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630B1 -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630B1
KR101465630B1 KR1020080022495A KR20080022495A KR101465630B1 KR 101465630 B1 KR101465630 B1 KR 101465630B1 KR 1020080022495 A KR1020080022495 A KR 1020080022495A KR 20080022495 A KR20080022495 A KR 20080022495A KR 101465630 B1 KR101465630 B1 KR 10146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nformation
sender
storage uni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389A (ko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2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6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3Line monitoring circuits for detecting caller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발신자 확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발신자 확인 장치는 교환 시스템과 정합하기 위한 제 1 정합부;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제 1 정합부를 통해 입력된 서비스 식별 코드에 따라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발신자 번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부; 시스템 운용자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정합부; 제 1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의 유무를 저장부를 통해 확인하고 제 2 정합부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OF IDENTIFYING CALLER}
본 발명은 전화를 건 발신자가 등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이나 특정 기관을 사칭한 사기 전화가 많이 걸려온다. 이러한 사기 전화는 그 수법이나 방식이 다양하여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당하고 있다. 휴대폰이나 몇몇 유무선 전화기에 콜러 ID(Identification)기능이 최근 도입되어 전화를 건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게 되어 사기 전화의 위험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콜러 ID기능이 없는 대부분의 가정용 전화기는 발신자를 확인할 길이 없어 이러한 사기 전화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상태이다.
콜러 ID기능이 있는 휴대폰이나 일반 전화기의 경우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기 전화에 어느 정도 안전하다 볼 수 있지만 콜러 ID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의해서 사기를 완전히 방지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그리고 콜러 ID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를 확인하려고 하는 경우 통화 종료 후 수신자측 단말기에 나타난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야만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불편한 점 또한 존재한다.
또한 수신자측 전화기에 나타난 발신자 번호대로 전화를 걸어도 발신자가 이를 역으로 이용하려한다면 사기를 당할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콜러 ID 기능이 있는 전화기의 경우 발신자에 대한 전화 번호만을 제공하고 있고 수신자측 전화기에 나타난 전화 번호에 대한 발신자에 대하여 미리 알고 있는 경우외에는 통화종료 후 그 번호로 다시 전화를 해보아야만 발신자의 확인이 가능한데 그렇게 통화를 하더라도 발신자가 통화내용을 허위로 하여 수신자를 속이는 형태의 사기의 경우는 대응할 수 없다.
이와같이 콜러 ID기능이 없는 전화기에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고, 콜러 ID기능이 있는 전화기라 하더라도 발신자의 확인을 위하여 통화 종료 후 발신자에 전화를 다시 걸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며 콜러 ID기능을 역이용하는 형태의 사기에 대처할 수 있는 보다 편리하고도 안전한 발신자 확인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콜러 ID기능의 유무에 관계없이 보다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자측 단말기로 연결된 호에 대하여 상기 발신자를 확인하는 방법은 (a) 발신자 확인 장치가 교환 장치로부터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확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신자 확인 장치가 상기 교환 장치를 통하여 상기 수신자측 단말기로 발신자 정보의 유무 확인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발신자 확인 장치가 상기 교환 장치로부터 상기 발신자를 확인 요청 신호 및 상기 수신자의 수신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 단말기, 휴대폰, 유선 전화기, 및 VoIP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의 유무 확인 결과를 통보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 해 통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자측 단말기로 연결된 호에 대하여 상기 발신자를 확인하는 방법은 (a) 발신자 확인 장치가 하나의 발신자에 속하는 복수의 발신자 번호를 하나로 그루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확인 장치가 교환 장치로부터 발신자를 확인 요청 신호, 상기 발신자의 발신자 번호, 및 상기 수신자의 수신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자 확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상기 발신자 번호가 상기 그루핑된 발신자 번호들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발신자 확인 장치가 상기 수신한 발신자 번호가 상기 그루핑된 발신자 번호들에 속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교환 장치를 통하여 상기 수신자측 단말기로 상기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장치는 교환 장치와 정합하기 위한 제 1 정합부;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교환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정합부를 통해 입력된 서비스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교환 장치로부터 발신자 번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부; 시스템 운용자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정합부;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발신자의 유무를 상기 저장부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제 2 정합부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정보 저장부,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수신자 정보 저장부,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 전화 번호, 