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912B1 -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912B1
KR101829912B1 KR1020160090771A KR20160090771A KR101829912B1 KR 101829912 B1 KR101829912 B1 KR 101829912B1 KR 1020160090771 A KR1020160090771 A KR 1020160090771A KR 20160090771 A KR20160090771 A KR 20160090771A KR 101829912 B1 KR101829912 B1 KR 10182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er
cap
intermediate member
protruding
dent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182A (ko
Inventor
남우창
허재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9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platform switching, i.e. platform between implant and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캡부재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을 마련하도록 내측으로 패어져서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이격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Attachment device of dental structure}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부재가 중간부재에 대해 과도한 스위블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력에 대한 완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착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1585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종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과용 부착장치는, 지지대 헤드 또는 헤드 부분(20)과 나사산이 형성된 포스트 또는 샤프트(14)를 갖는 단일의 임플란트(12), 임플란트(12)의 헤드(20)와 분리 가능하게 스냅 맞물림을 이루는 보존 부재(15),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부분 틀니 등과 같은 치과용 기구(18) 내의 인덴트(indent) 내에 안착되도록 설계된 캡(16)을 포함한다. 임플란트(12)는 코팅된 티타늄 또는 일반적으로 치과용 앵커들 또는 지지대들에 사용되는 다른 표준적인 재료들과 같은 상대적으로 강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포스트(14)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도시우스 뼈(100) 내에 준비된 보어(bore) 내에서 직접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헤드(20)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제1 말단(22)과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곡선을 이루거나 볼록한 로케이팅(locating) 부분(23)을 갖는다.
캡(16)은 치과용 기구(18) 내에 고정되며, 캡(16) 내부에는 보존 부재(15)가 조립되고, 보존 부재(15)는 헤드(20)의 로케이팅 부분(23) 상에서 분리 가능하게 스냅 맞물림을 이룬다. 보존 부재(15)는 나일론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탄력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보존 부재(15)는 컵-형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평평한 제1 말단(38), 제1 말단(38)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헤드(20) 상에서의 맞물림을 위한 내부 공동(40)을 형성하는 외부 스커트(39)를 포함한다. 상기 보존 부재(15)의 외부 표면(46)은, 도 3 및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 내의 대응되는 형상의 공동(48) 내에서 스냅 맞춤 및 회전 맞물림을 이루도록 볼록하거나 둥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부착장치에 있어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과 보존 부재(15) 사이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존 부재(15)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다. 픽스쳐에 수직적인 힘이 아닌 측방압은 유해한 요소가 되어 파절 및 장기 안정성 저하 등의 원인 요소로 여러 논문에서 알려져 있다. 치과용 부착장치가 사용되는 보철, 즉 의치의 특성상 저작압에 의한 점막의 침하나 오랜 기간에 걸친 점막흡수로 인해 치과용 구조물(예를 들어 틀니) 하방에 공간 존재시 지대부를 축으로 하여 스위블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대주가 픽스쳐에 고정된 상태에서 캡(16)과 보존부재(15)는 치과용 구조물과 함께 대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렛대의 중심역할을 하는 지대주 및 픽스쳐에 측방압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캡(16)의 과도한 스위블 운동으로 인해 지대주 및 픽스쳐에 가하게 되는 측방압은 임플란트 구조 전체의 안정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구조물의 경우 외력이 외부에서 가해지면 그 외력이 그대로 지대주 및 픽스쳐에 전달되게 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158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부재가 중간부재에 대한 스위블 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외력이 가해져도 지대주나 픽스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캡부재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을 마련하도록 내측으로 패어져서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이격된 오목부가 마련된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부재의 하단 내면과 접촉하면서 수직의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 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 내부에서 스위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돌출부는 "( " 형상의 수평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3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캡부재에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안쪽을 향하여 들어가 있는 복수의 함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캡 상부와,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와 마주보는 캡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측부는 상기 복수의 함입부와, 각각의 함입부와 연결되고 함입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간부재의 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돌출캡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함입부의 내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재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스냅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스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스냅홈은 상기 중간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상기 스냅홈은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어 그 내부에 지대주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캡부재에 대하여 스위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캡부재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을 마련하도록 내측으로 패어져서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이격된 오목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의하면, 중간부재에 캡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캡부재가 지대주에 대한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여 측방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의하면, 중간부재의 돌출부와 캡부재의 사이에 완충공간을 마련함으로서,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가 구강 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Ⅷ-Ⅷ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치조골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일구성인 캡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ⅩⅠ- ⅩⅠ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치조골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일구성인 중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 단면도.
