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644B1 -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644B1
KR101401644B1 KR1020120088268A KR20120088268A KR101401644B1 KR 101401644 B1 KR101401644 B1 KR 101401644B1 KR 1020120088268 A KR1020120088268 A KR 1020120088268A KR 20120088268 A KR20120088268 A KR 20120088268A KR 101401644 B1 KR101401644 B1 KR 10140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der pipe
refrigerant inlet
outlet pip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879A (ko
Inventor
이은성
Original Assignee
동보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보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보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6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0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 F28F9/1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by force-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후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헤더파이프가 고정되는 서포트유닛; 상기 서포트유닛에 고정된 헤더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고, 후면에 상기 헤더파이프의 체결공과 상응하게 배치되는 성형돌기가 돌출 형성된 포밍바; 냉매입출파이프가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유닛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진 동작 시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헤더파이프 내측으로 진입시키게 되는 홀딩유닛; 및 전진 동작한 상기 홀딩유닛을 상기 서포트유닛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헤더파이프 내측으로 진입된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는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홀딩유닛의 가압 시 상기 포밍바의 성형돌기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 변형되어 헤더파이프의 체결공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포밍바의 성형돌기에 의해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가 확장 변형되어 헤더파이프 내벽에 걸리게 됨으로써,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헤더파이프에 결합된 냉매입출파이프가 이탈 방지 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COUPLING DEVICE FOR HEADER PIPE AND REFRIGERANT PIPE OF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에 대한 종래 결합구조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결합구조는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가 헤드파이프에 형성된 체결공에 압입(壓入)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냉매입출파이프가 체결공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되며, 이로 인해 냉매입출파이프 단부와 체결공 사이가 헐거워져 헤더파이프의 내부 압력에 의해 냉매입출파이프가 헤드파이프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353호(2011년 02월 11일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에어컨 응축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파이프의 결합구조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냉매가 내부에 유입되도록 외주연 일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내부를 따라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주연 타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헤더파이프와;
상기 헤더파이프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냉매를 헤더파이프에 이송시키는 냉매파이프와;
상기 헤더파이프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냉매파이프가 연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파이프 연결시, 냉매파이프가 내부에 지지되도록 내주연에 다단으로 형성된 단턱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냉매파이프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이 삽입된 냉매파이프가 헤더파이프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도록 연결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외주연이 단면상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이음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선행기술은 연결부와 이음부의 나사체결에 의해 헤더파이프와 냉매파이프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냉매파이프가 헤더파이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는 있으나,
별도의 연결부 및 이음부를 구비해야함으로써 제작 및 조립이 번거롭고, 이로 인해 제작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매입출파이프가 헤더파이프에서 이탈 방지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되, 냉매입출파이프를 헤더파이프에 더욱 신속하고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는,
후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헤더파이프가 고정되는 서포트유닛;
상기 서포트유닛에 고정된 헤더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고, 후면에 상기 헤더파이프의 체결공과 상응하게 배치되는 성형돌기가 돌출 형성된 포밍바;
냉매입출파이프가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유닛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진 동작 시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헤더파이프 내측으로 진입시키게 되는 홀딩유닛; 및
전진 동작한 상기 홀딩유닛을 상기 서포트유닛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헤더파이프 내측으로 진입된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는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홀딩유닛의 가압 시 상기 포밍바의 성형돌기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 변형되어 헤더파이프의 체결공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방 및 후방 개구된 헤더파이프 수용부를 갖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밍바는 상기 서포트유닛 일측에 배치된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헤더파이프 내측으로 진입 및 퇴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헤더파이프의 체결공과 상응하게 배치된 냉매입출파이프 안착부와,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 요입 형성된 리세스를 갖는 홀딩블록;
바(bar)형 바디와, 상기 바디 상부에 돌출 형성된 후크부로 이루어져, 상기 홀딩블록의 리세스에 측방 진퇴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킹부재; 및
상기 로킹부재의 진퇴 동작을 위한 진퇴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후크부는 상기 로킹부재의 전진 동작 시 상기 안착부와 함께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를 감싸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홀딩블록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
상기 홀딩블록 상측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 시 상기 경사면과 접하게 되는 대응경사면을 갖는 푸시블록; 및
상기 푸시블록의 승강 동작을 위한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헤더파이프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튜브 삽입홈이 배열되고,
상기 푸시블록 전방에는 상기 서포트유닛의 수용부 상측에 배치되어 푸시블록과 함께 승강 동작하게 되는 푸시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푸시부재의 하단부에는 각각 후면에 형성된 슬로프를 갖고 상기 헤더파이프의 삽입홈과 상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포밍바의 전면에는 상기 푸시부재의 하강 동작 시 상기 블레이드의 슬로프와 접하게 되는 대응슬로프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는,
포밍바의 성형돌기에 의해 냉매입출파이프의 단부가 확장 변형되어 헤더파이프 내벽에 걸리게 됨으로써,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헤더파이프에 결합된 냉매입출파이프가 이탈 방지 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에 대한 종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포트유닛 및 홀딩유닛을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발췌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푸시블록 및 푸시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장치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이하, '결합장치'라고 함)는 크게 서포트유닛(100), 포밍바(200), 홀딩유닛(300) 및 가압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헤드파이프(10)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11)이 배열 형성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냉매 유통용 튜브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삽입홈(12)이 배열 형성된다.
