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476B1 -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476B1
KR100764476B1 KR20060077426A KR20060077426A KR100764476B1 KR 100764476 B1 KR100764476 B1 KR 100764476B1 KR 20060077426 A KR20060077426 A KR 20060077426A KR 20060077426 A KR20060077426 A KR 20060077426A KR 100764476 B1 KR100764476 B1 KR 10076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all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구현
강동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7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47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제3자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대기 상태가 된 후에, 현재 연결 중인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종료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 연결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서 어느 일방에 의하여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통화 대기중인 제3자에 의해 통화 연결이 시도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주어 착신벨을 울림으로써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자로 하여금 통화 대기중인 제3자와 통화 연결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통화 대기중인 제3자가 별도로 다시 통화를 재시도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통화 대기(Call Waiting), 호처리, ISUP(ISDN User Part), 이동통신 교환기

Description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Enhanced mobile phone connecting system while the line is busy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도1은 종래의 통화중 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의 구성 중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20 : 무선접속망
21 : 기지국 22 : 기지국 제어기/무선망 제어기
30 :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 40 :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50 :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 51 : 신호 입출력부
52 : 제어부 53 : 페이징 처리부
54 : 경보 신호 처리부
60 : 이동통신 단말기 70 : 이동통신 교환기
80 : 홈 위치 등록기 90 :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
본 발명은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제3자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대기 상태가 된 후에, 현재 연결 중인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종료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 연결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화 중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두 가입자가 서로 통화 중(A 발신, B 착신)일 때 제3자(C 발신, B 착신)에 의해 착신호가 들어오는 경우, 즉 통화대기(Call Waiting) 상태인 경우의 호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A에 의해 기존의 통화 중인 호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C 가입자에게 호전환번호 요구메시지 (TTNR : transfer to number request)에 의한 소리샘접속 또는 QuickVoice를 제공한다. 그리고, B에 의해 기존의 통화 중인 호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C는 바로 호가 종료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한 통화중 호 처리 에 대하여 도1에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통화중 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의 사용자가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B)(50)와 통화를 위해 단말기 번호를 누르고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즉,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A)(10)에서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로 호를 발신하게 되며,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에서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B)(4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홈 위치 등록기(80)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B)(4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홈 위치 등록기(30)는 해당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로 Routing Request INVOKE 신호를 보내어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로부터 임시 지역 디렉토리 번호(TLDN :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할당받게 되며, 할당받은 TLDN을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B)(40)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A)(60)와 통화 연결중이라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할 것을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에 요청하며,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로 통화대기음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B)(40)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A)(60)가 서로 통화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B)(40)가 호를 종료하게 되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가 호 종료를 인식하여 통화 연결중이던 다 른 이동통신 단말기(A)(60)를 담당하는 이동통신 교환기(MSC_A)(70)로 호 해제 신호(REL)를 보내게 된다. 동시에 통화 대기중이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를 담당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에도 호 해제 신호(REL)를 보내게 되며, 결과적으로 모든 호가 종료되어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로서는 다시 통화를 시도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B)(40)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A)(60)가 서로 통화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B)(40)가 아닌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A)(60)가 호를 종료하게 되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A)(60)를 담당하는 이동통신 교환기(MSC_A)(70)에서 호 종료를 인식하여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로 호 해제 신호(REL)를 보내며, 호 해제 신호를 제공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는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로 통화 대기음 송출의 종료를 요청함으로써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를 통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로 제공되던 통화대기음의 송출이 종료된다.
