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727B1 -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 Google Patents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727B1
KR101403727B1 KR1020120078579A KR20120078579A KR101403727B1 KR 101403727 B1 KR101403727 B1 KR 101403727B1 KR 1020120078579 A KR1020120078579 A KR 1020120078579A KR 20120078579 A KR20120078579 A KR 20120078579A KR 101403727 B1 KR101403727 B1 KR 10140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alt
dye
natural fib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740A (ko
Inventor
정현자
Original Assignee
정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자 filed Critical 정현자
Priority to KR102012007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7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5Locally discharging th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mordant dyes ; using metallisable d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염색 과정에 있어서, 천연염료가 염착된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을 디자인된 형상을 따라 살포하여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이 살포된 형상에 따라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섬유의 본 염색 과정 직후에 염액이 마르기 전에 소금을 특정 형상에 따라 살포하여 소금이 살포된 영역의 염액을 소금이 흡수함으로써 무늬가 자연스레 형성되게 하는 소금의 살포를 통해 디자인을 형성하고 소금이 염액을 흡수하여 발색된 색상의 채도에 차이를 발생시켜 천연 섬유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The method for patterning of natural fabrics using salt}
본 발명은 천연 염색 과정에 있어서, 천연염료가 염착된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을 디자인된 형상을 따라 살포하여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이 살포된 형상에 따라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섬유원단에 천연재료로부터 추출한 염료로 천연 염색을 하는 방법들이 일반 가정이나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중금속 오염과 발암물질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면서 섬유의 염색과정에서 쓰이는 합성염료에 포함될 여지가 있는 각종 위해요소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천연염색의 대중화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 염색은 자연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원재료로부터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추출하여 이를 천연섬유원단에 염색하는 염색기법으로서, 시각적인 아름다움은 물론이거니와 자연으로부터 느껴지는 포근한 촉감과 인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거부감이 줄어들어 합성섬유나 합성염료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들에게 안전성을 제공한다. 천연 염색에 사용되는 염료의 종류에는 청색계열로는 청대(쪽), 적색계열로는 소목과 홍화, 자주색계열로는 오배자, 황색계열로는 황련과 황백, 흑색계열로는 신나무 등이 있다. 또한 염료의 추출 공법도 원재료의 특성에 따라 산성수추출, 알칼리수추출, 생즙추출, 알코올추출, 발효추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천연 염색과정에 추가적으로 소금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8455호(탄닌으로 기능성을 강화시킨 무늬포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감잎에서 추출한 탄닌을 섬유에 고르게 피복하여 탄닌과 구성 섬유가 서로 결착되어서 다양한 무늬가 가능한 기능성 무늬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는 무늬의 형성을 위해 친화성 처리한 면포에 무늬를 성형한 스크린 판을 밀착시키고 탄닌 농축액을 도포시켜 과량의 탄닌 용액을 압착하여 제거시키고 무늬를 형성시켜 상온에서 컨디셔닝하는 방법으로 섬유에 무늬를 형상하도록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무늬포를 통한 섬유원단의 무늬 형성은 그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와 손쉬운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천연 염색의 특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다소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천연 염색을 함에 있어 염료가 염착된 천연섬유 원단의 상면에 도안된 형상대로 소금을 살포하여 소금이 살포된 영역을 따라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여 천연 염색의 단조로운 이미지를 다채롭게 변화시키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연염료가 염착된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을 디자인된 형상대로 살포하여 상기 소금이 살포된 영역은 액상인 천연염료가 소금에 의해 흡수되어 천연염료의 색보다 옅은 색으로 발색되고 소금이 살포되지 않은 영역은 원래 천연염료의 색으로 발색되어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이 