도 15는 도 9의 캡부재와, 도 12의 중간부재의 결합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캡부재와 중간부재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100)는,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캡부재(110), 중간부재(120) 및 지대주(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부재(110)는, 치과용 구조물(미도시)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진다. 즉, 캡부재(110)는 치과용 구조물(의치)에 형성된 결합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적어도 일부분이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캡부재(110)는 내부에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113)이 마련된다. 이러한 캡부재(11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강 내에 삽입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캡부재(110)은 중간부재(120)의 상면부(121)와 마주보는 대략 원판형태의 캡 상부(111)와, 상기 캡 상(1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중간부재(120)의 측면부(122)를 감싸는 캡 측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캡 상부(111)는 원판형태에서 가장자리가 다소 완만하게 라운드처리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캡 부재가 치과용 구조물의 결합공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 측부(112)는 상기 캡 상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부재(120)의 측면부(122)를 둥글게 감싸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캡 측부(112)는, 돌출캡부(1121)와, 함입부(1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캡부(1121)는 복수개가 캡 상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돌출캡부(112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서로 인접한 돌출캡부(1121)의 사이에는 상기 돌출캡부(1121)보다 내측(즉, 중심축)을 향하여 들어가 있는 함입부(1123)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돌출캡부(1121)는 중간부재(120)의 돌출부(1241)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돌출캡부(1121)는 그 외주면에 상기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에 확고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안착홈(1122)이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입부(1123)는 상기 돌출캡부(112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캡부(1121)보다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게 된다. 상기 함입부(1123)는 대략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되고 중간부재(120)의 돌출부(1241) 사이의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안쪽으로 들어가 있게 된다. 이러한 함입부(1123)는 복수개가 설치되며 각각의 함입부(1123)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이루고 있게 된다.
상기 함입부(1123)의 내주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124)가 마련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걸림돌기(1124)는 중간부재(120)의 스냅홈(1231)에 끼워져서 중간부재(120)가 상기 캡부재(110)의 제1수용공간(113) 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상기 중간부재(120)가 상기 캡부재(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1124)는 상기 캡부재(110)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가 배치된다. 상기 걸림돌기(1124)는 상기 캡부재(11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120)는, 상기 캡부재(110)의 제1수용공간(113)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125)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120)는, 상기 캡부재(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치과용 구조물이 인체의 구강 내에 설치될 때 고정력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중간부재(120)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캡부재(110)보다 연질의 소재, 예컨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능의 저하나 손상시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중간부재(120)는, 상면부(121)와 측면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면부(121)는,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의 상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부(122)는 상기 상면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24)가 끼워질 수 있는 스냅홈(1231)이 마련된 스냅홈부(123)와, 상기 스냅홈부(123)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출측부(124)로 구성된다.
상기 스냅홈(1231)은 상기 중간부재(12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어져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돌출측부(124)는, 대략 링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부(124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1241)는 캡부재(110)의 하면 내면과 접촉하면서 수직의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게 되어 상기 중간부재(120)가 상기 캡부재(110) 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120)가 상기 캡부재(110) 내부에서 스위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스위블 회전"이란 중간부재(120)의 중심축과 직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회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회전을 의미한다.