그와 함께,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B)(50)는 홈 위치 등록기(80)로 호전환번호 요구메시지(TTNR : transfer to number request)를 보내서 착신 전환 번호를 받아온다. 그리고 해당되는 전환번호에 따라 통화 대기 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를 담당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로 소리샘이나 QuickVoice 안내멘트를 제공하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의 응답에 따라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MSC_C)(30)를 통해 소리샘이나 QuickVoice와 접속시킴으로써 메시지를 남길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C)(10)의 통화 대기중인 호가 완전히 종료되지는 않지만 QuickVoice나 소리샘과 같은 간접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식으로만 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제3자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대기 상태가 된 후에, 현재 연결 중인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종료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 연결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발신 및 착신하는 무선접속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 상태이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제공하는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으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 및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이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해두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종료 신호를 제공받으면 저장된 통화 대기 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대기 호가 있으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대기 호가 있음을 알린 후에 응답이 있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 연결하는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대기 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페이징 응답 신호를 받은 후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내서 착신 응답이 있으면 통화 대기중인 상기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한 후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 연결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방법은, (a)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은 후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 상태이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할 것을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요청한 후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하고, 상기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는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대기 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 벨울림이 가능한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내는 단계; (d)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호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통화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c)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면, 우선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하여 이에 대한 페이징 응답 신호의 수신을 확인한 후에,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d) 이후,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기 장치는, 무선접속망, 타 이동통신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입출력부;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내는 경보 신호 처리부; 상기 타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현재 통화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하 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종료 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라는 제어 신호를 상기 경보 신호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상기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호 종료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대기중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하는 페이징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대기음 송출 요청신호를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방법 중 이동통신 교환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a)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통화 연결하려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 상태이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할 것을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 를 종료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대기 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 (d)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호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c)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면, 우선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하여 이에 대한 페이징 응답 신호의 수신을 확인한 후에,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d) 이후, 상기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무선접속망(20)을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로 음성,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뜻하며, 여기에서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를 통화 목적지로 삼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무선접속망(20)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발신 및 착신하며, 이동통신 교환기(MSC)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매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무선접속망(20)은 크게 동기식 무선접속망과 비동기식 무선접속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동기식 무선접속망은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21),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22)로 구성되며, 비동기식 무선접속망은 기지국(Node-B)(21), 무선망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22)로 구성된다.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으면 홈 위치 등록기(80)를 통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로부터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받으면 해당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 연결한다. 또한,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로부터 통화대기음 신호를 제공받으면 해당 통화 대기중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입력 받으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와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60)와 통화 중인 경우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호를 통화 대기 호로 설정한 후에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해둔다. 그러는 동안, 통화 연결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60)와 연결되어 있던 호를 종료함을 알리는 호 종료 신호를 제공받으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는 통화 연결의 상대편 이동통신 교환기(70)로 호 해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통화 중이던 호를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대하여 저장된 통화 대기 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대한 통화 대기중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페이징을 수행한다.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들어오면 다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내게 되며, 이때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에 착신벨이 울리게 된다. 또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가 도착하면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담당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로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를 서로 통화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60)는 무선접속망(20)을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로 음성,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뜻하며, 여기에서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와 현재 통화중인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동통신 교환기(7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와 현재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60)를 담당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교환기를 의미한다.
홈 위치 등록기(8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이동통신 교환기(30),(50),(70)로부터 통화연결하려는 목적지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요청이 들어오면 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제공받으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이동통신 교환기를 찾아서 Routing Request INVOKER 신호를 보내며, 해당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임시 지역 디렉토리 번호(TLDN :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되돌려 받으면 이를 위치 정보를 요구한 이동통신 교환기로 제공함으로써 통화 목적지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통화 시도중인 이동통신 교환기로 제공하게 된다.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가 통화 연결 상태이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대기음을 제공하여 현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와 통화할 수 없음을 알리게 된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의 구성 중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신호 입출력부(51)는 무선접속망, 타 이동통신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한다. 즉, 무선접속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주고받으며, 타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다른 지역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각종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페이징 처리부(53)는 호 종료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대기중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한다.
경보 신호 처리부(54)는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 보(Alerting)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52)는 페이징 처리부(53) 및 경보 신호 처리부(5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 입출력부(51)로 제공한다. 또한, 타 이동통신 교환기, 즉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로부터 현재 통화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대한 통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한다. 그러다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호 종료 신호를 제공받으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경보 신호를 보내라는 제어 신호를 경보 신호 처리부(54)로 제공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경보 신호가 제공되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에서 착신벨이 울리게 된다. 그런후, 신호 입출력부(51)을 통해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담당하는 이동통신 교환기(30)로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한다. 즉, 우선 페이징 처리부(53)에서 출력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신호 입출력부(51)를 통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송출하여 이에 대한 페이징 응답 신호의 수신이 확인되면, 경보 신호 처리부(54)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를 신호 입출력부(51)를 통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송출한다. 그리고, 경보 신호 송출 후,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신호 입출력부(51)를 통해 착신 응답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로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이의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어부(52)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로 보내는 통화 연결 응답신호로서 ISUP(ISDN User Part) 신호인 ANM(Answer Message)을 보내게 된다.
이때, 제어부(52)는 홈 위치 등록기(80)로부터 Routing Request INVOKER 신호를 입력받으면 임시 지역 디렉토리 번호(TLDN :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홈 위치 등록기(80)로 제공하는데, 이는 홈 위치 등록기(80)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알려줄 것을 요청한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중이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현재 통화대기 상태임을 알려야 하는 경우에는,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통화대기음을 송출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제공한다. 그러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는 통화대기음을 들음으로써 현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중이기 때문에 통화연결될 수 없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52)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 요청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더 이상 통화대기음이 송출되지 않게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홈 위치 등록기(80)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은 후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4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10). 일반적으로,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30)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로 통화 연결 요청을 위해서는 ISUP(ISDN User Part) 신호인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보내게 된다.
