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593B1 - 스티어링 컬럼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593B1
KR101404593B1 KR1020080071613A KR20080071613A KR101404593B1 KR 101404593 B1 KR101404593 B1 KR 101404593B1 KR 1020080071613 A KR1020080071613 A KR 1020080071613A KR 20080071613 A KR20080071613 A KR 20080071613A KR 101404593 B1 KR101404593 B1 KR 10140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elastic bushing
fixing member
hole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643A (ko
Inventor
이치호
김영주
손호철
이진웅
이인우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5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63Part of the steering column replaced by flexible means, e.g. cable o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탄성 부싱 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컬럼은 차체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재킷,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면과 상기 재킷의 외주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재킷의 외주 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싱을 포함한다.
스티어링 컬럼, 고정 부재, 재킷, 탄성 부싱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 인터미디어트 샤프트(intermediate shaft) 및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티어링 컬럼과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회전력을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로 전달한다.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틸트(tilt) 기능과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틸트 기능은 주행 중 운전자의 체형 또는 운전자의 운전 자세에 맞추어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편안한 운전과 안전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기능은 운전자의 운전 자세에 맞추어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컬럼(column)을 수축 또는 인출시킴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충돌 사고 시에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충돌하면,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이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상해를 줄인다.
이러한 틸트 기능은 컬럼에서 수행하며 텔레스코프 기능은 컬럼과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는 아웃터 샤프트(outer shaft)를 포함한다. 아웃터 샤프트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구멍의 내주 면에 스플라인(spline)이 형성된다. 인너 샤프트(inner shaft)는 스플라인에 삽입되도록 외주 면에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인너 샤프트와 아웃터 샤프트 사이에 몰딩(molding)이 형성된다.
몰딩은 인너 샤프트와 아웃터 샤프트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인너 샤프트가 아웃터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몰딩의 외부 표면과 아웃터 샤프트의 내부에 틈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은 어퍼 틸트 앤드 텔레스코픽 타입(upper tilt & telescopic type)과 로어 틸트 앤드 텔레스코픽 타입(lower tilt & telescopic type)을 포함한다.
여기서 어퍼 틸트 앤드 텔레스코프 타입의 스티어링 컬럼은 상단부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 및 레버를 포함한다. 이때 레버를 잡아 당겨 잠김을 해제한 후 스티어링 휠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텔레스코픽 기능 작동 시 실린더 형상의 재킷(jacket)에 로어 샤프트(lower shaft)가 삽입되고 충돌 사고 발생 시 자동차의 반동에 의해 스티어링 휠에 운전자의 얼굴이 충돌하게 되면, 재킷이 로어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아웃 재킷이 인너 재킷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내부에 배치된 로어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도 같이 슬라이딩된다.
로어 틸트 앤드 텔레스코픽 타입의 스티어링 컬럼은 실린더 형상의 아웃터 재킷(outer jacket)을 포함한다.
인너 재킷(inner jacket)은 아웃 재킷에 삽입된다. 부싱(bushing)은 아웃터 재킷의 내주 면과 인너 재킷의 외주 면 사이에 설치된다. 어퍼 샤프트(upper shaft)는 아웃터 재킷의 내부에 삽입된다. 로어 샤프트(lower shaft)는 어퍼 샤프트에 삽입된다.
로어 틸트 앤드 텔레스코픽 타입의 스티어링 컬럼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얼굴과 스티어링 휠이 충돌하여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인너 재킷과 로어 샤프트가 아웃 재킷과 어퍼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아웃 재킷이 인너 재킷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아웃 재킷은 플라스틱 핀으로 고정된 제1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고 인너 재킷은 제2 고정 브라켓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고정 브라켓과 제2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2피스 로어 힌지 타입(2-piece lower hinge type)이라고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고정 브라켓은 자동차의 운전석 측의 프레임 상단부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휠에 운전자의 얼굴이 충돌하는 순간 제1 고정 브라켓과 아웃 재킷을 연결하고 있는 플라스틱 핀이 파손되면서 아웃 재킷이 인너 재킷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이때 부싱이 인너 재킷과 아웃 재킷의 적당한 속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마찰력을 갖게 해준다. 또한 이 마찰력으로 인해 충격이 감쇠 된다.
