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438B1 -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438B1
KR100589438B1 KR1020040030862A KR20040030862A KR100589438B1 KR 100589438 B1 KR100589438 B1 KR 100589438B1 KR 1020040030862 A KR1020040030862 A KR 1020040030862A KR 20040030862 A KR20040030862 A KR 20040030862A KR 100589438 B1 KR100589438 B1 KR 100589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user terminal
caller
text mess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650A (ko
Inventor
장준호
심세규
김순아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43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 상에서 착신자의 단말기(유선전화, 이동전화 등)가 꺼져 있거나, 장시간 받지 않는 경우, 또는 착신자가 SMS 자동응답 상태로 설정해놓은 경우에 발신자에게 착신자가 통화가 불가함을 알리는 음성안내멘트를 내보낸 후 자동으로 통화 연결을 끊고, 발신자에게 착신자가 설정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및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별로 응답 문자 메시지, 상태 정보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상기 상태 정보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의 개시 상태 정보, 조건부 개시 상태 정보 또는 종료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임), 통신사 시스템으로 발신자의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응답 문자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가 개시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자동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응답 문자 메시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소정의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응답 문자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서비스 실시방식은 통신사에서 서비스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단말기를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유무선통신사 모두에서 적용 가능하다.
문자메시지, SMS, 부재중 응답, 자동응답

Description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Method For Providing SMS Auto Response Service}
도 1은 기존의 음성사서함 서비스의 시스템 및 통신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단말기에서 자동응답기능을 하는 경우의 서비스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사에서 ARS가 연계된 SMS 자동응답 서비스를 하는 경우 시스템과 통신망의 접속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MS 자동응답 서비스의 서비스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7, 31, 37 : 이동통신단말기 12, 16, 32, 36 : 기지국
13, 15, 33, 38 : 교환기 14 : VMS(음성사서함 처리서버)
34 : SMSC(문자메시지 처리서버) 35 : SMS 자동응답 서버
351 : ARS부 352 : 제어부
353 : 응답 메시지 DB
본 발명은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발신자에게 착신자가 지정한 안내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망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꺼져있거나, 착신자가 호출음이 오랫동안 울렸음에도 받지 않을 경우 연결을 종료하고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통화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송신한다. 그리고, 특정 이동통신사에서는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라고 하여 발신자의 단말기번호를 착신자에게 문자메시지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일률적인 멘트를 제공하게 되어 발신자입장에서는 단말기가 꺼져있거나 전화를 받지 않는 상황(회의중, 밧데리부족, 영화관람 등)을 알지 못함에 대한 답답함과 불쾌감을 주게 되며, 통화를 몇 차례 재시도하는 경우도 종종 있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와 별도로 단말기에 자동응답기능이 내장된 경우도 있다. 이것은 단말기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발신자로부터 호연결신호가 들어왔을 때 통화를 연결한 다음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멘트를 내보내고 필요에 따라 발신자에게 음성녹음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동응답기능은 유선통신단말기에 이미 오래 전부터 고급형에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무선통신단말기에도 상당수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자동응답기능은 발신자가 음성을 남기는 것을 불편해하며, 통화가 개시된 이후에 음성이 나오기 때문에 안내음성을 듣는 동안에 발생하 는 통화에 대해서 발신자가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이 저조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기술과 인력을 투자하여 구현한 기능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 액세서리로 전락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경우 이동통신 관련하여 음성통화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문자메시지이다.
