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950B1 -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950B1
KR101489950B1 KR20130164351A KR20130164351A KR101489950B1 KR 101489950 B1 KR101489950 B1 KR 101489950B1 KR 20130164351 A KR20130164351 A KR 20130164351A KR 20130164351 A KR20130164351 A KR 20130164351A KR 101489950 B1 KR101489950 B1 KR 10148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protrusion
intermediate member
cap memb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창
허재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6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950B1/ko
Priority to PCT/KR2014/006435 priority patent/WO20150992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부재는,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측면부의 외면에는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걸림돌기의 양측 또는 안내홈의 양측에는 안내홈에 삽입된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스냅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Description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Attachment device of dental structure}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부재와 완충용 중간부재 사이의 유동 공간을 최소화하고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치과용 구조물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착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1585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종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과용 부착장치는, 지지대 헤드 또는 헤드 부분(20)과 나사산이 형성된 포스트 또는 샤프트(14)를 갖는 단일의 임플란트(12), 임플란트(12)의 헤드(20)와 분리 가능하게 스냅 맞물림을 이루는 보존 부재(15),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부분 틀니 등과 같은 치과용 기구(18) 내의 인덴트(indent) 내에 안착되도록 설계된 캡(16)을 포함한다. 임플란트(12)는 코팅된 티타늄 또는 일반적으로 치과용 앵커들 또는 지지대들에 사용되는 다른 표준적인 재료들과 같은 상대적으로 강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포스트(14)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도시우스 뼈(100) 내에 준비된 보어(bore) 내에서 직접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헤드(20)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제1 말단(22)과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곡선을 이루거나 볼록한 로케이팅(locating) 부분(23)을 갖는다.
캡(16)은 치과용 기구(18) 내에 고정되며, 캡(16) 내부에는 보존 부재(15)가 조립되고, 보존 부재(15)는 헤드(20)의 로케이팅 부분(23) 상에서 분리 가능하게 스냅 맞물림을 이룬다. 보존 부재(15)는 나일론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탄력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보존 부재(15)는 컵-형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평평한 제1 말단(38), 제1 말단(38)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헤드(20) 상에서의 맞물림을 위한 내부 공동(40)을 형성하는 외부 스커트(39)를 포함한다. 상기 보존 부재(15)의 외부 표면(46)은, 도 3 및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 내의 대응되는 형상의 공동(48) 내에서 스냅 맞춤 및 회전 맞물림을 이루도록 볼록하거나 둥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부착장치에 있어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과 보존 부재(15) 사이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존 부재(15)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과용 기구(18)를 임플란트(12)의 헤드(20)에 착탈 시 치과용 기구(18)의 위치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등, 충분한 고정력이 발휘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구강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치과용 기구(18)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고정력 저하로 인하여 보존 부재(15)가 캡(16)으로부터 탈락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158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캡부재와 중간부재 사이의 유동 공간을 최소화하고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치과용 구조물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는,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다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 또는 상기 안내홈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스냅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은, 상단이 열린 상태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막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안내홈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안내홈의 중심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냅돌기가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안내홈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안내홈의 중심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냅돌기가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냅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는 상기 캡부재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캡부재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보다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부와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의하면, 캡부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중간부재에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중간부재가 스냅 체결에 의해 캡부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중간부재와 캡부재 간의 결합력이 높아지며 중간부재가 캡부재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캡부재에 대한 중간부재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치과용 구조물에 대한 위치 고정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가 구강 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캡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캡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중간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중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중간부재에 캡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걸림돌기와 안내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과 도 17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걸림돌기와 안내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캡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캡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중간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중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100)는,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캡부재(110), 중간부재(120) 및 지대주(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부재(110)는, 치과용 구조물(미도시)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진다. 또한, 상기 캡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에 확고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안착홈(111)이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캡부재(11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강 내에 삽입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캡부재(110)의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112)이 마련된다. 상기 캡부재(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12)쪽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1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14)는 상기 캡부재(110)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가 배치된다. 상기 걸림돌기(114)는 상기 캡부재(11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120)는, 상기 캡부재(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치과용 구조물이 인체의 구강 내에 설치될 때 고정력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중간부재(120)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캡부재(110)보다 연질의 소재, 예컨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능의 저하나 손상시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중간부재(120)는, 상기 캡부재(110)의 제1수용공간(112) 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121)와, 상기 상면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면부(121)와 측면부(122)에 의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제2수용공간(123)이라고 하며, 상기 제2수용공간(123)은 하측으로 열려있어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가 상기 제2수용공간(123)의 하측을 통하여 삽입되어 제2수용공간(123) 내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부(122)는 상기 상면부(121)보다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충격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120)의 측면부(122)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124)이 마련된다. 