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73B1 - 화상 형성 장치 및 분체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분체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73B1
KR101400973B1 KR1020100054679A KR20100054679A KR101400973B1 KR 101400973 B1 KR101400973 B1 KR 101400973B1 KR 1020100054679 A KR1020100054679 A KR 1020100054679A KR 20100054679 A KR20100054679 A KR 20100054679A KR 101400973 B1 KR101400973 B1 KR 10140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pening
shutter
moving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207A (ko
Inventor
요시유키 다카시마
히데키 구게
고우지 후쿠무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분체가 수용된 분체 수용부와, 당해 분체 수용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당해 분체 수용부의 당해 개구를 막는 막음 부재를 구비한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의 상기 수용 용기의 장착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분체 수용부에 대해 당해 막음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부재와,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분체 수용부에 대해 당해 막음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수용 용기가 분리될 때에 상기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분체 수용 용기{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DER CONTAINER}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분체(粉體)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분체 보급구를 폐쇄·개방하는 셔터를 가지는 분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착탈체 착탈 동작시에, 착탈체측 개구의 착탈체 장착 방향 전방의 전단(前端) 가장자리와 본체측 개폐 부재의 착탈체 장착 방향 후단면 사이에서 압축 상태로 유지되고, 이 전단 가장자리와 본체측 개폐 부재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8-29887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 수용 용기의 분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분체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 따른 제 1 발명은,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분체(粉體)가 수용된 분체 수용부와, 당해 분체 수용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당해 분체 수용부의 당해 개구를 막는 막음 부재를 구비한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의 상기 수용 용기의 장착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분체 수용부에 대해 당해 막음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부재와,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분체 수용부에 대해 당해 막음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수용 용기가 분리될 때에 상기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원에 따른 제 2 발명은, 상기 개방 부재는, 상기 막음 부재보다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시의 당해 막음 부재 이동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폐쇄부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 상기 막음 부재에 대해 당해 개방 부재를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1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원에 따른 제 3 발명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한 상기 개방 부재의 밀어붙임에 의해 당해 개방 부재와 상기 막음 부재가 서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당해 개방 부재와 당해 막음 부재의 접촉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체 수용부의 상기 개구는,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에 따라 당해 분체 수용부가 이동할 때에 상기 가압부의 상방(上方)을 이동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분체 수용부의 상기 개구가 상기 가압부의 상방을 통과한 후에, 이동을 규제하고 있던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2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원에 따른 제 4 발명은, 상기 개방 부재는, 상기 장착부로의 상기 수용 용기의 장착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할 때에 당해 막음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개방 부재와 상기 막음 부재의 상기 접촉을 유지한 채 당해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1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원에 따른 제 5 발명은,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수용 용기가 분리될 때에 당해 수용 용기에 가해지는 유저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1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원에 따른 제 6 발명은, 상기 폐쇄부는, 상기 개구를 폐쇄한 후에 이동을 규제하고 있던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1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원에 따른 제 7 발명은, 상기 분체는 토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1 내지 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원에 따른 제 8 발명은,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 분체가 수용되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장착되는 분체 수용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상기 분체 수용부가 장착될 때에 당해 화상 형성 장치측에 설치된 규제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이동이 규제되고 당해 분체 수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당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당해 분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 이동하는 동시에 당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이동이 규제되고 당해 분체 수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개구를 막는 막음 부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분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에 상기 규제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분체 수용 용기이다.
본원에 따른 제 9 발명은,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상기 분체 수용부가 장착될 때에, 상기 규제 부재에 설치된 홈의 내부에 끼워지고, 당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당해 분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 당해 홈의 벽면과 당해 이동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당해 규제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8 발명의 분체 수용 용기이다.
본원에 따른 제 10 발명은, 상기 막음 부재는, 상기 분체 수용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분리될 때에 당해 막음 부재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 돌출한 돌출부에 맞닿음으로써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막음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가 막힌 후에, 상기 돌출부를 가압해서 당해 돌출부를 상기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退避)시키는 퇴피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8 발명의 분체 수용 용기이다.
본원에 따른 제 11 발명은, 상기 분체는 토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에 따른 제 8 내지 1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분체 수용 용기이다.
본원에 따른 제 1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용 용기의 분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분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제 2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개방 부재와 막음 부재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져 간극 내에 분체가 들어가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본원에 따른 제 3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개방 부재와 막음 부재 사이로의 분체의 들어감이 더 억제된다.
본원에 따른 제 4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개방 부재와 막음 부재 사이로의 분체의 들어감이 더 억제된다.
본원에 따른 제 5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등의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일 없이 개방 부재가 이동 가능해져 부품수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본원에 따른 제 6 발명에 의하면, 개구가 폐쇄되기 전에 규제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어 개구의 폐쇄가 확실하게 행해진다.
본원에 따른 제 7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분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제 8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분체 수용 용기의 분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분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제 9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규제 부재의 이동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제 10 발명에 의하면, 막음 부재가 돌출부를 통과 가능해져 분체 수용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의 취출(取出)이 가능해진다.
본원에 따른 제 11 발명에 의하면, 토너를 분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소위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프린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화상 형성 유닛 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분체 카트리지 및 공급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분체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분체 카트리지를 선단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
도 6은 제 1 셔터의 사시도.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로의 삽입이 개시된 직후의 분체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분체 카트리지의 삽입 도중에 있어서의 분체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1 셔터가 후퇴한 후에 있어서의 분체 카트리지의 상태를 분체 카트리지의 선단부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삽입이 완료된 후의 분체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 1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분체 카트리지를 저부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
도 12는 제 1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분체 카트리지를 저부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
도 13은 도 11의 XIII-XIII 선에서의 단면도.
도 14는 수용부의 사시도.
도 15는 수용부 중 제 3 평탄면의 주변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의 XVI-XVI 선에서의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XVII-XVII 선에서의 단면도.
도 18은 분체 카트리지의 삽입이 개시된 직후의 각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분체 카트리지의 삽입 도중에 있어서의 각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분체 카트리지의 삽입이 완료된 후의 각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제 2 돌기 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제 2 셔터나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제 2 셔터나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제 2 셔터나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제 2 셔터나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제 2 셔터나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제 2 셔터나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소위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프린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는, 각 색의 계조(階調)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계(10), 용지(P)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계(40),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PC)(도시 생략)나 원고 판독 장치 등에 접속되어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부(도시 생략), 각 부분(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프로세스계(10)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의 감광체 드럼(12)에 형성된 각 색의 분체상(粉體像)을 중간 전사 벨트(21) 상에 다중전사시키는 전사 유닛(20),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에 대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노광기(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사 유닛(20)에 의해 2차 전사된 화상을,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용지(P)에 정착시키는 정착기(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에는,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각 색의 분체가 수용된 분체 수용 용기,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의 각각에 수용된 분체를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의 각각에 설치된 현상기(16Y, 16M, 16C, 16K)(후술함)에 공급하는 공급 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분체로서, 토너나 수지 분말, 금속 분말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전사 유닛(20)은, 중간 전사 벨트(21)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롤러(22), 중간 전사 벨트(21)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23), 중첩된 각 색의 분체상을 용지(P)에 2차 전사하기 위한 백업 롤러(24), 중간 전사 벨트(21) 상에 존재하는 잔류 분체 등을 제거하는 벨트 클리너(25)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21)는, 드라이브 롤러(22), 텐션 롤러(23) 및 백업 롤러(24) 사이에 일정한 텐션으로 걸쳐 있고, 드라이브 롤러(22)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속도로 순환 구동된다.