이러한 돌출부(1241)에는 상기 캡부재(110)와의 사이에 완충공간(1243)을 마련하도록 내측으로 패어져서 상기 캡부재(110)의 내면과 이격된 오목부(1242)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241)는 상기 캡부재(110)의 돌출측부(124)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있는 오목부(124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돌출부(1241)의 오목부(1242)와 캡부재(110)의 돌출캡부(1121)의 내면과의 완충공간(1243)에 의하여 캡부재(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완충공간(1243)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외력이 그대로 중간부재(120)를 거쳐서 지대주(13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1241)는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게 되며, 각각의 돌출부(1241)는 대략 "( " 형상의 수평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1241)의 개수는 2개 이상인 것이 좋으며 3개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지대주(130)는, 상기 중간부재(120)의 제2수용공간(125)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131)와, 상기 상측결합부(131)의 하측에 배치되며 인체의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결합부(131)는 전체적으로 라운드 처리된 대략 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은 다소 평평한 평면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하측결합부(132)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치조골 내지 치과용 픽스쳐 내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대주(130)는 그 자체로 인체의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조골에 이미 식립되어 있는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치조골에 이미 식립되어 있는 치과용 픽스쳐에 나사 결합되는 하측결합부(132)를 가진 지대주(13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100)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대주(130)를 인체의 치조골에 직접 결합시키거나, 또는 인체의 치조골에 미리 식립된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대주(130)의 하측결합부(132)를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기구 삽입홀(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구 삽입홀(133)은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별도의 툴 없이 치과 내에 일반적으로 비치되어 있는 육각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상기 지대주(130)를 용이하게 픽스쳐에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치과용 구조물의 결합공 내에 이미 삽입되어 위치고정되어 있는 상기 캡부재(110)에 중간부재(12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부재(120)를 상기 캡부재(110)의 제1수용공간(113)의 열려진 하측을 통하여 진입하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재(120)의 돌출부(1241)가 캡부재(110)의 돌출캡부(1121)와 대응되는 위치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둔 상태에서 상기 중간부재(120)를 상기 캡부재(110)의 제1수용공간(113) 내부로 삽입시킨다. 삽입되는 과정에서 중간부재(120)의 돌출부(1241)는 상기 캡부재(110)의 돌출캡부(1121) 내면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24)가 중간부재(120)의 스냅홈(1231)에 안착되면 중간부재(120)와 캡부재(110) 간의 결합은 완료되게 된다. 캡부재(110)가 중간부재(120)에 결합된 후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부(1241)의 양단은 상기 캡부재(110)의 돌출캡부(1121)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부(1241)의 오목부(1242)와 캡부재(110)의 돌출캡부(1121) 사이에는 완충공간(1243)이 마련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120)가 캡부재(110)에 견고하게 결합된 후에는, 상기 중간부재(120)의 제2수용공간(125)의 열린 부분을 통하여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가 진입하여 제2수용공간(125) 내에 결합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대주(130)와 중간부재(120)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100)는, 중간부재(120)의 돌출부(1241) 하단이 캡부재(110)의 돌출캡부(1121) 내면에 접촉되어 있고, 돌출부(1241)와 돌출캡부(1121) 간의 접촉이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저작압에 의한 점막의 침하나 오랜 기간에 걸친 점막 흡수로 인해 지지대를 축으로 하여 캡부재(110) 및 중간부재(120)가 스위블 회전(힌지 회전)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캡부재(110)와 중간부재(120)의 스위블 회전으로 인한 측방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측방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중간부재(120)를 제공함으로서 임플란트 시술에 유해한 요소(측방압에 의한 시술 실패)를 막고 보다 나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1241)의 오목부(1242)와 캡부재(110)의 돌출캡부(1121) 사이에는 완충공간(1243)이 형성됨으로서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탄성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즉, 캡부재(110)와 중간부재(120)의 스냅 체결부를 제외한 외곽부분이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완충공간(1243)을 마련함으로서 전체적인 구조가 시술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돌출부(1241)가 유해한 측방압에 대한 일정의 댐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10...캡부재
111...캡 상부 112...캡 측부
1121...돌출캡부 1122...안착홈
1123...함입부 1124...걸림돌기
113...제1수용공간 120...중간부재
121...상면부 122...측면부
123...스냅홈부 1231...스냅홈
124...돌출측부 1241...돌출부
1242...오목부 1243...완충공간
125...제2수용공간 130...지대주
131...상측결합부 132...하측결합부
133...삽입홀

Claims (11)