초기에는 청소년을 중심으로 사용되던 것이 현재는 40대의 중장년까지 사용 층이 널리 확대되어 있다. 문자메시지는 자신의 목소리를 어색하게 녹음해야 하거나 하는 불편없이 문자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쉽게 접근하여 부담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가 통화요청을 해왔을 때 착신자가 통화 불가능하거나 통화를 원치 않는 경우 통화연결을 하지 않고 통신사 서버에서 안내멘트를 내보낸 후 통화를 종료시키고, 별도로 착신자가 미리 지정한 문자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게 하여 착신자의 의사를 알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수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범용적으로 사용확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유선통신망에 연결된 경우이든,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경우이든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별로 응답 문자 메시지, 상태 정보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상기 상태 정보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의 개시 상태 정보, 조건부 개시 상태 정보 또는 종료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임), 통신사 시스템으로 발신자의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응답 문자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가 개시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자동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응답 문자 메시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소정의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응답 문자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발신자의 통신단말기로 응답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후 사용자에게도 발신자의 발신정보(발신자의 번호, 발신 시각 등)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SMS 자동응답 개시 단계에서 응답 문자 메시지를 지정하거나, 추가,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응답 문자 메시지를 등록하거나 변경하는 방식은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MO 서비스(Mobile Originated Service, 무선 단말기에서 통신사 시스템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WAP, WEB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이중 WAP과 MO는 사용자의 통신단말기가 이동전화 등의 무선통신단말기인 경우에 가능한 것으로 각각 무선 인터넷과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먼저, 이하에서 응답 문자 메시지를 등록하는 방식을 ARS, MO, WAP, WEB 각각 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ARS로 등록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통신사가 지정한 번호로 전화를 걸어, ARS 음성안내에 따라 멘트를 녹음하거나 통신사가 보유한 멘트들 중에서 응답 문자 메시지 내용을 선택하게 된다. 이 때, ARS에는 음성인식모듈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음성으로 구술한 내용을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 후 사용자에게 다시 음성으로 확인을 받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복수의 응답 문자 메시지를 등록하고 각 메시지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 등을 취하여 SMS 자동 응답 개시 시 상기 복수의 응답 문자 메시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선택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MO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경우는 통신사가 지정한 번호로 응답 문자 메시지로 설정하고 싶은 내용을 보내게 되며, 다수의 응답 문자 메시지를 등록하는 경우 해당되는 일련번호를 응답 문자 메시지 내에 통신사와 정한 규약에 따라 삽입하여 전송하게 된다.
WEB을 통해 응답 문자 메시지를 등록 변경하고자 할 때는 해당 통신사에서 지정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로 이동한 뒤 SMS 자동 응답 시 발송할 응답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여러 개를 등록해 놓고 필요에 따라 일련번호 등을 지정하여 여러 개의 등록된 응답 문자 메시지 중 어떤 것을 이용할 지를 자동 응답 개시 시 지정하게 할 수도 있다. WAP은 WEB의 경우와 동일하며, 유선인터넷 페이지가 아니라 무선페이지에 접속한다는 것만 다를 뿐이다.
사용자는 유선단말기의 경우는 집을 비우거나 목욕 중과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무선 단말기는 회의를 하거나 영화관람 등을 하게 되는 등 단말기를 끄거나, 받을 수 없는 경우에 SMS 자동 응답 서비스가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SMS 자동 응답 서비스의 개시 방법은 응답 문자 메시지를 등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ARS, MO, WAP, WEB 등을 통해 가능하며, 이하에서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ARS를 이용하여 SMS 자동 응답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통신사가 본 서비스를 위해 지정한 특수번호로 통화를 하게 된다. 무선단말기의 경우 특수번호와 통화 키를 누르게 되는 것이고, 유선단말기의 경우 특수번호만 누르면 된다. 그러면 해당 서버로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가 자동으로 올라오게 되고, 상기 서버는 ARS를 통해 SMS 자동 응답 서비스가 개시가 되었음을 알리는 음성안내를 하고 통화를 차단하게 된다. 이 때 통화를 차단하기 전에 원하는 응답 문자 메시지를 ARS를 통해 지정하거나 수정하거나 등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응답 문자 메시지를 등록한 경우에는 특수번호와 원하는 응답 문자 메시지 일련번호를 같이 눌러서 복수의 응답 문자 메시지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답 문자 메시지를 지정하게 할 수 있다.