냉매입출파이프(20)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측 전단부(前端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플랜지(21)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유닛(100), 포밍바(200), 홀딩유닛(300) 및 가압수단(400)은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700) 상에 콤팩트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는 볼트 체결 등에 의해 별도의 작업대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서포트유닛(100)은
헤더파이프(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유닛(100)은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 후단부(後端部)에 헤드파이프(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방 및 후방 개구된 수용부(110)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서포트유닛(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바이스(vice)나 클램프(clamp)와 같이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포밍바(forming bar)(200)는
상기 서포트유닛(100)에 고정된 헤더파이프(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상기 헤더파이프(10)의 체결공(11)과 상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성형돌기(2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성형돌기(210)는 상기 포밍바(2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밍바(200)는 상기 서포트유닛(100) 일측에 배치된 구동유닛(500)에 의해 측방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포밍바(200)는 평소 상기 서포트유닛(100) 일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구동유닛(500)에 의한 전진 동작 시 상기 수용부(110)에 배치된 헤더파이프(10)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구동유닛(500)에 의한 후진 동작 시 헤더파이프(10) 내측에서 퇴출되어 다시 서포트유닛(100) 일측 외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밍바(200) 하측에는 포밍바(200)와 상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포밍바(200)와 함께 진퇴 동작하게 되는 받침대(230)가 배치된다.
상기 받침대(230)는 상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포밍바(200)는 이 받침대(230)에 얹히어 헤더파이프(10) 내측에서 일정 간격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500)은 실린더로 이루어져 중계플레이트(80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유닛(100) 양단부(兩端部)에는 전진 동작한 포밍바(200)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게 되는 두 서포트부재(900)가 배치된다.
상기 각 서포트부재(900)에는 측방 관통형성된 끼움부(910)가 형성되며, 이 끼움부에 전진 동작한 포밍바(20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홀딩유닛(300)은
냉매입출파이프(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파이프(10)의 체결공(11)과 상응하게 배치된 냉매입출파이프(20) 안착부(311)와, 전면(前面)에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 요입 형성된 리세스(312)를 갖는 홀딩블록(310);
바(bar)형 바디(321)와, 상기 바디(321) 상부에 돌출 형성된 후크부(322)로 이루어져, 상기 홀딩블록(310)의 리세스(312)에 측방 진퇴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킹부재(320); 및
상기 로킹부재(320)의 진퇴 동작을 위한 진퇴구동부(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블록(310)에 형성된 안착부(311)는 냉매입출파이프(20)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ㄴ"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하측 전단부가 상기 리세스(312)에 의해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322)는 상기 로킹부재(320)의 전진 동작 시 돌출된 안착부(311)의 하측 단부와 함께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매입출파이프(20)는 제작될 열교환기의 구조에 따라 "ㄴ"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안착부(311)는 상기 냉매입출파이프(20)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퇴구동부(330)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이 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로킹부재(3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로킹부재(320)를 진퇴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홀딩유닛(300)은 상기 서포트유닛(100)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홀딩블록(31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 사이에 설치된 엘엠가이드(linear motion guide)에 의해 진퇴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전진 동작 시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를 상기 체결공(11)을 통해 상기 헤더파이프(10) 내측으로 진입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수단(400)은
전진 동작한 상기 홀딩유닛(300)을 상기 서포트유닛(10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블록(31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410);
상기 홀딩블록(310) 상측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 시 상기 경사면(410)과 접하게 되는 대응경사면(421)을 갖는 푸시블록(420); 및
상기 푸시블록(420)의 승강 동작을 위한 승강구동부(4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4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각 모서리부에 직립 설치되는 네 지지봉(450)과, 상기 네 지지봉(450) 상부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460)에 의해 상기 푸시블록(420)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부(430)는 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플레이트(460) 상부 중앙에 도립(倒立) 설치되며, 이에 따라 그 로드(431)가 상기 고정플레이트(460)를 관통하여 하방 진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승강구동부(430)의 하단부, 즉 상기 로드(431)의 단부에는 리니어부시(linear bush)에 의해 상기 네 지지봉(450)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440)가 결합되고, 이 승강플레이트(440) 하면에 상기 푸시블록(420)이 설치된다.