발신자 명, 발신자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발신자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확인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콜러 ID기능의 유무에 관계없이 보다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 는 개략적인 망구성도로서 발신자 확인 서비스를 위하여 교환기(20)에 발신자 확인 장치(30)를 연동시킨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선 전화 시스템(1)은 발신자측 단말기(10), 교환기(20), 발신자 확인 장치(30), 수신자측 단말기(40), 및 통신망(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10)는 통신망(50)을 통해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전화를 걸 수 있는 장치로서 도 1에서는 일반적인 유선 전화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망(50)을 통해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전화를 걸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하고 휴대폰, 공중전화기,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단말기의 경우 사람이 직접 통화하는 경우보다 사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므로 발신자측 단말기(10)가 ARS단말기인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상기 교환기(20)는 발신자측 단말기(10)로부터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콜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교환기(20)에는 전화 가입자에 대한 전화 번호 등의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발신자측 단말기(10)로부터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콜을 요청하면 교환기(20)는 발신자측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된 수신자측 단말기(40)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콜을 연결시켜 준다. 이러한 교환기(20)는 PSTN 교환기, 이동통신망 용 이동 교환기, 및 VoIP를 이용하는 인터넷 망에서의 게이트키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통신망(50)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교환기(20)를 통해 수신자측 단말기(40)로부터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대한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수신자가 본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유효한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발신자를 확인해 주는 기능을 한다. 발신자 확인 장치(3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자측 단말기(40)는 발신자측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콜을 받아 발신자측 단말기(10)와 통화를 할 수 있다. 발신자측 단말기(10)와 마찬가지로 도 1에서는 일반적인 유선 전화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망(50)을 통해 발신자측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콜을 받아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휴대폰, 유선 전화기,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50)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동 통신망, 인터넷등을 포함한다. 발신자측 단말기(10), 교환기(20), 발신자 확인 장치(30), 및 수신자측 단말기(40)는 통신망(50)에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각종 제어신호가 송수신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신자 확인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교환 기 정합 장치(300), 주 제어 장치(310), 운용자 정합 장치(320), 데이터베이스 제어장치(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한다.
상기 교환기 정합 장치(300)는 교환기(20)와 발신자 확인 장치(30)간을 T1 또는 E1 등으로 정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신호방식은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channel)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 제어 장치(310)는 교환기(20)를 통해 수신자측 단말기(40)로부터 서비스 식별 코드를 수신 했을 때 교환기(20)에 발신자에 대한 발신자 번호를 요청하고 교환기(20)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확인 응답(ACK: Acknowledge) 신호를 보내고 데이터베이스(340)에 상기 발신자 번호에 일치하는 발신자에 대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제어장치(330)를 제어한다.
상기 운용자 정합 장치(320)는 발신자 확인 장치(30)의 운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운용자의 명령으로는 발신자 확인 장치(30)의 내부상태, 내부 프로세스의 상태 등을 파악하거나 발신자에 대한 정보의 입출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고 확인하기 위하여 운용자 정합 장치(320)는 (도시 안된) 키보드 및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제어장치(330)는 주 제어 장치(310)에 의한 제어와 운용자 정합 장치(32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각각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의 유무를 확인하고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40)는 데이터베이스 제어장치(330)의 제어에 따라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및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제공되는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340)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정보 저장부(341),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수신자 정보 저장부(342), 및 발신자 확인 서비스를 위한 각종 멘트 등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343)를 포함한다.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로는 발신자 전화 번호, 발신자 성명, 발신자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는 수신자가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가입된 유효한 가입자인지를 확인하여 주는 가입자 확인 메시지 등의 음성 멘트, 및 발신자가 데이터베이스(340)의 발신자 정보 저장부(341)에 저장된 등록된 발신자 인지를 나타내는 발신자 확인 메시지 및 발신자 미확인 메시지 등의 음성 멘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교환기(20)는 발신자측 단말기(10)로부터 수신자측 단말기(40)로의 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30).
