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789B1 -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 Google Patents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789B1
KR102339789B1 KR1020210111400A KR20210111400A KR102339789B1 KR 102339789 B1 KR102339789 B1 KR 102339789B1 KR 1020210111400 A KR1020210111400 A KR 1020210111400A KR 20210111400 A KR20210111400 A KR 20210111400A KR 102339789 B1 KR102339789 B1 KR 10233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housing
hole
fasten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789B9 (ko
Inventor
채희진
채성기
Original Assignee
채희진
채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진, 채성기 filed Critical 채희진
Priority to KR102021011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89B1/ko
Priority to PCT/KR2022/011659 priority patent/WO2023027379A1/ko
Publication of KR10233978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8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무치악 환자나 부분 틀니를 하고자 할 때 틀니를 착탈할 수 있고 고정체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무치악 환자의 경우 잇몸에 덴쳐(틀니)가 닿지 않아 잇몸에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2~3개의 치아손실로 인해 부분틀니를 해야할 경우 착탈 또는 고정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반복 착탈로 인해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이 마모시 하우징만 교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치악 환자나 부분 틀니를 하고자 할 때 틀니를 착탈할 수 있고 고정체로도 사용이 가능한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로서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며, 반복 착탈로 인해 하우징 부분이 마모될 경우 하우징만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임플란트 보철물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마모된 하우징만을 교체함으로서 환자의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을 뿐더러 교체과정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Detachable implant binding prosthesis with easy detachement}
본 발명은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무치악 환자나 부분 틀니를 하고자 할 때 틀니를 착탈할 수 있고 고정체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무치악 환자의 경우 잇몸에 덴쳐(틀니)가 닿지 않아 잇몸에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2~3개의 치아손실로 인해 부분틀니를 해야할 경우 착탈 또는 고정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반복 착탈로 인해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이 마모시 하우징만 교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는 결손 된 치아의 수복을 위한 보철물 지지 용도로 턱뼈 안이나 위에 식립하는 고정체이다. 보통 잇몸과 잇몸 뼈에 식립되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이다.
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턱뼈와 식립된 임플란트 본체 표면과의 형태적, 생리적, 직접적 결합인 골유착이 이루어진 후 임플란트 주위 턱뼈의 골 개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풀덴쳐(틀니)나 부분 틀니는 일반적으로 고정체일 경우 금속을 임플란트에 장착하여 나사를 이용하여 틀니(덴처)를 고정하고 있으나 치아를 임플란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치아에 나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심미적인 효과와 내구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5260호 (2016.08.1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97376호 (2020.03.31)
본 발명의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은 금속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과 볼을 이용하여 틀니를 고정할 수 있어 시술이 간단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착탈식은 종래의 방식과 달리 플라스틱이나 고무를 사용하지 않아 반복적인 착탈이 이루어져도 마모가 되지않으며, 반복 착탈로 인해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마모가 발생 시 틀니(덴처)를 파괴하지않고 장착 되어있는 하우징 내 부품만 간단하게 교환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잇몸에 삽입되기 위한 어버트먼트(100)와, 상기 어버트먼트(100)의 상단에 체결되기 위한 제1하우징(200)을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100)는 하단이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111a)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몸통부(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된 소정 공간의 수용홀(113)이 형성되는 어버트먼트몸체부(110)와, 소정 개수의 볼(120)과,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31)를 포함하는 링형태로 형성되되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수용홀(112)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스프링부(130)와, 스프링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되, 하부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1)가 스프링부(130)의 개방부(131)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부시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는 상기 볼(120)이 체결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볼체결홀(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200)은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가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소정 공간의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와, 상기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의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소정 공간의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과,
상기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는 상단에 제1단턱부(211a)와 제2단턱부(211b)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제1체결나사산(211c)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의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은 상단에 드라이버가 체결되기 위한 제1드라이버체결홀(2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드라이버체결홀(224a)과 연결되되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체결되도록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은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제1볼착탈홀(224b-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을 제공한다.