레이저 노광기(30)는,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다이오드, 변조기 외에,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LB-Y, LB-M, LB-C, LB-K)을 편향 주사하는 폴리곤 미러(31)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반송계(40)는, 화상이 기록되는 용지(P)를 적재하는 적재부(41), 적재부(41)로부터 용지(P)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공급 롤러(42), 공급 롤러(42)로부터 공급된 용지(P)를 1매씩 분리해서 반송하는 피드 롤러(feed roller)(43), 피드 롤러(43)에 의해 1매씩 분리된 용지(P)를 화상 전사부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로(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지 반송계(40)는, 반송로(44)를 통해 반송된 용지(P)를, 2차 전사 위치를 향해 타이밍을 맞춰 반송하는 레지스트 롤러(45), 2차 전사 위치에 설치되고 백업 롤러(24)에 압접(壓接)해서 용지(P) 상에 화상을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 롤러(46)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반송계(40)는, 또한 정착기(29)에 의해 분체 화상이 정착된 용지(P)를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롤러(47), 배출 롤러(47)에 의해 배출된 용지(P)를 적재하는 적재부(4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착기(29)에 의해 정착된 용지(P)를 반전시켜 양면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양면용 반송 유닛(49)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화상 프로세스계(10)에서의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은, 예를 들면 옐로우의 화상 형성 유닛(11Y)을 일례로 설명하면, 감광체 드럼(12Y), 감광체 드럼(12Y)을 대전하는 대전 장치(13Y), 레이저 노광기(30)로부터의 레이저 광(LB-Y)에 의해 감광체 드럼(12Y)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16Y)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대전 장치(13Y)는, 감광체 드럼(12Y)에 접촉 배치된 대전 롤러(14Y), 대전 롤러(14Y)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러(15Y)로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Y)에는, 중간 전사 벨트(21)를 사이에 끼워 감광체 드럼(12Y)에 대향하여 설치되어서 감광체 드럼(12Y) 상에 현상된 분체상을 중간 전사 벨트(21) 상에 전사하는 1차 전사 롤러(17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2Y)에 접촉 배치된 클리닝 브레이드(19Y)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12Y) 상에 남은 잔류 분체 등을 제거하는 드럼 클리너(18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화상 형성 유닛(11M, 11C, 11K)도, 옐로우의 화상 형성 유닛(11Y)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의 기본적인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원고 판독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색재(色材) 반사광상(反射光像)이나, 퍼스널컴퓨터(도시 생략) 등에 의해 형성된 색재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R(적), G(녹), B(청)의 각 8비트의 반사율 데이터로서 화상 처리부(도시 생략)에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에서는, 입력된 반사율 데이터에 대해, 셰이딩(shading) 보정, 위치 어긋남 보정, 명도/색 공간(色空間) 변환, 감마 보정, 프레임 삭제나 색 편집, 이동 편집 등의 각종 화상 편집 등의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색의 색재 계조 데이터로 변환되어, 레이저 노광기(30)에 출력된다.
레이저 노광기(30)에서는, 입력된 색재 계조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도시 생략)로부터 출사(出射)된 레이저 광(LB-Y, LB-M, LB-C, LB-K)을, f-θ 렌즈(도시 생략)를 통해 폴리곤 미러(31)에 출사하고 있다. 폴리곤 미러(31)에서는, 입사된 레이저 광을 각 색의 계조 데이터에 따라 변조하고, 편향 주사하여, 도시하지 않은 결상 렌즈 및 복수매의 미러를 통해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에서의 감광체 드럼(12)에 조사하고 있다.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에서의 감광체 드럼(12)에서는, 대전된 표면이 주사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각각의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에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분체상으로서 현상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의 감광체 드럼(12) 상에 형성된 분체상은, 중간 전사 벨트(21) 상에 다중 전사된다.
한편, 용지 반송계(40)에서는, 화상 형성의 타이밍에 맞춰 공급 롤러(42)가 회전하여, 적재부(41)로부터 용지(P)가 공급된다. 그리고, 피드 롤러(43)에 의해 1매씩 분리된 용지(P)는, 반송로(44)를 거쳐 레지스트 롤러(45)에 반송되고, 일단 정지된다. 그 후, 분체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21)의 이동 타이밍에 맞춰 레지스트 롤러(45)가 회전하고, 용지(P)는 백업 롤러(24) 및 2차 전사 롤러(46)에 의해 형성되는 2차 전사 위치에 반송된다. 그리고, 2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P)에는, 압접력 및 전계를 이용하여, 4색이 다중되어 있는 분체상이 부주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그 후, 분체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기(29)에 의해 정착 처리를 받은 후, 배출 롤러(47)에 의해 적재부(48)에 적재된다.
이어서, 공급 기구(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 및 공급 기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공급 기구(100)에는,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의 각각을 수용하는 수용부(5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500)에 수용된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로부터 배출되는 분체를 현상기(16Y, 16M, 16C, 16K)에 반송하는 분체 반송부(8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가, 화상 형성 장치(1)의 프런트(front)측으로부터 리어(rear)측을 향해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의 프런트측으로 당김으로써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를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 중 수용부(500)가 설치된 개소는,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가 장착되는 장착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 200M, 200C, 200K)의 각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이하의 설명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를 일례로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해 분체 카트리지(200Y)가 착탈될 때에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200)와, 일 단부 및 타 단부를 가지고 또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체를 수용한 분체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본체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조작 부재)(20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일방측이 폐쇄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200)는, 본체부(300)의 일 단부측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 일 단부에 씌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부(2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기체(基體)(230)와, 기체(23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체(23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제 1 돌출부(210)와, 기체(230)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돌출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2 돌출부(220)의 내부에는 유저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간극(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어, 조작부(200)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행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300)는, 내부에 분체를 수용한 원통 형상의 기체(330), 기체(3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해 설치되는 동시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또한 수용부(500)(도 3 참조)에 접촉해서 분체 카트리지(200Y)의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3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제 2 셔터(320)에 대치(對峙)하여 이 제 2 셔터(320)를 덮는 제 1 셔터(310), 제 1 셔터(310) 및 후술하는 제 2 셔터(320)가 이동할 때에 이들 셔터를 안내하는 셔터 가이드부(350)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 가이드부(350)는, 기체(33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체(33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셔터 가이드부(350)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양 측면(일방의 측면은 도시 생략)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이동하는 제 1 셔터(310)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홈(351)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분체 카트리지(200Y)를 선단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에는 메모리(301)가 장착되어 있다. 이 메모리(301)에는, 예를 들면 분체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 분체의 색 정보, 분체의 수용량에 관한 정보, 분체의 제조에 관계되는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에는,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1)측에 설치된 피연결 부재(810)(도 17 참조)에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1)측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연결 부재(30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연결 부재(302)를 통해 내부의 반송 부재(후술함)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이 반송 부재가 구동됨으로써 내부의 분체가 분체 배출구(본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회전 규제부(3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둘레 방향에서의 서로 다른 위치에 회전 규제부(340)가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회전 규제부(340)는 기체(330)의 일방측에 설치되고, 타방의 회전 규제부(340)는 기체(330)의 타방측, 부언하면 기체(3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방의 회전 규제부(340)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회전 규제부(340)는, 그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 규제부(340)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동시에 기체(33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체(330)의 직경 방향을 향해 돌출한 기부(基部)(3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회전 규제부(340)는, 기부(343)와 직교하는 관계(교차하는 관계)로 배치되는 동시에 기부(343)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한 제 1 돌출부(3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 규제부(340)의 각각은, 기부(343)와 직교하는 관계(교차하는 관계)로 배치되는 동시에 기부(343)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한 제 2 돌출부(342)를 구비하고 있다.
