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072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072B1
KR100550072B1 KR20030055641A KR20030055641A KR100550072B1 KR 100550072 B1 KR100550072 B1 KR 100550072B1 KR 20030055641 A KR20030055641 A KR 20030055641A KR 20030055641 A KR20030055641 A KR 20030055641A KR 100550072 B1 KR100550072 B1 KR 100550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d
service
terminal
cc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986A (ko
Inventor
이상연
김형섭
이영찬
신범수
김일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5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0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0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CCS 서비스와 충돌 가능한 다른 부가 서비스들과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임을 확인하면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와 발신 가입자의 CCS 서비스와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CCS 서비스가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인 경우, CCS 서버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발신측 교환기로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교환기가 해당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이를 CCS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및 CCS 서버가 단문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CS 서버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Method for Reporting Terminating Terminal St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210 : 기지국(BTS)
120, 220 : 기지국 제어기(BSC) 130 : 교환기(MSC)
140 : 홈 위치 등록기(HLR)
141 : 착신 상태별 안내 멘트 코드 데이터베이스
15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300 : CCS 서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발신자가 호를 실패했을 경우 착신 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착신 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를 발신자에게 통보하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발신자가 임의의 착신자에게 호를 시도하여 해당 착신 가입자의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통화중인 경우, 대부분의 발신자는 일정 시간 후에 지속적으로 다시 호를 시도하여 착신 단말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기본적으로 이동망에서 착신자가 전화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를 위해 제공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나 발신 번호 메모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러나, 발신자는 착신 단말로 음성 메시지나 호출 번호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확인한 착신자가 전화를 하기만을 수동적으로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신자가 호를 시도하였는데 착신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통화중인 경우, 착신 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를 발신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특허 출원된 바 있다.
종래에 공개된 특허로서, 특허공개 제2000-0037833호의 "통화 가능 알림 방 법"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시도한 호가 실패하면, 발신 단말로 음성 사서함의 부가 서비스로서 알림 서비스를 안내하여 발신자가 발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되면 발신 단말로 문자 통보하는 것으로서, 이는 발신자가 호를 실패할 때마다 자신의 번호 입력 및 음성 안내에 따라 서비스를 신청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공개 제2001-0068140호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는, 발신자가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알고자 특수 문자나 특정 신청 번호와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서비스 시간을 입력하여 전송하면, 해당 서비스 시간 중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이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것으로서, 이는 발신자가 필요에 따라 별도의 서비스 신청 및 해지를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서비스 시간을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에 제안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은 현실성이 없고 시스템 자원을 과도하게 낭비하며, 망에 심각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망의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고 기존의 호 연결과 관련한 부가 서비스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는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지국,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호 교환을 수행 하는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CCS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으로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상태 별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발신 단말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저장한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임을 확인하면, 상기 CCS 서버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3단계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CCS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상기 착신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 시, 상기 CCS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교환기가 상기 안내 멘트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단말이 파워 온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파워 온 위치 등록을 수행하여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상기 CCS 서버로 보고하는 제5단계; 및 상기 CCS 서버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지국,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CCS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으로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상태 별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발신 단말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상기 교환기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저장한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착신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와 호를 설정하고 착신 단말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와; 이때,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 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무응답 상태임을 인식하면,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CCS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CCS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4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CCS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상기 CCS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해당 안내 멘트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6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상태 변화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해당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보고 