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600B1 -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600B1
KR101400600B1 KR1020130092374A KR20130092374A KR101400600B1 KR 101400600 B1 KR101400600 B1 KR 101400600B1 KR 1020130092374 A KR1020130092374 A KR 1020130092374A KR 20130092374 A KR20130092374 A KR 20130092374A KR 101400600 B1 KR101400600 B1 KR 10140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pickling
oiling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웅
임지형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및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봉용 PO 강판은 산세 처리 및 오일링 처리되어 있는 PO(Pickling & Oiling) 강판으로서,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03% 이하, 질소(N) : 0.004% 이하, 보론(B) :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판에는 인(P) : 0.01중량% 이하 및 황(S) : 0.01중량% 이하로 제한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PICKLING AND OILING STEEL SHEET FOR WELDING ELECTRODE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FLUX CORED WIRE WELDING ELECTRODE FOR OFFSHORE 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접봉용 강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플랜트용 대형 구조물의 자동용접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용접봉용 PO(Pickling & Oiling)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Flux Cored Wire)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해유전 탐사, 천연가스 채취 등을 위하여 국내 및 국외 해양에는 많은 플랜트가 설치되고 있다. 해양플랜트 설치 및 제작 시에는 필연적으로 용접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고품질의 FCW(Flux Cored Wire) 용접봉 제품이 필요하다.
FCW 용접봉은 내부의 플럭스(Flux)를 외부의 강판이 감싸고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FCW 용접봉에서 주로 사용되는 강판은 두께가 얇은 냉간압연 강판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2-0010050호 (2002.02.02. 공개)에는 플럭스 코어 와이어 외피용 냉연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은 냉연강판의 경우, 열연 코일을 산세하고, 냉간압연한 후, 열처리를 거쳐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매우 비싸고, 용접봉 와이어의 O자 밴딩시 두께가 얇아서 용접을 통한 심리스(Seamless) 용접봉 와이어의 제조 필요시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금성분 제어를 통하여, 열간압연 후 소정의 두께로 냉간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열간압연 상태에서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 후 우수한 저온충격인성, 용접성 및 인발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PO 강판을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Flux Cored Wire)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봉용 PO 강판은 산세 처리 및 오일링 처리되어 있는 PO(Pickling & Oiling) 강판으로서,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03% 이하, 질소(N) : 0.004% 이하, 보론(B) :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접봉용 PO 강판은 항복강도 180~260MPa, 인장강도 290~350MPa, 연신율 41%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접봉용 PO 강판은 인(P) : 0.01중량% 이하 및 황(S) : 0.01중량% 이하를 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Flux Cored Wire) 용접봉은 파이프 형태의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03% 이하, 질소(N) : 0.004% 이하, 보론(B) :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이며, 산세 및 오일링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은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03% 이하, 질소(N) : 0.004% 이하, 보론(B) :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이며, 산세 및 오일링 처리되어 있는 PO 강판 스트립을 공급하는 단계; O 타입 포밍 롤을 이용하여, 상기 PO 강판 스트립을,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용접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결과물 끝단을 통하여, 상기 성형된 결과물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플럭스가 충전된 결과물을 인발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은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03% 이하, 질소(N) : 0.004% 이하, 보론(B) :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이며, 산세 및 오일링 처리되어 있는 PO 강판 스트립을 공급하는 단계; U 타입 포밍 롤을 이용하여, 상기 PO 강판 스트립을, 개구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1차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1차 성형된 결과물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플럭스가 충전된 결과물을,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 파이프 형상으로 2차 성형 및 용접하는 단계; 상기 2차 성형 및 용접된 결과물을 인발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봉용 PO 강판의 경우, 냉간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산세 및 오일링 처리만 한 상태에서도 우수한 용접성 및 연신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하여 극지방 해양플랜트용 고품질 FCW 용접봉의 외피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접봉용 PO 강판
본 발명에 따른 용접봉용 PO(Pickling & Oiling) 강판은,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FCW(Flux Cored Wire) 용접봉의 플럭스(110)를 감싸는 외피(120)의 소재가 된다.