상기 안내홈(124)은 상기 캡부재(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4)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114)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안내홈(124)은 상기 중간부재(120)의 측면부(122) 상단으로부터 하단 가까이까지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홈(124)은 상단이 열려 있고 하단이 막혀 있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는 상기 안내홈(124)의 상단에서 진입하여 안내홈(124)의 하단까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124)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124)의 중심쪽으로 돌출된 스냅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돌기(125)는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상기 안내홈(12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114)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114)를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걸림돌기(114)가 임의로 상기 안내홈(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124)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114)를 가이드하는 경사면(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냅돌기(125)는 상기 경사면(126)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26)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114)가 상기 안내홈(1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대주(130)는, 상기 중간부재(120)의 제2수용공간(123)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131)와, 상기 상측결합부(131)의 하측에 배치되며 인체의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결합부(131)는 전체적으로 라운드 처리된 대략 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은 다소 평평한 평면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하측결합부(132)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치조골 내지 치과용 픽스쳐 내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대주(130)는 그 자체로 인체의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조골에 이미 식립되어 있는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치조골에 이미 식립되어 있는 치과용 픽스쳐에 나사 결합되는 하측결합부(132)를 가진 지대주(13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과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에서 중간부재에 캡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지대주(130)를 인체의 치조골에 직접 결합시키거나, 또는 인체의 치조골에 미리 식립된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대주(130)의 하측결합부(132)를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기구 삽입홀(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구 삽입홀(133)은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별도의 툴 없이 치과 내에 일반적으로 비치되어 있는 육각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상기 지대주(130)를 용이하게 픽스쳐에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치과용 구조물의 결합공 내에 이미 삽입되어 위치고정되어 있는 상기 캡부재(110)에 중간부재(12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부재(120)를 상기 캡부재(110)의 제1수용공간(112)의 열려진 하측을 통하여 진입하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중간부재(120)의 안내홈(124)의 열려진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내홈(124)의 상단부 양측에는 경사면(12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14)가 상기 경사면(126)을 따라 상기 안내홈(124)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안내홈(124)의 상단부 양측면에 형성된 스냅돌기(125)는 상기 걸림돌기(114)에 의해 수축변형될 수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14)의 진입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상기 중간부재(120)의 안내홈(12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냅돌기(125)는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돌기(114)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114)를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걸림돌기(114)가 임의로 상기 안내홈(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120)가 캡부재(110)에 스냅(snap) 체결되므로, 상기 중간부재(120)는 캡부재(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캡부재(110)에 대한 중간부재(120)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120)가 캡부재(1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120)의 상면부(121)와 캡부재(110) 사이의 유동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중간부재(120)의 상면부(121)는 캡부재(11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120)가 스냅 체결에 의해 캡부재(11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중간부재(120)와 캡부재(110) 사이의 유동 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중간부재(120)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며, 캡부재(110)에 대한 중간부재(120)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치과용 구조물에 대한 위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120)는, 상기 캡부재(110)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114)가 상기 안내홈(124)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120)의 하단이 상기 캡부재(110)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대주(130)와 캡부재(110)의 체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소재의 캡부재(110)와 지대주(130)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마모나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120)가 캡부재(110)에 견고하게 결합된 후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120)의 제2수용공간(123)의 열린 부분을 통하여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가 진입하여 제2수용공간(123) 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대주(130)와 중간부재(120)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의 상단부와 상기 중간부재(120)의 상면부(121)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격공간으로 인하여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완충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지대주(130)가 상기 중간부재(12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중간부재(120)가 스냅 체결에 의해 캡부재(11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중간부재(120)와 캡부재(110) 사이의 유동 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중간부재(120)와 캡부재(110) 간의 결합력이 높아지며 중간부재(120)가 캡부재(11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캡부재(110)에 대한 중간부재(120)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치과용 구조물에 대한 위치 고정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120)가 캡부재(110)에 결합되었을 때, 중간부재(120)의 하단이 캡부재(110)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되므로, 지대주(130)와 캡부재(110)의 체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소재의 캡부재(110)와 지대주(130)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마모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의 상단부와 중간부재(120)의 상면부(121)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마련되므로,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완충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대주(130)의 상측결합부(131)와 제2수용공간(123)은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지대주(130)가 제2수용공간(123) 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120)에는 상면부(121)보다 측면부(122)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측방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이격공간이 충격을 흡수하고,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측면부(122)가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강 내에서 가해지는 대부분의 힘에 대하여 충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캡부재(1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4)과 상기 중간부재(120)에 형성되는 안내홈(124)의 다른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와 도 15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걸림돌기와 안내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6과 도 17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걸림돌기와 안내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4와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캡부재(1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4')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스냅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120)에 