요청을 해제하고, 상기 CCS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7단계; 및 상기 CCS 서버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호를 시도한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신 단말 상태 통보 서비스(CCS 서비스 : Call Completion Service)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200)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담당하는 기지국(110, 210, BTS),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120, 220, BSC), 상기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200)간의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130, MSC),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140, HLR),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50, SMSC)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홈 위치 등록기(140)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50)와 연결되어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CCS 서버(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CCS 서버(300)가 착신 단말(200)의 상태를 발신 단말(100)로 통보하는 경우는, 착신 단말(200)이 파워 오프 상태인 경우, 통화중인 경우, 통화 대기 서비스 가입자이면서 무응답인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CS 서버(300)는 CCS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 CCS 서비스를 구동할 착신 번호 정보, CCS 동작 시간 정보, 통보 시간 정보 등의 가입자 별 CCS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착신 번호 정보는 서비스 가입자가 서비스를 구동할 착신 번호를 설정하도록 하여, 호를 시도한 모든 착신 번호에 대해 서비스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설정된 착신 번호에 대해서만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CCS 동작 시간 정보는 호를 시도한 모든 때에 서비스를 구동하지 않고 가입자가 설정한 때 즉, 평일에만 구동하도록 하거나, 업무 시간인 09시부터 18시까지만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통보 시간 정보는 발신 가입자가 특정 착신 번호로 호를 시도하여 호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호를 시도한 시각으로부터 1시간 이내에만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를 통보 받도록 하거나, 호를 시도한 시각으로부터 1일 이내에만 통보 받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CCS 서버(300)는 상기와 같은 착신 번호 정보, CCS 동작 시간 정보, 통보 시간 정보 등의 정보를 가입자 별로 저장하고, 홈 위치 등록기(140)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가입자에 대한 상기 각 설정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40)로 전송하여, 가입자가 설정한 정보에 따라 개인 별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홈 위치 등록기(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200)의 위치 등록 을 수행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며, 착신 단말이 통화 불가능한 경우 발신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안내 멘트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착신 상태별 안내 멘트 코드 데이터베이스(141)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발신 단말(100)이 착신 단말(200)로 호를 시도하면,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단말(200)과 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착신 단말(20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다.
만약, 착신 단말(200)이 현재 파워 오프 상태인 경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 착신 단말(200)이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를 통해 파워 오프 위치 등록을 수행함에 따라 이를 파악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착신측 교환기(130)로 경로 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130)로부터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착신 단말(200)이 통화 불가능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140)는 CCS 서버(300)로 CCS 서비스를 요청하고 발신측 교환기(130)로 CCS 안내 멘트 코드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로 착신 상태에 따른 CCS 서비스 안내 멘트가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안내 멘트로서는, "전원이 꺼져 있습니다. 전원이 켜지는 대로 통보하겠습니다." 또는, "통화중이오니, 통화가 끝나는 대로 통보하겠습니다." 등이 가능하며, 상기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와 같은 각각의 안내 멘트에 대한 식별 코 드 정보를 저장하여,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라 해당 코드를 교환기(130)로 전송하면 교환기(130)는 수신한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100)로 송출하여 준다.
이후, 상기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단말(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를 CCS 서버(300)로 보고하고, CCS 서버(300)는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한편, 발신 가입자 서비스인 CCS 서비스는 착신 가입자의 다른 서비스와 충돌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홈 위치 등록기(140)는 CCS 서비스와 충돌 가능한 다른 부가 서비스들과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야 하며, 발신 가입자의 CCS 정보와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를 비교하여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동작한다.
CCS 서비스와 충돌되는 착신자의 부가 서비스로서는, 착신 단말로 걸려오는 전화를 착신자가 지정한 다른 번호로 접속시켜 주는 착신 호 전환 서비스(CFW:Call Forwarding), 걸려오는 전화를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시켜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VMS:Voice Mail Service), 전원이 꺼져있거나 통화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 발신자의 번호가 저장되어 착신자가 통화 가능할 때 SMS로 상기 발신자의 번호를 통보해주는 서비스인 발신 메모 서비스(CRS: Cellular Recall Servic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CCS와 상기 CFW, VMS, CRS 간의 우선 순위는 CFW>CCS>VMS>CRS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한 우선 순위에 따라 CCS 동작 을 수행한다. 즉, CFW>CCS>VMS>CRS이면,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가입자가 CFW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CFW 전환 번호를 교환기로 전달하여, 교환기가 CFW를 수행하도록 하고 CCS 서비스는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착신 가입자가 VMS나 CRS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발신 가입자 서비스인 CCS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이하 각 착신 상태 별 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2 내지 도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로서, 착신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인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 교환기(130)가 발신 단말(100)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교환기(130)는 홈 위치 등록기(140)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전송하면(S101),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 위치 등록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CCS 서비스 정보(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여부 정보 및 서비스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130)로 전송하고(S102), 상기 교환기(130)는 상기 발신 단말(100)에 대한 CCS 서비스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S103).
