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731B1 - 자동차 실내등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731B1
KR101406731B1 KR1020130036690A KR20130036690A KR101406731B1 KR 101406731 B1 KR101406731 B1 KR 101406731B1 KR 1020130036690 A KR1020130036690 A KR 1020130036690A KR 20130036690 A KR20130036690 A KR 20130036690A KR 101406731 B1 KR101406731 B1 KR 10140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delete delete
fixed
conca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탁
Original Assignee
김지환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130036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60Q3/53Modular mounting systems, e.g. using tracks, rails or multiple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67Door handles; Hand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천장의 수용공간부에 매설된 채 탑승자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인출 입입되는 조명판과, 도어트림에 체결 고정된 채 탑승자 방향으로 절첩되는 스탠드본체를 포함하는 자동차 실내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실내등을 접근시켜 탑승자가 밝은 조명하에서 용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점과 실내등을 탑승자의 용무에 국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등{The Car Courtesy Light}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과 도어트림 부위에 실내등을 장착 구비함에 있어, 천장에서는 인출 인입이 가능한 실내등을 구비하고, 도어트림에서는 힌지되어 회전 가능한 실내등을 구비함에 따라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실내등을 이동시켜 용무를 볼 수 있는 자동차 실내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기존의 실내등은 주로 천장 중앙에 고정되어 중앙 부근만 국소적으로 밝혀주는 백열조명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바닥 부분이나 빛이 닿지 않는 부분에서는 조명이 어두워 탑승자가 용무를 수행하기가 어려웠고, 실내등을 켜게 되면 자동차 내부 전체 공간에 빛을 비추게 됨으로써 야간 시에는 운전자의 운전 환경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설령, 실내등을 사용하더라도, 실내등과 멀리 떨어진 부근에서는 조명 빛이 어두워 탑승자의 눈이 쉽게 피로하게 되고, 충분한 조도를 발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조명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었으므로 특히 차 안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경우 천장 실내등으로는 용무를 보기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트림에는 손잡이 부분의 작은 수납공간 외의 다른 부가적 기능이 없었다. 특히, 도어트림의 상단에는 유리 창문을 열고 닫을 때 유리가 이동할 수 있는 얇은 공간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공간의 이용이 없었다.
따라서, 도어트림 부근에는 조명의 기능이 전혀 없어, 도어트림과 근접하여 있는 탑승자 및 운전자가 자신의 손 위치 근처에서 빛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즉, 도어트림은 겉면의 디자인만 바뀌어 왔을 뿐 조명과 관련된 부가적 기능을 갖지 못하였다.
기존 자동차의 천장 부위에 고정된 실내등은 불을 켜도 밝지 않아 자동차 안에서 책을 읽기 어려우며 노트북 같은 전자기기로 업무를 볼 때에도 주위가 어두워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물론 천장등을 LED로 교체해서 밝기를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한다면 옆 좌석에 앉은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또한 운전자의 운전 집중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실내등과 관련되어 안출된 기술들로는 특허출원 제10-2012-0056670호(특허문헌 1), 특허출원 제10-2008-0049309호(특허문헌 2), 특허출원 제20-1995-0043660호(특허문헌 3) 등의 기술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LED조명장치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지 않은 점과 아울러 LED 조명이 들어 있는 케이스 자체를 좌우로 움직이게 하거나 LED조명을 아래 위로 인출 인입하는 기능이 없어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조명을 근접하기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조명장치가 도어트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조명을 근접함이 어렵고, 아울러 상기 특허문헌 3의 경우에도 실내등이 천장에 고정되어 있어 위 아래로 실내등을 인입 인출할 수 없어 여전히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조명의 근접이 불가능하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56670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08-0049309호. 한국특허출원 제20-1995-0043660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실내등은, 천장과 도어트림 부위에 구비된 실내등을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실내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실내등은, 천장부의 수용공간부에 매설된 채 탑승자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인출 입입되는 조명판과, 도어트림에 체결 고정된 채 탑승자 방향으로 절첩되는 스탠드본체를 포함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판에는 천정부의 수용공간부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향되는 상태로 매설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며 인출시에 치합되는 조명판 후면부에 연장된 출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본체는 도어트림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서 회전되며 접이를 이루는 LED조명이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회전부재를 연결하는 피벗힌지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회전부재가 지지부재와 접이를 이룰 때 인출되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걸려 회전부재를 잠그게 하는 잠금구와, 상기 잠금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부재의 내부에 고정되어 잠금구의 인출시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본체는 도어트림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서 회전되며 접이를 이루는 LED조명이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회전부재를 연결하는 피벗힌지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서로 자성에 의해 접착되게 유도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부재는 조명판의 인출시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와, 후방 단부에 더 이상의 인출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돌출된 걸림핀과, 