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013A -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013A
KR20190013013A KR1020170096904A KR20170096904A KR20190013013A KR 20190013013 A KR20190013013 A KR 20190013013A KR 1020170096904 A KR1020170096904 A KR 1020170096904A KR 20170096904 A KR20170096904 A KR 20170096904A KR 20190013013 A KR20190013013 A KR 2019001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fastening member
denture
intermediate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605B1 (ko
Inventor
김노국
Original Assignee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605B1/ko
Priority to PCT/KR2018/008418 priority patent/WO2019027177A2/ko
Publication of KR2019001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쳐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틀니의 분리 및 결합이 쉬운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는 픽스쳐결합수단과, 중간체결부재와, 틀니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결합수단은 픽스쳐삽입부와, 헤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픽스쳐삽입부는 픽스쳐에 탈착할 수 있게 나사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상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단에 입구보다 내측의 직경이 더 큰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픽스쳐삽입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가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신축되며, 상기 삽입홈이 개방되도록 타단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틀니고정수단은 상부고정부와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픽스쳐결합수단에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는 외주면에 틀니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중간체결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수용된다. 상기 체결부는 일단은 직경이 상기 삽입홈의 입구의 직경보다 더 크고 반경방향으로 신축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고정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쳐결합수단의 헤드부의 상단은 틀니고정수단의 체결부와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고, 틀니고정수단의 상부고정부에 수용된 중간체결부재가 헤드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헤드부에 이중으로 결합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틀니를 픽스쳐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의 일단에 홈이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신축하여 삽입홈에 삽입되고, 중간체결부재의 일단이 탄성적으로 신축되며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므로 틀니가 고정결합된 틀니고정수단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그래서 틀니의 분리 및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artificial teeth}
본 발명은 틀니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쳐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틀니의 분리 및 결합이 쉬운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와 같은 치과용 구조물을 구강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장치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040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통하여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틀니고정장치의 경우, 틀니(1)의 저면에 구성되고 하단에 후크돌기(11)가 형성되는 제1후크(10)와, 제1후크(10)의 후크돌기(11)가 체결되는 제2후크(20)와, 치조골에 식립되어 제2후크(20)가 인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임플란트 고정체(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틀니고정장치는 임플란트 고정체(30)를 잇몸에 식립한 후 제2후크(20)를 끼워 결합하고, 제2후크(20)에 제1후크(10)를 끼워 틀니(1)가 잇몸(2)에 장착되도록 한다. 그런데 제1후크(10)의 후크돌기(11)에 의해서만 제2후크(20)에 고정결합되므로 틀니(1)를 안정적으로 잇몸(2)에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 기간 사용되다 보면 후크돌기(10)가 마모되어 결합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0405호(공개일 2012.03.0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스쳐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틀니의 분리 및 결합이 쉬운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는 픽스쳐결합수단과, 중간체결부재와, 틀니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결합수단은 픽스쳐삽입부와, 헤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픽스쳐삽입부는 픽스쳐에 탈착할 수 있게 나사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상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단에 입구보다 내측의 직경이 더 큰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픽스쳐삽입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가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신축되며, 상기 삽입홈이 개방되도록 타단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틀니고정수단은 상부고정부와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픽스쳐결합수단에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는 외주면에 틀니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중간체결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수용된다. 