이후, 상기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100)로부터 임의의 착신 단말(200)로 호가 시도되면, 발신측 교환기(130)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상기 발신 단말(100)에 대한 CCS 서비스 정보 즉, 발신 가입자가 CCS 서비스 이용 자인지의 여부 및 현재 서비스의 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4).
이때,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 착신 단말(200)과의 파워 오프 위치 등록 사실로 인해 상기 착신 단말(200)이 파워 오프 상태임을 인식하고(S105), CCS 서버(300)로 상기 착신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CCS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6).
한편, 상기 홈 위치 등록기(140)는 CCS 서비스가 착신 가입자의 다른 부가 서비스와 충돌하지 않도록 부가 서비스의 우선 순위 정보(CFW>CCS>VMS>CRS)를 저장하여, 상기 착신 단말(200)이 파워 오프 상태임을 인식하면(S105) 착신 가입자가 CCS 서비스와 충돌 가능한 부가 서비스인 CFW, VMS, CRS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우선 순위 정보(CFW>CCS>VMS>CRS)에 따라 CCS 서비스를 동작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가입자가 CFW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CCS 서비스를 수행하지 않으며, 착신 가입자가 VMS나 CRS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CCS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동작시켜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우선 순위에 따른 서비스 제어에 관한 사항은 이하 도3 내지 도5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CCS 서비스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는 CCS 서버(300)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 신함에 따라(S107), 발신측 교환기(130)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른 CCS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S104)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S108), 상기 발신측 교환기(130)는 상기 수신한 안내 멘트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100)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CCS 서버(300)는 CCS 서비스를 구동할 착신 번호 정보, CCS 동작 시간 정보, 통보 시간 정보 등의 가입자 별 CCS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가입자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CCS 서버(300)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 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따라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CCS 서버(300)가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수신한 정보와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CCS 서버(300)가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따라 서비스의 수행 여부 등을 판단하고 이를 홈 위치 등록기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설정 정보 중 착신 번호 정보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가입자가 서비스를 수행할 착신 번호들을 지정한 경우, CCS 서버(300)는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가입자가 지정한 착신 번호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고, 홈 위치 등록기가 현재 시도된 착신 번호가 상기 지정된 착신 번호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CCS 서버(300)가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현재 시도된 착신 번호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가입자 의 지정된 착신 번호에 상기 수신한 번호가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홈 위치 등록기로 수행 여부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입자 별 설정 정보에 따른 서비스 제어에 관한 사항은 이하 도3 내지 도5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안내 멘트의 송출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100)로부터 시도된 호는 종료되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 착신 단말(200)이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되는지를 즉, 파워 온이 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CCS 서비스를 구동한다(S109).
이때, 상기 착신 단말(200)과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 간에 파워 온에 의한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S110),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 착신 단말(200)이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으로 상태 변경되었음을 CCS 서버(300)로 보고하고(S111), 상기 CCS 서버(300)는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통보하는 단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50)를 통해 발신 단말(100)로 전송하여 준다(S112).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로서, 착신 단말이 통화중인 상태인 경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와 홈 위치 등록기 간의 위치 등록 과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 단말의 경우와 착신 단말의 경우로 구분한다. 발신 단말(100)의 경우 발신측 교환기(130)가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전송하면(S201),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발신측 교환기(130)로 발신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며(S202), 발신측 교환기는 상기 발신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S203).
착신 단말의 경우, 착신측 교환기(130)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전송하면(S201'),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202'). 여기서, 트리거 정보는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라 서비스가 트리거되어야 하는 정보로서, 착신 단말의 상태가 통화중(Busy)인 경우, 무응답(No answer)인 경우가 포함된다.