살포된 형상에 따라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소금을 이용한 천연 염색은 천연섬유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10);와, 천연재료로부터 천연염료를 추출하는 염료추출단계(S20);와, 정련된 천연섬유를 천연염료로 매염하는 매염단계(S30);와, 매염된 천연섬유를 상기 천연염료로 염착하는 염색단계(S40);와, 소금을 디자인된 형상을 따라 천연섬유 상면에 살포하는 살포단계(S50);와, 소금이 살포된 천연섬유를 일광 건조하는 건조단계(S60);와, 소금을 제거한 후 천연섬유를 수세하여 일광 건조하여 본 색의 채도를 증가시키는 발색단계(S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료추출단계(S20)는 천연원료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20-1);와, 세척된 천연원료를 파쇄하는 분쇄단계(S20-2);와, 분쇄된 천연원료 600 g 에 발효제 25 g 을 첨가하여 35 내지 40 ℃의 온도에서 발효하는 발효단계(S20-3);와, 발효된 천연원료를 정제수 20 L 에 투입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S20-4);와, 상기 추출물을 100 ℃ 에서 10 내지 20 분간 소독하는 살균단계(S20-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염료는 다양한 천연재료에서 추출되어 다양한 색을 조성하는 발색염료와 상기 발색염료가 천연섬유에 긴밀히 염착되도록 탄닌 성분을 포함하는 매염제로 구성되고, 상기 소금의 굵기와 건조단계(S60)에서 건조시간을 달리 구성하여 무늬의 표현을 다양하게 구성하며, 발효제는 누룩, 엿기름, 쌀엿, 물엿, 막걸리, 요구르트 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섬유를 천연염료로 염색하는 과정에서 천연섬유에 소금을 디자인된 형상을 따라 살포하여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단조로운 단색이나 민무늬로 염색된 천연섬유에 소금을 살포하는 단순한 기법으로 다채로운 무늬를 표현하여 천연 염색으로 제조되는 천연섬유원단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고, 소금의 살포로 이루어지는 무늬 표현 방법이 단순하여 미취학 아동 및 유아의 정서발달을 위한 교육과정에도 이용될 수 있어 천연 염색의 대중화를 촉진시키고, 아울러 소금의 소비를 증가시켜 국내 염전 업계의 매출을 진작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천연염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제 완성품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기술에 앞서, 본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원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천연섬유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련하는 세척단계(S10);와, 천연재료로부터 천연염료를 추출하는 염료추출단계(S20);와, 정련된 천연섬유를 천연염료로 매염하는 매염단계(S30);와, 매염된 천연섬유를 천연염료로 염착하는 염색단계(S40);와, 소금을 디자인된 형상을 따라 천연섬유의 상면에 살포하는 살포단계(S50);와, 소금이 살포된 천연섬유를 일광 건조하는 건조단계(S60);와, 소금을 제거한 후 천연섬유를 수세하여 일광 건조하는 발색단계(S70);로 이루어져 본 발명이 완성됨을 나타내며, 상기 염료추출단계(S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를 통해 천연원료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20-1);와, 세척된 천연원료를 파쇄하는 분쇄단계(S20-2);와, 분쇄된 천연원료 600 g에 발효제 25 g을 첨가하여 35 내지 40 ℃의 온도에서 발효하는 발효단계(S20-3);와, 발효된 천연원료를 정제수 20 L에 투입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S20-4);와, 상기 추출물을 100 ℃에서 10 내지 20분간 소독하는 살균단계(S20-5);를 통해 조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 공정의 단계에서 소금의 살포가 이루어지는 살포단계(S50) 이후에 건조단계(S60)에서 건조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소금의 염액 흡수량에 차이가 발생하여 무늬 표현 기법에 차이를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염단계(S30)에서는 매염제로 탄닌 성분이 함유된 감 추출물을 사용하는 데 탄닌 성분이 섬유 염색 후의 견뢰도, 항균성, 소취성을 증가시켜 천연 염색 시 발생하는 섬유의 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체 제조공정을 바탕으로 각 단계의 역할과 유념해야 할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세척단계(S10)는 천연섬유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섬유 자체의 물리적 상태를 변화시켜 천연염료로 조성된 염액이 천연섬유에 긴밀하게 염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천연섬유의 종류에는 한지와 면 또는 실크를 결합하여 조성되는 한지사, 동물성 섬유인 실크, 식물성 섬유인 면, 인체에 친환경적인 유기농법으로 생산된 섬유로 조성된 오가닉(organic)원단, 레이온(rayon)으로도 불리는 인견(artificial silk)을 들 수 있다. 물 10 L에 중성세제 20 내지 30 g을 혼합한 용액에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중량의 천연섬유를 투입하여 70 ℃까지 가열 후, 60 내지 7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0 내지 60분간 1차 열탕하고 흐르는 물에 냉각한 후, 물 10 L가 담긴 용기에서 다시 50 내지 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0 내지 60분간 2차 열탕한 후에 흐르는 물에 다수 차례 냉각하여 정련된 천연섬유를 빨래집게로 말단부를 고정한 채로 빨랫줄에 널어 자연 건조시키거나 드럼세탁기로 탈수하여 건조시켜 천연섬유에 부착된 풀, 기름을 제거하여 염색시 염료의 침투가 잘 이루어지고 균일한 염착이 되도록 한다.