두번째 실시예로서,
잇몸에 삽입되기 위한 어버트먼트(100)와, 상기 어버트먼트(100)의 상단에 체결되기 위한 제2하우징(300)을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100)는 하단이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111a)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몸통부(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된 소정 공간의 수용홀(113)이 형성되는 어버트먼트몸체부(110)와, 소정 개수의 볼(120)과,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31)를 포함하는 링형태로 형성되되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수용홀(112)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스프링부(130)와, 스프링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되, 하부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1)가 스프링부(130)의 개방부(131)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부시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는 상기 볼(120)이 체결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볼체결홀(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300)은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가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외부몸체부(310)와, 상기 제2하우징외부몸체부(310)의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소정 공간의 제2어버트먼트체결홀(321)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과, 상기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의 제2어버트먼트체결홀(321)은 상단에 드라이버가 체결되기 위한 제2드라이버체결홀(3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드라이버체결홀(321a)과 연결되되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체결되도록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이 형성되되, 상기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은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제2볼착탈홀(321b-1)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는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제4체결나사산(3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을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치악 환자나 부분 틀니를 하고자 할 때 틀니를 착탈할 수 있고 고정체로도 사용이 가능한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로서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며, 반복 착탈로 인해 하우징 부분이 마모될 경우 하우징만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임플란트 보철물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마모된 하우징만을 교체함으로서 환자의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을 뿐더러 교체과정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0)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하우징(2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하우징(200)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어버트먼트(100)의 어버트먼트몸체부(110), 부시부재(140)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어버트먼트(100)와 제1하우징(200)의 체결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2하우징(3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2하우징(300)에 관한 분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반복 착탈로 인해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이 마모시 하우징만 교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은 2가지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실시예 1은 도 1과 같이 어버트먼트(100)와 제1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2는 도 7과 같이 어버트먼트(100)와 제2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에 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은 어버트먼트(100)와 제1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버트먼트(100)는 픽스쳐에 체결되어 잇몸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도 4의 어버트먼트(100) 분해도를 참고하면, 상기 어버트먼트(100)는 어버트먼트몸체부(110), 볼(120), 스프링부(130), 부시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버트먼트몸체부(110)는 하단이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111a)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몸통부(11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는 몸통부(111), 수용홀(112), 볼체결홀(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용홀(112)은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상단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홀(112)은 스프링부(130)와 부시부재(14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다.
볼체결홀(113)은 볼(120)이 체결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볼체결홀(113)은 도면과 같이 수용홀(1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스프링부(130)가 수용홀(112)에 수용될 때 볼체결홀(113)의 위치가 스프링부(130)의 일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체결홀(113)은 바람직하게는 소정 간격을 가지고 6개의 볼체결홀(113)이 형성된다. 상기 볼체결홀(113)은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외부면부분이 볼체결홀(113)의 단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볼(120)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볼(120)은 소정 개수가 형성되되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볼체결홀(113)에 각각 체결되되 바람직하게는 3개의 볼(120)이 6개의 볼체결홀(113)에 한칸씩 띄워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부(130)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31)를 포함하는 링 형태로 형성되되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수용홀(112)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부(130)는 상부에서 바라봤을때 일측이 개방되어 C자 형태를 가진 링 형태이다.
부시부재(140)는 스프링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되, 하부 일측에 위치하되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141)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어버트먼트(100)의 어버트먼트몸체부(110), 부시부재(140)에 관한 도면으로 도 7(a)는 어버트먼트몸체부(110)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부시부재(140)를 정면과 상부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c)는 어머트멈트몸체부(110) 내에 볼(120), 스프링부(130),부시부재(140)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부시부재(140)는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수용홀(112)을 상부로 바라봤을때 단면적(도7(a)의 m1)과 대응되는 크기로 부시부재(140)를 상부로 바라봤을때의 단면적(도 7(b)의 m2)이 형성되어 수용홀(112)에 딱 맞도록 체결되어 부시부재(140)와 수용홀(112) 사이에 빈 공간이 없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시부재(140)가 스프링부(130)에 체결시 상기 돌출부(141)가 스프링부(130)의 개방부(131)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스프링부(130)의 외면에 위치한 볼(120)이 스프링부(130)를 압박하는 등 외부의 자극에 의해 스프링부(1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41)는 스프링부(130)의 개방부(13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스프링부(130)가 볼(120)에 의해 압력을 받을때 개방부(131)의 폭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전체 단면도를 참고하면 부시부재(140)의 돌출부(141)가 스프링부(130)의 개방부(131)에 수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하우징(200)에 관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하우징(200)에 관한 분해도로 이를 참고하여 제1하우징(200)을 설명한다.