그 다음으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 통화 연결 상태라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할 것을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로 요청한다. 그러면,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한다(S20). 그리고 나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대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대기 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다음,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가 호를 종료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대한 통화 대기 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대기 호가 있는 경우에는 우선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하며(S30), 이에 대한 페이징 응답 신호의 수신이 확인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 착신 벨울림이 가능한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낸다(S40).
그런 후에,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경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받으면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10)로 호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한다(S50). 이때,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더 이상 통화대기 상태가 아님을 알리기 위하여,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50)는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90)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을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에, 통화대기 상태에 있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호를 종료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0)는 서로 통화 연결된다(S6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현재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제3자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대기 상태가 된 후에 현재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서 어느 일방에 의하여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통화 대기중인 제3자에 의해 통화 연결이 시도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주어 착신벨을 울림으로써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자로 하여금 통화 대기중인 제3자와 통화 연결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통화 대기중인 제3자가 별도로 다시 통화를 재시도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무선접속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하는 호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발신 및 착신하는 무선접속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 상태이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제공하는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으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 및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이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해두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종료 신호를 제공받으면 저장된 통화 대기 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대기 호가 있으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대기 호가 있음을 알린 후에 응답이 있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 연결하는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대기 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페이징 응답 신호를 받은 후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내서 착신 응답이 있으면 통화 대기중인 상기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한 후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3. 무선접속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하는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은 후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 상태이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할 것을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요청한 후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하고, 상기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는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 기에 대한 통화 대기 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 벨울림이 가능한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내는 단계;
    (d)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호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통화 연결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화중 호 연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면, 우선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하여 이에 대한 페이징 응답 신호의 수신을 확인한 후에,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호 연결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통화중 호 연결 방법.
  6. 무선접속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하는 호 연결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기 장치에 있어서,
    무선접속망, 타 이동통신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입출력부;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Alerting) 신호를 보내는 경보 신호 처리부;
    상기 타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현재 통화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하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종료 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라는 제어 신호를 상기 경보 신호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신호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상기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통화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교환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호 종료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대기중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하는 페이징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대기중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대기음 송출 요청신호를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장치.
  10. 무선접속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하는 호 연결 방법 중 이동통신 교환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통화 연결하려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 상태이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할 것을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 호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대기 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
    (d)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받으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호 연결 응답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통화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면, 우선 상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출하여 이에 대한 페이징 응답 신호의 수신을 확인한 후에,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 상기 통화대기음 제공 서버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60077426A 2006-08-17 2006-08-17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76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426A KR100764476B1 (ko) 2006-08-17 2006-08-17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426A KR100764476B1 (ko) 2006-08-17 2006-08-17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476B1 true KR100764476B1 (ko) 2007-10-08

Family

ID=3941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7426A KR100764476B1 (ko) 2006-08-17 2006-08-17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4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325A (ko) * 2003-01-11 2003-02-26 문귀석 가입자 기반 홀드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098227A (ko) * 2003-05-14 2004-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발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17986A (ko) * 2003-08-12 2005-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KR20060071947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중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325A (ko) * 2003-01-11 2003-02-26 문귀석 가입자 기반 홀드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098227A (ko) * 2003-05-14 2004-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발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17986A (ko) * 2003-08-12 2005-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 통보 방법
KR20060071947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중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12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KR19990036392A (ko) 원격 장치에 특징 발신 호출을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28793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での電源を切っている被呼者への再ダイヤル
KR100764476B1 (ko) 개선된 통화중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716674B1 (ko) 회선 교환 방식망에서의 착신 연결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20090095061A (ko) 통화 호 자동 연결 방법 및 시스템
US7522914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all alerting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20040100059A (ko) 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부가 서비스 우선순위 제어 방법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27630B1 (ko) 통화 연결 중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375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신 호 설정과정 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917927B1 (ko) Ip망의 발신 호에 대한 착신 호 전환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20010028310A (ko)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접속 요청을 알리는 방법
JP2009055210A (ja) 交換機、交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6235B1 (ko) 우선 착신자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86669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완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894281B2 (ja) ページング着呼方法
JP5652006B2 (ja) 中継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ショートメッセージ中継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9479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5350A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141157B1 (ko) Sms 착신중 음성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40399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 변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