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195B1 -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195B1
KR100451195B1 KR10-2002-0045389A KR20020045389A KR100451195B1 KR 100451195 B1 KR100451195 B1 KR 100451195B1 KR 20020045389 A KR20020045389 A KR 20020045389A KR 100451195 B1 KR100451195 B1 KR 10045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arty
short message
inform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037A (ko
Inventor
김연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1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195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에 특정인으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그 특정인에게 현재 통화중인 상대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특정인으로부터의 반복적인 호출을 방지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특정인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발신 통화의 경우 상대 통화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수신 통화인 경우 상대편의 호출 식별자(Called ID)를 저장하는 제2 단계와, 통화중에 제3자로부터 호출이 있는지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제3자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그 제3자의 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된 특정인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전화 번호가 일치하면 알림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상기에서 알림 기능 설정으로 판단되면 현재 통화자의 정보를 통화중 호출자인 제3자에게 전송하는 제6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CALL}
본 발명은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화 서비스에는 통화중 제3자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그 제3자와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한 동작을 도1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를 'A', 현재 통화중인 상대편을 'B' 그리고, 사용자(A)가 통화중일 때 새로이 호출하는 특정인을 'C'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A)가 상대편(B)과 발신 또는 호출에 의해 통화중일 때 특정인(C)이 사용자(A)에게 전화를 걸면 통신 서버는 사용자(A)의 단말기로 특정인(C)에 의한 호출이 있음을 알리고 이 호출에 대해 통화를 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A)는 현재 통화자(B)의 양해를 구한 다음 특정인(C)과의 통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인(C)으로부터의 호출에 상관없이 현재 통화자(B)와 계속 통화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통화중일 때 사용자와 친밀한 관계에 있는 제3자가 호출하는 경우 그 제3자는 사용자가 누구와 통화하는지를 알 수 없고 또한, 중요한 통화중일 때 제3자로부터의 반복적인 호출에 의해 원활한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화중에 특정인으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그 특정인에게 현재 통화중인 상대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하게 계속적인 호출을 방지하도록 창안한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통화중 호출시 동작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화중 호출시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특정인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발신 통화의 경우 상대 통화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수신 통화인 경우 상대편의 호출 식별자(Called ID)를 저장하는 단계와, 통화중에 제3자로부터 호출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제3자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그 제3자의 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된 특정인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전화 번호가 일치하면 알림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알림 기능 설정으로 판단되면 현재 통화자의 정보를 통화중 호출자인 제3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알림 기능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를 'A', 통화 상대자를 'B' 그리고, 통화중일 때 사용자(A)를 새로이 호출하는 특정인을 'C'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A)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제3자로부터의 호출을 인식하기 위한 통화중 대기 기능, 발신 전화 번호 및 수신시 호출 식별자(Called ID)를 인식하여 저장하기 위한 Called ID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2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통화중일 때 특정인(C)으로부터의 호출에 대하여 현재 통화 상대자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한다.
이때, 통화 상대자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특정인은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다.