MO를 이용하는 방법은 통신사가 지정한 특수번호를 수신번호로 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문자메시지는 발신한 사용자의 단말기번호와 함께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서버에서는 해당 단말기번호에 대해 SMS 자동 응답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문자메시지에 원하는 안내멘트를 적어서 보내오면 상기 안내멘트를 응답 문자 메시지의 내용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안내멘트가 없거나 안내멘트로 부적절한 일정 길이 이하의 멘트가 왔을때는 사용자가 이전에 미리 설정한 내용이나, 통신사에서 임의로 제공하는 내용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WAP을 이용하는 방법은 통신사가 지정한 URL을 무선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SMS 자동 응답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소정 메뉴에 들어가서 개시를 선택하는 방식이며, WAP을 이용하여 SMS 자동 응답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은 WEB을 이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수행되며 유선 인터넷이 아닌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했다는 정도의 차이만이 있을 뿐이다. 이 때도 SMS 자동 응답 서비스 개시를 설정하면서 동시에 응답 문자 메시지를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SMS 자동응답을 개시하지 않은 채 전원이 꺼져 있거나 일정시간 이상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SMS 자동 응답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사 시스템의 교환기는 "전원이 꺼져 있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라는 음성멘트를 발송한 후 발신자 단말기와의 호 설정을 종료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와 발신자의 발신자 단말기의 번호와 발신 시각을 SMS 자동응답서버로 전송한다. SMS 자동응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를 가지고 응답 메시지 DB를 참조하여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전원 오프시 무조건 개시"인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전원 오프시 무조건 개시인 경우이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응답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호 연결을 시도한 때로부터 일정 기간,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신호음 전송 후 일정 기간 내에 상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SMS 자동응답 상태를 해지하는 방법은 개시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통신사에서 해지번호로 지정한 특수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식과, MO방식에 의해 해지요청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방식, 무선이나 유선인터넷을 통해 URL에 접속하여 해당 메뉴를 찾아 해지하는 방법이다.
이 때 ARS로 개시를 하였다고 해서 ARS로만 해지가능한 것은 아니며, 개시와 해지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는 불가능하나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의 정보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는 발신자의 통화요청 시각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번호 등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에게 문자메시지 또는 CID(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로 전송하게 된다. 무선단말기의 경우 전원이 켜져 있으면 실시간으로, 꺼져 있으면 켜지는 시점에 서버는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 준다. 유선단말기의 경우는 CID 전용 단말기인 경우 CID로, 그렇지 못한 일반적인 유선단말기의 경우는 연계된 무선단말기로 발신자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연계된 무선단말기란 SMS 자동응답을 개시한 유선단말기가 CID단말기가 아닌 경우 발신자정보를 대신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를 말한다. 연계된 무선단말기의 등록은 응답 문자 메시지와 유사한 방법으로 ARS, MO, WEB, WAP 등을 통해 사전 등록할 수 있으며, 응답개시 요청시 등록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ARS를 이용하여 SMS 자동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 서버(35)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SMS 자동 응답 서버(35)는 ARS부(351), 제어부(352) 및 응답 문자 메시지 데이터베이스(353)를 포함한다.
