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737A -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737A
KR19990064737A KR1019990016080A KR19990016080A KR19990064737A KR 19990064737 A KR19990064737 A KR 19990064737A KR 1019990016080 A KR1019990016080 A KR 1019990016080A KR 19990016080 A KR19990016080 A KR 19990016080A KR 19990064737 A KR19990064737 A KR 19990064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natural
printing
dyes
mo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972B1 (ko
Inventor
장영호
이재범
Original Assignee
장영호
이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호, 이재범 filed Critical 장영호
Priority to KR101999001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9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무늬를 자유롭게 형성시킬 수 있는 날염법에 의하여 염색토록 하는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은, 편직물을 통상의 침염법에 따라 천연염료로 염색한 후, 천연염료로 바탕염색된 편직물에 상기 천연염료의 매염제와 호료를 혼합한 매염혼합물을 사용하여 소정의 무늬로 날염함으로써 날염염료의 부가적인 부착없이 날염부위의 변색에 의하여 날염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천연염료를 사용하여 침염과 날염을 모두 가능하게 하므로써 날염에 의하여 자유로운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여 무늬가 있는 천연염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Printing method using natural dyes}
본 발명은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무늬를 자유롭게 형성시킬 수 있는 날염법에 의하여 염색토록 하는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염료는 식물성염료, 동물성염료 및 광물성염료들로 대별되며, 자연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것들로서 고래로부터 염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던 것들이다. 천연염료들은 염색물의 색상이 자연스럽고, 합성염료에 비하여 염색물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으며, 자연친화적이어서 환경오염을 덜 유발하고, 폐수처리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다는 점 등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염색에 있어서 염착성이 낮아 침염에 의한 염색만이 상용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무늬의 형성이 어려우며, 염료의 생산량이 제한적이고, 염색물의 견뢰도가 불량하며, 염색얼룩이 생기기 쉬운 점 등을 이유로 하여 합성염료의 발전에 따라 점차 그 이용이 줄어들어 현재는 특수한 용도 이외에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최근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생산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섬유제품이 풍부해짐에 따라 최근에 들어 기능성을 중시한 제품, 위생적인 제품 및 건강지향적인 제품들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였으며, 이를 위한 부단한 연구결과, 각종 천연염료들 중 기능성을 갖는 염료들이 존재함이 밝혀졌다.
천연염료의 침염에 의한 염색은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단순히 염액에 염재를 1회 함침시키는 것 또는 수회 반복적으로 함침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염색방법으로는 염색이 어렵고, 염색된 염색물의 견뢰도가 낮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염색의 정도를 직접 관찰하면서 수작업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존하여야만 하였으며, 공업화에 커다란 장애가 되었다.
더욱이 매염제와의 혼용으로 천연염료의 색상을 변화시키고, 염착성을 높일 수 있기는 하나, 침염에 의하여는 자유로운 무늬의 형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부분적으로 천의 일부를 실로 묶고, 묶인 부분만 염액에 담갔다가 꺼내는 방법(홀치기염)으로 부분염색하여 무늬를 형성하기는 하였으나,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하고, 임의대로 무늬를 형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날염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은, 편직물을 통상의 침염법에 따라 천연염료로 염색한 후, 천연염료로 바탕염색된 편직물에 상기 천연염료의 매염제와 호료를 혼합한 매염혼합물을 사용하여 소정의 무늬로 날염함으로써 날염염료의 부가적인 부착없이 날염부위의 변색에 의하여 날염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은 일단 천연염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침염법에 따라 편직물을 바탕염색하고, 다시 바탕염색에 사용된 매염제와 호료를 혼합한 매염혼합물로 날염하여 날염된 부분에서 천연염료와 매염제 사이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변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시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천연염료를 이용한 침염에서는 통상의 침염법에 따라 편직물을 염액에 1회 내지 수회 담갔다가 