염료추출단계(S20)는 크게 본 색상을 발색시키기 위해 조성되는 발색염료 추출과정과 상기 발색 염료가 천연섬유에 긴밀히 염착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매염제 추출과정으로 구분된다. 매염제는 크게 염색 과정의 처리 순서에 따라 선매염 및 후매염과, 발색염료와 매염제를 동시에 천연섬유에 염착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선매염법을 채택하나 발색염료로 사용되는 천연재료의 특성에 따라 후매염법과 동시매엽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매염제를 탄닌 성분이 함유된 감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떫은 맛을 내는 탄닌 성분은 주위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감, 밤, 도토리, 차나무, 포도주에서 추출할 수 있는 물질로서 화학적으로는 폴리페놀옥시다아제에 의해 산화, 중합하여 착색물질을 형성하는 천연염료의 원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탄닌산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섬유내 염료의 광퇴화를 방지하며, 천연 섬유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단백질 성분을 불용화시켜 천연섬유에 염착된 염료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항균 활성화 기능을 통해 미생물의 성장이 억제되어 항아토피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탄닌 성분을 통해 섬유의 견뢰도 향상 및 항균 활성을 가능하게 하여 염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제11차 학술발표회 논문(떫은 감에서 추출된 탄닌성분의 이화학적 특성- 서지형 외 2명, 1997.10.01)에 따르면 가용성 탄닌 함량이 녹숙감은 1.44 %, 완숙감은 0.64 %, 연시는 0.04 %로 과실의 숙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은 완전히 익은 상태가 아닌 덜 익은 푸른 빛깔을 띠는 풋감을 사용해야 높은 탄닌 성분이 포함된 염료를 추출할 수 있다. 탄닌 성분이 함유된 감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감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세척단계 S20-1;), 감의 껍질, 꼭지, 과육을 통째로 분쇄기에 넣어 과즙 상태의 감을 형성한 후에(분쇄단계 S20-2;), 상기 감즙 600 g에 발효제 25 g을 첨가하여 35 내지 40 ℃의 온도와 pH 5 내지 6을 유지하면서 20 내지 30일간 1차 발효한 후에, 발효제 25 g을 추가하여 동일 조건으로 2차 발효한다(발효단계 S20-3;). 상기 2차 발효된 감에 정제수 20 L를 배합하여, 열수추출법을 통해 65 내지 70 ℃의 온도에서 12 내지 16시간 1차 추출하여 조성된 추출물 중 하부에 침전된 물질을 제외하고 남은 상등액을 다시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0 내지 15시간 2차 추출하고 상등액을 분리하여 감 추출물을 조성한다(추출단계 S20-4;). 상기 감 추출물을 100 ℃에서 10 내지 20분간 살균하고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상등액을 재여과하여 매염제로 사용한다(살균단계 S20-5;). 상기 발효제는 누룩, 엿기름, 쌀엿, 물엿, 막걸리, 요구르트 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특히 막걸리는 섬유 조직을 부드럽게 하고 섬유의 씨줄, 날줄의 간격을 벌려 염료의 염착을 긴밀하게 해주는 성질이 있다. 또한, 상기 추출단계(S20-4)에서 1차 추출과정에서 발생된 침전물에 별도로 정제수 15 L를 배합하여 60 내지 70 ℃의 온도에서 10 내지 15시간 추출하여 생성된 상등액과 상기 2차 추출로부터 얻어진 상등액을 배합하여 감 추출물을 조성할 수 있다.
