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613B1 -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613B1
KR100498613B1 KR10-2003-0015860A KR20030015860A KR100498613B1 KR 100498613 B1 KR100498613 B1 KR 100498613B1 KR 20030015860 A KR20030015860 A KR 20030015860A KR 100498613 B1 KR100498613 B1 KR 10049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message
message
exchang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526A (ko
Inventor
안병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1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6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에서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은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의해 관리되는 발신 단말에서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호 접속 요청 신호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입력되는 단발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하는 단계-여기서, 버퍼링은 상기 교환기와의 채널 설정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상기 단발성 메시지는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와,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하는 단계와, 버퍼링 수행 중인 단발성 메시지 또는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FIFO) 방식으로 교환기측에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단발성 메시지는 통화로의 종료와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전송됨-와,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그 판단 결과,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으면, 채널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 SHOT MESSAG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에서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기능 고성능의 이동 통신 단말의 폭넓은 보급과 함께,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통신 서비스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부가 통신 서비스 중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음성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VMS) 또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Voice Message Service; V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등이 있다.
그 가운데 음성 메시지 서비스(VMS)는 예를 들어 PCS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통화 중, 전원 OFF, 통화권 이탈 지역에 있는 경우 등-일 때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메시지 대기 통보(Message Waiting Notification; MWN)를 통해 VMS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가 있음을 즉시 통보함으로써 녹음된 발신자의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서비스이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VMS)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는 발신 가입자(1)가 착신 가입자(2)를 호출하였을 때(①), 착신 가입자(2)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면, 발신 가입자(1)는 공중 통신망(3)에 결합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서버(4)에 소정 메시지를 입력 저장하고(②), 저장된 메시지 정보에 대하여 음성 메시지 서비스 서버(4)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5)를 통하여 착신 가입자(2)에게 즉시 통보하며(③), 착신 가입자(2)는 공중 통신망(3)을 통하여 음성 메시지 서비스 서버(4)에 저장된 발신 가입자의 음성 내용을 확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는 음성/팩스 사서함 서비스, 과금 안내 또는 연체 통보 등을 위한 정보 검색 서비스, 변경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콜 백(Call Back) 번호 서비스, 음성 다이얼 서비스(Voice Activated Dialing; VAD) 등의 주요서비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환기(MSC; 6)에서 이동 통신 지능망(Wireless Intelligent Network; 이하 WIN이라 한다)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을 위한 호 발생이 있거나, WIN 서비스 가입자로의 호 착신이 있는 경우에, 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환기(6)는 서비스 제어점(Service Control Point; 이하 SCP라 한다)(7)으로 착신 정보 요구 신호(ANLYZD) 또는 전환 정보 요구 신호(TBusy/TNoAnswer)를 전송한다(S10~S12). 여기서, 착신 정보 요구 신호(ANLYZD)는 WIN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을 위한 호 발생이 있을 경우에 착신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신호이다. 전환 정보 요구 신호(TBusy)는 호 착신 시도 중에 WIN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해당 호를 착신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리고 전환 정보 요구 신호(TNoAnswer)는 호 착신 시도 중에 WIN 서비스 가입자가 무응답이면 해당 호를 착신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 다음에 교환기(6)로부터 착신 정보 요구 신호(ANLYZD) 또는 전환 정보 요구 신호(TBusy/TNoAnswer)를 전송받은 SCP(7)는 해당 WIN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 및 등록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WIN 서비스 가입자로의 호를 허용/전환/차단할 것인 지를 판단한다(S14). 그 판단 결과, 해당 WIN 서비스 가입자로의 호를 허용/전환/차단할 경우에는 교환기(6)의 요구에 따라 해당 WIN 서비스 가입자로의 호를 허용/전환/차단한다는 응답 메시지를 교환기(6)로 전송한다(S16). 그리고 해당 WIN 서비스 가입자로의 호를 허용/전환/차단하지 않을 경우, SCP(7)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VMS)로 전환할 것인 지를 판단한다(S18).
위의 단계(S18)의 판단 결과, VMS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타 지능망 서비스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S20). 그리고 VMS로 전환할 경우에는 착신 WIN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이라 한다)를 이용하여 해당 WIN 서비스 가입자의 VMS 정보를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한다)(8)로 WIN 서비스 가입자의 VMS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요구한다(S22).
