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779B1 -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779B1
KR101400779B1 KR1020130023558A KR20130023558A KR101400779B1 KR 101400779 B1 KR101400779 B1 KR 101400779B1 KR 1020130023558 A KR1020130023558 A KR 1020130023558A KR 20130023558 A KR20130023558 A KR 20130023558A KR 101400779 B1 KR101400779 B1 KR 10140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side portion
fixed cap
protrusion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창
허재찬
김태형
엄태관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779B1/ko
Priority to PCT/KR2014/001774 priority patent/WO201413714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7Telescopic anchoring, i.e. using spring biased de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츄어가 상기 어버트먼트와 일체형으로 존재하여 치조골에 식립되거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의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로서, 치조골 또는 픽스쳐 내에 삽입되는 하측부와, 상기 치조골 또는 픽스쳐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외주면이 치과용 구조물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돌출부보다 큰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캡으로서, 제1상단부와, 상기 제1상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를 포함하는 고정캡; 및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돌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고정캡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매개수단으로서, 상기 제1 상단부와 마주보는 제2상단부와, 상기 제1측부와 마주보는 제2 측부를 구비하는 탄성매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측부에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직접적으로 어버트먼트에 전달되지 않도록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1완충공간이 마련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of dental structure}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캡과 탄성매개수단 사이에 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고정캡에 가해지는 외력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 대한 것이다.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는,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거나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는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금속캡과, 상기 금속캡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탄성매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는, 미국 등록특허 6,030,219호 및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과용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금속캡 내부에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매개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매개수단은 어버트먼트에 스냅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금속캡 내부에 마련된 탄성매개수단은 상기 금속캡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매개수단이 상기 어버트먼트에 스냅식으로 결합됨에 따라서 치과용 구조물이 구강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탄성매개수단은, 상기 금속캡의 내부공간 내부 가장자리에 빈틈없이 결합되어 있어 탄성매개수단이 금속캡으로부터 이탈될 염려는 적으나, 금속캡의 외면으로부터 측방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금속캡의 하중이 탄성매개수단을 통하여 어버트먼트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과도한 힘이 어버트먼트에 가해질 염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탄성매개수단이 상기 금속캡에 꼭 맞춰져서 삽입되어 있으므로 탄성매개수단의 탄성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서 반복사용에 따라서 마모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매개수단의 외부에 배치된 고정캡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외력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매개수단의 탄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반복사용에 따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는, 픽스츄어가 상기 어버트먼트와 일체형으로 존재하여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거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의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로서, 치조골 또는 픽스쳐 내에 삽입되는 하측부와, 상기 치조골 또는 픽스쳐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외주면이 치과용 구조물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돌출부보다 큰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캡으로서, 제1상단부와, 상기 제1상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를 포함하는 고정캡; 및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돌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고정캡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는 탄성매개수단으로서, 상기 제1 상단부와 마주보는 제2상단부와, 상기 제1측부와 마주보는 제2 측부를 구비하는 탄성매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측부에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직접 어버트먼트(20)에 전달되지 않도록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1완충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제1완충공간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 거리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제1완충공간은 상하방향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제1완충공간은 제1측부의 하부과 제2측부의 하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고정캡과 탄성매개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스위블링할 수 있으며, 고정캡이 스위블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측부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부는 상기 제1측부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고정캡의 제1상단부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2완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제2완충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제2상단부와 돌출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제2측부의 하단은 상기 돌출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딩처리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탄성매개수단에는, 상기 제2상단부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결합용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돌출부의 중앙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용 돌기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제1측부와 제2측부는 착탈가능하게 서로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탄성매개수단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에서,