상기 대향된 출입부재의 내부에 매설되어 대향된 출입부재를 자성으로 치합되게 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천정부의 수용공간부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편에 각각 한쌍으로 천정부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부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중앙 저부에 형성된 분할팁을 지지하게 되는 H형부재와, 상기 H형부재의 중앙 저부에 돌출되어 출입부재의 인입시 출입부재를 대향되게 분리하는 분할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천장의 수용공간부에 매설된 채 탑승자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인출 입입되는 조명판에 있어서, 조명판 후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봉에 고정되어 조명판 인입시 탄성을 제공하여 조명판 인입을 자동으로 구현하게 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의 타단과 고정되어 조명판 입입시 태엽스프링을 감게 되는 회전봉과, 수용공간부를 중심으로 천정부 바닥에 대향된 상태로 고정된 채 상기 상기 회전봉의 양단부를 끼움 고정하여 지지하는 수용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함부재에는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회전봉의 일측 단부와 고정되어 회전봉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 주변에 마련되어 인출된 조명판을 인입하기 위해 젖힘 동작으로 기어 잠금을 해제하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는 조명판 인출 완료시 태엽스프링의 복귀력에 따라 역회전하려고 하는 기어를 멈추게 기어 이에 걸림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에 연장되어 천장 겉면으로 관통 돌출된 손잡이와, 상기 걸림쇠와 손잡이의 중간 부위를 힌지하여 작동레버의 젖힘을 구현하게 하는 힌지핀과, 작동레버의 젖힘 이후 탄성에 의해 작동레버가 복귀되도록 걸림쇠와 힌지핀의 중간 부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용함부재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판은 LED조명이 설치되는 자동차 실내등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실내등은,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실내등을 접근시켜 탑승자가 밝은 조명하에서 용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실내등을 탑승자의 용무에 국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내부 전체를 조명하는 문제점을 해결함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집중을 방해하지 않아 운전자의 운전 환경을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어트림 부근의 실내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내등의 스탠드본체 저부에 설치된 LED조명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어트림 부근의 실내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천정 부근의 실내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내등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천정 부근의 실내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내등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요부인 작동레버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실내등에 의하면, 탑승자가 밝은 조명하에서 용무를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자동차에 설치된 실내등을 근접 이동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어트림 부근에 피벗 힌지 방식을 사용한 스탠드본체와 천정 부근에 인출 인입 가능한 조명판을 포함한 자동차 실내등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어트림(10) 부근에 설치 고정되는 스탠드본체(11)를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에 있어서, 도어트림(10)의 활용 가능한 부근에 스탠드본체(11)가 마련되는데, 이때 상기 스탠드본체(11)는 도 2에서와 같이 도어트림(10)의 활용 가능한 부근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부재(12)와, 이 지지부재(12)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2)와 회전부재(13)의 연결은 피벗힌지부(14)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회전부재(13)가 지지부재(1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2)는 도어트림(10)의 활용 가능한 부근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고정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3)가 지지부재(12)를 중심으로 회전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조명(13a)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트림(10)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부근에 스탠드본체(11)가 장착고정됨에 따라, 스탠드본체(11)의 미사용시에는 회전부재(13)가 지지부재(12) 방향으로 접힘 상태를 이루게 되고, 스탠드본체(11)의 사용시에는 지지부재(12)로부터 회전부재(13)를 회전시켜 회전부재(13)의 펼침으로 LED조명(13a)이 빛을 조사함으로써 탑승자가 밝은 조명 아래에서 원하는 용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에 있어서, 회전부재(13)가 지지부재(12)와 접이를 이룰 때에 회전부재(13)가 지지부재(12)에 걸림 상태로 고정됨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서 회전부재(13)의 일단부에 인출 인입이 가능한 잠금구(13b)가 마련되고, 상기 잠금구(13b)의 인출시 잠금구(13b)에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13c)이 마련된다.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3c)은 회전부재(13)의 일단부 부근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설치되어 일단은 잠금구(13b)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부재(13)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잠금구(13b)가 회전부재(13)로부터 인입 인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잠금구(13b)가 삽입 가능한 홀(미도시)이 회전부재(13)의 일단부에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아울러 압축코일스프링(13c) 역시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어야 하는 고정수단이 잠금구(13b)와 매몰된 회전부재(13) 내부에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용무를 완료한 후, 회전부재(13)를 지지부재(12)에 접이할 경우 잠금구(13b)를 인출시킨 다음 놓게 되면, 압축코일스프링(13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잠금구(13b)가 인입되며 지지부재(12)를 걸어 회전부재(13)의 잠금 고정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잠금구(13b)는 지지부재(12)와 걸림의 용이함을 위하여 절곡된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예와 같이, 스탠드본체(11)는 회전부재(13)와 지지부재(12) 및 피벗힌지부(14)의 구성부는 동일하되, 상기 회전부재(13)와 지지부재(12)의 일단에 각각 마련된 자석(15)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3)와 지지부재(12)가 서로 자성에 의해 접착된다.