즉, 임의의 발신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된 착신 단말의 상태가 통화중이거나 무응답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트리거 정보에 따라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각 위치 등록 과정은 이하 도4 및 도5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100)로부터 착신 단말(200)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130)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S204),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상기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착신측 교환기(130)는 상기 경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단말(200)이 현재 통화중 상태임을 나타내는 착신 단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205).
다음,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부터 착신 단말(200)이 통화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CCS 서버(300)로 서비스를 요청하여 응답을 수신하고(S206), 발신측 교환기(130)로 CCS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S204)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207).
이에 따라,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단말(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CCS 서비스를 구동하고(S208), 착신측 교환기(130)로 착신 단말(200)의 상태가 변화되면 이를 보고하여 줄 것을 요청하여 착신측 교환기(13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S209), 착신측 교환기(130)로부터 상태 변화가 보고되기를 대기한다.
한편, 착신 단말(200)이 통화중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착신측 교환기(130)는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상태 변화를 보고하고(S210),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의 착신 단말(200)에 대한 상태 변화를 보고 요청을 해제하여 응답을 수신한다(S211).
그리고,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가 상기 착신 단말(200)이 통화중 상태에서 대기 상태(Idle)로 변화되었음을 CCS 서버(300)로 보고하면(S212), CCS 서버(300)는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착신 상태 통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50)를 통해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213).
다음,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로서, 착신 단말이 통화 대기 서비스 가입자이면서 무응답인 경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통화 대기 서비스란 사용자가 통화중일 때 걸려온 다른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대기 서비스 가입된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로부터 시도된 호에 대해 무응답인 경우 이를 통화중 상태로 간주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00)의 위치 등록 과정(S301~S303) 및 착신 단말(200)의 위치 등록 과정(S301'~S302')은 도3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100)로부터 착신 단말(200)로 호가 시도되면, 발신측 교환기(130)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304),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경로 정보를 요청하며, 이때 경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발신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다음, 착신측 교환기(130)는 착신 단말 가입자의 호 상태 및 호 대기 조건에 따라 호 착신 처리가 가능하면 TLDN(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할당하여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상기 TLDN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송신하며(S305),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발신측 교환기(130)로 상기 TLDN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S304)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상기 과정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130)와 착신측 교환기(130) 간에 호가 설정되면, 착신측 교환기(130)를 통해 착신 단말(200)로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는데, 일정 시간 내에 착신 단말(200)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착신측 교환기(130)는 초기 위치 등록 시 수신한 트리거 정보에 따라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단말의 상태(CW NA: 통화 대기, 무응답) 정보 및 CCS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S308). 이때, 착신 단말(200)이 통화 대기 가입자면서 무응답인 경우 이를 타 단말과의 통화중으로 본다.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CCS 서버(300)로 전송하고, CCS 서버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S309)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수행 요청 응답 메시지를 착신측 교환기(130)로 전송하고(S310), 착신 단말(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CCS 서비스를 구동한다(S311). 이때, 상기 착신측 교환기(130)와 발신측 교환기(130) 간에는 이미 호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착신측 교환기(130)로 전송된 안내 멘트 코드에 따른 안내 멘트는 발신측 교환기(130)를 통해 발신 단말(100)로 송출된다.
다음,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착신 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면 이를 보고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S312), 착신측 교환기(130)는 상기 착신 단말(200)과 타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되면 착신측 교환기(130)는 이를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보고한다(S313).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상태 변화 보고 해제를 요청하여 착신측 교환기(13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며(S314), 상기 착신 단말(200)의 상태 변화를 CCS 서버(300)로 보고한다(S315). CCS 서버(300)는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착신 상태 통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50)를 통해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316).
마지막으로,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로서, 착신 단말은 통화 대기 서비스 비활성화 상태이면서, 호의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호의 충돌이라 함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설정 중에 착신 단말이 타 호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도, 발신 단말의 위치 등록 과정(S401~S403)과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과정(S401'~S402')은 도3에서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한편,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100)로부터 착신 단말(200)로 호가 시도되면, 발신측 교환기(130)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404),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발신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 착신측 교환기(130)는 착신 단말 가입자의 호 상태 및 호 대기 조건에 따라 호 착신 처리가 가능하면 TLDN(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할당하 여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상기 TLDN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송신하며(S405),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발신측 교환기(130)로 상기 TLDN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406).