그리고 SCP(7)로부터 VMS 접속 정보를 요구받은 HLR(8)은 관리하고 있는 VMS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VMS가 접속된 교환기(9)로 VMS 접속 정보를 요구한다(S24). HLR(8)로부터 VMS 접속 정보를 요구받은 교환기(9)는 HLR(8)로 VMS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S26). 그러면 HLR(8)은 교환기(9)로부터 전송받은 VMS 접속 정보를 SCP(3)로 전송한다(S28). HLR(8)로부터 VMS 접속 정보를 전송받은 SCP(7)는 교환기(6)로 VMS로의 전환 정보를 전송한다(S30). 그 다음에 교환기(6)는 SCP(7)로부터 전달받은 VMS 접속 정보에 의거하여 WIN 서비스 가입자로 착신되는 호를 해당 VMS로 착신 전환하게 된다(S32).
이와 같이, 종래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부가 통신 서비스는 유선 및 무선 공중 통신망에 접속된 각종 부가 통신 서비스 서버 장치와 부가 통신 서비스 제어 장치와 교환기 및 홈 위치 등록기 등의 망 요소간의 빈번한 정보 전달을 요구한다. 따라서 종래의 부가 통신 서비스는 망 요소간의 정보 전달시 망 부하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의 하나로서, 망 요소간의 추가적인 정보 전달이 요구되지 않으며, 망 부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 전화를 시도하거나 단발성 메시지를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는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메시지를 전송하고 싶을 때, 이동 통신 단말의 채널 설정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메시지 전송을 시작할 수 있는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의해 관리되는 발신 단말에서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적어도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식별자 및 수신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입력되는 단발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하는 단계-여기서, 버퍼링은 상기 교환기와의 채널 설정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상기 단발성 메시지는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상기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퍼링 수행 중인 단발성 메시지 또는 상기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FIFO) 방식으로 상기 교환기측에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단발성 메시지는 통화로의 종료와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전송됨-,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채널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발성 메시지 모드는 예약 전송 모드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교환기측으로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수단,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적어도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식별자 및 수신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수단, 입력되는 단발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하는 수단-여기서, 버퍼링은 상기 교환기와의 채널 설정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상기 단발성 메시지는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상기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하는 수단, 상기 버퍼링 수행 중인 단발성 메시지 또는 상기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FIFO) 방식으로 상기 교환기측에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단발성 메시지는 통화로의 종료와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전송됨-,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채널 설정을 해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의해 관리되고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고,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적어도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식별자 및 수신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입력되는 단발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하고-여기서, 버퍼링은 상기 교환기와의 채널 설정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상기 단발성 메시지는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상기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하고, 상기 버퍼링 수행 중인 단발성 메시지 또는 상기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FIFO) 방식으로 상기 교환기측에 전송하고-여기서, 단발성 메시지는 통화로의 종료와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전송됨-,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채널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10)는 먼저 이동 통신 단말(20)을 개방하고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누른 다음, 통화 버튼을 눌러 발호(Origination)를 시도한다. 이때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20)에 채널이 설정될 때까지 수 초간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10)가 발호를 시도한 다음 곧바로 전송할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20)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 장치(20)는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측으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다음, 곧바로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입력을 허용한다. 그러면 이동 통신 단말(20)은 사용자(10)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동안, 그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20) 내에 탑재된 버퍼(Buffer) 또는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기록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20)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는 도중이나 메시지의 입력이 종료된 후에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로부터 전송된 채널 설정 신호를 인식한다. 그러면, 이동 통신 단말(20)은 버퍼링하고 있는 단발성 메시지나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를 통해 착신 단말측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단발성 메시지 전송 중에 사용자는 이미 단발성 메시지의 입력을 끝내고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을 종료한 상태-통화로 종료 상태-가 된다. 여기서, 통화로 종료 상태는 호 설정 상태에서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를 모두 입력한 다음 발신 단말을 대기 상태로 전환한 것을 말한다.