상기 체결부는 일단은 직경이 상기 삽입홈의 입구의 직경보다 더 크고 반경방향으로 신축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고정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가 수용될 때 상기 일단이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일단의 단부에서 상기 타단을 향해 절개된 절개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단이 신축할 수 있게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틀니가 고정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중간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입구의 내경이 수용된 상기 중간체결부재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타단이 상기 상부고정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와 일정한 유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틀니고정수단은 상기 중간체결부재에 대하여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중간체결부재와 일정한 유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쳐결합수단의 헤드부의 상단은 틀니고정수단의 체결부와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되고, 틀니고정수단의 상부고정부에 수용된 중간체결부재가 헤드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헤드부에 이중으로 결합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틀니를 픽스쳐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의 일단에 홈이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신축하여 삽입홈에 삽입되고, 중간체결부재의 일단이 탄성적으로 신축되며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므로 틀니가 고정결합된 틀니고정수단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그래서 틀니의 분리 및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된 중간체결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1에 도시된 중간체결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틀니고정수단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는 픽스쳐결합수단(10)과, 틀니고정수단(20)과, 중간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픽스쳐결합수단(10)은 픽스쳐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픽스쳐결합수단(10)은 픽스쳐삽입부(11)와, 헤드부(13)를 구비한다. 픽스쳐삽입부(11)는 픽스쳐에 탈착할 수 있게 나사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12)가 형성된다. 헤드부(13)는 픽스쳐삽입부(11)에서 연장되며, 그루브(14)와 삽입홈(16) 및 헥사드라이버 결합홈(18)이 형성된다. 그루브(14)는 헤드부(13)의 상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삽입홈(16)은 헤드부(13)의 상단에 입구(17)보다 내측의 직경(a)이 더 크게 형성된다. 헥사드라이버 결합홈(18)은 픽스쳐결합수단(10)을 회전시키는 헥사드라이버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삽입홈(16)의 하단에 헥사드라이버의 단부와 형합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틀니고정수단(20)은 틀니가 고정결합되며, 픽스쳐결합수단(1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틀니고정수단(20)은 상부고정부(21)와, 체결부(23)를 구비한다. 상부고정부(21)는 틀니가 고정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홈(22)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간체결부재(30)가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된다. 중간체결부재(30)가 이탈하지 않기 위해서 상부고정부(21)는 중간체결부재(30)가 삽입되는 입구의 내경(b)이 수용된 중간체결부재(30)의 최대 외경(c)보다 작게 형성된다. 체결부(23)는 일단은 삽입홈(16)에 삽입되고, 타단(25)은 상부고정부(21)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일단은 직경이 삽입홈(16)의 입구(17)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반경방향으로 십자모양으로 절개된 홈(24)이 형성된다. 그래서 일단이 삽입홈(16)에 삽입되어 탈착될 때 내측으로 모아졌다가 벌어지므로 픽스쳐결합수단(10)과 틀니고정수단(20)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중간체결부재(30)는 틀니고정수단(20)의 내부에 수용되며 틀니가 장착될 때 틀니고정수단(20)의 고정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중간체결부재(30)는 헤드부(13)의 상부가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도록 일단(31)이 개방되며, 타단(33)은 체결부(23)가 관통하여 삽입홈(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중간체결부재(30)는 헤드부(13)의 상부가 수용될 때 일단(31)이 벌어져 헤드부(13)의 그루브(14)에 삽입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일단(31)의 단부에서 타단(33)을 항해 절개된 절개홈(32)이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개홈(32)은 중간체결부재(30)의 측면을 따라 120도 각도로 세 개가 형성되며, 세 개의 절개홈(32) 중 어느 하나의 절개홈(32a)은 일단(31)의 단부에서 관통공(34)까지 절개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부고정부(21)에 삽입될 때 절개홈(32,32a)에 의해 수축되어 상부고정부(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중간체결부재(30)는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게 실린콘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체결부재(30)는 헤드부(13)와 일정한 유격을 가질 수 있게 헤드부(13)를 수용하도록 픽스쳐결합수단(10)에 장착되고, 틀니고정수단(20)은 중간체결부재(30)와 일정한 유격을 가질 수 있게 중간체결부재(30)를 수용하도록 픽스쳐결합수단(10)에 장착된다. 그래서 중간체결부재(30)와 헤드부(13), 중간체결부재(30)와 틀니고정수단(20)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므로 중간체결부재(30)는 헤드부(13)에 대하여 흔들리고, 틀니고정수단(20)은 중간체결부재(30)에 대하여 흔들린다. 그래서 틀니로부터 무리한 하중이 픽스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를 사용하여 틀니를 고정할 경우, 먼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의 상단에 픽스쳐결합수단(10)을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틀니고정수단(20)의 내부에 중간체결부재(30)가 수용되도록 중간체결부재(30)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부고정부(21)와 나사결합된 체결부(23)는 중간체결부재(30)의 관통공(34)으로 삽입된다. 중간체결부재(30)를 수용하는 상부고정부(21)는 중간체결부재(30)가 삽입되는 입구의 내경(b)이 중간체결부재(30)의 최대 외경(c)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중간체결부재(30)가 상부고정부(21)에 삽입될 때 중간체결부재(30)는 절개홈(32,32a)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수축되어 상부고정부(21)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부고정부(21)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게 수용된다.