결국, 상기 푸시블록(42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430)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440)와 함께 승강 동작하게 되고, 하강 동작 시 상기 대응경사면(421)이 상기 경사면(410)과 접하여 상기 홀딩블록(310)을 상기 서포트유닛(10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딩유닛(300)의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헤더파이프(10) 내측으로 진입된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푸시블록(420)이 홀딩유닛(300)을 밀어내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밍바(200)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포밍바(200)를 가압하게 된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성형돌기(210)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 변형되어 걸림부(2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확장 변형된 상기 걸림부(2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파이프(10)의 체결공(11)보다 큰 직경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체결공(11)에 걸리어 냉매입출파이프(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냉매입출파이프(20)는 상기 걸림부(22)가 확장 변형되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2)와 상기 플랜지(21) 사이가 상기 체결공(11)에 밀착됨으로써 헤더파이프(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420) 전방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40) 하면에 결합되어 푸시블록(420)과 함께 승강 동작하게 되는 푸시부재(600)가 설치된다.
상기 푸시부재(600)는 상기 서포트유닛(100)의 수용부(110)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즉 상기 푸시부재(60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40)의 하강 동작 시 상기 수용부(110)에 배치된 헤더파이프(10)를 향해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재(600)의 하단부에는 각각 후면에 형성된 슬로프(620)를 갖고 상기 헤더파이프(10)의 삽입홈(12)과 상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610)가 형성되고, 상기 포밍바(200)의 전면에는 상기 블레이드(610)의 슬로프(620)와 접하게 되는 대응슬로프(2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61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40)의 하강 동작 시 상기 삽입홈(12)을 통해 헤더파이프(10)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상기 블레이드(610)의 슬로프(620)가 상기 포밍바(200)의 대응슬로프(220)와 접하여 포밍바(200)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결국, 상기 구동수단(400)의 작동 시, 상기 푸시블록(420)은 상기 홀딩블록(310)을 밀어 냉매입출파이프(20)를 상기 포밍바(200) 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푸시부재(600)는 상기 포밍바(200)를 밀어 상기 냉매파이프(20) 측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냉매입출파이프(20) 단부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서포트유닛
110 ; 수용부
200 ; 포밍바
210 ; 성형돌기 220 ; 대응슬로프
230 ; 받침대
300 ; 홀딩유닛
310 ; 홀딩블록
311 ; 안착부 312 ; 리세스
320 ; 로킹부재
321 ; 바디 322 ; 후크부
330 ; 진퇴구동부
400 ; 구동수단
410 ; 경사면 420 ; 푸시블록
430 ; 승강구동부 440 ; 승강플레이트
450 ; 지지봉 460 ; 고정플레이트
500 ; 구동유닛
600 ; 푸시부재
610 ; 블레이드 620 ; 슬로프
700 ; 베이스플레이트
800 ; 중계플레이트
900 ; 서포트부재
910 ; 끼움부

Claims (5)

  1. 후면에 체결공(11)이 형성된 헤더파이프(10)가 고정되는 서포트유닛(100);
    상기 서포트유닛(100)에 고정된 헤더파이프(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후면에 상기 헤더파이프(10)의 체결공(11)과 상응하게 배치되는 성형돌기(210)가 돌출 형성된 포밍바(200);
    냉매입출파이프(20)가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유닛(100) 후방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진 동작 시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를 상기 체결공(11)을 통해 상기 헤더파이프(10) 내측으로 진입시키게 되는 홀딩유닛(300); 및
    전진 동작한 상기 홀딩유닛(300)을 상기 서포트유닛(10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헤더파이프(10) 내측으로 진입된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가압수단(400)에 의한 홀딩유닛(300)의 가압 시 상기 포밍바(200)의 성형돌기(210)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 변형되어 헤더파이프(10)의 체결공(11)에 걸리게 되고,
    상기 서포트유닛(100)은 상방 및 후방 개구된 헤더파이프(10) 수용부(110)를 갖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밍바(200)는 상기 서포트유닛(100) 일측에 배치된 구동유닛(500)에 의해 상기 수용부(110)에 배치된 헤더파이프(10) 내측으로 진입 및 퇴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홀딩유닛(300)은