  1.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캡부재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을 마련하도록 내측으로 패어져서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이격된 오목부가 마련되며,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상기 완충공간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부재의 하단 내면과 접촉하면서 수직의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 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 내부에서 스위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 " 형상의 수평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에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안쪽을 향하여 들어가 있는 복수의 함입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캡 상부와,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와 마주보는 캡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측부는 상기 복수의 함입부와, 각각의 함입부와 연결되고 함입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간부재의 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돌출캡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함입부의 내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재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스냅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스냅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홈은 상기 중간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홈은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1.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어 그 내부에 지대주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캡부재에 대하여 스위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캡부재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을 마련하도록 내측으로 패어져서 상기 캡부재의 내면과 이격된 오목부가 마련되며,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이 상기 완충공간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부재의 하단 내면과 접촉하면서 수직의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 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 내부에서 스위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20160090771A 2016-07-18 2016-07-18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82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71A KR101829912B1 (ko) 2016-07-18 2016-07-18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71A KR101829912B1 (ko) 2016-07-18 2016-07-18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90A Division KR101829911B1 (ko) 2018-01-09 2018-01-09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82A KR20180009182A (ko) 2018-01-26
KR101829912B1 true KR101829912B1 (ko) 2018-02-19

Family

ID=6102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71A KR101829912B1 (ko) 2016-07-18 2016-07-18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789B1 (ko) * 2021-08-24 2021-12-14 채희진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720A (ja) 2001-08-08 2003-02-25 Advance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400779B1 (ko) * 2013-03-05 2014-05-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US20140162211A1 (en) 2012-12-11 2014-06-12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499893B1 (ko) 2013-12-26 2015-03-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US20150093718A1 (en) * 2012-03-23 2015-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using for dental implants
WO2016014730A1 (en) 2014-07-22 2016-01-28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720A (ja) 2001-08-08 2003-02-25 Advance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50093718A1 (en) * 2012-03-23 2015-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using for dental implants
US20140162211A1 (en) 2012-12-11 2014-06-12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14093101A1 (en) 2012-12-11 2014-06-19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KR101400779B1 (ko) * 2013-03-05 2014-05-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KR101499893B1 (ko) 2013-12-26 2015-03-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WO2016014730A1 (en) 2014-07-22 2016-01-28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82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72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ES2398922T3 (es) Procedimiento y herramienta para montar un dispositivo de anclaje para hueso
ES2300827T3 (es) Dispositivo de fijacion y procedimiento de montaje para fijar un organo de distribucion sobre un abertura de un deposito.
US5098295A (en) Plug connection
US4488875A (en) Connector for overdenture
JP6355651B2 (ja) 歯プロテーゼアッセンブリおよび歯プロテーゼシステム
US9456881B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y
ES2870992T3 (es) Sistema de restauración dental
JP6346903B2 (ja) インプラント内に弾性的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及び/又は、任意選択的な角度位置調整を可能にする、インプラント内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
US10117680B2 (en) Osteosynthesis device
KR10232372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US5678995A (en) Enossal implant for tooth replacement
KR101499893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ES2926374T3 (es) Jeringa y accesorio para la misma
ES2562679T5 (es) Inserto de retención y dispositivo de unión para aplicaciones dentales
KR101548805B1 (ko) 충격흡수장치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00779B1 (ko) 치과용 구조물 연결장치
KR102427069B1 (ko) 임플란트 크라운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KR1018299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JP2019528859A (ja) 歯科補綴システム
KR20080112896A (ko) 임플란트의 나사풀림방지구
KR20200129837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1829911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US8926326B2 (en) Denture retention system
KR1016696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