더 설명하면, 각각의 회전 규제부(340)는, 기부(343)의 선단부로부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돌출부(341)와, 기부(343)의 선단부로부터 이 일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돌출부(342)를 가지고 있다. 더 설명하면, 각각의 회전 규제부(340)는, 기체(330)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기체(330)와의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배치되고 이 기체(330)의 외주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 1 돌출부(3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동일하게 기체(330)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기체(330)와의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배치되고 이 기체(330)의 외주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 2 돌출부(3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돌출부(341) 및 제 2 돌출부(342)는, 기부(343)와 마찬가지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의 (a)에서는 조작부(200)도 표시하고 있으며(파선 참조), 이 조작부(200)는 그 외경 형상이 본체부(300)의 외경 형상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규제부(340)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단면 형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분체 카트리지(200Y)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나 후단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단면 형상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의 (b)는, 도 4의 VB1-VB1 선 및 VB2-VB2 선에서의 회전 규제부(340)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 및 후단부에서는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돌출부(341)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기부(343) 및 제 2 돌출부(342)에 의해 회전 규제부(340)가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제 1 셔터(310)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셔터(310)는,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본체부(300)의 기체(330)(도 4 참조)와 대향하는 측)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셔터(310)는, 평판 형상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300)의 기체(330)에 대향 배치되는 대향부(314)와, 대향부(314)의 장변으로부터 기체(330)를 향해 연장되는 제 1 측벽(311)과, 대향부(314)의 또 하나의 장변으로부터 기체(330)를 향해 연장되는 제 2 측벽(312)과, 대향부(314)의 2개의 단변 중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측에 위치하는 단변으로부터 기체(330)를 향해 연장되는 제 3 측벽(3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셔터(310)는, 제 1 측벽(311)의 내측의 면 및 제 2 측벽(312)의 내측의 면에,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제 1 돌기(315A), 한 쌍의 제 2 돌기(315B), 한 쌍의 제 3 돌기(315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돌기(315B)의 직경이 제 1 돌기(315A)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셔터(310)는, 제 1 측벽(311) 및 제 2 측벽(312)의 각각에, 탄성을 가지고 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요동편(315D), 요동편(315D)의 선단에 설치되고 제 1 셔터(3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제 4 돌기(315E)를 구비하고 있다.
분체 카트리지(200Y)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1)로의 삽입이 개시된 직후의 분체 카트리지(200Y)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도중에 있어서의 분체 카트리지(200Y)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는, 기체(330)의 하부에, 제 1 셔터(310)에 설치된 제 4 돌기(315E)에 맞닿아 제 1 셔터(310)의 후퇴를 규제하는 규제용 돌기(303)를 가지고 있다. 분체 카트리지(200Y)가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4 돌기(315E)가 이 규제용 돌기(303)에 맞닿아 제 1 셔터(310)의 후퇴가 규제된 상태로 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가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셔터(310)에 설치된 제 3 돌기(315C)(도 6 참조)가 제 2 셔터(320)의 상부 가장자리부(321)에 맞닿아(제 3 돌기(315C)가 상부 가장자리부(321)와 기체(33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함), 기체(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제 1 셔터(310)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삽입되면, 기체(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면 중 우하 방향) 또한 제 1 셔터(310)가 후퇴하는 방향(도면 중 좌하 방향)으로, 제 4 돌기(315E)가 수용부(500)(도 3 참조)에 의해 가압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이에 따라 제 4 돌기(315E)와 규제용 돌기(303)의 상기 맞닿음이 해제되고, 제 1 셔터(310)는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후퇴한다. 그 후, 제 2 셔터(320)의 상부 가장자리부(321)와 제 3 돌기(315C)의 상기 맞닿음도 해제되고, 또한 제 1 가이드 홈(351) 내에 설치된 사면(斜面)(도시 생략)에 제 2 돌기(315B)(도 6 참조)가 맞닿아, 제 1 셔터(310)는 선단부측이 아래로 늘어뜨려지도록 변위한다.
그 후, 분체 카트리지(200Y)가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 방향으로 더 진행하지만, 제 1 셔터(310)는 수용부(500)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수용부(5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머무른다. 이에 따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제 2 셔터(320)가 노출하게 된다. 또한, 제 2 셔터(320)의 상부 가장자리부(321)와 제 3 돌기(315C)의 맞닿음이 해제된 후는, 제 2 돌기(315B)(도 6 참조)가 셔터 가이드부(350)에 설치된 제 1 가이드 홈(351)의 내벽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310)의 상기 변위(아래로 늘어뜨려짐)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한다.