제1하우징(200)은 상기 어버트먼트(100)의 상단에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200)은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와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는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가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은 도 6(b)의 단면도와 같이 상단에 제1단턱부(211a)와 제2단턱부(211b)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제1체결나사산(211c)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는 상기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의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는 제3단턱부(221), 제4단턱부(222), 제2체결나사산(223),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는 제1단턱부(211a)와 제2단턱부(211b)와 대응되도록 상단에 제3단턱부(221)와 제4단턱부(222)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제1체결나사산(211c)에 체결되도록 하부 일측에 제2체결나사산(223)이 형성된다.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은 상단에 드라이버가 체결되기 위한 제1드라이버체결홀(2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드라이버체결홀(224a)과 연결되되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체결되도록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이 형성된다.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은 제1볼착탈홀(224b-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볼탈착홀(224b-1)은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어버트먼트(100)와 제1하우징(200)의 체결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어버트먼트(100)와 제1하우징(200)이 분리된 모습이며, 도 8(b),도 8(c)는는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에 제1하우징(200)이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d)는 제1하우징(200)이 어버트먼트(100)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와 같이 제1하우징(200)의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로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체결될 때 볼(120)이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수용홀(112)을 향하는 방향인 k1 방향으로 밀리어 스프링(130)을 압박하며 스프링(130)에 형성된 개방부(131)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도 8(c)는 어버트먼트(100)와 제1하우징(200)이 체결되는 과정 중 제1하우징(200)의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의 제1볼착탈홀(224b-1)로 볼(120)이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볼(120)이 제1볼착탈홀(224b-1)에 수용시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볼(120)을 k2방향으로 밀어내어 도 8(c)와 같이 제1하우징(200)의 제1볼착탈홀(224b-1)에 볼(12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1하우징(200)의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는 티타늄 소재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고, 볼(120)은 질리코니아 소재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의 제1볼착탈홀(224b-1)에 볼(120)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와 볼(120)이 마찰되는 부분으로 인해 마모가 발생되는 경우 제1하우징(200)을 어버트먼트(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1하우징(200)의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에 형성된 제1드라이버체결홀(224a)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와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에 관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은 어버트먼트(100)와 제2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어버트먼트(100)의 경우 실시예1과 동일한 형태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2하우징(300)에 관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2하우징(300)에 관한 분해도이다.
제2하우징(300)은 상기 어버트먼트(100)의 상단에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하우징(300)은 제2하우징외부몸체부(310),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하우징외부몸체부(310)는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가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체결나사산(312)은 상기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와 체결되도록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는 상기 제2하우징외부몸체부(310)의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제2어버트먼트체결홀(321)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는 제2어버트먼트체결홀(321), 제4체결나사산(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어버트먼트체결홀(321)은 상단에 드라이버가 체결되기 위한 제2드라이버체결홀(3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드라이버체결홀(321a)과 연결되되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체결되도록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은 제2볼착탈홀(321b-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볼착탈홀(321b-1)은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제4체결나사산(322)은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의 형태는 다르나 그 기능을 유사한 것으로 실시예 2에서 어버트먼트(100)에 제2하우징(300)을 체결시 도 8과 같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300)의 내부면이 마모되는 경우 제2하우징(300)을 어버트먼트(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2하우징(300)의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에 형성된 제2드라이버체결홀(321a)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와 제12하우징외부몸체부(3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어버트먼트
110 어버트먼트몸체부
111 몸통부
111a 나사부
112 수용홀
113 볼체결홀
120 볼
130 스프링부
131 개방부
140 부시부재
141 돌출부
200 제1하우징
210 제1하우징외부몸체부
211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
211a 제1단턱부
211b 제2단턱부
211c 제1체결나사산
220 제1하우징내부몸체부
221 제3단턱부
222 제4단턱부
223 제2체결나사산
224 제1어버트먼트체결홀
224a 제1드라이버체결홀
224b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
224b-1 제1볼착탈홀
300 제2하우징
310 제2하우징외부몸체부
311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
312 제3체결나사산
320 제2하우징내부몸체부
321 제2어버트먼트체결홀
321a 제2드라이버체결홀
321b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
321b-1 제2볼착탈홀
322 제4체결나사산

Claims (4)

  1. 잇몸에 삽입되기 위한 어버트먼트(100)와,
    상기 어버트먼트(100)의 상단에 체결되기 위한 제1하우징(200)을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100)는
    하단이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111a)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몸통부(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된 소정 공간의 수용홀(113)이 형성되는 어버트먼트몸체부(110)와,
    소정 개수의 볼(120)과,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31)를 포함하는 링형태로 형성되되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수용홀(112)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스프링부(130)와,
    스프링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되, 하부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1)가 스프링부(130)의 개방부(131)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부시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는
    상기 볼(120)이 체결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볼체결홀(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200)은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가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소정 공간의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와,