이때, 상기 과정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130)와 착신측 교환기(130) 간에 호가 설정되었으나(S408), 호의 충돌이 일어난 경우 즉, 본 호가 설정되기 이전에 착신측 교환기(130)와 또 다른 발신측 교환기 간에 타 호가 설정된 경우(S407), 상기 착신측 교환기(130)는 초기 위치 등록시 수신한 트리거 정보에 따라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단말의 상태(Busy: 통화중) 정보 및 발신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수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09).
다음,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CCS 서버(300)로 전송하고, CCS 서버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S410)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수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착신측 교환기(130)로 전송하고(S411), 착신 단말(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CCS 서비스를 구동한다(S412).
다음,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착신 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면 이를 보고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S413), 착신측 교환기(130)는 상기 착신 단말(200)과 타 단말과의 통화가 종료되면 착신측 교환기(130)는 이를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로 보고한다(S414).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측 교환기(130)로 상태 변화 보고 해제를 요청하여 착신측 교환기(13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며(S415), 상기 착신 단말(200) 의 상태 변화를 CCS 서버(300)로 보고한다(S416). CCS 서버(300)는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착신 상태 통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50)를 통해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417).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착신 상태별 안내 멘트 코드에 대한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가 저장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CCS 서버가 상기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그 응답 메시지에 상기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은 이동망에서 제공되는 기존의 부가 서비스와 충돌 없이 발신자가 능동적으로 착신 단말의 상태를 통보 받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망 자원의 불필요한 사용이 최소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CCS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으로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상태 별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저장한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이 파워 오프 상태임을 확인하면, 상기 CCS 서버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3단계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CCS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상기 착신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 시, 상기 CCS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교환기가 상기 안내 멘트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단말이 파워 온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파워 온 위치 등록을 수행하여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상기 CCS 서버로 보고하는 제5단계; 및
    상기 CCS 서버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2.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CCS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으로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상태 별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저장한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상기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가 착신 단말이 현재 통화 중임을 확인하면, 착신측 교환기는 착신 단말이 타 단말과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착신 단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CCS 서버로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CCS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상기 착신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 시, 상기 CCS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안내 멘트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측 교환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변화되면 이를 보고할 것을 요청하고,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 단말과 타 단말 간에 호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5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상태 변화 보고 요청을 해제하고, 상기 CCS 서버로 해당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6단계; 및
    상기 CCS 서버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CS 서버는, CCS 서비스를 구동할 착신 번호 정보, CCS 동작 시간 정보, 통보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CCS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제3단계 이후, 제4단계 이전에,
    상기 CCS 서버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발 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검색하고,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상기 검색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CCS 서비스와 충돌 가능한 다른 부가 서비스들과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해당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와 발신 가입자의 CCS 서비스와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CS 서비스가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인 경우, 상기 CCS 서버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CS 서비스와 충돌 가능한 부가 서비스는 착신 단말로 걸려오는 전화를 착신자가 지정한 다른 번호로 접속시켜 주는 착신 호 전환 서비스(CFW)와, 걸려오는 전화를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시켜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VMS)와, 전원이 꺼져있거나 통화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 발신자의 번호가 저장되어 착신자가 통화 가능할 때 단문 메시지로 상기 발신자의 번호를 통보해주는 서비스인 발신 메모 서비스(CRS)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가 서비스(CFW, VMS, CRS)와 CCS 서비스와의 우선 순위는 CFW>CCS>VMS>CR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6.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CCS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으로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상태 별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발신 단말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상기 교환기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저장한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착신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와 호를 설정하고 착신 단말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와;
    이때,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 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무응답 상태임을 인식하면,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CCS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CCS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4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CCS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상기 CCS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 수행 요청에 대해 응답하고,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해당 안내 멘트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6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상태 변화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해당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보고 요청을 해제하고, 상기 CCS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7단계; 및