여기에서 도 9는, 제 1 셔터(310)가 후퇴한 후에 있어서의 분체 카트리지(200Y)의 상태를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본 도면을 이용하여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측의 구성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330) 중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면삭(面削) 형상의 평탄면(3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평탄면(331)에는, 이 평탄면(3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3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돌기(332)는, 셔터 가이드부(350)(도 8 참조)보다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셔터 가이드부(350)는, 기체(33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체(33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본체부(352), 가이드 본체부(352)의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돌기(35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셔터 가이드부(350)는, 가이드 본체부(352)의 타방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돌기(3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352)에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분체의 배출에 이용되는 관통 구멍(3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304A)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탄성을 가지고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304)가 가이드 본체부(352)의 상면에 붙어있다. 또한, 밀봉 부재(304)는, 우레탄 고무나 발포 폴리우레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막음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2 셔터(32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밀봉 부재(304)에 대향 배치되어 밀봉 부재(304)에 형성된 상기 관통 구멍(304A)을 막는 커버부(323)와, 커버부(323)의 폭 방향에서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기체(330)를 향해 연장되는 제 1 측부(327)와, 커버부(323)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기체(330)를 향해 연장되는 제 2 측부(322)와, 제 1 측부(327)에 접속되는 동시에 커버부(323)에 대향 배치되는 제 1 대향부(324)와, 제 2 측부(322)에 접속되는 동시에 커버부(323)에 대향 배치되는 제 2 대향부(32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대향부(324)와 커버부(323)에 의해 제 1 돌기(353) 및 밀봉 부재(304)를 사이에 끼우고, 또한 제 2 대향부(325)와 커버부(323)에 의해 제 2 돌기(354) 및 밀봉 부재(304)를 사이에 끼우고 있다. 이에 따라 밀봉 부재(304)가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한 삽입이 완료된 후의 분체 카트리지(200Y)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가 더 삽입되면, 제 2 셔터(320)가 수용부(500)(도 3 참조)의 미리 정해진 부위에 대해 맞닿아, 제 2 셔터(320)의 이동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제 2 셔터(3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밀봉 부재(304)의 관통 구멍(304A)(도 9 참조)이 개방된다. 이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의 하부에, 분체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분체 배출구(307)(개구의 일례)가 형성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가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빼내질 때에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이 실행된다. 즉 분체 카트리지(200Y)의 본체부(300)에 대해 제 2 셔터(320)가 상대적으로 전진함으로써 분체 배출구(307)가 폐쇄된다. 또한, 제 1 셔터(310)가 상대적으로 전진함으로써, 제 2 셔터(320)가 제 1 셔터(310)에 의해 덮인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제 2 셔터(320)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부(321)에 접속해서 설치되는 동시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 방향을 향함에 따라 기체(330)에 접근하는 사면(326)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셔터(310)가 전진할 때에는, 제 1 셔터(310)에 설치된 제 3 돌기(315C)(도 6 참조)가 이 사면(326)을 오른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310)의 선단부가 기체(330)에 접근하는 동시에 제 2 셔터(320)가 제 1 셔터(310)에 의해 덮인다.
분체 카트리지(200Y)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11은, 제 1 셔터(310)가 닫힌 상태에서의 분체 카트리지(200Y)를 저부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제 1 셔터(310)가 열린 상태에서의 분체 카트리지(200Y)를 저부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도 11의 XIII-XIII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가이드부(350)에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셔터 가이드 홈(3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셔터 가이드 홈(356)의 내부에는, 수용부(500)(도 3 참조)측에 설치된 제 1 돌기(상세한 것은 후술함)를 가압해서 이 제 1 돌기를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退避)시키는 제 1 퇴피부(357A), 제 2 퇴피부(35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가이드 홈(356)의 내부에는, 수용부(500)측에 설치된 제 2 돌기(상세한 것은 후술함)를 가압해서 이 제 2 돌기를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시키는 제 3 퇴피부(357C)(퇴피부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퇴피부(357A), 제 2 퇴피부(357B), 및 제 3 퇴피부(357C)의 각각은, 박판(薄板) 형상(리브 형상)의 돌기가 복수 설치되고 또한 이들 돌기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퇴피부(357A)는 분체 카트리지(200Y) 중 조작부(200)가 설치된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를 저부측에서 본 경우(도 11의 상태)에, 제 1 퇴피부(357A)는 조작부(200)에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퇴피부(357B)는 제 1 퇴피부(357A)와 제 3 퇴피부(357C)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퇴피부(357B)는 제 1 셔터(310)가 닫힌 상태에서 이 제 1 셔터(310)보다 분체 카트리지(200Y)의 후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제 1 셔터(310)가 닫힌 상태에서, 제 2 퇴피부(357B)는 제 1 셔터(310)에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제 3 퇴피부(357C)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퇴피부(357C)는, 제 2 셔터(3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이 제 2 셔터(320)보다 분체 카트리지(200Y)의 후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를 저부측에서 본 경우에, 제 3 퇴피부(357C)는 제 2 셔터(320)에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한 제 1 퇴피부(357A)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의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기체(330)의 외주면(외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사면(경사면)(A1)을 가지고 있다. 부언하면, 제 1 퇴피부(357A)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방향에 대해 경사진 사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2 퇴피부(357B)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기체(330)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된 사면(B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3 퇴피부(357C)도,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기체(330)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된 사면(C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본체부(300)의 내부도 도시하고 있다. 본체부(300)의 내부에는, 연결 부재(302)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 구동해서 내부의 분체를 분체 배출구(307)(도 10 참조)까지 반송하는 반송 부재(305)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3에서 나타낸 수용부(500), 분체 반송부(8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수용부(500)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500)는, 홈통 형상(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부(500)는, 2개의 장변을 가지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저부(530)와, 저부(530)의 일방의 장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측벽(510)과, 저부(530)의 타방의 장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측벽(520)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용부(500)는, 제 1 측벽(510)의 상부 가장자리에, 분체 카트리지(200Y)에 형성된 일방의 회전 규제부(340)(도 5의 (a) 참조)가 삽입되는 동시에 이 회전 규제부(340)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5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용부(500)는, 제 2 측벽(520)의 상부 가장자리에, 분체 카트리지(200Y)에 형성된 타방의 회전 규제부(340)(도 5의 (a) 참조)가 삽입되는 동시에 이 회전 규제부(340)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55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수용부(500)는, 제 2 측벽(520)의 내측의 면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저부(530)에 접근하는 사면(561)을 가진 V자 형상의 돌기(5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돌기(560)는 제 1 측벽(510)의 내측의 면에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500)는, 제 2 측벽(520)에 관통하여 설치된 슬릿(565)을 2개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이 2개의 슬릿(565)은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에서 수용부(500)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2개의 슬릿(565)은 제 1 측벽(510)에도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저부(530)에는,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된 3개의 평탄면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부(530)에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개시되는 입구부측에 제 1 평탄면(5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평탄면(531)보다 안쪽에는, 제 1 평탄면(531)보다 낮은 개소에 위치하는 제 2 평탄면(5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평탄면(532)보다 안쪽에는, 제 1 평탄면(531) 및 제 2 평탄면(53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 3 평탄면(5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제 1 평탄면(531)과 제 2 평탄면(532)을 접속하는 제 1 접속면(534), 동일하게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제 2 평탄면(532)과 제 3 평탄면(533)을 접속하는 제 2 접속면(53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500)에는, 탄성편(571A)을 통해 제 1 평탄면(531)에 접속되고 또한 제 1 평탄면(531)으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제 1 셔터(310))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한 제 1 돌기(5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572A)을 통해 제 3 평탄면(533)에 접속되고 제 3 평탄면(533)으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한 제 2 돌기(572)(돌출부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돌기(571)는, 탄성편(571A)이 휨으로써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 가능하고, 제 2 돌기(572)도, 탄성편(572A)이 휨으로써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속면(535)의 상방 또한 제 3 평탄면(533)과 제 2 측벽(520)이 접속하는 개소에, 규제용 돌기(5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용 돌기(573)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과 후단이 역전(逆轉)한 상태로 분체 카트리지(200Y)가 삽입되어 왔을 경우에, 조작부(200)(도 4 참조)에 접촉하여, 규제용 돌기(573)가 설치된 개소보다 안쪽으로의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수용부(500)는, 상기 분체 배출구(307)(도 10 참조)로부터 배출되어 온 분체를 분체 반송부(800)(도 3 참조)에 배출하기 위한 본체측 배출구(575)를 가지고 있다.