중간체결부재(30)가 틀니고정수단(20)의 내부에 수용되면 틀니고정수단(20)을 픽스쳐결합수단(10)에 결합시킨다. 틀니고정수단(20)을 픽스쳐결합수단(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부(23)를 헤드부(13)의 삽입홈(16)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중간체결부재(30)가 헤드부(13)의 상부를 감싸면서 수용한다. 이때, 체결부(23)의 일단은 절개된 홈(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체 탄성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픽스쳐결합수단(10)에 탈착될 때 체결부(23)의 일단이 반경방향으로 수축되었다가 확장되기 때문에 틀니고정수단(20)과 픽스쳐결합수단(10)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중간체결부재(30)는 절개홈(32,32a)에 의해 일단(31)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었다가 수축되면서 헤드부(13)의 상부를 감싸고 일단(31)이 헤드부(13)의 그루브(14)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분리될 때에는 일단(31)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헤드부(13)의 그루브(14)에서 이탈하여 분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틀니고정수단(20)의 체결부(23)는 헤드부(13)의 삽입홈(16)에 삽입되고, 중간체결부재(30)의 일단(31)은 헤드부(13)이 그루브(14)에 삽입된다. 이 경우, 삽입홈(16)은 체결부(23)가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부(23)를 구속시키고, 그루브(14)는 중간체결부재(30)의 일단(31)이 이탈되지 않도록 중간체결부재(30)의 일단(31)을 구속시킨다. 따라서 틀니고정수단(20)은 픽스쳐결합수단(10)의 내부 및 외부 모두에서 구속되어 픽스쳐결합수단(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본 실시예의 체결부(23)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후크돌기(11)에 의해서만 제1후크(10)가 제2후크(20)에 고정결합되므로 틀니(1)를 안정적으로 잇몸(2)에 결합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일정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후크돌기(11)가 탈착과정에서 마모되어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틀니고정수단(20)과 픽스쳐결합수단(10)이 체결부(23)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중간체결부재(30)가 헤드부(13)의 상부를 감싸 체결부(23)의 고정력을 보완해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틀니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과정에서 체결부(23)의 일단이 마모되더라도 중간체결부재(30)가 헤드부(13)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결합되므로 틀니고정수단(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23)의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홈(24)과, 중간체결부재(30)의 측면을 따라 일단(31)이 단부에서 타단을 향해 절개된 절개홈(32)이 형성되어 체결부(23)와 중간체결부재(30)의 일단(31)을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하므로 용이하게 픽스쳐결합수단(10)에 틀니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다.
