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688A -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688A
KR20040033688A KR1020020062911A KR20020062911A KR20040033688A KR 20040033688 A KR20040033688 A KR 20040033688A KR 1020020062911 A KR1020020062911 A KR 1020020062911A KR 20020062911 A KR20020062911 A KR 20020062911A KR 20040033688 A KR20040033688 A KR 20040033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user
cellular phone
exchange
ab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3688A/ko
Publication of KR20040033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688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사용자가 장기간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대방이 상기 휴대폰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폰을 통해 기지국에 미리 등록해 놓은 부재중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상대방에게 상기 휴대폰 사용자가 현재 부재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휴대폰에서 부재중 알림 기능키를 입력하는 부재중 알림 설정단계; 상기 키입력에 따라 부재중 알림 신호가 기지국을 통해 교환기에 전송되어 상기 교환기에 제1 휴대폰에 대한 부재중 알림 기능이 등록되는 부재중 알림 등록단계; 제2 휴대폰에서 상기 제1 휴대폰으로 호를 연결하고자 하는 호연결 요청신호가 상기 교환기에 전송되면,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상기 제1 휴대폰의 사용자 부재중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부재중 알림 메시지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Method for notifying mobile user's absence}
본 발명은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사용자가 장기간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대방이 상기 휴대폰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폰을 통해 기지국에 미리 등록해 놓은 부재중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상대방에게 상기 휴대폰 사용자가 현재 부재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사용자가 장기간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휴대폰의 서비스 센터에 일시 중지 서비스를 신청하고, 그 후 다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센터에 신청한 일시 중지 서비스를 해지해야 하는 등 그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자들은 장기간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게 되더라도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 사용자와 통화를 위해 전화를 거는 상대방은 상기 사용자와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이유를 알지 못한 채 여러 번 통화 연결을 위한 시도를 함으로써 시간적 낭비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장기간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을 통해 교환기에 부재중 알림 기능을 등록하면, 상대방이 상기 휴대폰으로 전화를 거는 경우에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상기 사용자의 부재중을 알리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휴대폰에서 부재중 알림 기능키를 입력하는 부재중 알림 설정단계; 상기 키입력에 따라 부재중 알림 신호가 기지국을 통해 교환기에 전송되어 상기 교환기에 제1 휴대폰에 대한 부재중 알림 기능이 등록되는 부재중 알림 등록단계; 제2 휴대폰에서 상기 제1 휴대폰으로 호를 연결하고자 하는 호연결 요청신호가 상기 교환기에 전송되면,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상기 제1 휴대폰의 사용자 부재중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도록하는 부재중 알림 메시지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휴대폰
20: 제2 휴대폰
50: 교환기
100: 기지국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와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도면 부호 10은 부재중 알림 기능을 설정하는 휴대폰으로 이하에서 '제1 휴대폰'이라 하고, 도면 부호 20은 상기 제1 휴대폰(10)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상대방의 휴대폰으로 이하에서 '제2 휴대폰'이라 칭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재중 알림 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휴대폰(10)에는 해당 키가 추가되거나 또는 메뉴 항목에서 '부재중 알림 기능 설정'등과 같은 항목이 추가되어 있다.
제1 휴대폰(10)의 사용자가 해외 출장과 같이 장기간동안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휴대폰(10)에 마련되어 있는 부재중 알림 기능을 위한 키를 입력한다(S10).
상기 제1 휴대폰(10)에서 부재중 알림 기능을 위한 키가 입력되면서 기지국(100)을통해 교환기(50)에 상기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기지국(50)에 상기 제1 휴대폰(10)에 대한 부재중 알림 기능이 등록되게 된다(S20).
특히, 상기 사용자가 제1 휴대폰(10)에서 부재중 알림 기능을 위한 키를 입력할 때, 상대방에게 발송할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면, 상기 교환기(50)에 상기 문자 메시지가 함께 등록된다.
상기 제1 휴대폰(10)에 부재중 알림 기능키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이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키를 누르고 상대방에게 발송될 문자 메시지를 입력한 후 다시 상기 기능키를 누르면, 교환기(50)에는 상기 제1 휴대폰(10) 사용자의 부재중 알림 기능이 등록되면서 상기 제1 휴대폰(10)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메시지가 함께 등록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지금은 출장중입니다. O월 O일 이후에 돌아옵니다'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교환기(50)에 등록할 수 있다.