또한 사용자가 단발성 메시지의 입력을 완료한 상태에서 채널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10)는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단발성 메시지의 입력을 종료한 상태 즉 이동 통신 단말(20)의 사용을 종료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이동 통신 단말(20)은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 채널 설정을 해제한다. 여기서, 채널 설정 해제는 호 설정 상태에서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20)이 통화로를 해제한 상태에서도, 설정된 채널로 단발성 메지시가 이동 통신망 또는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로 모두 전송되고, 그 다음에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20)이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로부터 채널 설정 해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20)은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확인음을 발생시켜 사용자(10)에게 단발성 메시지가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 즉 발신 단말 장치(20)는 통화로의 설정에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단발성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의 교환기나 중계 시스템 또는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발신 단말(100)은 발신 단말 사용자(200)로부터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수신한다(S301). 사용자(200)로부터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받은 발신 단말(100)은 현재의 모드를 단말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한다(S302).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사용자(200)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때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발신 단말(10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사용자(200)로부터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다(S303).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호 접속 요청 신호는 기본저으로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식별자와 수신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신 단말(100)은 생성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망(300)의 교환기로 전송한다(S304).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단발성 메시지를 제공받는다(S305). 단발성 메시지는 사용자(200)로부터 직접 입력된 음성 메시지나 발신 단말(100) 내에 저장된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메시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내부에 탑재된 버퍼(Buffer)나 메모리를 통해 단발성 메시지의 입력 신호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한다(S306). 그리고 버퍼링 도중이거나 버퍼링 완료된 상태 또는 사용자(200)가 단말성 메시지 모드를 종료하거나 통화로를 종료한 상태에서 이동 통신망(300) 내의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한다(S307, 308).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버퍼링 도중이거나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이동 통신망(300)의 교환기측으로 전송한다(S309). 여기서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은 통화로 설정에 상관없이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와 설정된 채널을 통해 수행된다. 그리고 도 4에서 참조부호 S301은 발신 단말(100)에서 버퍼링되고 이동 통신망(300)의 교환기나 착신 단말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전송된 사용자(200)의 단발성 메시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12). 그 판단 결과,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으면, 채널 설정을 해제한다(S313). 여기서 채널 설정의 해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발성 메시지가 통화로의 설정과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모두 전송된 다음, 발신 단말(100)이 이동 통신망(300)의 교환기로부터 채널 설정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발신 단말(100)은 비프(beep) 등을 효과음을 통해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200)에게 알린다(S314). 그리고 버퍼에 기록되는 단발성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300)측으로 전송 완료된 후에 적절히 저장 또는 폐기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발신 단말(100)은 발신 단말의 사용자(200)에 의한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를 받는다(S501). 단발성 모드 전환 신호를 받은 발신 단말(100)은 현재의 모드를 단말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한다(S502).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단발성 메시지를 예약 전송할 것인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신 단말(100)의 표시 화면에 단발선 메시지 서비스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200)가 예약 전송을 선택하면(S503), 발신 단말(100)은 단발성 메시지의 예약 전송인 지를 판단한다(S504). 그리고 예약 전송이면, 발신 단말(100) 내의 타이머(Timer)를 동작시킨다(S505).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선택 방식 또는 입력 방식으로 제공받는다(S506). 그리고 발신 단말(100)은 사용자(200)로부터 단발성 메시지를 제공받는다(S507). 사용자(200)로부터 입력된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단발성 메시지는 버퍼(Buffer) 또는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다(S508). 그리고 사용자(200)는 단발성 메시지 모드를 일반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전환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200)는 발신 단말의 사용을 중지 또는 종료한다(S509).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예를 들어 사용자(200)가 발신 단말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발성 메시지의 예약 전송 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10). 그리고 예약 전송 시간이 되었으면,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이동 통신망(300) 내의 교환기로 전송한다(S520).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이동 통신망(300) 내의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한다(S521, S522). 그리고 발신 단말(100)은 버퍼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이동 통신망(300)의 교환기로 전송한다(S523). 이러한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은 최초 단발성 메시지 모드의 실행으로부터 채널 설정 후 자동적으로 해당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을 적어도 1회 수행되도록 이루어진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24). 그 판단 결과,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으면, 발신 단말(100)은 이동 통신망(300) 내의 교환기와 설정된 채널을 해제한다(S525). 여기서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채널 해제는 교환기로부터 설정된 채널의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발신 단말(100)은 사용자(200)에게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비프(beep) 등의 단발성 메시지 전송 완료 확인음을 발생시킨다(S526).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서비스가 표시된 이동 통신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서비스 버튼이 추가된 이동 통신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100)은 그 표시 화면(110)에 즉시 발송과 예약 발송으로 표시된 단발성 메시지 서비스의 메뉴를 포함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100)은 그 측면에 설치된 단발성 메시지 서비스 버튼을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장치 및 시스템은 단발성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1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 기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망 요소간의 추가적인 정보 전달이 요구되지 않으며, 망 부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비상 전화를 시도하거나 단발성 메시지를 매우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의 버퍼나 메모리를 사용하여 단발성 메시지를 저장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고 싶을 때, 이동 통신 단말의 채널 설정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수초가 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채널 설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서비스가 표시된 이동 통신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발성 메시지 서비스 버튼이 추가된 이동 통신 단말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신 단말 사용자