제2 고정 브라켓은 자동차의 운전석 측의 프레임 하단부에 고정되며 힌지를 갖는다. 틸트 작동 시 힌지의 회전으로 스티어링 휠을 틸트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너 재킷과 아웃 재킷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인너 재킷과 아웃 재킷의 내주 면에 배치된 로어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도 슬라이딩 되게 된다. 즉, 로어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에 플라스틱 핀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 핀은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얼굴과 스티어링 휠의 충돌이 발생되면 충격에 의해 파손됨으로써, 충격이 감쇠 된다. 그리고 로어 샤프트가 어퍼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러나 이러한 로어 틸트 앤드 텔레스코픽 타입의 스티어링 컬럼은 최근 자동차의 구조를 복잡하게 설계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의 2피스 로어 힌지 타입을 채택하고 있는 인너 재킷과 아웃 재킷의 슬라이딩 범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티어링 컬럼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재킷의 슬라이딩 범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개발해야 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을 갖는 탄성 부싱을 이용함으로써, 스티어링 컬럼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재킷의 슬라이딩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은 차체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재킷,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면과 상기 재킷의 외주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재킷의 외주 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싱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싱은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고리 형상을 가지는 몸체,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의 주위의 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한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성 코팅이 상기 탄성 부싱의 내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가 상기 탄성 부싱의 내부 또는 상기 재킷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탄성 부싱의 내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보강 부재가 상기 탄성 부싱의 내부 또는 상기 재킷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탄성 부싱의 내주 면에 설치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싱의 몸체의 내부 또는 상기 내주 면에 설치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보강 몸체, 그리고 상기 보강 몸체의 한 끝단에서 상기 탄성 부싱의 플랜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싱의 몸체의 양 끝단 중 상기 플랜지가 형성된 끝단의 내측 모 서리와 반대편 끝단의 외측 모서리 중 일부가 모따기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싱이 관통공을 가지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재킷의 틸팅(tilting)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측 및 하측 부분의 두께가 좌측 및 우측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싱은 상기 재킷과 접촉하는 내주 면이 돌출된 부분과 함몰된 부분을 포함하는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싱은 탄성을 가지는 링 형상의 패드, 상기 패드의 내주 면과 상기 재킷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인너 링, 그리고 상기 패드의 외주 면과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아웃터 링을 포함한다. 상기 인너 링과 상기 아웃터 링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링은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의 주위의 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한 끝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윤활성 코팅이 상기 인너 링의 내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부재에 탄성 부싱을 설치하고 탄성 부싱의 삽입구에 재킷을 삽입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탄성 부싱에 의해 재킷의 틸팅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 또는 정비 시 컬럼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 및 정비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단면도를 갖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내부에 보강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내주 면에 보강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인너 링과 아웃터 링 및 패드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아웃터 링 몸체에 플랜지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은 고정 부재(110)를 포함한다.