이제 본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색염료의 추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여러 가지 색상 중에 청색으로 천연섬유를 염색하는 데에 쓰이는 천연재료 중에 대표적인 청대로 발색염료를 구성하고자 한다. 청대는 쪽의 잎을 2 내지 3 일간 정제수에 침지한 후에 쪽을 건져내어 잘게 찧어서 조성된 즙에 알칼리 성분이 포함된 석회를 넣어 저은 후 거품을 제거하고 일광 건조시킨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청대를 분쇄하여 준비된 청대 분말 600 g을 정제수 5 L를 배합하여 30 내지 40 ℃에서 15 내지 30분간 1차 용해시키며, 상기 청대 용액에 천연 알칼리 성분인 잿물을 넣어 25 내지 30 ℃에서 15 내지 30분간 2차 용해시키고 상기 알칼리 성분에 용해된 청대 용액에 발효제 25 g을 첨가하여 35 내지 40 ℃의 온도에서 20 내지 25일간 1차 발효시킨 후, 추가로 발효제 25 g을 첨가하여 2차 발효시킨 후에 상기 청대 추출물을 100 ℃에서 10 내지 20분간 살균하고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등액을 추출하여 발색염료로 사용한다.
상기 매염단계(S30)는 매염제를 30 내지 40 ℃의 온도로 유지시킨 후에, 정련된 천연섬유를 매염액에 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8 내지 16시간 동안 침지시켜 천연섬유에 매염제가 긴밀히 염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염색단계(S40)는 매염이 완료된 후에 흐르는 물에 천연섬유를 수차례 세척한 후에 천연섬유의 면에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펼친 후에 10 내지 20시간 동안 일광 건조하고, 상기 발색염료가 용해된 염액을 30 내지 40 ℃로 냉각한 후에, 선매염처리된 천연섬유를 염액에 담가 15 내지 25시간 동안 침지시켜 구현하고자 하는 본 색상이 천연섬유에서 발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매염, 본 염색 과정을 조성하고자 하는 색상의 채도에 따라 다수 차례 반복하여 염색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살포단계(S50)는 염색이 완료된 천연섬유에 염착된 염액이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탈수한 후에 미리 디자인된 도안에 따라 소금을 천연섬유의 상면에 살포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밑그림 작업을 하는데, 상기 소금은 삼투압 현상에 의해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염액에 의해 염색된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을 살포하면, 살포된 부위 주변의 액체 성분인 염액을 소금이 흡수하기 때문에 소금이 살포된 해당 부위 주변만 색상의 채도가 낮게 되어 자연스레 소금이 살포된 영역이 이루는 형상에 따라 독특한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S60)는 소금의 살포가 완료된 후에 3 내지 5시간 동안 15 내지 20 ℃의 상온에서 일광건조하는 단계로서, 건조시간을 길게 하면 소금이 염액을 흡수하는 양이 증가하여 무늬가 형성되는 영역이 증가하고 윤곽선의 선명도가 낮아지며, 건조시간을 짧게 하면 무늬 형성 영역이 축소되고 윤곽선의 선명도는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내 다양한 표현기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발색단계(S70)는 건조가 완료된 천연섬유로부터 소금을 털어서 제거하여 흐르는 물에 다수 차례 세척한 후에 25 내지 30시간 동안 15 내지 20 ℃의 상온에서 일광건조하여 소금의 살포에 따른 무늬가 덧입혀지도록 발색을 시켜 천연 섬유 원단이 구성되게 한다.