교환기(20)는 발신자측 단말기(10)가 콜 연결을 요청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확인하여 그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측 단말기(40)에 콜 연결 신호를 보낸다 (단계 S50).
수신자가 수신자측 단말기(40)에서 콜 연결 신호에 따라 통화 버튼을 누르거나 수화기를 들면 콜이 연결되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다(단계 S70).
콜이 연결되어 통화를 할 때 수신자가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기를 원하는 경우 수신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의 서비스 식별 코드를 입력하여 이를 교환기(20)로 전송한다(단계 S80).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의 서비스 식별 코드는 예컨대 '*0000'와 같이 별표 및 순차로 입력된 소정의 숫자의 조합일 수 있다. 이때 교환기(20)로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식별 코드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이나 '*'를 길게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식별 코드의 형태와 식별 코드를 교환기(20)로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한 형태와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고 통화 중에 교환기(20)로 전송되어 교환기(20)가 발신자 확인 서비스임을 확인할 수 있는 형태와 방법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입력된 서비스 식별 코드는 교환기(20)로 전송되고 교환기(20)는 전송된 서비스 식별 코드에 대하여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그 식별 코드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대한 식별 코드임을 확인하고 발신자 확인 장치(30)로 서비스 요청이 왔다는 서비스 요청 신호와 수신자에 대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보낸다(단계 S110).
교환기(20)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와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수신한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340)의 수신자 정보 저장부(342)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자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30).
만일 수신자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발견되지 않으면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교환기(20)를 통하여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예컨대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가입된 유효한 가입자가 아닙니다"와 같은 유효한 가입자가 아님을 나타내는 가입자 미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50).
수신자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발견되면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교환기(20)로 발신자 정보 요청 신호를 보낸다(단계 S170).
교환기(20)는 발신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통화중인 발신자에 대한 전화 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71).
만일 발신자가 공중전화를 이용하거나 발신자 전화 번호를 알 수 없는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하는 등의 이유로 교환기(20)로부터 발신자 전화 번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교환기(20)는 발신자 전화 번호를 확인할 수 없다는 취지의 널(NULL) 신호를 발신자 확인 장치(30)로 전송한다(단계 S172).
널 신호를 전송받은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교환기(20)를 통하여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예컨대 "발신자 전화 번호가 확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 전화내용은 사기일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요"라는 발신자 미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73).
만일 교환기(20)가 발신자 전화 번호가 있음을 확인하면 해당 발신자 전화 번호를 발신자 확인 장치(30)에 전송한다(단계 S190).
발신자 전화 번호를 전송받은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340)의 발신자 정보 저장부(341)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단계 S210).
만일 발신자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가 발견되지 않으면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교환기(20)를 통하여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예컨대 "본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발신자입니다. 따라서 본 전화내용은 사기일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요"라는 발신자 미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30).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가 발견되면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교환기(20)를 통하여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예컨대 "요청하신 발신자는 OOOO입니다. OOOO는 본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가입된 유효한 발신자입니다"와 같은 발신자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50).
따라서 본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가입된 수신자는 통화 도중 발신자 확인 서비스를 요청하여 현재 통화중인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콜러 ID기능의 유무에 관계없이 보다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현재 통화내용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발신자 확인 장치(30)로부터 교환기(20)로 요청이 있을 경우에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발신자 확인 장치(30)로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수신자로부터 교환기(20)로 서비스 식별 코드의 전송이 있을 경우 교환기(20)가 발신자 확인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바로 발신자 정보를 발신자 확인 장치(30)로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더라도 수신자가 본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유효한 가입자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단계(S173)와 단계(S230)을 별개의 단계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계(S173)와 단계(S230)를 같은 하나의 단계로 구성할 수 도 있다.