수용부(50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15는, 수용부(500) 중 제 3 평탄면(533)의 주변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수용부(500)에는, 제 2 돌기(572)보다 분체 카트리지(200Y) 삽입 방향에서의 안쪽 또한 제 3 평탄면(533)의 상방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 및 빼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580)(개방 부재, 규제 부재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500)에는, 슬라이드 부재(580)에 부착되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 및 빼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본체측 셔터(59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본 도면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부재(580)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또한 도 16에서는 본체측 셔터(590)를 도시 생략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80)는, 상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저판(581)과, 저판(581)의 일방의 장변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부(582)와, 측부(582)에 접속되는 동시에 저판(581)에 대향 배치되는 대향부(583)를 구비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는, 저판(581)과 대향부(583) 사이에 간극(584)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저판(581)의 타방의 장변측에도, 측부(582), 대향부(583), 및 간극(58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는, 도 15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581)의 일방의 장변측에, 제 1 측벽(510)과 대향 배치된 대향편(585)을 2개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대향편(585)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측벽(510)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58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85A)는 수용부(500)에 설치된 슬릿(565)(도 14 참조)에 삽입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2개의 대향편(585)은 저판(581)의 타방의 장변측에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 배출구(575)(도 14 참조)에 대향 배치되어 분체 카트리지(200Y)로부터 배출되는 분체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586)을 저판(581)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에는, 저판(581)에 형성된 복수의 면 중 제 3 평탄면(533)(도 15 참조)과 대향하는 면에, 밀봉 부재(587)가 붙어 있다(도 16 참조). 이 밀봉 부재(587)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두께 방향으로 압축 가능하다. 여기에서 밀봉 부재(587)는,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나 발포 폴리우레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587)에는, 통과 구멍(586)을 통과해 온 분체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58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는, 대향부(583)에 설치된 복수의 면 중 저판(581)과 대향하는 면에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저판(581)에 접근하는 사면(583A)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의 대향부(583)에는, 노치(583B)가 형성되어 있다(도 15도 참조).
한편, 본체측 셔터(590)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80)의 상기 간극(584) 내에 수용되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 및 빼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 본체(593), 2개 설치된 상기 대향부(583) 중 일방의 대향부(583)에 접근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제 1 요동편(591)을 가지고 있다. 또한, 2개 설치된 상기 대향부(583) 중 타방의 대향부(583)에 접근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제 2 요동편(59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요동편(591) 및 제 2 요동편(592)은 셔터 본체(593)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체측 셔터(590)는, 제 1 요동편(591) 중 제 2 요동편(592)과 대향하는 부위에 제 1 돌기(594A)를 가지고, 제 2 요동편(592) 중 제 1 돌기(594A)와 대향하는 부위에 제 2 돌기(594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체측 셔터(590)는, 일방의 대향부(583)에 형성된 노치(583B)에 대향했을 때에 이 노치(583B) 내에 끼워지는 제 3 돌기(594C), 타방의 대향부(583)에 형성된 노치(583B)에 대향했을 때에 이 노치(583B) 내에 끼워지는 제 4 돌기(594D)를 가지고 있다.
도 17은 도 14의 XVII-XVII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이용하여 수용부(50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슬라이드 부재(580), 본체측 셔터(590) 등도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돌기(571) 및 제 2 돌기(572)의 각각은 그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돌기(571)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빼냄 방향)과 직교하는 관계(교차하는 관계)로 배치되고 제 1 셔터(310)(도 10 참조)의 후퇴를 규제하는 규제면(571E)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규제면(571E)에 접속해서 설치되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방(제 1 평탄면(5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 1 사면(571F)과, 이 제 1 사면(571F)에 접속해서 설치되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하방(제 1 평탄면(531)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하는 제 2 사면(571G)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돌기(572)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빼냄 방향)과 직교하는 관계(교차하는 관계)로 배치되고 제 2 셔터(320)(도 10 참조)의 후퇴를 규제하는 규제면(572E)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규제면(572E)에 접속해서 설치되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방(제 3 평탄면(5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 1 사면(572F)과, 이 제 1 사면(572F)에 접속해서 설치되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하방(제 3 평탄면(533)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하는 제 2 사면(572G)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분체 반송부(800)의 도시도 행하고 있다. 분체 반송부(800)는, 분체 카트리지(200Y)에 설치된 연결 부재(302)(도 5의 (a) 참조)가 연결되고 이 연결 부재(302)를 회전 구동시키는 피연결 부재(810), 이 피연결 부재(81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도시 생략), 분체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통 형상 부재(820), 통 형상 부재(820)에 수용되어 분체의 반송을 행하는 반송 부재(8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서 분체 카트리지(200Y)가 삽입될 때 및 빼내질 때의 각 부분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개시된 직후의 각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분체 카트리지(200Y)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삽입되었을 경우, 우선 제 1 셔터(310)가 제 1 평탄면(531)의 상방을 통과한다. 이 때, 제 1 돌기(571)는, 제 2 사면(571G)(도 17 참조)이 제 1 셔터(31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 1 평탄면(531)의 하면측으로 이동한다. 부언하면, 제 1 돌기(571)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행해질 때에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회전 규제부(340)(도 5의 (a) 참조)가 제 1 가이드(540) 및 제 2 가이드(550)(도 14 참조)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분체 카트리지(200Y)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도 18의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가 더 삽입되면, 도 19(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도중에 있어서의 각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셔터(310)가 제 1 돌기(571)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제 1 돌기(571)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한다. 또한 이 때, 제 1 돌기(571)는 셔터 가이드부(350)에 설치된 셔터 가이드 홈(356)(도 11 참조) 내에 돌출한다. 또한 제 1 셔터(310)가 제 1 돌기(571)를 통과한 후, 제 1 셔터(310)의 제 4 돌기(315E)가 수용부(500)측에 설치된 돌기(560)의 사면(561)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310)의 진행이 규제된다. 또한 제 4 돌기(315E)가 사면(561)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가압되고,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규제용 돌기(303)에 대한 제 4 돌기(315E)의 맞닿음이 해제된다.