상기 소금 살포 과정에서 소금 입자의 굵기를 선별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의 도안에 따라 다양한 염색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입자 두께가 4 mm 이상인 소금을 의미하는 왕발 소금인 천일염과 두께가 2 내지 4 mm인 중발 소금과 두께가 2 mm 이하인 잔발 소금으로 나누어서 무늬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표현 기법의 다양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건조시간 또는 천연염료의 농도를 다르게 배합하여 천연염료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다르게 하여 소금에 의해 흡수되는 염색부위의 범위를 조절하여 무늬 표현을 다양화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용을 다음 실시 예를 통해 면밀히 파악해 보고자 한다.
<실시 예 1. 선매염제-고백반, 발색염료-청대, 후매염제-감>
우선 천연섬유로는 식물성 섬유인 면을 선택하여 물 10 L에 중성세제 25 g을 혼합한 용액에 충분히 잠기도록 투입하여 70 ℃까지 가열 후, 65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50분간 1차 열탕하고 흐르는 물에 냉각한 후, 물 10 L가 담긴 용기에서 다시 55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40분간 2차 열탕한 후에 흐르는 물에 다수 차례 냉각하여 정련된 천연섬유를 자연 건조시켜 천연섬유에 부착된 풀, 기름, 이물질을 제거하여 염색시 염료의 침투가 잘 이루어지고 균일한 염착이 되도록 한다.
탄닌 성분이 함유된 풋감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감의 껍질과 꼭지 및 과육을 통째로 분쇄기에 넣어 과즙 상태의 감을 형성한 후에, 상기 감즙 600 g에 막걸리 25 g을 첨가하여 35 ℃의 온도와 산도 pH 5.5 를 유지하면서 30일간 1차 발효한 후에, 누룩 25 g을 추가하여 동일 조건으로 2차 발효된 감에 정제수 20 L를 배합하여 열수추출법을 통해 65 ℃의 온도에서 14시간 1차 추출하여 조성된 추출물 중 하부에 침전된 물질을 제외한 상등액만 분리하여 이를 다시 55 ℃의 온도에서 13시간 2차 추출하여 생성된 상등액을 분리하여 감추출물을 조성한다. 상기 감추출물을 100 ℃에서 15분간 살균하고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상등액을 재여과하여 후매염제로 사용한다. 다음에는 적색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천연재료 중에 소목을 선택하여 발색염료를 구성하고자 한다. 우선 소목의 심재 부분만 채취하여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수득된 소목 심재 분말 600 g과 엿기름 30 g을 배합하여 35 ℃의 온도에서 30일간 1차 발효시킨 후, 추가로 누룩 25 g 을 첨가하여 상기 1차 발효와 같은 조건에서 2차 발효시킨 후에 상기 소목 발효물에 정제수 20 L를 투입하여 열수추출법을 통해 40 ℃에서 10시간 동안 열탕을 통해 1차 추출하여 조성된 추출물에서 분리된 상등액을 40 ℃ 의 온도에서 10 시간 동안 2차 추출해서 여과된 상등액을 적색을 발색시키기 위한 발색염료로 사용한다. 상기 소목의 적색 색소의 주성분은 브라질린(brazilin) 인데, 물에 잘 녹아 열수추출로 쉽게 용출되는 성질이 있지만 산성인 탄닌성분으로 구성된 매염제로는 염착이 잘 안 되는 특성이 있어 선매염제로 고백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백반은 매염제로 사용되는 백반을 160 ℃ 이하에서 가열하여 탈수시킨 것으로서 백반 가열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아황산가스가 증발하고 수분과 기타 불순물이 소멸되며, 색의 선명도를 높이고 견뢰도를 증가시켜 염액에 염착된 섬유의 탈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염색 재료의 구성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소금을 이용한 천연 섬유의 천연 염색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고백반으로 구성된 선매염제 15 g을 정제수 20 L에 투입하여 35 ℃의 온도에서 45분간 용해시킨 고백반 매염액에 정련된 천연섬유를 침지하여 35 ℃의 온도에서 60분간 매염하고 소목 심재로부터 추출된 발색염료가 담긴 용기에 상기 매염된 천연섬유를 침지시켜 35 ℃의 온도에서 45분간 본 염색을 한다. 본 염색 후 염액이 천연섬유로부터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만 가볍게 탈수한 후에 가장 굵은 소금인 왕발 소금으로 도안의 윤곽선을 형성한 후에 가장 가는 소금인 잔발 소금으로 섬세하게 표현되어야 할 영역에 소금을 살포하여 무늬를 형성해 나간다. 