예컨대 단계(S172)에서 교환기(20)로부터 발신자 확인 장치(30)가 널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자 확인 장치(30)로부터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예컨대 "발신자가 확인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망됩니다"라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고 단계(S230) 또한 단계(S210)에서 발신자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가 발견되지 않으면 상기한 예와 같이 "발신자가 확인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망됩니다"라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방법은 콜러 ID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일반적인 유선전화기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지만 콜러 ID기능을 갖는 휴대폰이나 유무선 전화기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발신자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음성 메시지는 물론 문자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방법은 호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신자가 서비스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서비스 식별 코드의 입력없이도 호가 연결된 후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간 이후에 자동적으로 발신자 확인 동작이 수행되 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신자 확인 서비스에 가입된 수신자로 호를 연결하는 경우 교환기(30)는 먼저 수신자 번호를 발신자 확인 장치(30)로 전송하고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수신된 수신자 번호를 확인하여 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수신자 임이 확인되면 호가 연결된 이후 수신자측 단말기로 발신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방법은 단일 회선을 갖는 발신자에 대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회사 등과 같이 복수의 회선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발신자 정보 저장부(341)에는 복수의 회선에 대한 각 개별적인 발신자 번호를 상기 회사명에 대하여 그루핑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교환기(20)를 통해 전송되는 발신자 번호가 상기 그루핑된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면 발신자 확인 장치(30)는 수신자측 단말기(40)로 상기 회사에 대한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확인 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신자 확인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Claims (9)

  1. 교환 장치와 정합하기 위한 제 1 정합부;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교환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정합부를 통해 입력된 서비스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교환 장치로부터 발신자 번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부;
    시스템 운용자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정합부;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발신자의 유무를 상기 저장부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제 2 정합부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신자 확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발신자 정보 저장부,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수신자 정보 저장부,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발신자 확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 전화 번호, 발신자 명, 발신자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는 발신자 확인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발신자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신자 확인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22495A 2008-03-11 2008-03-11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95A KR101465630B1 (ko) 2008-03-11 2008-03-11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95A KR101465630B1 (ko) 2008-03-11 2008-03-11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89A KR20090097389A (ko) 2009-09-16
KR101465630B1 true KR101465630B1 (ko) 2014-11-27

Family

ID=4135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495A KR101465630B1 (ko) 2008-03-11 2008-03-11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6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145A (ja) * 1992-07-24 1994-0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信者情報通知サービス方法
KR100589438B1 (ko) * 2004-05-01 2006-06-14 인포뱅크 주식회사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145A (ja) * 1992-07-24 1994-0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信者情報通知サービス方法
KR100589438B1 (ko) * 2004-05-01 2006-06-14 인포뱅크 주식회사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89A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17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all
KR1007035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2001005578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거부 방법
US62561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facsimile
KR1003656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US20080188211A1 (en) Method for informing a subscriber of a mobile telephony network about missed calls
KR101465630B1 (ko)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20050052660A (ko) 제3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착신전환번호를 설정하기 위한통화장치 및 방법
KR20020084847A (ko) 인터넷 전화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9731A (ko)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에서 부재중수신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KR100980049B1 (ko) 강제형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20050023853A (ko) 타인의 단말을 이용한 지정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231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JP2010212756A (ja) 通信端末及び交換機
KR20040102646A (ko) 상호 동시통화 요청시 호연결 방법
KR2003002823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기반 발신 번호 제공서비스 방법
KR101078938B1 (ko) 일반전화의 통화가능 상태를 통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65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752046B1 (ko) 선별착신 시스템 및 방법
JP2016054360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KR101109790B1 (ko) 교환기간의 호 처리 방법
KR10081380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101064786B1 (ko) 랜드전화와 연계된 이동전화에의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