    상기 헤더파이프(10)의 체결공(11)과 상응하게 배치된 냉매입출파이프(20) 안착부(311)와,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 요입 형성된 리세스(312)를 갖는 홀딩블록(310);
    바(bar)형 바디(321)와, 상기 바디(321) 상부에 돌출 형성된 후크부(322)로 이루어져, 상기 홀딩블록(310)의 리세스(312)에 측방 진퇴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킹부재(320); 및
    상기 로킹부재(320)의 진퇴 동작을 위한 진퇴구동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후크부(322)는 상기 로킹부재(320)의 전진 동작 시 상기 안착부(311)와 함께 냉매입출파이프(20)의 단부를 감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홀딩블록(31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410);
    상기 홀딩블록(310) 상측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 시 상기 경사면(410)과 접하게 되는 대응경사면(421)을 갖는 푸시블록(420); 및
    상기 푸시블록(420)의 승강 동작을 위한 승강구동부(4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파이프(10)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튜브 삽입홈(12)이 배열되고,
    상기 푸시블록(420) 전방에는 상기 서포트유닛(100)의 수용부(110) 상측에 배치되어 푸시블록(420)과 함께 승강 동작하게 되는 푸시부재(600)가 설치되되,
    상기 푸시부재(600)의 하단부에는 각각 후면에 형성된 슬로프(620)를 갖고 상기 헤더파이프(10)의 삽입홈(12)과 상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610)가 형성되고,
    상기 포밍바(200)의 전면에는 상기 푸시부재(600)의 하강 동작 시 상기 블레이드(610)의 슬로프(620)와 접하게 되는 대응슬로프(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20088268A 2012-08-13 2012-08-13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KR10140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268A KR101401644B1 (ko) 2012-08-13 2012-08-13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268A KR101401644B1 (ko) 2012-08-13 2012-08-13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79A KR20140021879A (ko) 2014-02-21
KR101401644B1 true KR101401644B1 (ko) 2014-06-03

Family

ID=5026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268A KR101401644B1 (ko) 2012-08-13 2012-08-13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6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16A (ko) * 1998-11-18 1999-02-25 신영주 열교환기의 헤더 조립장치
JP2005156000A (ja) 2003-11-25 2005-06-16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5313233A (ja) * 2004-04-28 2005-11-10 Modine Korea Llc 熱交換器の入口及び/又は出口パイプをヘッダパイプに初期取付けする方法
KR20130012803A (ko) * 2011-07-26 2013-02-05 희성정밀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16A (ko) * 1998-11-18 1999-02-25 신영주 열교환기의 헤더 조립장치
JP2005156000A (ja) 2003-11-25 2005-06-16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5313233A (ja) * 2004-04-28 2005-11-10 Modine Korea Llc 熱交換器の入口及び/又は出口パイプをヘッダパイプに初期取付けする方法
KR20130012803A (ko) * 2011-07-26 2013-02-05 희성정밀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79A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32803U (zh) 一种扩口打点一体机
AU2006283806A1 (en) Hydraulic tool working head
CN106825216A (zh) 一种管材冲孔压扁工装
CN107084430B (zh) 底座可拆式室内空调器
KR101401644B1 (ko) 열교환기의 헤드파이프와 냉매입출파이프 결합장치
CN104985854B (zh) 一种自动下料的药片压型装置
KR101516212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의 노치홈 성형장치
CN109127947B (zh) 汽车座椅头枕管的排齿成形模具
KR20140055723A (ko) 유압호스용 커플러 압착장치
CN101791655B (zh) 一种管件铆接机
CN106734612B (zh) 拉深冲孔复合模具
CN210139008U (zh) 光伏边框角码自动装配机
CN217444269U (zh) 高效剪刀脚组装机
CN210415392U (zh) 模具二次顶出工装
CN205464004U (zh) 一种管件扩口加工装置
CN208712679U (zh) 一种冲压模夹具
CN210412096U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冲压设备
CN209867797U (zh) 一种用于工装夹具上的快速限位装置
CN216731373U (zh) 一种拉线抱紧机构
CN214239307U (zh) 一种婴儿浴缸模胚结构
CN215467330U (zh) 汽车前盖板冲压成型装置
JP7312450B2 (ja) シリンダ用の保持具
US20140360002A1 (en) Method of forming pipe end structure
CN213860552U (zh) 一种具有冷却装置的汽车内饰件模具
CN209959667U (zh) 一种新型防插件脱落的插接卡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