응답 문자 메시지 DB(353)는 사용자 단말기 별로 응답 문자 메시지, 상태 정보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하여 응답 문자 메시지 데이터베이스(353)에 포함된 응답 문자 메시지는 복수 개 등록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응답 문자 메시지는 각각 부여된 일련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먼저, 011-123-4567이라는 사용자 단말기(31)번호를 가진 A라는 사용자가 통신사에서 지정한 SMS 자동응답 개시용 특수번호(예를 들면, *22)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른다.(만일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가 유선단말기라면 수화기를 들고 특수번호만 누르면 된다.) A로부터의 통화요청은 통신사 시스템의 교환기(33)를 통해 SMS 자동응답서비스 서버(35)의 ARS부(351)에 도달한다. ARS부(351)는 제어부(352)로 사용자의 단말기(31)번호와 사용자 A가 누른 번호를 전달한다. 제어부(352)는 전달 받은 사용자 단말기(31)번호의 상태 정보를 SMS 자동응답 서비스 개시에 대한 개시 상태 정보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하여(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와 연관하여) 자동 응답 메시지 DB(353)에 기록한다. 또한, 사용자가 누른 번호가 특수번호 외에 일련번호가 같이 온 경우(예, 1) 응답메시지 등록 응답 문자 메시지 DB(353)를 참조하여 복수의 응답 문자 메시지 중에서 사용자가 1번으로 지정한 응답 문자 메시지를 SMS 자동 응답 서비스로 전송할 응답 문자 메시지로 설정한다. 만일 부가적으로 전달된 일련번호가 없으면, 사용자가 디폴트로 정한 응답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가 디폴트로 정한 메시지가 없는 경우 통신사가 정한 내용을 포함하는 응답 문자 메시지를 SMS 자동 응답 서비스에 의해 전송할 응답 문자 메시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ARS부(351)는 "SMS 자동응답이 개시되었습니다"라는 음성안내를 사용자에게 내보낸다. 실시예에 따라 ARS부(351)로 등록메시지 변경이 가능하며 이 경우 ARS부(351)는 개시 음성안내를 내보낸 후 "설정하신 응답메시지는 '회의 중입니다. 회의가 끝난 후 연락드리겠습니다'이며, 응답메시지를 변경 하시려면 1번 …"과 같은 음성안내를 내보내 응답 문자 메시지를 변경 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음성안내중간에 사용자가 통화를 끊으면 응답 문자 메시지의 변경 없이 SMS 자동 응답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렇게 사용자 A의 요청에 따라 SMS 자동응답개시를 한 이후 016-9876-5432라는 발신자 단말기(37)번호를 가진 B라는 사람이 사용자 A의 사용자 단말기(31)번호인 011-123-4567로 전화를 건다. 통신사 시스템의 교환기(33)는 사용자 A의 사용자 단말기(31)로 호연결을 하기 전에 SMS 자동응답서버(35)에 사용자 단말기(31)의 상태를 요청한다. SMS 자동 응답 서버(35)는 상기 요청에 따라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353)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31)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된 상태 정보가 "개시 상태 정보"인 경우, 즉 사용자 A가 SMS 자동응답을 요청한 상태라는 것을 확인 후 이 사실을 통신사 시스템으로 통지한다. 통신사 시스템의 교환기(33)는 발신자 B의 발신자 단말기(37)로 "전원이 꺼져 있거나 전화를 받을 수가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발송한 후 발신자 단말기(37)와 연결된 호를 해제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SMS 자동응답서버(35)는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가 개시 상태 정보인 경우, 응답 메시지 DB(353)에서 사용자 단말기(31)와 연관하여 등록되어 있는 응답 문자 메시지(복수의 응답 문자 메시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응답 문자 메시지)가 SMSC(문자메시지 처리 서버)(34)를 통해 발신자 B의 발신자 단말기(37)에게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A에 의해 발신자정보 요청이 되어 있는 경우 SMS 자동응답서버(35)는 사용자 A의 사용자 단말기(31)번호로 발신자 B의 발신자 단말기(37)번호와 발신자 단말기(37)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었던 시각인 통화시각 등의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자 문자 메시지를 SMSC(3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1)로 발송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A의 사용자 단말기(31)가 유선전화인 경우 발신자 정보를 문자메시지가 아닌 CID서비스로 보내거나, A가 미리 등록해놓은 연계된 문자메시지수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발신자 정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SMS 자동응답신청을 해놓은 번호가 02-123-4567이고, 사용자 A가 연계된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로 011-1234-5678을 등록해 놓았다면, SMS 자동응답 개시 상태에서 02-123-4567로 통화요청이 왔을 경우 SMS 자동응답 서버(35)는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문자 메시지를 011-1234-5678의 번호를 갖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 별로 응답 메시지 DB(353)에 등록되어 있다.