꺼내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천연염료로는 종래부터 실질적으로 사용되던 모든 종류의 천연염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천연염료로는 색상별로 구분하면, 치자, 울금, 황련, 황백 등의 황색계염료, 꼭두서니, 홍화, 소목, 자초 등의 적색계염료, 황토, 매화나무, 뽕나무, 오리나무, 대추나무, 수수, 홍차, 소나무, 단풍나무, 은행나무, 도토리, 감나무, 밤나무, 먹 등의 갈색 및 흑색계염료, 그리고 쪽나무와 닭의장풀과 같은 청색계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동물성염료 및 광물성염료로 구분되는 다수의 천연염료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천연염료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통상의 침염법에 따라 바탕염색을 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바탕염색된 편직물을 매염제와 호료를 혼합하여 수득한 매염혼합물로 날염하므로써 상기 천연염료와 반응하여 염착도를 높여주며, 또한 천연염료에 의한 염색시 색상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통상의 매염제들을 사용함에 있어 매염제를 호료와 함께 혼합한 매염혼합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날염법에 따라 날염하여 무늬를 형성시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매염제로는 잿물, 소금, 철장액, 식초, 석회, 호분(조개껍질의 가루) 및 명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매염제들은 통상의 천연염료의 침염에서 예전부터 사용되던 것들로서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염제의 사용으로 천연염료의 염색시의 발색효과는 달라질 수 있으며, 대표적인 조합을 예로 들면 하기의 표 1 내지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색종 염료 매염제 색상
황색계염료 치자 잿물, 명반 황색
울금 철장액 갈색
석회 호박색
잿물 적색
황련 명반 황색
석회 호박색
황백 잿물, 명반 황색
색종 염료 매염제 색상
적색계염료 홍화 식초 적색
소목 잿물, 석회 자주색
명반 적색
식초 황색
철장액 보라색
소금 갈색
자초 석회 녹갈색
식초 포도색
잿물 보라색
꼭두서니 잿물 적색
명반 홍색
철장액 갈색
색종 염료 매염제 색상
갈색계염료 석회 초콜렛색
잿물, 명반 황색
철장액 흑색
잿물 갈색
철장액 흑색
도토리 잿물 황갈색
철장액 흑색
명반 갈색
오리나무 명반 갈색
철장액 흑색
오배자 철장액 쥐색, 회보라색
식초 회색, 흑색
명반 갈색
철장액 녹갈색
황토 풀, 아교 황토
색종 염료 매염제 색상
청색계염료 석회, 잿물 청색
닭의장풀 명반 청색
기타 상기 표에서 나타나지 않는 색상을 발현시키고자 할 때에는 이들 천연염료에 대한 매염제의 혼합에 의한 간색으로 발췌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호료는 천연염료로 바탕염색된 편직물에 매염제를 매염제와 천연염료가 반응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중성의 고분자물질로서 풀, 아교 및 CMC(Carboxy methyl cellulose), 산성물질로서 인달카, 메이프로검 및 염기성물질로서 후노리(병이포), 트라간트검(송진), 알긴산소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열거한 호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편직물 상에 매염제를 일정시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염제와 호료의 혼합시의 혼합비에는 제한이 없으며, 단지 매염제를 편직물에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의 호료에 매염제를 혼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매염혼합물을 바탕염색된 편직물에 날염하는 것에 의하여 당업자는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날염은 통상의 날염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상용화된 날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날염하는 것만으로 바탕염색된 천연염료와 매염제 간의 반응이 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천연염료와 매염제 간의 화학작용으로 매염혼합물이 부착된 부분만 바탕염색의 색상과 구분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소정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천연염료로서 소목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침염법에 의하여 천연염료만으로 바탕염색하거나 또는 천연염료와 매염제를 사용하여 바탕염색하고, 무늬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상의 날염법에 의하여 매염제를 달리하면서 날염하였다. 호료로서는 알긴산소다를 사용하였으며, 매염제와 호료의 혼합비는 1 : 1로 하였다.
바탕염색과 날염시의 매염제의 사용 및 그에 따라 발현되는 색상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바탕염색 (침염) 무늬염색 (날염)
매염제 색상 매염제 색상
1 - 주황색 명반 짙은주황색
2 - 주황색 명반 적색
3 - 주황색 철장액 회보라색
4 - 주황색 소금 적갈색
5 - 주황색 잿물 자주색
6 명반 적색 철장액 회보라색, 짙은보라색
7 명반 적색 소금 적갈색
8 명반 적색 잿물 자주색
9 철장액 회보라색 짙은철장액 짙은보라색
10 철장액 회보라색 소금 적갈색
11 철장액 회보라색 잿물 자주색
12 소금 적갈색 잿물 자주색
13 잿물 자주색 짙은잿물 짙은자주색
14 소금 적갈색 짙은소금 짙은적갈색
15 명반 적색 짙은명반 짙은적색
실시예 2
천연염료로서 울금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침염법에 의하여 천연염료만으로 바탕염색하거나 또는 천연염료와 매염제를 사용하여 바탕염색하고, 무늬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상의 날염법에 의하여 매염제를 달리하면서 날염하였다. 호료로서는 알긴산소다를 사용하였으며, 매염제와 호료의 혼합비는 1 : 1로 하였다.
