) * | 2005-11-28 | 2007-05-31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대별 수신모드 전환방법 |
KR100830677B1 (ko) * | 2006-10-31 | 2008-05-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화상 전화상의 멀티태스킹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09
- 2009-06-24 KR KR1020090056629A patent/KR1015822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6362A (ko) * | 2003-02-25 | 2004-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
KR20060056680A (ko) * | 2004-11-22 | 2006-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
KR20070055692A (ko) * | 2005-11-28 | 2007-05-31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대별 수신모드 전환방법 |
KR100830677B1 (ko) * | 2006-10-31 | 2008-05-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화상 전화상의 멀티태스킹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2234B1 (ko) | 2016-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13315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tagging different NFC tags | |
KR10167494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037024A (ko) | 이동 단말기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 |
KR20130005174A (ko) |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84791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
CN103581426A (zh) | 用于在电子装置中发起呼叫的方法和设备 | |
KR10169183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웹 사이트를 통한 정보 공개 제어 방법 | |
KR10197708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3890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제어 방법 | |
KR101562272B1 (ko) | 오디오 출력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090076648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82234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13607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20012552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 호 제어 방법 | |
KR20110139791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신저 제공방법 | |
KR10189998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176161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6770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141844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95866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27494B1 (ko) | 통화 중 대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10061150A (ko) | 단말의 외부 기기 연동 방법 | |
KR2011000261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83384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2014006225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