사용자 A가 SMS 자동응답상태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역시 통신사가 해지를 위해 지정한 특수번호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른다.(만일 이때 사용자 A의 사용자 단말기가 유선단말기라면 수화기를 들고 특수번호만 누르면 된다.) 사용자 A로부터의 통화요청은 교환기(33)를 통해 SMS 자동응답서버(35)의 ARS부(351)에 도달한다. ARS부(351)는 제어부(352)로 사용자의 단말기(31)번호와 사용자 A가 누른 번호를 전달한다. 제어부(352)는 전달 받은 사용자 단말기(31)번호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종료 상태 정보"로 갱신하여 응답 문제 메시지 DB(353)에 기록하고 ARS부(351)는 "SMS 자동응답이 해지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안내를 사용자 A에게 내보낸 후 사용자 단말기의 호 연결을, 즉 통화를 끊는다. 이때 음성안내중간에 사용자가 통화를 끊어도 해지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사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이 꺼져있거나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전화를 한 경우 발신자에게 전화를 받을 수 없음을 수신자가 작성한 내용의 메시지로 전송하여 수신자의 상태를 전달하여 줌으로써 발신자에게 일방적으로 통화가 안됨으로써 느꼈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게 되고, 기존 자동응답 방식들이 수신자와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음성안내 등이 되었던 것과 달리 통화연결이 안된 상태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짐으로써 발신자가 통화료를 부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방식은 유무선통신사 모두에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그 활용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7)

  1.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별로 응답 문자 메시지, 및 SMS 자동 응답 서비스의 개시 상태 정보, 조건부 개시 상태 정보, 종료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통신사 시스템으로 발신자의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응답 문자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가 개시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응답 문자 메시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소정의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응답 문자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별로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응답 문자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상기 단계는,
    (a) 상기 응답 문자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1)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가 검색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발신자 정보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정보는 상기 발신자로부터 호 연결이 요청된 시각,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발신자 단말기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가 종료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호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가 조건부 개시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이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호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한 후 일정 기간 이내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호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자동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응답 문자 메시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응답 문자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별로 응답 문자 메시지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MO(Mobile Originated) SMS 서비스,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인터넷,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 문자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응답 문자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MO(Mobile Originated) SMS 서비스,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인터넷,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SMS 자동 응답 서비스의 상태 변경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개시 상태 정보, 조건부 개시 상태 정보 또는 종료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로 갱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6. 삭제
  7.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별로 응답 문자 메시지 및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발신자의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상태 정보가 SMS 자동응답을 요청한 상태인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응답 문자 메시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응답 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상태 정보가 발신자 정보를 요청한 상태일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제2 사용자 단말기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정보는 상기 발신자로부터 호 연결이 요청된 시각,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발신자 단말기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20040030862A 2004-05-01 2004-05-01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0589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862A KR100589438B1 (ko) 2004-05-01 2004-05-01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862A KR100589438B1 (ko) 2004-05-01 2004-05-01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650A KR20050105650A (ko) 2005-11-08
KR100589438B1 true KR100589438B1 (ko) 2006-06-14

Family

ID=3728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862A KR100589438B1 (ko) 2004-05-01 2004-05-01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4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456A1 (ko) * 2012-12-31 2014-07-03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5630B1 (ko) * 2008-03-11 2014-11-27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14B1 (ko) * 2005-12-08 2008-01-16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20070079371A (ko) * 2006-02-02 2007-08-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자동 응답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0190A (ko) * 2014-07-18 2016-01-27 정선호 문자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116A (ko) * 2002-06-19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20040033688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KR20040100282A (ko) *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케이티 피에스티엔 호 무응답시 발신자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107010A (ko) * 2003-06-12 2004-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부재알림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116A (ko) * 2002-06-19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20040033688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KR20040100282A (ko) *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케이티 피에스티엔 호 무응답시 발신자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107010A (ko) * 2003-06-12 2004-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부재알림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9711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30B1 (ko) * 2008-03-11 2014-11-27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자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04456A1 (ko) * 2012-12-31 2014-07-03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650A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583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US6912400B1 (en) Procedure to transmit information at telephone answering service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US2013007897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CN1319359C (zh) 一种来话接入方法
GB2403621A (en) Notifying a caller of a user&#39;s availability following a missed call
WO2007091261A1 (en) Non-linear voicemail
KR100589438B1 (ko)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0466859B1 (ko)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605833B1 (ko) 부재중 전화 메시지 제공 시스템, 메시지 데이터 서버, 응답 서비스 센터 및 전화기
KR20050018912A (ko) 단말기의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변경전화번호 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10918B1 (ko) 비착신시 휴대폰 문자메시지 바로 전송 장치
KR100554795B1 (ko)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200343718Y1 (ko) 비착신시휴대폰문자메시지바로전송장치
KR10049230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음성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1006232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 중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KR2001004765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KR20000010277A (ko) 음성사서함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KR100223162B1 (ko) 호출기의 음성녹음에 대한 응답녹음확인방법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60033304A (ko) 통신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 착신호 제어서비스 방법
US20040092294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one-touch call operation using a wireless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