용접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포밍(forming) 공정, 용접 공정, 인발 공정 등이 수반된다. 따라서, PO 강판을 용접봉용 외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우수한 용접성, 인발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FCW 용접봉이 극지방 해양구조물 설치를 위한 용접봉으로 활용될 경우에는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결과, 냉간압연 및 열처리를 생략하고, 산세 및 오일링한 상태에서도 우수한 용접성, 인발성 및 저온충격인성을 나타내어, 바로 용접봉 제조용으로 활용 가능한 PO 강판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PO 강판은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03% 이하, 질소(N) : 0.004% 이하, 보론(B) : 0.0015% 이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O 강판은 인(P) : 0.01중량% 이하 및 황(S) : 0.01중량% 이하를 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금 성분들외 나머지는 철(Fe)과 제강공정 등에서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O 강판은 냉간압연 및 열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강판으로, 표면 스케일 제거를 위한 산세 처리, 그리고 강판 표면의 산화 방지를 위한 오일링 처리되어 있는 강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봉용 PO 강판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탄소(C)는 강의 강도 증가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상기 탄소는 강판 전체 중량의 0.015~0.025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의 첨가량이 0.015중량% 미만인 경우, 원하는 인장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반대로, 탄소 첨가량이 0.0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성 및 인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리콘(Si)
실리콘(Si)은 강 산화성 원소로, 압연 공정 중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며, 또한 모재 계면에 농화되어 있는 스케일층의 성장을 억제한다.
상기 실리콘은 강판 전체 중량의 0.02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의 첨가량이 0.0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판 표면에 붉은색 계열 스케일 형성을 유발하여 강판 표면 특성을 저하시키며, 고온에서 안정한 실리콘계 산화물을 생성하여 용접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망간(Mn)
망간(Mn)은 강속에 고용되어 있는 황(S)과 결합하여, 제조 공정 중에 불가피하게 형성되어 적열 취성을 유발하는 FeS 형성을 방지하며, MnS를 형성하여 고용 강화 효과 및 펄라이트 미세화 원소로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망간은 강판 전체 중량의 0.15~0.25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이 첨가량이 0.15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망간의 첨가량이 0.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MnS를 과다하게 생성하여, 강의 저온충격인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가용성 알루미늄(Sol.Al)
가용성 알루미늄(Sol.Al)은 탈산재로 사용되는 동시에 실리콘(Si)과 같이 시멘타이트 석출을 억제하고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가용성 알루미늄이 과다 첨가될 경우, 저온충격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용성 알루미늄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03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질소(N)
질소(N)는 강 내부에 개재물을 발생시켜 강판의 내부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질소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004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보론(B)
보론(B)은 침입형 원소로 인(P)과의 자리경쟁효과(site competition effect)로 인(P)의 입계편석을 방지함으로써, 강판의 충격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론은 강판 전체 중량의 0.0015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의 첨가량이 0.0015중량%를 초과하면 인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인(P)
인(P)은 불순물로서, 강의 제조시 편석되어 기계적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며, 저온충격인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이 포함될 경우, 인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01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황(S)
황(S) 역시 불순물로서, 망간과 결합하여 MnS와 같은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한다. MnS 개재물이 다량 형성될 경우, 조관시 후크 크랙과 같은 용접부 결함을 발생할 수 있으며, 저온충격인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황이 포함될 경우, 황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01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상기 합금 성분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봉용 PO 강판은 대략 1150~1250℃에서 슬라브 재가열하고, Ar3 ~ Ar3+200℃ 정도의 마무리압연온도로 열간압연한 후, 10~30℃/sec 정도의 평균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550~700℃ 정도에서의 권취하여 연연강판을 제조한 후, 강판 표면 스케일 제거를 위한 산세 및 강판 표면 산화 방지를 위한 오일링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접봉용 PO 강판은 항복강도 180~260MPa, 인장강도 290~350MPa, 연신율 41% 이상을 나타내어 U 타입 혹은 O 타입 포밍, 인발을 위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인과 황의 함량을 엄격히 제한함으로써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을 나타내어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제조 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은 플럭스(110) 및 외피(12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외피가 전술한 바와 같은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03% 이하, 질소(N) : 0.004% 이하, 보론(B) :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산세 및 오일링 처리되어 있는 PO 강판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은 PO 강판 스트립 공급 단계(S210), O 포밍 / 용접 단계(S220), 플럭스 충전 단계(S230) 및 인발 / 권취 단계(S240)를 포함한다.
우선, PO 강판 스트립 공급 단계(S210)에서는 전술한 조성을 갖는 PO 강판을 슬리팅하여 얻어진 PO 강판 스트립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O 포밍 / 용접 단계(S220)에서는 O 타입 포밍 롤을 이용하여, PO 강판 스트립을,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용접한다. 이때, 용접은 용접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저온충격인성 확보에 용이한 전기저항용접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플럭스 충전 단계(S230)에서는 성형된 결과물 끝단을 통하여, 성형된 결과물, 즉 파이프 형태의 외피 내부에 플럭스를 충진한다.