이 때, 중발 소금은 무늬의 질감 및 결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면 무늬의 입체감을 드러낼 수 있어 더욱더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는 무늬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소금으로 살포된 천연섬유를 60분간 염액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평이 되게 놓아 소금이 염액을 흡수하면서 형성되는 무늬가 일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금이 살포된 천연섬유를 4시간 동안 일광 건조한 후에 섬유 표면으로부터 소금을 걷어내고 다수 차례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흐르는 물을 통해 유입되는 용존산소에 의해 천연 섬유에 염착된 염액이 산화반응을 일으켜 발색이 잘 되도록 한 후에 다시 25시간 동안 일광 건조한다. 이 때 소금이 천연섬유에 접촉되는 시간을 늘릴수록 무늬 영역이 넓어지며 무늬 윤곽선의 첨예도가 떨어지고, 접촉되는 시간을 줄일수록 무늬 영역이 좁아지고 윤곽선의 첨예도가 증가해서 이를 통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소금 무늬가 형성된 천연섬유를 상기 감 추출물로 조성된 후매염액에 35 ℃의 온도에서 50분간 침지한 후에 흐르는 물에 다수 차례 세척하고 30시간 동안 일광 건조하여 소금을 이용해 무늬가 표현된 천연 염색이 완성된다. 상기 후매염액의 농도는 선매염으로 하는 경우보다 1/2 내지 2/3 배 농도를 옅게 구성하여 본 발색염료의 색상을 더 선명하게 구현하되 변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2. 소금 염색 범위의 조절 : 소금의 입도, 염액 농도, 건조 시간>
1. 소금의 입도
상기 살포단계(S50)에서 소금의 입도를 달리 구성하여 실시 예 1에 의해 조성된 염액이 흡수되는 범위와 외곽선의 첨예도를 측정하여, 소금의 입자 크기에 따른 무늬 표현 효과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소금의 입자크기를 표 1과 같이 0.5, 1, 1.5, 2, 2.5, 3, 3.5, 4 mm 와 같이 구성하여 염액에 염색된 천에 한 알갱이씩 떨어트려 5 시간이 경과한 후에, 버니어캘리퍼스(측정범위 : 300 ~ 0.05 mm, Mitutoyo, Japan)를 통해 소금에 의해 흡수된 영역의 직경을 측정하여 흡수범위를 산출하였고, 소금에 의해 흡수된 영역의 가장 큰 직경과 가장 작은 직경의 차이로 첨예도를 산출하였다. 상기 첨예도 측정 시, 영역의 직경은 5 내지 10 회에 걸쳐 측정 방향을 다르게 하여 측정된 값 중에서 가장 큰 수치와 가장 작은 수치를 선정하여 첨예도 산출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12057657872-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금의 입자 크기가 클수록 염액이 흡수되는 범위는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첨예도는 소금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수치가 작게 산출되었다. 이를 통해 큰 입도를 가지는 소금으로 무늬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작은 입도를 가지는 소금으로 좀 더 섬세한 무늬 표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염액의 농도
실시 예 1에 의해 조성된 염액에 배합되는 정제수의 양을 달리 구성하여 염액의 농도를 조절하고 천에 상기 염액을 염색한 후 2 mm 의 입도를 가지는 소금 한 알갱이를 각 천에 떨어트려 상기와 마찬가지로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흡수 범위와 첨예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057657872-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액과 정제수의 배합비를 6 단계로 구성하여 수분함유율에 차이를 보이도록 구성된 염액을 소금이 흡수하는 정도를 흡수 범위와 첨예도로 산출하였다. 염액의 농도가 염액 : 정제수의 배합비가 10 : 10 인 경우에 흡수 범위와 첨예도 값이 가장 크고 농도가 진할수록 흡수 범위와 첨예도 값은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염액 농도를 진하게 할수록 좀더 작고 세밀한 무늬 표현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염액과 정제수의 배합비는 중량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3. 건조 시간