즉, 상기 자석(15)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잠금구(13b) 대용으로 택일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에 있어서, 천정부(20)의 수용공간부(21)에서 조명판(25)이 인출 인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됨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판(25)이 상기 수용공간부(21)에 인입되어 고정됨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용공간부(21)의 벽면인 천정부(20) 벽면의 양단부에 걸림홈(21a)을 형성하고, 조명판(25)에 잠금레버(26)가 매설됨을 이루게 된다.
상기 잠금레버(26)는 상기 천정부(20) 벽면의 걸림홈(21a)과 체결되는 걸림돌기(26a)와, 조명판(25)에 매설된 상태로 일측은 힌지되고, 일측 힌지 하방향은 잠금레버(26)의 횡방향 탄성을 갖도록 조명판(25)에 매설 고정된 압축코일스프링(26c)과 연결되며, 타측은 조명판(25)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잠금레버(26)의 걸림 해제 조작을 용이하도록 한 손잡이(26b)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부(21)으로 인입되며 천정부(20)의 벽면과 밀착되는 조명판(25)에 의해 조명판(25)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조명판(25)의 인출 구현에 있어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부(21)를 중심으로 천정부(20)의 바닥부에 가이드홈(22a)과 걸림턱(22b)을 갖는 가이드레일(22)이 대향되게 1쌍 2조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각 가이드레일(22) 상면에 연장된 H형부재(23)가 마련되고, 상기 H형부재(23)의 저면 중앙에 분할팁(23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H형부재(23)는 각 가이드레일(22) 상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일체될 수도 있는데, 하기 도면에서는 분리된 형태로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생략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대향된 가이드레일(22)의 가이드홈(22a)을 따라 이동하는 출입부재(24)가 수용공간부(21)를 중심으로 대칭되어 더 마련된다. 상기 대칭된 출입부재(24) 상에는 요철부(24a)를 형성하고, 후단에는 걸림핀(24b)을 형성하며, 대칭된 출입부재(24)가 인출될 때 서로 자성에 의해 치합됨을 이루도록 각 출입부재(24) 내부에 다수의 자석(24c)이 일정간격으로 매설됨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출입부재(24)의 전단은 조명판(25) 후면과 일체됨을 이루게 되고, 상기 조명판(25)에 LED조명(25a)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판(25)이 수용공간부(21)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용무를 수행하고자 조명판(25)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잠금레버(26)의 손잡이(26b)를 조명판(25) 내측방향으로 밀게 되면, 압축코일스프링(26c)이 압축되며 걸림돌기(26a)가 수용공간부(21)의 벽면에 해당되는 천정부(20)의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21a)으로부터 탈거된다.
곧, 조명판(25)을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조명판(25)과 일체된 출입부재(24)가 가이드레일(22)의 가이드홈(22a)을 따라 이동하며 수용공간부(21)로 인출된다.
상기 수용공간부(21)로 인출되는 대향된 출입부재(24)는 자석(24c)에 의해서 서로 치합됨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대향된 출입부재(24)의 요철부(24a)가 서로 물리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출입부재(24)의 인출이 완료되면 더 이상의 출입부재(24) 탈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부재(24) 후단에 마련된 걸림핀(24b)이 가이드레일(22)의 걸림턱(22b)에 걸려 정지된다.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인출된 조명판(25)의 LED조명(25a)을 이용하여 용무를 수행하고 난 후에, 다시 조명판(25)을 수용공간부(21) 방향으로 인입함에 있어서, 조명판(25)을 수용공간부(21)인 상방향으로 민다.