    상기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의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소정 공간의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외부몸체부(210)는
    상단에 제1단턱부(211a)와 제2단턱부(211b)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제1체결나사산(211c)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내부몸체부(220)의 제1어버트먼트체결홀(224)은
    상단에 드라이버가 체결되기 위한 제1드라이버체결홀(2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드라이버체결홀(224a)과 연결되되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체결되도록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은
    제1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224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제1볼착탈홀(224b-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3. 잇몸에 삽입되기 위한 어버트먼트(100)와,
    상기 어버트먼트(100)의 상단에 체결되기 위한 제2하우징(300)을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100)는
    하단이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111a)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몸통부(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된 소정 공간의 수용홀(113)이 형성되는 어버트먼트몸체부(110)와,
    소정 개수의 볼(120)과,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31)를 포함하는 링형태로 형성되되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수용홀(112)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스프링부(130)와,
    스프링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되, 하부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1)가 스프링부(130)의 개방부(131)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부시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는
    상기 볼(120)이 체결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볼체결홀(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300)은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가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일측에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외부몸체부(310)와,
    상기 제2하우징외부몸체부(310)의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제2하우징내부몸체부수용홀(31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소정 공간의 제2어버트먼트체결홀(321)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의 제2어버트먼트체결홀(321)은
    상단에 드라이버가 체결되기 위한 제2드라이버체결홀(3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드라이버체결홀(321a)과 연결되되 어버트먼트(100)의 상부가 체결되도록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이 형성되되,
    상기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은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제2볼착탈홀(321b-1)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내부몸체부(320)는
    제2어버트먼트상부체결홀(321b)의 일측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위치하되, 어버트먼트(100)의 볼(120)이 체결되기 위한 제4체결나사산(3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KR1020210111400A 2021-08-24 2021-08-24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KR10233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00A KR102339789B1 (ko) 2021-08-24 2021-08-24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PCT/KR2022/011659 WO2023027379A1 (ko) 2021-08-24 2022-08-05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00A KR102339789B1 (ko) 2021-08-24 2021-08-24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789B1 true KR102339789B1 (ko) 2021-12-14
KR102339789B9 KR102339789B9 (ko) 2023-01-13

Family

ID=7890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00A KR102339789B1 (ko) 2021-08-24 2021-08-24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9789B1 (ko)
WO (1) WO20230273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79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심온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674A (ko)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쿠보텍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틀니용 지대치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20160095260A (ko) 2015-02-02 2016-08-1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102097376B1 (ko) 2019-10-18 2020-04-06 채희진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107991B1 (ko) * 2019-10-18 2020-05-07 채희진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912B1 (ko) * 2016-07-18 2018-02-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2151344B1 (ko) * 2019-04-02 2020-09-02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KR102339789B1 (ko) * 2021-08-24 2021-12-14 채희진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674A (ko)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쿠보텍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틀니용 지대치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WO2015076530A1 (ko) * 2013-11-21 2015-05-28 채희진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EP3085329A1 (en) * 2013-11-21 2016-10-26 Chae, Heejin Dental implant structure
KR20160095260A (ko) 2015-02-02 2016-08-1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102097376B1 (ko) 2019-10-18 2020-04-06 채희진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107991B1 (ko) * 2019-10-18 2020-05-07 채희진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79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심온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789B9 (ko) 2023-01-13
WO2023027379A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EP2025302B1 (en) A dental assembly used in a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EP1656904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US20130252205A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238770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KR102097376B1 (ko)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20190108699A (ko) 어버트먼트 침몰방지용 착탈형 임플란트 구조체
KR102339789B1 (ko)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WO2016143978A2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및 볼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쳐의 제작방법
KR20200020784A (ko) 치아 복원용 조립체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0743929B1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20090090894A (ko) 멀티 임플란트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20180003080A (ko)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오버덴쳐 시스템
KR20120121063A (ko)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KR20210038168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