다음으로, 인발 / 권취 단계(S240)에서는 플럭스가 충진된 결과물을 원하는 직경으로 인발 가공한 후, 권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은 PO 강판 스트립 공급 단계(S310), U 포밍 단계(S320), 플럭스 충전 단계(S330) / 용접 단계(S220), 플럭스 충전 단계(S230) 및 인발 / 권취 단계(S2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플럭스 충전 이전에 용접이 수행되었으나,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플럭스 충전 후에 용접이 수행되는 차이점이 있다.
우선, PO 강판 스트립 공급 단계(S310)에서는 전술한 조성을 갖는 PO 강판을 슬리팅하여 얻어진 PO 강판 스트립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U 포밍 단계(S320)에서는 U 타입 포밍 롤을 이용하여, PO 강판 스트립을, U자 형태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1차 성형한다.
다음으로, 플럭스 충전 단계(S330)에서는 개구부를 통하여, 1차 성형된 결과물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한다.
다음으로, 2차 성형 / 용접 단계(S340)에서는 플럭스가 충전된 결과물을,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 완전한 파이프 형상으로 2차 성형한 후, 용접한다. 이 경우에도 용접은 전기저항용접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인발 / 권취 단계(S350)에서는 2차 성형 및 용접된 결과물을 원하는 직경으로 인발한 후, 권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PO 강판 시편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진공 용해로에서 용해하여 잉곳을 제조한 후, 920℃ 마무리압연온도 조건으로 열간압연한 후, 650℃까지 평균냉각속도 20℃/sec로 냉각한 후, 상온까지 공냉하였다. 이후, 각각의 시편을 황산 용액을 이용하여 산세 처리한 후, 방청유를 이용하여 오일링 처리하였다.
[표 1] (단위 : 중량%)
Figure 112013070563087-pat00001

2. 기계적 특성 평가
(1)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JIS 5호 시험편에 의거한 인장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2) 용접성은 전기저항용접기(SH-50, 신화전기)를 사용하여, 5kA의 전류조건으로 용접하면서 스파크가 발생하는지 여부로 평가하였다.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양호(O), 스파크가 발생하는 경우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3) 저온충격인성은 -20℃, -40℃ 및 -60℃에서 샤르피 충격시험을 각각 3회 실시하여 평균 충격흡수에너지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상기의 기계적 특성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3070563087-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실시예 1~3에 따른 시편의 경우, 모두 항복강도 180~260MPa, 인장강도 290~350MPa, 연신율 41%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을 나타내어 우수한 저온충격인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실리콘(Si)이 과다 포함된 비교예 1에 따른 시편의 경우, 용접성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인(P)과 황(S)이 각각 0.01중량%를 초과하여 과다 포함된 비교예 2에 따른 시편의 경우 -60℃에서의 충격인성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또한, 탄소(C)와 알루미늄(Al)이 과다 첨가되었으며 보론(B)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3에 따른 시편의 경우, 전체적으로 저온충격인성이 좋지 못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플럭스
120 : 외피 (PO 강판)

Claims (10)

  1. 냉간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산세 및 오일링 처리만 되어 있는 PO(Pickling & Oiling) 강판으로서,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 초과 내지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 초과 내지 0.03% 이하, 질소(N) : 0% 초과 내지 0.004% 이하, 보론(B) : 0% 초과 내지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용 PO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용 PO 강판은
    항복강도 180~260MPa, 인장강도 290~350MPa, 연신율 41%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용 PO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용 PO 강판은
    인(P) : 0% 초과 내지 0.01중량% 이하 및 황(S) : 0% 초과 내지 0.01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용 PO 강판.