상대방이 제2 휴대폰(2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폰(10)에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S30), 즉 상기 제1 휴대폰(10)으로 호를 연결하고자 상기 제1 휴대폰(10)의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교환기(50)에서는 상기 제1 휴대폰(10) 사용자가 현재 부재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하여 상기 제2 휴대폰(20)에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S40).
이때, 상기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등록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100)에서 사용자의 부재중을 알리는 메시지가 제2 휴대폰(20)으로 전송됨과 함께 상기 문자 메시지가 상기 제2 휴대폰(20)으로 발송되게 된다.
도 1에서는 도면부호 100의 기지국이 하나의 통신업체 기지국임을 가정하여 도시하였으므로 상기 기지국(100)을 하나의 교환기(50)가 관할하지만, 두개의 기지국(100)이 각각 다른 업체의 기지국일 경우에는 각 기지국을 관할하는 교환기(50)가 각각 존재한다.
제1 휴대폰(10)의 부재중 알림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 교환기와 제2 휴대폰(20)의 호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교환기가 별도의 교환기이면, 제2 휴대폰(20)으로부터 호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한 교환기에서 상기 제1 휴대폰(10)의 부재중 알림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 교환기로의 호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등록되어 있는 부재중 알림 메시지가 상기 제2 휴대폰(20)의 교환기 및 해당 교환기 관할 기지국을 통해 제2 휴대폰(20)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휴대폰(10) 사용자와 통화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은 상기 제1 휴대폰(10) 사용자의 부재중 정보를 얻게 되며 더 이상 통화 연결을 시도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기지국에 부재중 알림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상기 휴대폰으로 통화 연결을 위해 전화를 거는 상대방의 휴대폰으로 상기 사용자의 부재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사용자가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인식시켜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제1 휴대폰에서 부재중 알림 기능키를 입력하는 부재중 알림 설정단계;
    상기 키입력에 따라 부재중 알림 신호가 기지국을 통해 교환기에 전송되어 상기 교환기에 제1 휴대폰에 대한 부재중 알림 기능이 등록되는 부재중 알림 등록단계;
    제2 휴대폰에서 상기 제1 휴대폰으로 호를 연결하고자 하는 호연결 요청신호가 상기 교환기에 전송되면,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상기 제1 휴대폰의 사용자 부재중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부재중 알림 메시지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알림 설정단계는,
    상기 부재중 알림 기능키를 입력하면서 상기 제2 휴대폰으로 발송할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는 문자 메시지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KR1020020062911A 2002-10-15 2002-10-15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KR20040033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911A KR20040033688A (ko) 2002-10-15 2002-10-15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911A KR20040033688A (ko) 2002-10-15 2002-10-15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688A true KR20040033688A (ko) 2004-04-28

Family

ID=3733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911A KR20040033688A (ko) 2002-10-15 2002-10-15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36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38B1 (ko) * 2004-05-01 2006-06-14 인포뱅크 주식회사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1125628B1 (ko) * 2004-12-27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발신자로의 에스엠에스 통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38B1 (ko) * 2004-05-01 2006-06-14 인포뱅크 주식회사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1125628B1 (ko) * 2004-12-27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발신자로의 에스엠에스 통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36553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US10182158B2 (en) Voice gateway-based communication method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20040033688A (ko) 휴대폰 사용자 부재중 알림방법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850631B1 (ko) 삼자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삼자통화 방법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JP2004528734A6 (ja) 国際電話の経路選択情報/状態ネットワーク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43771B1 (ko)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20040043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방법
KR20050023853A (ko) 타인의 단말을 이용한 지정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JP5652006B2 (ja) 中継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ショートメッセージ中継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0022841A (ja) メール機能を備えた電話機におけるメッセージ返送方法
KR100972930B1 (ko) 호연결시 문자메시지 즉시 통보 방법
KR20040043340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긴급통화 알람방법
KR2003002823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기반 발신 번호 제공서비스 방법
KR102125391B1 (ko) 보안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53232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5882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호 처리 시스템및 방법
JP3676164B2 (ja) コードレス電話接続装置
JP2015046652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