도 2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10)는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자동차의 운전석 측 차체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 부재(110)는 고정 부위(113)를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 부위(113)를 차체에 접촉시킨 후 볼트(bolt)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정 부재(110)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111)은 재킷(jacket)(120)을 삽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 부재(110)의 한 면에는 재킷(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12)가 구비되고, 이 돌출부(112) 및 고정 부재(110)의 해당 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1)이 재킷(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12)는 고정 부재(110)의 강성을 증가시키며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능의 작동으로 재킷(120)이 슬라이딩할 때 탄성 부싱(elastic bushing)(130)을 지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재킷(12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고정 부재(11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이 중공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 steering shaft)가 설치된다. 또한 재킷(120)의 중단 부위에 고정 브라켓(bracket)(121)이 설치되는데, 이 고정 브라켓(121)에는 틸트 기능 시 재킷(120)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위한 레버(122)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121) 및 레버(122)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부싱(130)은 고정 부재(110)의 관통공(111)에 삽입되며 몸체(132)와 플랜지(133)를 포함한다. 탄성 부싱(130)은 몸체(132)가 고정 부재(110)의 관통공(111)을 형성하는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몸체(13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재킷(120)이 삽입되도록 내주 면에 삽입구(131)를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133)는 몸체(132)의 한 끝단에서 몸체(13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 고정 부재(110)의 관통공(111)의 주위의 부분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33)의 한 면이 고정 부재(110)의 돌출부(112)의 끝단에 접촉됨으로써, 플랜지(133)가 고정 부 재(110)의 돌출부(112)에 걸린다.
삽입구(131)를 형성하는 탄성 부싱(130)의 내면에 윤활성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윤활성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재킷(120)이 탄성 부싱(130)의 삽입구(131)에서 슬라이딩 시 마찰 저항을 줄여 슬라이딩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싱(130)은 몸체(132)의 양 끝단 중 플랜지(133)를 형성한 끝단의 내측 모서리와 반대편 끝단의 외측 모서리 중 일부가 모따기로 제거된 경사면(134a, 134b)을 갖는다. 이와 같이 경사면(134a,134b)을 형성함으로써, 재킷(120)을 삽입구(131)에 삽입하거나 탄성 부싱(130)을 고정 부재(110)의 관통공(111)에 삽입할 때 경사면(134)을 따라 재킷(120) 또는 탄성 부싱(130)이 미끄러지면서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140)가 탄성 부싱(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강 부재(140)는 보강 몸체(141)와 보강 플랜지(142)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보강 몸체(141)는 탄성 부싱(130)의 몸체(132)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 플랜지(142)는 보강 몸체(141)의 한 끝단에서 탄성 부싱(130)의 플랜지(133)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강 플랜지(142)는 재킷(120) 슬라이딩 시 탄성 부싱(130)의 플랜지(133)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재킷(120)이 탄성 부싱(130)의 삽입구(131)를 따라 슬라이딩 시 보강 플랜지(142)는 탄성 부싱(130)의 플랜지(133)를 지지함으로써, 재 킷(120)이 슬라이딩할 때 재킷(120)과 탄성 부싱(1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탄성 부싱(130)이 고정 부재(110)의 관통공(111)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랜지(142)는 탄성 부싱(13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fram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강 부재(14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킷(120)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탄성 부싱(130)의 내주 면에 보강 부재(1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보강 부재(140)를 탄성 부싱(130)의 내주 면에 설치하게 되면, 재킷(120)과 접촉되어 슬라이딩 시 재킷(120)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싱은 고리 형상의 몸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몸체는 상측 및 하측 방향 즉, 틸트(tilt) 방향으로 위치되는 부분의 두께가 좌측 및 우측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싱의 외주 면이 타원 형태(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틸트 방향으로 위치하는 부분을 두껍게 형성하게 되면 전체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틸트 방향으로 위치되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보다 많이 압축될 수 있어 틸트 각이 커질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싱은 재킷과 접촉되는 내주 면이 돌출된 부분과 함몰된 부분을 갖는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엠보싱 형상의 탄성 부싱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금속 재질의 엠보싱 형상의 탄성 부싱을 형성할 경우 틸트 작동 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싱(230)은 탄성을 가지는 링 형상의 패드(236, pad)를 포함한다.
인너 링 (inner ring)(235)은 패드(236)의 내주 면과 재킷(120)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아웃터 링(outer ring)(237)은 패드(236)의 외주 면과 고정 부재(110)의 관통공(111)을 형성하는 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아웃터 링(237)과 인너 링(235)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인너 링(235)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구(231)를 구비하는 링 형상을 가진다. 재킷(120)이 인너 링(235)의 삽입구(23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기능이 확보된다.