그 후, 상부 가장자리부(321)(도 7 참조)와 제 3 돌기(315C)(도 6 참조)의 맞닿음이 해제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310)는 선단부측이 아래로 늘어뜨려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제 1 셔터(31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평탄면(532)의 상방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8의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가 더 진행하면, 제 2 돌기(572)의 제 2 사면(572G)(도 17 참조)이 제 2 셔터(320)에 의해 가압되어, 제 2 돌기(572)도,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일시적으로 퇴피한다. 그리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20(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완료된 후의 각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돌기(572)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에 다시 돌출한다. 또한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 2 돌기(572)는 셔터 가이드 홈(356)(도 11도 참조) 내에 돌출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행해질 때에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기(332)(도 12, 도 13 참조)가, 본체측 셔터(590)(도 15 참조)에 설치된 제 1 돌기(594A)와 제 2 돌기(594B)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돌기(332)가 제 1 요동편(591) 및 제 2 요동편(592)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진행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580)에 형성된 상기 간극(584)(도 16 참조)의 내부에, 분체 카트리지(200Y)에 설치된 제 1 돌기(353)(도 9 참조), 제 2 돌기(354), 및 밀봉 부재(304)가 진입한다. 또한 이 때, 밀봉 부재(304)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제 1 돌기(353), 제 2 돌기(354), 및 밀봉 부재(304)가 간극(584)의 내부에 진입하면, 이들 부재에 의해 셔터 본체(593)(도 15 참조)의 단면(端面)이 가압되어, 본체측 셔터(59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측 배출구(575)(도 14 참조)가 개방된다.
또한 셔터 본체(593)의 단면이 가압되어 본체측 셔터(59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노치(583B)(도 15 참조) 내에 위치해 있던 제 3 돌기(594C) 및 제 4 돌기(594D)가 대향부(583)(도 16 참조)에 의해 가압되게 된다. 이 결과, 제 1 요동편(591) 및 제 2 요동편(592)이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제 1 돌기(594A)와 제 2 돌기(594B)가 접근한다. 그리고 제 1 돌기(594A)와 제 2 돌기(594B)가 접근하면, 분체 카트리지(200Y)가 빼내질 때, 이들 돌기에 대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상기 돌기(332)가 맞닿게 된다. 이 결과, 분체 카트리지(200Y)가 빼내질 때, 본체측 셔터(590)가 닫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셔터(320)의 이동 경로 상에 슬라이드 부재(580)(도 16 참조)의 저판(581)이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에 따라 이동해 온 제 2 셔터(320)는, 제 2 돌기(572)(도 15 참조)를 통과한 후, 슬라이드 부재(580)에 맞닿아 그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완료되면, 슬라이드 부재(580)와 제 2 돌기(572) 사이에 제 2 셔터(320)가 수납된 상태로 된다. 즉, 도 15의 파선으로 나타낸 개소에 제 2 셔터(320)가 수납된 상태로 된다. 부언하면 제 2 셔터(320)는, 슬라이드 부재(580)에 맞닿음으로써 본체부(300)의 기체(3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분체 배출구(307)를 개방한다.
이어서, 분체 카트리지(200Y)가 빼내질 때의 각 부분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개시되었을 경우, 본체부(300)의 이동(후퇴)이 우선 개시된다. 이 때, 돌기(332)(도 12, 도 13 참조)가 본체측 셔터(590)의 제 1 돌기(594A)와 제 2 돌기(594B)에 맞닿아, 본체측 셔터(590)가 본체부(300)와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580)의 통과 구멍(586)(도 16 참조)이 폐쇄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의 통과 구멍(586)이 폐쇄된 후, 본체측 셔터(590)가 더 이동함에 따라 제 3 돌기(594C) 및 제 4 돌기(594D)가 노치(583B)(도 15 참조)까지 도달한다. 이에 따라, 제 1 돌기(594A)와 제 2 돌기(594B)의 간극이 넓어져, 제 1 돌기(594A)와 제 2 돌기(594B) 사이를 돌기(332)가 통과 가능해진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개시된 직후는, 폐쇄부의 일례로서의 제 2 돌기(572)(도 17 참조)의 규제면(572E)에 대해 제 2 셔터(320)의 단부가 맞닿고 있어, 제 2 셔터(320)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동작에 따라 분체 배출구(307)(도 10 참조)가 제 2 셔터(320)에 접근하여, 이 분체 배출구(307)가 제 2 셔터(320)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배출구(307)가 제 2 셔터(320)에 의해 폐쇄된 후, 제 3 퇴피부(357C)(도 13, 도 20 참조)가 제 2 돌기(572)의 제 1 사면(572F)(도 17 참조)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 2 셔터(320)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제 2 돌기(572)가 퇴피하여, 제 2 셔터(320)가 제 2 돌기(572)를 통과한다.
도 21(제 2 돌기(572) 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 2 돌기(572) 등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 도면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측에 설치된 제 3 퇴피부(357C)의 사면(C1)이 제 2 돌기(572)의 제 1 사면(572F)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 2 돌기(572)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 2 셔터(320)의 도면 중 좌단부가 제 1 사면(572F)을 더 가압하여, 제 2 돌기(572)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2 셔터(320)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제 2 돌기(572)가 퇴피하여, 제 2 셔터(320)가 제 2 돌기(572)를 통과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제 1 셔터(310)의 후퇴도 규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제 1 돌기(571)의 규제면(571E)(도 17 참조)에 대해 제 1 셔터(310)의 단부가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310)는 후퇴가 규제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300)에 대해 제 1 셔터(31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후퇴가 규제되어 있을 때, 제 1 셔터(310)는 제 2 평탄면(532)(도 14 참조)의 상부에 머무르는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후퇴가 규제된 제 1 셔터(310)에 대해 제 2 셔터(320)가 접근해 오면, 제 2 셔터(320)의 형성된 사면(326)(도 8 참조)에 제 1 셔터(310)의 제 3 돌기(315C)(도 6 참조)가 올라앉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310)의 선단부가 분체 카트리지(200Y)의 기체(330)의 외주면에 접근한다. 그 후, 규제용 돌기(303)(도 7 참조)보다 전방에 제 4 돌기(315E)(도 7 참조)가 위치하게 되고, 기체(330)에 대해 제 1 셔터(310)가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용 돌기(303)보다 전방에 제 4 돌기(315E)가 위치한 후, 즉 기체(330)에 대해 제 1 셔터(310)가 고정된 후, 제 2 퇴피부(357B)(도 11, 도 13 참조)가 제 1 돌기(571)의 제 1 사면(571F)(도 17 참조)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 1 돌기(571)가 제 1 셔터(310)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한다. 그리고 제 1 셔터(310)가 제 1 돌기(571)를 통과하여,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완료된다.
도 21을 참조하여, 제 1 돌기(571) 등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 도면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동작에 따라, 분체 카트리지(200Y)에 설치된 제 2 퇴피부(357B)의 사면(B1)이 제 1 돌기(571)의 제 1 사면(571F)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 1 돌기(571)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 1 셔터(310)의 도면 중 좌단부가 제 1 사면(571F)을 가압하여, 제 1 돌기(571)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310)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제 1 돌기(571)가 퇴피하여, 제 1 셔터(310)가 제 1 돌기(571)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 장치(1)에 분체 카트리지(200Y)가 삽입되었을 때의 제 2 셔터(320)나 슬라이드 부재(580)의 동작, 분체 카트리지(200Y)가 빼내질 때의 제 2 셔터(320)나 슬라이드 부재(580)의 동작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 ~ 도 27은, 제 2 셔터(320)가 슬라이드 부재(58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해 삽입된 분체 카트리지(200Y)가 미리 정해진 개소까지 도달하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돌기(572)가 제 2 셔터(320)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제 2 돌기(572)가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에 의해, 제 2 셔터(320)가 슬라이드 부재(580)를 향해 이동해 간다. 그 후,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셔터(320)가 슬라이드 부재(580)의 단부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580)가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방향 하류측을 향해 가압되게 된다.