바탕염색과 날염시의 매염제의 사용 및 그에 따라 발현되는 색상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바탕염색 (침염) 무늬염색 (날염)
매염제 색상 매염제 색상
1 엷은잿물 적색 짙은잿물 짙은적색
2 철장액 갈색 짙은철장액 짙은갈색
3 석회 호박색 짙은석회 짙은호박색
4 잿물 적색 철장액 갈색
5 잿물 적색 석회 호박색
6 - 황색 잿물 적색
7 - 황색 석회 호박색
8 - 황색 철장액 갈색
9 철장액 갈색 석회 호박색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어느 하나의 천연염료만을 사용하여 염색하는 경우에도 바탕염색시의 매염제의 사용여부와 사용된 매염제의 종류에 따라 바탕염색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으며, 그 위에 매염제와 호료를 혼합한 매염혼합물을 날염하는 것에 의하여 무늬부분만을 다시 변색시켜 무늬를 극히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염색직물을 세탁견뢰도와 마찰견뢰도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세탁견뢰도의 시험조건은 KS-K 0430, A-1법에 준하는 방법으로 40℃에서 시작하여, 30분간 세탁하고, 수세, 건조한 후 Grey scale과 비교하여 판정하였다. 측정기는 Launder-O-meter(모델명 ; Atlas LP2)를 사용하였다. 세탁견뢰도는 4 내지 5등급을 나타내어 견뢰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찰견뢰도의 시험조건은 KS-K-0650에 준하는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측정기는 Creckmeter CM5(제조사 ; Atlas Electric Device Co.)를 사용하였다. 마찰견뢰도는 건마찰에서 3 내지 5등급, 습마찰에서 2 내지 5등급을 나타내어 실제 제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정도의 견뢰도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염료를 사용하여 침염과 날염을 모두 가능하게 하므로써 날염에 의하여 자유로운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여 무늬가 있는 천연염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편직물을 통상의 침염법에 따라 천연염료로 염색한 후, 천연염료로 바탕염색된 편직물에 상기 천연염료의 매염제와 호료를 혼합한 매염혼합물을 사용하여 소정의 무늬로 날염함으로써 날염염료의 부가적인 부착없이 날염부위의 변색에 의하여 날염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바탕염색을 천연염료와 매염제를 함께 사용하여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KR1019990016080A 1999-05-04 1999-05-04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KR10031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080A KR100310972B1 (ko) 1999-05-04 1999-05-04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080A KR100310972B1 (ko) 1999-05-04 1999-05-04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737A true KR19990064737A (ko) 1999-08-05
KR100310972B1 KR100310972B1 (ko) 2001-10-12

Family

ID=3753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080A KR100310972B1 (ko) 1999-05-04 1999-05-04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972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991B1 (ko) * 1999-10-15 2002-01-26 류숙 황토염료제조방법 및 황토염료를 이용한 천연섬유염색방법
KR20030076810A (ko) * 2002-03-21 2003-09-29 김영자 오간색을 염색할 수 있는 천연염료와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20030076807A (ko) * 2002-03-21 2003-09-29 김영자 잿빛염색을 위한 분말상의 천연염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6809A (ko) * 2002-03-21 2003-09-29 김영자 붉은빛염색을 위한 분말상의 천연염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83027A (ko) * 2002-04-18 2003-10-30 정길선 숯염료, 숯염료 제조방법 및 염색방법
KR100405653B1 (ko) * 2001-08-14 2003-11-14 서은숙 승복 천연 염색방법
KR100447959B1 (ko) * 2002-01-23 2004-09-08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우수한 일광견뢰도를 갖는 황백을 이용한 염색방법
KR100447958B1 (ko) * 2002-01-23 2004-09-08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우수한 일광견뢰도를 갖는 황련을 이용한 염색방법
KR100447960B1 (ko) * 2002-01-23 2004-09-08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높은 일광견뢰도를 갖는 황백을 이용한 염색방법
KR100515317B1 (ko) * 1999-08-31 2005-09-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황토처리 부직포를 적용한 일회용 기저귀
KR100758605B1 (ko) * 2005-11-17 2007-09-13 김재훈 반응성 염료에 의한 천연 섬유소재의 콜드 패드 배치 수날염 및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공정에 의한 염색및 날염 방법
KR101403727B1 (ko) * 2012-07-19 2014-06-03 정현자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CN104894891A (zh) * 2015-05-25 2015-09-09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一种天然染料防染印花产品及其制备方法
KR20180070227A (ko) * 2016-12-16 2018-06-26 (주)아트앤크래프트 수화염용 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상기 염료를 이용한 수화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914Y1 (ko) * 2000-02-18 2000-07-15 정혜향 천연염료로 염색된 편직물