패드(236)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고무 재질의 패드(236)가 인너 링(235)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패드(236)의 압축에 의해 재킷(120)의 틸팅 작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윤활성 코팅이 인너 링(235) 내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윤활성 코팅을 적용함으로써, 재킷(120)이 인너 링(235)의 내주 면을 따라 슬라이딩 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웃터 링(238)은 플랜지(2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플랜지(239)는 고정 부재(110)의 관통공(111)의 주위의 부분에 걸리도록 한 끝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 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단면도를 갖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내부에 보강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내주 면에 보강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인너 링과 아웃터 링 및 패드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 부싱의 아웃터 링 몸체에 플랜지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고정 부재 111 : 관통공
112 : 돌출부 113 : 고정 부위
120 : 재킷 130 : 탄성 부싱
131 : 삽입구 132, 138: 플랜지
133 : 몸체 134 : 경사면
135 : 인너 링 136 : 패드
137 : 아웃터 링 140 : 보강 부재
141 : 보강 몸체 142 : 보강 플랜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체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재킷,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면과 상기 재킷의 외주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재킷의 외주 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싱을 포함하고,
    보강 부재가 상기 탄성 부싱의 내부 또는 상기 재킷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탄성 부싱의 내주 면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
  5. 차체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재킷,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내면과 상기 재킷의 외주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재킷의 외주 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싱은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고리 형상을 가지는 몸체,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공의 주위의 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한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하고,
    보강 부재가 상기 탄성 부싱의 내부 또는 상기 재킷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탄성 부싱의 내주 면에 설치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싱의 몸체의 내부 또는 상기 내주 면에 설치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보강 몸체, 그리고
    상기 보강 몸체의 한 끝단에서 상기 탄성 부싱의 플랜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컬럼.
  6.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스티어링 컬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71613A 2008-07-23 2008-07-23 스티어링 컬럼 KR10140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613A KR101404593B1 (ko) 2008-07-23 2008-07-23 스티어링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613A KR101404593B1 (ko) 2008-07-23 2008-07-23 스티어링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43A KR20100010643A (ko) 2010-02-02
KR101404593B1 true KR101404593B1 (ko) 2014-06-12

Family

ID=4208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613A KR101404593B1 (ko) 2008-07-23 2008-07-23 스티어링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5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22A (en) * 1985-03-08 1986-10-14 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elease bushing and deforming bracket
KR20070052011A (ko) * 2005-11-16 2007-05-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70052527A (ko) * 2005-11-17 2007-05-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80002250A (ko) * 2006-06-30 2008-01-0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브라켓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22A (en) * 1985-03-08 1986-10-14 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elease bushing and deforming bracket
KR20070052011A (ko) * 2005-11-16 2007-05-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70052527A (ko) * 2005-11-17 2007-05-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80002250A (ko) * 2006-06-30 2008-01-0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브라켓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43A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5458B2 (ja) 防振装置
EP2977639A1 (en) Spring rubber seat, and strut-type suspension
KR20200066689A (ko) 주파수 동조 댐퍼 및 그 댐퍼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
US9108672B2 (en) Steering column apparatus
EP1787890A1 (en) Steering unit
JP2017159696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ダンパ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180022289A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WO2017056415A1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6463200B2 (ja) スプリングガイド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463199B2 (ja) ラバーシート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740087B2 (ja) 防振装置
KR101404593B1 (ko) 스티어링 컬럼
EP3040575B1 (en) Vibration-damping device
US20020158393A1 (en) Spring carrier
KR101138160B1 (ko) 충격 흡수식 조향장치
US10814903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vehicle
JP6437739B2 (ja) サスペンション機構
KR101404595B1 (ko)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부싱
JP5965274B2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JP626913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167920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80292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유닛
KR101622125B1 (ko) 차량용 조향 틸트 구조체
KR10207601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KR10086077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브라켓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