그리고 분체 카트리지(200Y)가 더 삽입되면, 제 2 셔터(320)에 의해 가압된 슬라이드 부재(580)가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방향 하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 후 슬라이드 부재(580)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돌기(585A)가 수용부(500)에 설치된 슬릿(565)(도 14도 참조)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이동을 정지한다. 또한 이 때, 제 2 셔터(320)는 제 2 돌기(572)를 통과해 있어, 제 2 돌기(572)가 분체 카트리지(200Y)(제 2 셔터(320))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해 있다.
그 후,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더 행해져,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기(332)가 더 이동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더 행해지면, 저판(581)(도 16 참조)과 대향부(583)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간극(584)(홈의 일례)에 대해, 분체 카트리지(200Y)에 설치된 제 1 돌기(353)(도 9 참조) 및 제 2 돌기(354)가 진입한다. 또한 간극(584)에 대해 밀봉 부재(304)도 진입한다. 이에 따라 본체측 셔터(590)(도 15 참조)가 이동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580)에 설치된 통과 구멍(586)(도 16 참조)이 개방된다.
또한 제 1 돌기(353)의 두께(제 2 돌기(354)측도 마찬가지임)와 자연 상태에 있는 밀봉 부재(304)의 두께의 합은, 상기 간극(584)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극(584)에 대해 제 1 돌기(353)(제 2 돌기(354)측도 마찬가지임) 및 밀봉 부재(304)가 진입하면, 밀봉 부재(304)가 압축된다. 또한, 제 1 돌기(353)와 슬라이드 부재(580)(슬라이드 부재(580)에 설치된 간극(584)에 면하는 벽면) 사이, 및 밀봉 부재(304)와 슬라이드 부재(58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상태에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더 행해지면, 분체 카트리지(200Y)에 설치된 분체 배출구(307)(도 10 참조)가 슬라이드 부재(580)에 설치된 통과 구멍(586)(도 16 참조)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분체 카트리지(200Y)에 수용된 분체의 분체 반송부(800)(도 3 참조)로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이 행해지고 있을 때, 제 2 셔터(320)가 슬라이드 부재(580)에 가압되는 상태로 되어,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분체 카트리지(200Y)가 빼내질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개시되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에 부수되어 제 2 셔터(320)도 이동하여,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셔터(320)의 단부가 제 2 돌기(572)의 규제면(572E)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 2 셔터(320)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규제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에 부수되어 제 2 셔터(320)가 이동하는 것은, 밀봉 부재(304)(도 9 참조)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밀봉 부재(304)의 복원력이, 제 1 대향부(324)와 제 1 돌기(353) 사이에 작용하고, 제 2 대향부(325)와 제 2 돌기(354) 사이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돌기(353)(도 9 참조)(제 2 돌기(354)측도 마찬가지임)와 슬라이드 부재(580) 사이, 및 밀봉 부재(304)(도 9 참조)와 슬라이드 부재(58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580)가 분체 카트리지(200Y)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이 행해지면, 분체 카트리지(200Y)에 부수되어 슬라이드 부재(580)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제 2 셔터(320)의 이동에 추종해서 슬라이드 부재(580)가 이동하게 되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부언하면, 슬라이드 부재(580)는 제 2 셔터(320)와의 접촉을 유지한 채, 제 2 셔터(320)의 이동에 추종해서 이동한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돌기(572)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 제 2 셔터(320)에 대해 슬라이드 부재(580)가 가압된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에 설치된 제 1 돌기(353), 제 2 돌기(354), 및 밀봉 부재(304)는, 슬라이드 부재(580)(개방 부재, 규제 부재의 일례)를 분체 카트리지(200Y)가 빼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이동부로서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체 카트리지(200Y)가 빼내질 때,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제 2 셔터(320)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후에 분체 배출구(307)(도 10 참조)가 이 간극의 상방을 통과할 때에 분체 배출구(307)로부터 낙하해 온 분체가 이 간극 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및 빼냄 동작이 반복되면, 이 간극에 분체가 모이게 된다. 그리고 간극 내에 분체가 모인 상태에서 새로운 분체 카트리지(200Y)가 삽입되어 온 경우, 간극에 모여 있던 분체가, 제 2 셔터(320) 등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에 부착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셔터(320)에 대해 슬라이드 부재(580)를 추종시켜,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2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의 후퇴가 더 진행되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카트리지(200Y)에 설치된 제 3 퇴피부(357C)가 제 2 돌기(572)에 맞닿아 제 2 돌기(572)가 분체 카트리지(200Y)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셔터(320)가 제 2 돌기(572)를 통과 가능해진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의 후퇴가 더 진행되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셔터(320)의 상부에 분체 배출구(307)가 이동하여, 분체 배출구(307)가 제 2 셔터(320)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분체 카트리지(200Y)의 후퇴가 진행되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기(332)에 의해 본체측 셔터(590)(도 15 참조)가 이동하고, 이 본체측 셔터(590)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580)의 통과 구멍(586)(도 16 참조)이 폐쇄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의 접촉부(가압부)의 상방을 분체 배출구(307)가 통과한 후에, 제 2 돌기(572)에 대해 제 3 퇴피부(357C)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언하면,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의 접촉부의 상방을 분체 배출구(307)가 통과한 후에, 이동이 규제되어 있던 제 2 셔터(320)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의 접촉부의 상방을 분체 배출구(307)가 통과하기 전에, 제 3 퇴피부(357C)가 제 2 돌기(572)에 접촉하면, 제 2 셔터(320)와 슬라이드 부재(58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또한 이 간극의 상방을 분체 배출구(307)가 통과하게 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도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배출구(307)가 제 2 셔터(320)에 의해 폐쇄된 후에, 제 3 퇴피부(357C)가 제 2 돌기(572)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580)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 동작에 연동해서 분체 카트리지(200Y)와 함께 이동하지만, 돌기(585A)(도 27 참조)가 슬릿(565)의 단부에 맞닿은 후는 그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분체 카트리지(200Y)의 삽입 및 빼냄에 의해 분체 카트리지(200Y)의 장착 및 분리가 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분체 카트리지(200Y)의 장착 및 분리는, 분체 카트리지(200Y)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분체 카트리지(200Y)를 삽입한 후에 둘레 방향으로 분체 카트리지(200Y)를 더 회전시켜 분체 카트리지(200Y)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분체 카트리지(200Y)를 회전시킨 후에 분체 카트리지(200Y)의 빼냄를 행해서 분체 카트리지(200Y)의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분체 카트리지(200Y)를 회전시켜서 장착 및 분리를 행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재(580)는, 제 2 셔터(320)의 이동 경로 상에서 분체 카트리지(200Y)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제 2 셔터(32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1…화상 형성 장치 200Y, 200M, 200C, 200K…분체 카트리지
300…본체부 304…밀봉 부재
307…분체 배출구 320…제 2 셔터
353…제 1 돌기 354…제 2 돌기
357C…제 3 퇴피부 572…제 2 돌기
580…슬라이드 부재 584…간극

Claims (11)

  1.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분체(粉體)가 수용된 분체 수용부와, 당해 분체 수용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당해 분체 수용부의 당해 개구를 막는 막음 부재를 구비한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의 상기 수용 용기의 장착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분체 수용부에 대해 당해 막음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부재와,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분체 수용부에 대해 당해 막음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수용 용기가 분리될 때에 상기 개방 부재를 상기 수용 용기가 분리될 때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부재는, 상기 막음 부재보다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시의 당해 막음 부재의 이동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폐쇄부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 상기 막음 부재에 대해 당해 개방 부재를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한 상기 개방 부재의 밀어붙임에 의해 당해 개방 부재와 상기 막음 부재가 서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당해 개방 부재와 당해 막음 부재의 접촉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체 수용부의 상기 개구는,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에 따라 당해 분체 수용부가 이동할 때에 상기 가압부의 상방(上方)을 이동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수용 