염액에 염색된 천을 건조하는 시간을 달리 구성하여 소금이 염액을 흡수하는 시간을 다르게 부여함으로써 무늬가 표현되는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우선 건조시간은 1, 2, 4, 8, 12, 20 시간으로 총 6 단계로 구성하였고, 소금의 입도는 2 mm 로 구성하고 상기와 같은 측정 방법으로 표 3과 같은 측정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12057657872-pat0000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건조시간이 증감함에 따라 흡수범위와 첨예도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나 건조시간이 8시간을 경과한 이후부터는 흡수범위와 첨예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건조시간에 따른 무늬 표현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4 내지 8 시간 이내의 범위 내에서 건조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시간을 늘일수록 큰 무늬를 형성하되, 외곽선의 세밀함은 감소하고 건조시간을 줄일수록 무늬가 작게 형성되고 좀더 정교한 표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염액의 농도와 소금의 굵기 및 소금이 살포된 천연섬유의 일광 건조 시간을 달리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무늬의 표현 기법을 구현할 수 있어 천연 염색의 다채로움을 한껏 끌어올려 단조롭거나 지루하기 쉬운 천연 염색의 멋을 극대화하고 제작과정의 즐거움을 맛보게 할 수 있다.
S10 : 세척단계
S20 : 염료추출단계
S30 : 매염단계
S40 : 염색단계
S50 : 살포단계
S60 : 건조단계
S70 : 발색단계
S20-1 : 세척단계
S20-2 : 분쇄단계
S20-3 : 발효단계
S20-4 : 추출단계
S20-5 : 살균단계

Claims (7)

  1. 천연염료로 천연섬유를 염색하는 천연 염색 과정의 무늬 표현 방법에 있어서,
    천연염료가 염착된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을 디자인된 형상을 따라 살포하여 상기 소금이 살포된 영역은 액상인 천연염료가 소금에 의해 흡수되어 천연염료색보다 옅은 색으로 발색되고 소금이 살포되지 않은 영역은 원래 천연염료의 색으로 발색되어 천연섬유의 상면에 소금이 살포된 형상에 따라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굵기가 다른 잔발, 중발, 왕발 소금을 사용하여 소금이 살포된 영역 주변의 천연염료가 흡수되는 범위와 형성되는 무늬 윤곽선의 첨예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정제수와 배합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농도가 상이하게 조성되는 천연염료를 사용하여 소금이 살포된 영역 주변의 천연염료가 흡수되는 범위와 형성되는 무늬 윤곽선의 첨예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천연섬유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련하는 세척단계(S10);와,
    천연재료로부터 천연염료를 추출하는 염료추출단계(S20);와,
    정련된 천연섬유를 천연염료로 매염하는 매염단계(S30);와,
    매염된 천연섬유를 천연염료로 염착하는 염색단계(S40);와,
    소금을 천연섬유의 상면에 살포하는 살포단계(S50);와,
    소금이 살포된 천연섬유를 3 내지 8 시간 동안 일광 건조하는 건조단계(S60);와,
    소금을 제거한 후 천연섬유를 수세하여 일광 건조하여 염색된 색상의 채도를 증가시키는 발색단계(S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염료는 천연섬유의 색을 조성하는 발색염료;와, 발색염료가 천연섬유에 긴밀히 염착되게 하는 탄닌 성분이 포함된 매염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추출단계(S20)는 천연원료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20-1);와,
    세척된 천연원료를 파쇄하는 분쇄단계(S20-2);와,
    분쇄된 천연원료 600 g에 발효제 25 g을 첨가하여 35 내지 40 ℃의 온도에서 발효하는 발효단계(S20-3);와,
    발효된 천연원료에 정제수 20 L를 투입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S20-4);와,
    상기 추출물을 100 ℃에서 10 내지 20분간 소독하는 살균단계(S20-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제는 누룩, 엿기름, 쌀엿, 물엿, 막걸리, 요구르트 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KR1020120078579A 2012-07-19 2012-07-19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KR10140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79A KR101403727B1 (ko) 2012-07-19 2012-07-19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79A KR101403727B1 (ko) 2012-07-19 2012-07-19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40A KR20140011740A (ko) 2014-01-29