200 : 발신 단말
300 : 이동 통신망

Claims (5)

  1.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의해 관리되는 발신 단말에서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적어도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식별자 및 수신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입력되는 단발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하는 단계-여기서, 버퍼링은 상기 교환기와의 채널 설정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상기 단발성 메시지는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상기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버퍼링 수행 중인 단발성 메시지 또는 상기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FIFO) 방식으로 상기 교환기측에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단발성 메시지는 통화로의 종료와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전송됨-;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채널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발성 메시지 모드는 예약 전송 모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3. 삭제
  4.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의해 관리되고 상기 교환기측으로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수단;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적어도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식별자 및 수신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수단;
    입력되는 단발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하는 수단-여기서, 버퍼링은 상기 교환기와의 채널 설정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상기 단발성 메시지는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상기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하는 수단;
    상기 버퍼링 수행 중인 단발성 메시지 또는 상기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FIFO) 방식으로 상기 교환기측에 전송하는 수단-여기서, 단발성 메시지는 통화로의 종료와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전송됨-;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채널 설정을 해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장치.
  5.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MSC)에 의해 관리되고 단발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의 전환 명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발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고,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적어도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식별자 및 수신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입력되는 단발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버퍼링하고-여기서, 버퍼링은 상기 교환기와의 채널 설정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상기 단발성 메시지는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상기 교환기에 의한 채널 설정을 인식하고, 상기 버퍼링 수행 중인 단발성 메시지 또는 상기 버퍼링이 완료된 단발성 메시지를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FIFO) 방식으로 상기 교환기측에 전송하고-여기서, 단발성 메시지는 통화로의 종료와 상관없이 설정된 채널로 전송됨-,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발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채널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시스템.
KR10-2003-0015860A 2003-03-13 2003-03-13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49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860A KR100498613B1 (ko) 2003-03-13 2003-03-13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860A KR100498613B1 (ko) 2003-03-13 2003-03-13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26A KR20040081526A (ko) 2004-09-22
KR100498613B1 true KR100498613B1 (ko) 2005-07-01

Family

ID=3736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860A KR100498613B1 (ko) 2003-03-13 2003-03-13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6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26A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642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отклика в системе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0738204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498613B1 (ko)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152023B1 (ko) 화상 전화망에서의 통화 대기 서비스 방법
CN101155398A (zh) 一种通话控制方法及通讯系统
KR100640473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101065560B1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28281B1 (ko) 다중 매체간의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02258A (ko)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KR101065672B1 (ko) 멀티미디어 자동응답 시스템
KR101665366B1 (ko)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1910A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KR1005894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신호 선택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30331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사서함서비스에서메시지수신통보및자동호출방법
KR100894907B1 (ko) 이동통신망에서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응답 메시지 제공시스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579798B1 (ko) 메시지 도착 알림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70005330A (ko) 착신링 시간 표시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100541990B1 (ko) 단발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53935B1 (ko) 이동 단말 및 그의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23281B1 (ko) 자동 메시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