용기의 분리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분체 수용부의 상기 개구가 상기 가압부의 상방을 통과한 후에, 이동을 규제하고 있던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부재는, 상기 장착부로의 상기 수용 용기의 장착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이동을 규제할 때에 당해 막음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개방 부재와 상기 막음 부재의 상기 접촉을 유지한 채 당해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수용 용기가 분리될 때에 당해 수용 용기에 가해지는 유저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개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상기 개구를 폐쇄한 후에 이동을 규제하고 있던 상기 막음 부재의 당해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토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 분체가 수용되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장착되는 분체 수용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상기 분체 수용부가 장착될 때에 당해 화상 형성 장치측에 설치된 규제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이동이 규제되고 당해 분체 수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당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당해 분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 이동하는 동시에 당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이동이 규제되고 당해 분체 수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개구를 막는 막음 부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분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에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분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상기 분체 수용부가 장착될 때에, 상기 규제 부재에 설치된 홈의 내부에 끼워지고, 당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당해 분체 수용부가 분리될 때, 당해 홈의 벽면과 당해 이동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당해 규제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 부재는, 상기 분체 수용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분리될 때에 당해 막음 부재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 돌출한 돌출부에 맞닿음으로써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막음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가 막힌 후에, 상기 돌출부를 가압해서 당해 돌출부를 상기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退避)시키는 퇴피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토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KR1020100054679A 2009-11-20 2010-06-10 화상 형성 장치 및 분체 수용 용기 KR101400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5108A JP5515673B2 (ja) 2009-11-20 2009-11-20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
JPJP-P-2009-265108 2009-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207A KR20110056207A (ko) 2011-05-26
KR101400973B1 true KR101400973B1 (ko) 2014-05-29

Family

ID=4406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679A KR101400973B1 (ko) 2009-11-20 2010-06-10 화상 형성 장치 및 분체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91753B2 (ko)
JP (1) JP5515673B2 (ko)
KR (1) KR101400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7159B2 (en) * 2009-11-19 2013-04-09 Fuji Xerox Co.,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76732B1 (ja) * 2010-05-17 2011-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可搬型画像処理装置
AU2011337578A1 (en) 2010-12-03 2013-06-20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powd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X368873B (es) 2011-11-25 2019-10-21 Ricoh Co Ltd Recipiente para polv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
JP5435116B2 (ja) * 2012-03-15 2014-03-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粉体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粉体補給装置、および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
KR102002623B1 (ko) 2012-06-03 2019-07-22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5822816B2 (ja) * 2012-11-20 2015-11-24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体、現像剤収容体保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465317B2 (en) 2013-02-25 2016-10-11 Ricoh Company, Ltd. Nozzle insertion memb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03551B2 (ja) * 2013-03-15 2018-04-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TWI749884B (zh) 2013-03-15 2021-12-11 日商理光股份有限公司 粉末容器及影像形成裝置
US9829854B2 (en) * 2016-03-29 2017-11-28 Fuji Xerox Co., Ltd. Opening/closing mechanism, powder transport device using the same, and powder processing apparatus
JP7009132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574A (ko) * 2000-09-01 2002-03-08 미다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거 가능하게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
JP2005134452A (ja) * 2003-10-28 2005-05-26 Fuji Xerox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84844A (ja) 2004-09-16 2006-03-30 Fuji Xerox Co Ltd 開閉装置、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98879A (ja) 2007-05-29 2008-12-1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381A (ja) * 1985-08-29 1987-03-04 Toshiba Corp 電子複写機におけるトナ−カ−トリツジ
JPH08185027A (ja) * 1994-12-28 1996-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ー収納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ナー補給装置
JP4562941B2 (ja) * 2001-04-16 2010-10-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4258472A (ja) * 2003-02-27 2004-09-16 Kyocera Mita Corp トナー補給装置
JP4275518B2 (ja) * 2003-12-09 2009-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34526A (ja) * 2006-11-29 2008-06-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補給機構、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3975B2 (ja) * 2007-03-22 2012-12-1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4458153B2 (ja) * 2007-11-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458152B2 (ja) * 2007-11-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574A (ko) * 2000-09-01 2002-03-08 미다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거 가능하게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
JP2005134452A (ja) * 2003-10-28 2005-05-26 Fuji Xerox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84844A (ja) 2004-09-16 2006-03-30 Fuji Xerox Co Ltd 開閉装置、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98879A (ja) 2007-05-29 2008-12-1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15673B2 (ja) 2014-06-11
US8391753B2 (en) 2013-03-05
JP2011107606A (ja) 2011-06-02
US20110123232A1 (en) 2011-05-26
KR20110056207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973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분체 수용 용기
US7616923B2 (en) Power gui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ower guiding device
KR10086410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447938B2 (ja) 画像形成装置
EP2296061B1 (en) Developer cartridge
US2013030206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waste toner container that stores toner removed from intermediate transfer belt
JP4617348B2 (ja) レーザ露光装置、清掃具及び画像形成装置
US82035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KR100547129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547130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160088245A (ko) 화상형성 유닛
JP2005031672A (ja) 電子写真方式印刷機
CN110837216A (zh) 粉末收容容器、显影剂补充装置和图像形成设备
JP7362382B2 (ja)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772807B1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45703B2 (ja) 収容容器
JP5482138B2 (ja)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79444B2 (ja) 画像形成装置
JP551566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
JP201110753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
JP4039231B2 (ja) 画像形成装置
JP3933045B2 (ja) 画像形成装置
US8417159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2073243B (zh) 图像形成装置及粉末容器
JP699170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