이때, 치합된 출입부재(24)는 H형부재(23)에 마련된 분할팁(23a)에 의해 분리되면서 각각 가이드레일(22)의 가이드홈(22a)을 따라 원 위치대로 복귀되고, 조명판(25)이 수용공간부(21) 면과 밀착될 때 잠금레버(26)의 걸림돌기(26a)가 압축코일스프링(26c)의 탄성을 받아 수용공간부(21)의 천정부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21a)으로 진출하면서 걸림되어 조명판(25)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에 있어서, 천정부(20)의 수용공간부(21)에서 조명판(36)이 인출 인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됨을 설명하기로 한다.
조명판(25)이 천정부(20)의 벽면에 체결 고정됨은 앞서 제3 실시 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용공간부(21)를 기준으로 천정부(20)의 바닥부 대향면에 수용함부재(30)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대향된 수용함부재(30)에 일단과 타단이 끼움되어 회전하는 회전봉(34)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봉(34)에는 태엽스프링(35)의 일단이 고정되고, 태엽스프링(35)의 타단은 조명판(36)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조명판(36)에는 LED조명(36a)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대향된 수용함부재(30) 중 어느 한쪽의 수용함부재(30) 내부에는 기어(31)가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기어(31) 하방향에 작동레버(3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회전봉(34)의 일단은 기어(31)가 내설된 수용함부재(30)를 관통하여 기어(31)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함부재(30)와 대향된 맞은편 수용함부재(30)에만 끼움되어 회전된다.
즉, 회전봉(34)이 회전될 때 회전봉(34) 일단과 체결된 기어(31)와 함께 회전됨을 이루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32)는 기어(31)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기어(31)를 멈추게 하는 걸림쇠(32a)와, 상기 걸림쇠(32a)에 연장되어 천정부(2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동레버(32)의 손쉬운 젖힘을 이루게 하는 손잡이(32b)와, 상기 걸림쇠(32a)와 손잡이(32b)의 중간 부위가 수용함부재(30)의 내측에서 힌지될 수 있게 마련된 힌지핀(32c)과, 상기 걸림쇠(32a)와 상기 힌지핀(32c) 사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천정부(20) 바닥부에 고정되어 작동레버(32)에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32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32b)는 상부면이 하방향으로 오목부(32b') 형상을 갖게 되어 천정부(20)와 손잡이(32) 사이로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손잡이(32b)를 잡는 것이 편리하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실내등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 실시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잠금레버(26)를 젖혀 조명판(36)을 수용공간부(21)로부터 잠금을 해제한 다음, 조명판(36)을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조명판(36)의 당김력에 의해 회전봉(34)의 회전과 함께 태엽스프링(35)이 상기 회전봉(34)으로부터 풀리며 조명판(36)이 하방향으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회전봉(34)의 회전에 따라 회전봉(34) 일단과 체결고정된 기어(31)도 함께 정회전을 갖게 되는데, 이때 작동레버(32)의 걸림쇠(32a)는 기어(31) 톱니와 부딪치며 틸팅하게 된다. 상기 걸림쇠(32a)의 틸팅은 압축코일스프링(32d)의 탄성력 때문이다.
곧, 상기 조명판(35)의 인출이 완료되면 태엽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봉(34)은 기어(31)와 함께 역회전을 이루려 하지만, 작동레버(32)의 걸림쇠(32a)가 역회전을 이루려 하는 기어(31) 톱니를 멈추게 함으로써 기어(31)와 회전봉(34)의 역회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인출된 조명판(36)은 태엽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인입되지 않고 인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탑승자는 LED조명(36a)이 조사하는 밝은 조명 아래에서 용무를 수행할 수 있다.
탑승자의 용무 수행 이후, 다시 조명판(36)을 수용공간부(21)로 인입 복귀하고자 할 경우, 작동레버(32)의 손잡이(32b)을 젖히게 되면, 압축코일스프링(32d)이 압축되면서 걸림쇠(32a)가 기어(31)의 톱니로부터 해제된다.
곧, 태엽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봉(34)과 기어(31)의 역회전이 구현되고, 회전봉(34)은 풀린 태엽스프링(35)을 감게 된다.