상기 제2측부는, 다수개가 상기 제2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는, 고정캡과 탄성매개수단이 전체적으로는 밀착접촉되나, 고정캡의 제1측부와 탄성매개수단의 제2측부의 사이에 상기 제1측부에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직접적으로 제2측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1완충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과도한 힘이 어버트먼트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매개수단의 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반복사용에 따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는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의 일구성인 탄성매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가 구강 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의 일구성인 탄성매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10)는,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버트먼트(20), 고정캡(30) 및 탄성매개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20)는, 픽스쳐가 상기 어버트먼트와 일체형으로 존재하는 경우 치조골(G)에 직접적으로 식립되거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의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치조골에 식립되거나 픽스쳐 내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는 하측부(21)와, 상기 치조골 또는 픽스쳐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2)의 상측면은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돌출부(22)의 하측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어 탄성매개수단(40)이 용이하게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22)의 중앙에는 상단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다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체결홀(2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20)를 치조골 또는 픽스쳐에 식립하기 위하여 외부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어버트먼트(20)는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이나 골드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캡(30)은, 외주면이 치과용 구조물 내에 결합되며, 내부에 돌출부(22)보다 큰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캡(30)은 상기 탄성매개수단(40)에 의하여 돌출부(22)에 결합되었을 때 스위블링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캡(30)은, 대략 원판형태의 제1상단부(31)와, 상기 제1상단부(31)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상단부(31)와 제1측부(32) 사이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부(32)의 외측면에는 치과용 구조물과 결합시 상기 치과용 구조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다수의 요철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측부(32)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캡(30)이 탄성매개수단(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돌기(3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매개수단(40)은, 상기 돌출부(22)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돌출부(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고정캡(30)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캡(3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매개수단(40)은, 상기 제1상단부(31)와 마주보며 원판형태의 제2상단부(41)와, 상기 제2상단부(41)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측부(42)는 상기 제1측부(32)와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측부(32)와 제2측부(42)의 사이에는 상기 제1측부(32)에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직접적으로 제2측부(42)에 전달되지 않도록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1완충공간(S1)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측부(42)에는 대략 중앙에 상기 제1측부(32)의 내부돌기(321)에 걸리는 걸림부(42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421)의 하측은 상기 제1측부(32)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제1완충공간(S1)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완충공간(S1)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 거리가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완충공간(S1)의 하측의 이격거리가 제1완충공간(S1)의 상측의 이격거리보다 커짐에 따라서 제1완충공간(S1)의 하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되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즉, 제1측부(3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측부(32)가 제2측부(42)에 닿기 전까지 탄성변형되면서 외력을 충분하게 흡수하고 일정정도 외력이 흡수된 후에 제1측부(32)가 완화된 외력을 제2측부(42)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과도한 외력이 직접적으로 제2측부(4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측부(42)의 하단은 상기 제1측부(32)의 하단과 동일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측부(42)가 상기 제1측부(32)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측부(42)가 제1측부(32)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됨에 따라서, 고정캡(30)이 경사(스위블)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캡(30)의 제1측부(32) 하단이 직접적으로 어버트먼트(20)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어버트먼트(20)와 탄성매개수단 및 고정캡이 체결, 분리 시에도 접촉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체결, 분리 및 경사이동시 탄성매개수단(40) 가장자리부분이 어버트먼트와 비접촉되어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22) 또는 그 주변과 상기 제2상단부(41) 사이에는 상기 고정캡(30)의 제1상단부(31)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2완충공간(S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2완충공간(S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부(22)와 제2상단부(41) 사이에 마련되며, 이에 따라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일정정도 흡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픽스쳐를 치조골 내에 식립한 후에 어버트먼트(20)를 상기 픽스쳐에 체결시킨다. 