    상기 CCS 서버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호를 시도한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8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7.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는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홈 위치 등록기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보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CCS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으로 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착신 상태 별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발신 단말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인식 확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교환기는 해당 가입자의 CC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을 수행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 호가 시도됨에 따라, 상기 교환기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저장한 CCS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착신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와 호를 설정하는 제3단계와;
    이때,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에 타 호가 연결된 상태임을 인식하면,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CCS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CCS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4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CCS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상기 CCS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 수행 요청에 대해 응답하고,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해당 안내 멘트 코드에 해당하는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6단계와;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상태 변화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해당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보고 요청을 해제하고, 상기 CCS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보고하는 제7단계; 및
    상기 CCS 서버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한 착신 단말의 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호를 시도한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8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CS 서버는, CCS 서비스를 구동할 착신 번호 정보, CCS 동작 시간 정보, 통보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CCS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제4단계 이후, 제5단계 이전에,
    상기 CCS 서버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검색하고,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에 상기 검색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CCS 서비스와 충돌 가능한 다른 부가 서비스들과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해당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와 발신 가입자의 CCS 서비스와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CS 서비스가 착신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인 경우, 상기 CCS 서버로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CS 서비스와 충돌 가능한 부가 서비스는 착신 단말로 걸려오는 전화를 착신자가 지정한 다른 번호로 접속시켜 주는 착신 호 전환 서비스(CFW)와, 걸려오는 전화를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시켜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VMS)와, 전원이 꺼져있거나 통화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 발신자의 번호가 저장되어 착신자가 통화 가능할 때 단문 메시지로 상기 발신자의 번호를 통보해주는 서비스인 발신 메모 서비스(CRS)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가 서비스(CFW, VMS, CRS)와 CCS 서비스와의 우선 순위는 CFW>CCS>VMS>CR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KR20030055641A 2003-08-12 2003-08-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KR10055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5641A KR100550072B1 (ko) 2003-08-12 2003-08-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5641A KR100550072B1 (ko) 2003-08-12 2003-08-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986A KR20050017986A (ko) 2005-02-23
KR100550072B1 true KR100550072B1 (ko) 2006-02-08

Family

ID=3722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5641A KR100550072B1 (ko) 2003-08-12 2003-08-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416B1 (ko) * 2004-11-0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충돌 감지 및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27084B1 (ko) * 2005-03-28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867004A (zh) * 2005-05-17 2006-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指示用户终端状态的实现方法
KR100760158B1 (ko) * 2005-06-29 2007-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안내멘트 제공 시스템
KR100795684B1 (ko) * 2006-04-26 2008-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64476B1 (ko) * 2006-08-17 2007-10-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981163B1 (ko) * 2008-11-20 2010-09-10 주식회사 케이티 메시지 착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0985973B1 (ko) * 2008-12-30 2010-10-0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서비스 전환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717977B1 (ko) * 2010-03-17 2017-03-21 주식회사 케이티 단문메시지의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986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54549A (ja) 呼びを転送する方法。
US5809130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retrieving communications from any selected location
KR10055007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EP1708539B1 (en) Repeated di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called parties that are powered off
KR100233916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KR101579971B1 (ko) 부가 서비스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상태 정보 관리 방법 및 통화 호 처리 방법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1665366B1 (ko)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2258A (ko)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KR10066170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KR100579798B1 (ko) 메시지 도착 알림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10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부재알림 방법
KR100295414B1 (ko)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KR10049486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동응답 서비스를 이용한 동시통화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0974298B1 (ko) 링백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7614B1 (ko)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40008839A (ko) 사설 교환망을 통해 통화중인 단말에 대한 공중망 착신 호처리 방법
KR2004003954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완료호 자동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238718B1 (ko) 전전자교환기의 그룹별 음성사서함서비스방법
KR101187360B1 (ko) 발신 번호 변경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위치 등록기
KR10102604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7546A (ko) 자동교환시스템의 대기상태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