KR20000072197A (ko) * 2000-08-10 2000-12-05 최명부 아교를 촉매로 한 직물 염색 및 나염 방법
KR100360718B1 (ko) * 2000-09-21 2002-11-13 주식회사 네추라 바이오 캠 천연염료를 이용한 분말형태의 인조 모 및 그 인조 모제조방법
KR100474672B1 (ko) * 2003-01-22 2005-03-10 이유라 한지를 이용한 의복
KR101213671B1 (ko) * 2011-10-10 2012-12-18 양경숙 천연 염색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431396B1 (ko) 2013-10-14 2014-08-18 이홍렬 감즙이 코팅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622902B1 (ko) 2016-01-25 2016-05-19 설동훈 날염하는 인디고 페이스트 및 인디고 페이스트로 날염하는 염색방법
KR102019743B1 (ko) 2018-09-20 2019-11-04 신운섭 감물을 이용한 정형화된 무늬가 형성되는 문양염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317B1 (ko) * 1999-08-31 2005-09-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황토처리 부직포를 적용한 일회용 기저귀
KR100321991B1 (ko) * 1999-10-15 2002-01-26 류숙 황토염료제조방법 및 황토염료를 이용한 천연섬유염색방법
KR100405653B1 (ko) * 2001-08-14 2003-11-14 서은숙 승복 천연 염색방법
KR100447959B1 (ko) * 2002-01-23 2004-09-08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우수한 일광견뢰도를 갖는 황백을 이용한 염색방법
KR100447958B1 (ko) * 2002-01-23 2004-09-08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우수한 일광견뢰도를 갖는 황련을 이용한 염색방법
KR100447960B1 (ko) * 2002-01-23 2004-09-08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높은 일광견뢰도를 갖는 황백을 이용한 염색방법
KR20030076809A (ko) * 2002-03-21 2003-09-29 김영자 붉은빛염색을 위한 분말상의 천연염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6807A (ko) * 2002-03-21 2003-09-29 김영자 잿빛염색을 위한 분말상의 천연염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6810A (ko) * 2002-03-21 2003-09-29 김영자 오간색을 염색할 수 있는 천연염료와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20030083027A (ko) * 2002-04-18 2003-10-30 정길선 숯염료, 숯염료 제조방법 및 염색방법
KR100758605B1 (ko) * 2005-11-17 2007-09-13 김재훈 반응성 염료에 의한 천연 섬유소재의 콜드 패드 배치 수날염 및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공정에 의한 염색및 날염 방법
KR101403727B1 (ko) * 2012-07-19 2014-06-03 정현자 소금을 이용한 천연섬유제의 무늬 표현 방법
CN104894891A (zh) * 2015-05-25 2015-09-09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一种天然染料防染印花产品及其制备方法
KR20180070227A (ko) * 2016-12-16 2018-06-26 (주)아트앤크래프트 수화염용 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상기 염료를 이용한 수화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0972B1 (ko) 200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972B1 (ko)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CN106351038B (zh) 一种分散墨水直喷涤纶的预处理液及直喷数码印花工艺
CN101307573B (zh) 一种紫外线变色印花织物的制备方法
CN1314855C (zh) 真丝绸涂料拔染印花拔染浆及其涂料拔活性的拔染印花工艺
Hassabo et al. Evaluation of various printing techniques for cotton fabrics
CN102127313B (zh) 一种高耐光牢度的红色分散染料组合物及其应用
JPS6317956B2 (ko)
CN101163755B (zh) 红色还原染料混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染色含羟基的材料上的用途
CN104947464A (zh) 一种透明印花浆用于超软褶皱整理印花工艺
US1871087A (en) Production of effects on textiles
KR100214209B1 (ko) 섬유의 유기안료 염색방법
CN1263963A (zh) 皮革染色剂
US5085919A (en) Method for printing textile products and textile products obtained thereby
CN106812000A (zh) 一种羊毛针织物的喷墨印花工艺
KR100624396B1 (ko) 키토산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용 원단의 제조방법
Kumar et al. Natural dye from forest biomass
RU2070627C1 (ru) Способ протравного крашения шерсти
KR20110126955A (ko) 날염용 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날염용 천연염료 그리고 날염용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KR20120062035A (ko)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US20230399795A1 (en) Reactive digital printing methods and systems, printed fabric obtained thereby and related clothing items
KR101956434B1 (ko) 수화염용 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상기 염료를 이용한 수화염 방법
KR100431156B1 (ko) 분산염료에 의한 실크직물의 염색방법
US2335905A (en) The resulting printed fabric
JPH02191779A (ja) 捺染糊、これを用いた捺染法及びその捺染製品
Gürses Ahmet Gürses Metin Açıkyıldız Kübra Güne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