이때, 감김을 이루는 태엽스프링(35)에 의해 조명판(36)이 수용공간부(21) 방향으로 인입됨을 이루다가 천정부(20)의 걸림홈(21a)에 잠금레버(26)의 걸림돌기(26a)가 걸림되면서 조명판(36) 고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실내등은 상술된 바와 같이 천정부(20)와 도어트림(10) 부근에 실내등을 마련하되, 이러한 실내등이 탑승자의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밝은 조명 아래에서 탑승자가 용무를 볼 수 있고, 아울러 조사 빛이 국한될 수 있어 운전자의 운전 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10 : 도어트림 11 : 스탠드본체
12 : 지지부재 13 : 회전부재
13a : LED조명 13b: 잠금구
13c: 압축코일스프링 14 : 피벗힌지부
15 : 자석
20 : 천정부 21 : 수용공간부
21a: 걸림홈
22 : 가이드레일 22a : 가이드홈
22b: 걸림턱
23 : H형부재 23a: 분할팁
24 : 출입부재 24a: 요철부
24b: 걸림핀 24c: 자석
25 : 조명판 25a : LED조명
26 : 잠금레버 26a: 걸림돌기
26b: 손잡이 26c: 압축코일스프링
30 : 수용함부재 31 : 기어
32 : 작동레버 32a: 걸림쇠
32b: 손잡이 32b 오목부
32c: 힌지핀 32d: 압축코일스프링
34 : 회전봉 35 : 태엽스프링
36 : 조명판 36a: LED조명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천정부의 수용공간부에 매설된 채 탑승자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인출 입입되는 조명판;
    천정부의 수용공간부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향되는 상태로 매설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며 인출시에 조명판 후면부에 연장되어 서로 치차되고, 조명판의 인출시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
    후방 단부에 더 이상의 인출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돌출된 걸림핀;
    상기 대향된 요철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대향된 요철부를 자성으로 치합되게 하는 자석;
    천정부의 수용공간부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편에 각각 한쌍으로 천정부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요철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각 가이드레일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마련되어 중앙 저면에 형성된 분할팁을 지지하게 되는 H형부재;
    상기 H형부재의 중앙 저부 부위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요철부의 인입시 요철부를 대향되게 분리하는 분할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실내등.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36690A 2013-04-04 2013-04-04 자동차 실내등 KR10140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690A KR101406731B1 (ko) 2013-04-04 2013-04-04 자동차 실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690A KR101406731B1 (ko) 2013-04-04 2013-04-04 자동차 실내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731B1 true KR101406731B1 (ko) 2014-06-12

Family

ID=5113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690A KR101406731B1 (ko) 2013-04-04 2013-04-04 자동차 실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034A (ja) * 1994-10-24 1996-05-14 Kanto Auto Works Ltd ドアトリム内蔵式多方向照明装置
KR970001157U (ko) * 1995-06-26 1997-01-21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착탈식 실내등
KR970037781A (ko) * 1995-12-28 1997-07-24 한승준 차량용 실내등
KR19980036902A (ko) * 1996-11-20 1998-08-05 김영귀 도어트림 내장형 독서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034A (ja) * 1994-10-24 1996-05-14 Kanto Auto Works Ltd ドアトリム内蔵式多方向照明装置
KR970001157U (ko) * 1995-06-26 1997-01-21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착탈식 실내등
KR970037781A (ko) * 1995-12-28 1997-07-24 한승준 차량용 실내등
KR19980036902A (ko) * 1996-11-20 1998-08-05 김영귀 도어트림 내장형 독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71271U (zh) 照明把手组件
JP5444693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6117207A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JP3657431B2 (ja) 自動車の乗降用アシストグリップ
US10093226B1 (en) Deployable vehicle light assembly
JP2005225257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406731B1 (ko) 자동차 실내등
CN104053575A (zh) 用于可撤消地锁定货舱地板的支架以及具有支架的车辆
KR101465527B1 (ko) 수화물선반
JP6413947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US20090001789A1 (en) Panel assembly for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JP2016088499A (ja) 自動車用照明装置
JP6751813B2 (ja) 車両用荷室構造
JP5084040B2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US20070014121A1 (en) Detachable light for vehicle interiors
CN105073498B (zh) 被照亮的车辆内部构件
JP5626831B2 (ja) 乗り物用物入れ装置
JP3426153B2 (ja) 自動車用後部ウインドウにおける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646364B1 (ko) 자동차의 통합형 룸램프
JP6021451B2 (ja) 車両用内装装置における光源配置構造
KR100937266B1 (ko) 자동차 실내 글러브박스의 회전식 조명장치
WO2018167977A1 (ja) 車両用荷室構造
JP2013159229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060089279A (ko) 자동차용 독서등의 구조
KR100693276B1 (ko) 차량의 승객용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