KR101403727B1 true KR101403727B1 (ko) 2014-06-03

Family

ID=5014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579A KR101403727B1 (ko) 2012-07-19 2012-07-19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863A (ko) 2018-11-22 2020-05-29 (주) 오방색 호료를 이용한 천연문양 염색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37A (ko) * 1999-05-04 1999-08-05 장영호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KR200188914Y1 (ko) 2000-02-18 2000-07-15 정혜향 천연염료로 염색된 편직물
KR20020055468A (ko) * 2000-12-28 2002-07-09 이응원 무정형 무늬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80003284A (ko) * 2007-12-17 2008-01-07 신계남 감물을 이용한 무늬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37A (ko) * 1999-05-04 1999-08-05 장영호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KR200188914Y1 (ko) 2000-02-18 2000-07-15 정혜향 천연염료로 염색된 편직물
KR20020055468A (ko) * 2000-12-28 2002-07-09 이응원 무정형 무늬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80003284A (ko) * 2007-12-17 2008-01-07 신계남 감물을 이용한 무늬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863A (ko) 2018-11-22 2020-05-29 (주) 오방색 호료를 이용한 천연문양 염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40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6681A (zh) 一种草木染染料及染色方法
JP5518081B2 (ja) 青色発色のための染色方法
Vankar et al. New trends in natural dyes for textiles
CN105256604A (zh) 一种利用中药对纺织品进行染色的方法
CN102785276A (zh) 用天然植物染色木材的方法
KR101017868B1 (ko) 착색 및 착향이 우수한 천연 염색방법
KR101751782B1 (ko) 견뢰도 향상된 천연 염색방법 및 이에 따라 염색된 천연염색 직물
CN104179037A (zh) 植物染料染色的柞蚕丝睡衣
CN109575631A (zh) 一种草木染料及其染色工艺
CN104479398B (zh) 一种小叶紫檀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778556B (zh) 一种紫罗兰染料提取方法及染色应用
Vadwala et al. Natural dyes extracted from waste leaves of Terminalia catappa locally known as tropical almond and its application on silk fabrics pre-treated with ecofriendly and noneco-friendly mordants
KR101403727B1 (ko)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KR101272457B1 (ko) 천연 염색용 단백질분해물 매염제 및 그 단백질분해물 매염제를 이용한 천연 염색 방법
CN104846675B (zh) 亮布用固色剂及其制备方法以及一种制备亮布的方法
CN113550159B (zh) 层次着色感丝织物及其制备方法
KR20030042320A (ko) 천연염색용 감즙액 추출방법 및 천연염색 자동화시스템
JP2002339265A (ja) 繊維の染色方法および繊維染色物
KR101554433B1 (ko) 줄풀 천연염색 방법
DE1603454A1 (de) Fasermaterial
KR20160004629A (ko) 원단의 염색방법
JP2003129389A (ja) 繊維の染色方法および繊維染色物
KR101680480B1 (ko) 감 및 감태를 포함하는 이성분 복합천연염료 및 이를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Bains et al. Optimization of block printing on khadi silk fabric with cassia tora as eco-friendly thickener.
CN109832359A (zh) 一种消除烟焦味的绿茶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