그리고, 통화중 호출에 대하여 현재 통화 상대자의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기능을 미리 설정하며 만일, 통화 상대자의 정보 전송을 설정하는 경우 자동으로 전송할 것인지 또는 수동으로 전송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A)가 상대방(B)와 통화를 할 경우 발신 통화라면 상대방(B)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수신 통화라면 상대방(B)의 호출 식별자(CALLED ID)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A)가 상대방(B)와 통화하고 있을 때 제3자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A)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특정인(C)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이때,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사용자(A)가 미리 미리 등록해 놓은 특정인(C)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면 사용자(A)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동 통보가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수동 통보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이에 따라, 자동 통보가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A)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SMS)를 SMS 서버로 전송하여 호출자인 특정인(C)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019-111-2222'라면 사용자(A)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SMS 서버로 "019-111-2222와 통화중입니다. 잠시 후 걸어주세요"라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사용자(A)가 수동 통보를 설정한 경우라면 사용자(A)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새로이 호출한 특정인에게 현재 통화 중인 상대방(B)의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여 알릴 것인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A)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동 통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문 메시지를 SMS 서버로 전송하여 호출자인 특정인(C)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시키게 된다. 따라서, 특정인은 사용자(A)가 상대방(B)과 통화중임을 인식하여 반복적인 호출을 자제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중일 때 특정인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그 특정인에게 현재 통화중인 상대편의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여 알림으로써 특정인으로부터의 반복적인 호출을 방지하여 업무 등에 관련한 중요 통화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3자로부터의 호출을 인식하기 위한 통화중 대기 기능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초기에 통화 상대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통화중에 제3자로부터의 호출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제3자로부터의 호출을 검출하면 그 제3자에게 현재 통화중인 상대자 정보의 송신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에서 제3자에게 상대자 정보의 송신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3자에게 현재 통화중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통화 상대자의 정보를 단문 메시지(SMS)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통화 상대자 정보는
    발신 전화번호 또는 호출 식별자(Called ID)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통화중일 때 특정인의 호출에 대해 현재 통화중인 상대자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그 특정인의 전화 번호를 미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통화중 정보 송신 단계는
    제3자로부터의 호출을 검출하면 그 제3자의 전화번호가 특정인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전화 번호가 일치하면 알림 기능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알림 기능 설정으로 판단되면 현재 통화자의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작성하여 제3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알림 기능은
    자동 알림 또는 수동 알림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2-0045389A 2002-07-31 2002-07-31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5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389A KR100451195B1 (ko) 2002-07-31 2002-07-31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389A KR100451195B1 (ko) 2002-07-31 2002-07-31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037A KR20040012037A (ko) 2004-02-11
KR100451195B1 true KR100451195B1 (ko) 2004-10-02

Family

ID=3732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389A KR100451195B1 (ko) 2002-07-31 2002-07-31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1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070A (ko) * 1997-01-18 1998-10-15 김광호 전화기에서 기억 재다이얼 리스트에 발신시각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JP2000228785A (ja) * 1999-02-08 2000-08-15 Denso Corp 無線通信装置
KR20010004514A (ko) * 1999-06-29 2001-01-15 윤종용 이동무선단말기의 통화중상태 알림방법
KR20030056470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070A (ko) * 1997-01-18 1998-10-15 김광호 전화기에서 기억 재다이얼 리스트에 발신시각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JP2000228785A (ja) * 1999-02-08 2000-08-15 Denso Corp 無線通信装置
KR20010004514A (ko) * 1999-06-29 2001-01-15 윤종용 이동무선단말기의 통화중상태 알림방법
KR20030056470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037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590B1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US6377795B1 (en)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tandby feature
CN105657138B (zh) 呼叫处理方法及通信终端
US8165571B2 (en) Anonymous call blocking in wireless networks
US20080280599A1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05635494A (zh) 一种基于dtmf实现通话双方状态交换的方法、终端及系统
JP5121129B2 (ja) マルチライン・モバイルでダイアル番号の識別をサポートするネットワーク
CN108924335B (zh) 一种呼叫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1860590A (zh) 一种来电自动拒接的方法和装置
WO2007091261A1 (en) Non-linear voicemail
CN104602214A (zh) 一种扩展手机无线语音和短信业务的方法
US7418091B1 (en) Selective call waiting caller ID
US8515406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tailored mobile communication
KR100451195B1 (ko)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US20050002498A1 (en) Method of notifying a caller of a telephone profile status
KR1006411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JP5374015B2 (ja) 電話装置および自動コールバック方法
CN103475765A (zh) 一种快捷的联系人信息发送和存储方法及系统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WO200201349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ed call back
KR20030069731A (ko)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에서 부재중수신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KR100834171B1 (ko) 필터링 도우미 기능 선택을 이용한 휴대폰 및 유선전화의선택적 연결 서비스 방법
CN100466666C (zh) 一种基于原始被叫号码信息的业务触发方法
KR200100474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JP2008085817A (ja) 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