  4. 파이프 형태의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 초과 내지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 초과 내지 0.03% 이하, 질소(N) : 0% 초과 내지 0.004% 이하, 보론(B) : 0% 초과 내지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이며, 냉간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산세 및 오일링 처리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용 FCW(Flux Cored Wire) 용접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항복강도 180~260MPa, 인장강도 290~350MPa, 연신율 41%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인(P) : 0% 초과 내지 0.01중량% 이하 및 황(S) : 0% 초과 내지 0.01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7.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 초과 내지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 초과 내지 0.03% 이하, 질소(N) : 0% 초과 내지 0.004% 이하, 보론(B) : 0% 초과 내지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이며, 냉간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산세 및 오일링 처리만 되어 있는 PO 강판 스트립을 공급하는 단계;
    O 타입 포밍 롤을 이용하여, 상기 PO 강판 스트립을,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용접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결과물 끝단을 통하여, 상기 성형된 결과물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플럭스가 충전된 결과물을 인발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
  8. 중량%로, 탄소(C) : 0.015~0.025%, 실리콘(Si) : 0% 초과 내지 0.02% 이하, 망간(Mn) : 0.15~0.25%, 가용성 알루미늄(Sol.Al) : 0% 초과 내지 0.03% 이하, 질소(N) : 0% 초과 내지 0.004% 이하, 보론(B) : 0% 초과 내지 0.0015%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20℃ ~ -60℃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140J 이상이며, 냉간압연 및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산세 및 오일링 처리만 되어 있는 PO 강판 스트립을 공급하는 단계;
    U 타입 포밍 롤을 이용하여, 상기 PO 강판 스트립을, 개구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1차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1차 성형된 결과물 내부에 플럭스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플럭스가 충전된 결과물을,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 파이프 형상으로 2차 성형 및 용접하는 단계;
    상기 2차 성형 및 용접된 결과물을 인발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전기저항용접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O 강판 스트립은
    인(P) : 0% 초과 내지 0.01중량% 이하 및 황(S) : 0% 초과 내지 0.01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제조 방법.
KR1020130092374A 2013-08-05 2013-08-05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74A KR101400600B1 (ko) 2013-08-05 2013-08-05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74A KR101400600B1 (ko) 2013-08-05 2013-08-05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600B1 true KR101400600B1 (ko) 2014-05-27

Family

ID=5089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374A KR101400600B1 (ko) 2013-08-05 2013-08-05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6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53A1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009636A1 (ko) * 2017-07-05 2019-01-10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4959476A (zh) * 2022-05-27 2022-08-30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一种经济型药芯焊丝用冷轧钢带及其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89B1 (ko) * 2011-01-04 2011-05-0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7071A (ko) * 2011-12-29 2013-07-0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Baf 열처리를 이용한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89B1 (ko) * 2011-01-04 2011-05-0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7071A (ko) * 2011-12-29 2013-07-09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Baf 열처리를 이용한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53A1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009636A1 (ko) * 2017-07-05 2019-01-10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5271A (ko) * 2017-07-05 2019-01-16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025B1 (ko) 2017-07-05 2019-02-18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1674194B2 (en) 2017-07-05 2023-06-13 Posco Co., Ltd Cold rolled steel sheet for flux-cored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4959476A (zh) * 2022-05-27 2022-08-30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一种经济型药芯焊丝用冷轧钢带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1396B2 (ja) 低温靱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管用熱延鋼帯
JP5866378B2 (ja) 冷間割れ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68604B1 (ko) 유정용 전봉 강관 및 유정용 전봉 강관의 제조 방법
JP4624808B2 (ja) 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28172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fracture and to HIC
JP6256652B2 (ja) 構造管用厚肉鋼板、構造管用厚肉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構造管
JP6256653B2 (ja) 構造管用鋼板、構造管用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構造管
KR20100105790A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6123713B2 (ja) 厚肉熱延鋼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08398B1 (ja) ばね鋼
KR101400600B1 (ko)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22932A (ja) ラインパイプ用低降伏比電縫鋼管の製造方法
KR102456737B1 (ko) 코일드 튜빙용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593395B2 (ja) 蓄圧器用ライナー、蓄圧器、複合容器蓄圧器、および蓄圧器用ライナーの製造方法
JPWO2014178359A1 (ja) 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低比重鋼板
KR101400624B1 (ko) 용접봉용 po 강판, 이를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cw 용접봉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5260B1 (ko) 강관용 열연강판 및 강관 제조 방법
JP2018168460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自動車排気系部品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JP3879365B2 (ja) 疲労亀裂進展抵抗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2011195856A (ja) ラインパイプ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5793B2 (ja) 複合容器蓄圧器用ライナー、複合容器蓄圧器、および複合容器蓄圧器用ライナーの製造方法
JP2024029929A (ja) 耐溶融亜鉛めっき割れ性に優れ、架線柱に適した高強度電縫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44665B1 (ko) 열연강판 제조 방법
JP2022089302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鋼管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299276B1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