이후에, 고정캡(30)과 탄성매개수단(40)이 함께 삽입되어 있는 치과용 구조물을 상기 어버트먼트(20)에 스냅식으로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매개수단(40)의 내부에 어버트먼트(20)의 돌출부(22)를 스냅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10)는, 외부로부터 측방하중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은 제1측부(32)에 가해지게 되는데, 그 제1측부(32)에 가해진 외력은 바로 제2측부(42)를 거쳐서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제1측부(32)와 제2측부(42)가 서로 떨어져 있어(제1완충공간) 제1측부(32)가 제2측부(42)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1측부(32)가 탄성변형하면서 일정정도 외력을 흡수하고, 충분하게 외력이 흡수된 상태에서 제1측부(32)가 제2측부(42)에 접촉하여 완화된 외력을 제2측부 및 어버트먼트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2완충공간(S2)이 마련됨에 따라서 고정캡(30) 및 탄성매개수단(40)이 돌출부(22)에 대한 스위블링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2완충공간(S2)에 의하여 돌출부(22)와 제2상단부(41)가 이격되어 있고, 탄성매개수단(40)에서 제2측부(42)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22)가 제2상단부(41)에 접촉할 때까지 외력이 일정정도 탄성매개수단(40)에 의해 흡수되고 이에 따라서 과도한 외력이 제2상단부(41)를 거쳐서 어버트먼트(20)에 가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제1측부(32)에 비하여 제2측부(42)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서 고정캡(30)과 체결된 탄성매개수단(40)이 과도한 스위블링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측부(32)가 직접 어버트먼트(20)에 접촉되는 일이 없고 제1측부(32)가 제2측부(42)에 접촉하게 되어 어버트먼트(20)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제2측부(42)의 하단이 라운딩처리되어 있어, 돌출부(2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측부가 제2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매개수단(240)의 제2측부(242)는 다수개가 제2상단부(24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측부(242)이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각 측부(242)의 구속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서 제2측부가 외력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측부가 어버트먼트의 돌출부 하측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연결장치(300)의 탄성매개수단(340)에는, 상기 제2상단부(341)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결합용 돌기(343)가 마련되고, 상기 어버트먼트(320)의 돌출부(322)의 중앙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용 돌기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홈(32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돌기(343)가 상기 수용홈(322a)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됨에 따라서 어버트먼트(320)와 탄성매개수단(34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고블럭과 같이 제1측부(322)와 제2측부(342)를 억지끼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연결장치(400)의 상기 탄성매개수단(440)에는, 상기 제2측부(442)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42a)가 마련되고, 상기 어버트먼트(420)에는, 상기 걸림턱(442a)이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연결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되는 범위라면 확대되어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20...어버트먼트
21...하측부 22...돌출부
221...체결홀 30...고정캡
31...제1상단부 32...제1측부
321...내부돌기 40...탄성매개수단
41...제2상단부 42...제2측부

Claims (12)

  1. 픽스츄어가 상기 어버트먼트와 일체형으로 존재하여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거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의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로서, 치조골 또는 픽스쳐 내에 삽입되는 하측부와, 상기 치조골 또는 픽스쳐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외주면이 치과용 구조물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돌출부보다 큰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캡으로서, 제1상단부와, 상기 제1상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를 포함하는 고정캡; 및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돌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고정캡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는 탄성매개수단으로서, 상기 제1 상단부와 마주보는 제2상단부와, 상기 제1측부와 마주보는 제2 측부를 구비하는 탄성매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측부에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직접 어버트먼트(20)에 전달되지 않도록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1완충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공간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 거리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공간은 상하방향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공간은 제1측부의 하부과 제2측부의 하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과 탄성매개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스위블링할 수 있으며, 고정캡이 스위블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측부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부는 상기 제1측부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제1상단부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제2완충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제2상단부와 돌출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부의 하단은 상기 돌출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딩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개수단에는, 상기 제2상단부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결합용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돌출부의 중앙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용 돌기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1측부와 제2측부는 착탈가능하게 서로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개수단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부는, 다수개가 상기 제2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KR1020130023558A 2013-03-05 2013-03-05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KR10140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558A KR101400779B1 (ko) 2013-03-05 2013-03-05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PCT/KR2014/001774 WO2014137140A1 (ko) 2013-03-05 2014-03-04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558A KR101400779B1 (ko) 2013-03-05 2013-03-05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779B1 true KR101400779B1 (ko) 2014-05-29