형성되는 안내홈(124')의 양측에는 오목홈(1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127')은 상기 스냅돌기(11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124')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114')를 가이드하는 경사면(126')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돌기(114')의 스냅돌기(115')가 상기 경사면(126')을 따라 상기 안내홈(124')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상기 중간부재(120)의 안내홈(12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냅돌기(115')가 상기 안내홈(124')의 오목홈(12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114')가 위치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114')가 임의로 상기 안내홈(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16과 도 1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캡부재(1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4")의 양측에는 오목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120)에 형성되는 안내홈(124")의 양측에는 안내홈(124")의 중심쪽으로 돌출된 스냅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냅돌기(125")는 상기 오목홈(117")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124")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114")를 가이드하는 경사면(1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냅돌기(125")의 상면에도 상기 걸림돌기(114")가 상기 안내홈(124")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면(12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110)의 걸림돌기(114")가 상기 중간부재(120)의 안내홈(12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냅돌기(125")가 상기 걸림돌기(114")의 오목홈(11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114")가 위치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114")가 임의로 상기 안내홈(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10...캡부재
111...안착홈 112...제1수용공간
114,114',114"...걸림돌기 115'...스냅돌기
117"...오목홈 120...중간부재
121...상면부 122...측면부
123...제2수용공간 124,124',124"...안내홈
125,125"...스냅돌기 126,126',126"...경사면
127'...오목홈 128"...경사면
130...지대주 131...상측결합부
132...하측결합부 133...회전기구 삽입홀

Claims (13)

  1. 치과용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하측으로 열려진 제2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제2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와, 상기 상측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치조골 또는 치과용 픽스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마련된 지대주;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과 마주보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 또는 상기 안내홈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스냅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단이 열린 상태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막힌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캡부재의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안내홈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안내홈의 중심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냅돌기가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안내홈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안내홈의 중심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냅돌기가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는 상기 캡부재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캡부재의 하단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보다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상측결합부의 상단부와 상기 중간부재의 상면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20130164351A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48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4351A KR101489950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PCT/KR2014/006435 WO2015099257A1 (ko) 2013-12-26 2014-07-1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4351A KR101489950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950B1 true KR101489950B1 (ko) 2015-02-11

Family

ID=5259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4351A KR101489950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9950B1 (ko)
WO (1) WO201509925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978A3 (ko) * 2015-03-10 2016-11-03 (주)카이노스메덴텍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및 볼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쳐의 제작방법
KR101669612B1 (ko) * 2015-10-15 2016-11-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WO2018059880A1 (de) * 2016-09-30 2018-04-05 Bredent Gmbh & Co. Kg Kappe zur befestigung auf einem verankerungselement
KR20190013013A (ko) * 2017-07-31 2019-02-11 (주)예스바이오테크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69325T3 (es) * 2017-02-24 2021-10-25 Rhein 83 S R L Kit de tecnología dental
US20230414329A1 (en) * 2022-06-23 2023-12-28 Igor Roshkovan Dental implant attachment system in screw-retained configuration for implant-supported and implant-retained removable dentures and method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KR20050016748A (ko) * 2002-07-05 2005-02-21 제스트 앵커스 인코포레이티드 치과용 부착 조립체 및 방법
KR20100051585A (ko) * 2008-08-26 2010-05-17 맥스포쓰 코포레이션 치과용 앵커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280A (en) * 1994-05-31 1996-09-17 Pelak;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mounting
KR20100011847A (ko) * 2008-07-25 2010-02-03 이도상 임플란트 픽스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KR20050016748A (ko) * 2002-07-05 2005-02-21 제스트 앵커스 인코포레이티드 치과용 부착 조립체 및 방법
KR20100051585A (ko) * 2008-08-26 2010-05-17 맥스포쓰 코포레이션 치과용 앵커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978A3 (ko) * 2015-03-10 2016-11-03 (주)카이노스메덴텍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및 볼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쳐의 제작방법
KR101669612B1 (ko) * 2015-10-15 2016-11-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WO2017065454A1 (ko) * 2015-10-15 2017-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WO2018059880A1 (de) * 2016-09-30 2018-04-05 Bredent Gmbh & Co. Kg Kappe zur befestigung auf einem verankerungselement
KR20190013013A (ko) * 2017-07-31 2019-02-11 (주)예스바이오테크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WO2019027177A3 (ko) * 2017-07-31 2019-03-21 ㈜예스바이오테크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KR102036605B1 (ko) * 2017-07-31 2019-10-25 (주) 예스바이오테크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9257A1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950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499893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CN109661213B (zh) 自锁式齿列矫正托槽组件
US9526302B2 (en) Cover-material fastening clip
JP2011052704A (ja) 長尺部材の保持具
KR20110010649A (ko) 지지체에 부가 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
JP2016515076A (ja) 搭載可能かつ連結可能なツイストタイ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511642A (ja) ヒンジを家具部材に固定するためのベースに取り付けられるアダプターを備える装置の構造
JP5390825B2 (ja) 着脱自在キャップ装置
ES2576839T3 (es) Porta-mecanismos para canales de listón de zócalo
KR1016696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1018299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JP2004040879A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200441996Y1 (ko) 임플란트의 나사풀림방지구조
JP5307666B2 (ja) 留め具
KR101829911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TW201617042A (zh) 上部構造可拆卸的假牙裝置及相關的螺絲
CA1254408A (en) Snap-in anchor for denture
JP2008163996A (ja) ティビアパッド固定用のクリップ
KR200436964Y1 (ko) 패널 마운트 소켓
KR10256882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1734209B1 (ko) 본 스크류 및 본 스크류 드라이버
KR20190061558A (ko) 싱크대 받침다리
JP5368677B2 (ja) 浴槽エプロンの取付構造
JP4550691B2 (ja) 釣具の釣糸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