10 : 픽스쳐결합수단 11 : 픽스쳐삽입부
12 : 나사 13 : 헤드부
14 : 그루브 16 : 삽입홈
17 : 입구 18 : 헥사드라이버 결합홈
20 : 틀니고정장치 21 : 상부고정부
22 : 결합홈 23 : 체결부
24 : 홈 25 : 타단
30 : 중간체결부재 31 : 일단
32 : 절개홈 33 : 타단
34 : 관통공

Claims (8)

  1. 픽스쳐에 탈착할 수 있게 나사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가 형성된 픽스쳐삽입부와, 상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단에 입구보다 내측의 직경이 더 큰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픽스쳐삽입부에서 연장된 헤드부를 구비한 픽스쳐결합수단과,
    상기 헤드부의 상부가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신축되며, 상기 삽입홈이 개방되도록 타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체결부재와,
    외주면에 틀니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중간체결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수용되는 상부고정부와, 일단은 직경이 상기 삽입홈의 입구의 직경보다 더 크고 반경방향으로 신축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고정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픽스쳐결합수단에 탈착될 수 있는 틀니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가 수용될 때 상기 일단이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일단의 단부에서 상기 타단을 향해 절개된 절개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단이 신축할 수 있게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틀니가 고정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중간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입구의 내경이 수용된 상기 중간체결부재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타단이 상기 상부고정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와 일정한 유격을 가지며,
    상기 틀니고정수단은 상기 중간체결부재에 대하여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중간체결부재와 일정한 유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결부재는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KR1020170096904A 2017-07-31 2017-07-31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KR10203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904A KR102036605B1 (ko) 2017-07-31 2017-07-31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PCT/KR2018/008418 WO2019027177A2 (ko) 2017-07-31 2018-07-25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904A KR102036605B1 (ko) 2017-07-31 2017-07-31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13A true KR20190013013A (ko) 2019-02-11
KR102036605B1 KR102036605B1 (ko) 2019-10-25

Family

ID=6523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904A KR102036605B1 (ko) 2017-07-31 2017-07-31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6605B1 (ko)
WO (1) WO201902717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04331A (ja) * 2019-05-09 2023-02-03 デンフレ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義歯用アタッチメン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558A (ko) 2021-01-18 2022-07-26 (주)예스바이오테크 틀니 고정장치
CN113262060B (zh) * 2021-05-17 2022-06-03 瑞丰口腔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防止义齿性口炎功能的义齿基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218B1 (ko) * 2007-03-30 2008-06-26 이상직 임플란트 장치
KR20120008672A (ko) * 2010-07-19 2012-02-01 공용표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KR20120020405A (ko) 2010-08-30 2012-03-08 박숙규 틀니용 어태치먼트
KR20140018674A (ko)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쿠보텍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틀니용 지대치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1489950B1 (ko) * 2013-12-26 2015-02-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US20150093718A1 (en) * 2012-03-23 2015-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using for dental implants
WO2015099328A1 (ko) * 2013-12-26 2015-07-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12B1 (ko) * 2015-10-15 2016-11-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218B1 (ko) * 2007-03-30 2008-06-26 이상직 임플란트 장치
KR20120008672A (ko) * 2010-07-19 2012-02-01 공용표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KR20120020405A (ko) 2010-08-30 2012-03-08 박숙규 틀니용 어태치먼트
US20150093718A1 (en) * 2012-03-23 2015-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using for dental implants
KR20140018674A (ko)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쿠보텍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틀니용 지대치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1489950B1 (ko) * 2013-12-26 2015-02-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WO2015099328A1 (ko) * 2013-12-26 2015-07-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04331A (ja) * 2019-05-09 2023-02-03 デンフレ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義歯用アタッチ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177A3 (ko) 2019-03-21
WO2019027177A2 (ko) 2019-02-07
KR102036605B1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278335B1 (ko) 지대주 시스템 및 치과 방법들
US6244867B1 (en) Multi-part, multi-positionable abutment for use with dental implants
KR20190013013A (ko)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20100051585A (ko) 치과용 앵커 장치 및 방법
SE526548C2 (sv) Anordning vid implantat
KR10238770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EP2835110A1 (en) Denture-fixing attachment having freely adjustable angle and position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EP2978386A1 (en) Integrated dental implant component and tool for placement of a dental implant component
AU2018207501B2 (en) Dental implants
WO2011142547A2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559823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US20070082320A1 (en) Angled implant prosthesi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387574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 장치
EP2939635A1 (en) Metal pillar for dental implants
KR100665046B1 (ko) 스크루가 내장된 임플란트 연결기둥의 체결구조
KR200386076Y1 (ko) 픽스처 드라이버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101632612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KR200392189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70060539A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KR101058996B1 (ko) 오메가 임플란트
KR102009789B1 (ko) 의료용 수동식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