Family

ID=5089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558A KR101400779B1 (ko) 2013-03-05 2013-03-05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0779B1 (ko)
WO (1) WO201413714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12B1 (ko) * 2015-10-15 2016-11-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WO2017097912A1 (de) * 2015-12-11 2017-06-15 Bredent Gmbh & Co. Kg Zahnprothetische kappe umfassend einen elastischen grundkörper
KR101829911B1 (ko) 2018-01-09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829912B1 (ko) * 2016-07-18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20190079055A (ko) * 2017-12-27 2019-07-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KR20200120629A (ko) * 2018-02-13 2020-10-21 크레아텍 메디컬 에스.엘.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치과용 앵커링 시스템
KR20210002998A (ko) * 2019-07-01 2021-01-11 하명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280A (en) 1994-05-31 1996-09-17 Pelak;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mounting
US6030219A (en)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JP2002000625A (ja) 2000-06-23 2002-01-08 Takumi Kochi 緩衝機構を備えたチタン・マグネット・クラウンシステム用インプラント
KR20100011847A (ko) * 2008-07-25 2010-02-03 이도상 임플란트 픽스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280A (en) 1994-05-31 1996-09-17 Pelak;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mounting
US6030219A (en)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JP2002000625A (ja) 2000-06-23 2002-01-08 Takumi Kochi 緩衝機構を備えたチタン・マグネット・クラウンシステム用インプラント
KR20100011847A (ko) * 2008-07-25 2010-02-03 이도상 임플란트 픽스츄어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12B1 (ko) * 2015-10-15 2016-11-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DE102015121667B4 (de) 2015-12-11 2022-06-15 Bredent Gmbh & Co. Kg Kappe aus elastischem Material und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Befestigung dieser Kappe
WO2017097912A1 (de) * 2015-12-11 2017-06-15 Bredent Gmbh & Co. Kg Zahnprothetische kappe umfassend einen elastischen grundkörper
KR101829912B1 (ko) * 2016-07-18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20190079055A (ko) * 2017-12-27 2019-07-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KR102120826B1 (ko) * 2017-12-27 2020-06-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KR101829911B1 (ko) 2018-01-09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20200120629A (ko) * 2018-02-13 2020-10-21 크레아텍 메디컬 에스.엘.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치과용 앵커링 시스템
JP2021514807A (ja) * 2018-02-13 2021-06-17 クレアテック・メディカル・ソシエダッド・リミターダCreatech Medical, S.L. 固定プロテーゼのための歯科用アンカーシステム
JP7217296B2 (ja) 2018-02-13 2023-02-02 クレアテック・メディカル・ソシエダッド・リミターダ 固定プロテーゼのための歯科用アンカーシステム
KR102709268B1 (ko) 2018-02-13 2024-09-23 크레아텍 메디컬 에스.엘.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치과용 앵커링 시스템
WO2021002620A3 (ko) * 2019-07-01 2021-02-25 하명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318794B1 (ko) * 2019-07-01 2021-10-27 하명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210002998A (ko) * 2019-07-01 2021-01-11 하명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140A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779B1 (ko)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KR101489950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JP6355651B2 (ja) 歯プロテーゼアッセンブリおよび歯プロテーゼシステム
JP5326171B2 (ja) 長尺部材の保持具
JP7478802B2 (ja) 固定ハイブリッド歯科アタッチメント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使用方法
CA2010384C (en) Plug connection
RU2015149699A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нт
JP5348593B2 (ja) 断端に装着したライナーの義肢ソケットへの取付構造
RU2013132217A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дов
JP2006145036A (ja) 可撓性の止め具緩衝器
KR101548805B1 (ko) 충격흡수장치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WO2014116516A4 (en) Caps for implants and implant assemblies
KR101043102B1 (ko) 착탈식 틀니
KR20150083260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70120551A (ko) 안경용 코 지지체
JP6353680B2 (ja) コネクタ
KR10175889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20080000729U (ko) 박스 커버의 체결구조
KR1018299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515899B1 (ko)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운팅 링
ES2309526T3 (es) Muelle de platillo protegido contra desplazamiento axial sobre una superficie cilindrica circular de un cuerpo receptor.
ES2961385T3 (es) Sistema de anclaje dental para sujetar prótesis
KR101829911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554392B1 (ko) 비나사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93905Y1 (ko) 치열교정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