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509B1 -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509B1
KR101400509B1 KR1020137001187A KR20137001187A KR101400509B1 KR 101400509 B1 KR101400509 B1 KR 101400509B1 KR 1020137001187 A KR1020137001187 A KR 1020137001187A KR 20137001187 A KR20137001187 A KR 20137001187A KR 101400509 B1 KR101400509 B1 KR 10140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coupler
switching valve
attachment
switch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322A (ko
Inventor
신타로 요코하타
고타 다츠미
Original Assignee
캐터필라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터필라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캐터필라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3006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스위치(15)를, 어태치먼트를 보유 지지할 때의 로크 포지션 및 어태치먼트를 이탈시킬 때의 언로크 포지션의 2개의 포지션에서 조작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어 장치(16)가, 스위치(15)를 로크 포지션 혹은 언로크 포지션에 조작하여 출력된 조작 신호를 받아, 유압 펌프의 승압이 개시되도록, 또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유압 펌프의 승압이 종료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13)를 전환 제어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QUICK COUPLER CIRCUIT FOR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버킷이나 브레이커 등의 어태치먼트를 용이하게 착탈하기 위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0년 6월 2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14051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유압 셔블(건설 기계)(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 상에 상하 방향으로 기도(起倒)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기(4)를 구비한다. 또한, 작업기(4)는, 후단부가 상부 선회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붐(5)과, 붐(5)의 선단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6)과, 아암(6)의 선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어태치먼트)(7)을 구비하고, 다관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의 레버 조작에 따라 작동유가 급배되고, 붐 실린더(8)와 아암 실린더(9)와 버킷 실린더(10)(작업용 액추에이터)가 각각 신축, 붐(5)과 아암(6)과 버킷(7)이 각각 회전한다.
한편, 아암(6)이, 그 선단에 버킷, 브레이커, 크러셔 등의 각종 어태치먼트(7)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설 기계(1)가 알려져 있다. 이 건설 기계(1)에서는, 어태치먼트(7)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1대의 건설 기계(1)를 다목적·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퀵 커플러 회로를 구비하고, 오퍼레이터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또한 빠르게 어태치먼트(7)의 착탈이 행해지는 건설 기계(1)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퀵 커플러 회로[퀵 커플러(B)]는, 아암(6)의 선단과 어태치먼트(7)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퀵 커플러 회로는, 작동유의 급배에 의해 신축하여 어태치먼트(7)를 보유 지지/이탈시키는 퀵 커플러 실린더와, 유압 펌프와,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작업용 액추에이터[붐 실린더(8), 아암 실린더(9), 버킷 실린더(10)]측 혹은 퀵 커플러 실린더측으로 전환하는 전자기 전환 밸브와, 퀵 커플러 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축시키기 위한 커플러 전환 밸브와, 스위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파일럿 신호(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기 전환 밸브와 커플러 전환 밸브를 각각 전환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327291호 공보
여기서, 퀵 커플러 실린더의 신축 동작[어태치먼트(7)의 착탈]이 확실하게 행해지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펌프 승압 조작이 필요로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종래의 퀵 커플러 회로에서는, 전자기 전환 밸브가 사용된다. 그리고 펌프 강제 승압을 위한 파일럿 신호가 제어되어, 유압 펌프가 강제적으로 승압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퀵 커플러 회로는, 전자기 전환 밸브 및 커플러 전환 밸브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환되어 구동되고, 상기 2개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3 포지션 스위치와 릴레이 회로가 필요로 된다.
즉, 종래의 퀵 커플러 회로에서는, 작업용 액추에이터를 신축시켜 작업을 행할 때의 워킹 포지션과,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장(혹은 수축)시켜 어태치먼트(7)를 보유 지지(장착)할 때의 로크 포지션과, 퀵 커플러 실린더를 수축(혹은 신장)시켜 어태치먼트(7)를 이탈시킬 때의 언로크 포지션의 3개의 포지션에서 조작되는 스위치와, 릴레이 회로가 조합됨으로써, 유압 펌프를 승압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그리고 어태치먼트(7)의 교환 시에는, 로크 포지션과 언로크 포지션이 사용되고, 로크 포지션과 언로크 포지션 사이에서는, 항상 유압 펌프가 승압된다.
이로 인해, 스위치의 포지션에 의해, 퀵 커플러 실린더가 신장 혹은 수축되도록, 항상 유압 펌프가 승압되어 있는지, 또는 항상 유압 펌프가 승압되어 있지 않은지의 제어밖에 할 수 없다. 즉, 승압의 시간이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없다. 그 결과, 펌프가 승압되는 동안의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작업기(4)]의 움직임이 불안정하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발생하여 연비가 악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승압의 시간이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어, 유압 펌프 승압 중의 작업기의 동작이 안정되고, 연비의 향상이 가능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는, 어태치먼트를 작업기에 착탈하기 위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퀵 커플러 회로는, 신축 구동하여 어태치먼트를 작업기에 보유 지지/이탈시키는 퀵 커플러 실린더와, 유압 펌프와, 유압 펌프의 강제 승압을 전환하는 전자기 전환 밸브와, 퀵 커플러 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축 구동시키기 위한 커플러 전환 밸브와, 전자기 전환 밸브와 커플러 전환 밸브를 각각 전환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퀵 커플러 회로에서는, 전자기 전환 밸브와 커플러 전환 밸브를 전환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가,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축시켜 어태치먼트를 보유 지지할 때의 로크 포지션 및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축시켜 어태치먼트를 이탈시킬 때의 언로크 포지션의 2개의 포지션에서 조작된다. 또한, 본 발명의 퀵 커플러 회로에서는, 제어 장치는, 스위치를 로크 포지션 혹은 언로크 포지션에 조작하여 출력되는 조작 신호를 받아, 커플러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퀵 커플러 회로에서는, 제어 장치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유압 펌프의 승압이 개시되도록, 또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유압 펌프의 승압이 종료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한다.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에 있어서는, 퀵 커플러 회로가,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제어 장치를 경유하여 전자기 전환 밸브에 전달한다. 그로 인해, 유압 펌프를 승압시키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가 전환되어 있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스위치를 로크 포지션 혹은 언로크 포지션에 조작하여 출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가, 유압 펌프가 승압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한다. 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제어 장치가, 유압 펌프의 승압이 완료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함으로써, 펌프 승압 시간이나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로크 포지션과 언로크 포지션의 2 포지션에서 조작되는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퀵 커플러 실린더가 움직이고 있는 동안만 유압 펌프가 승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퀵 커플러 회로와 비교하여, 승압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펌프 승압 중에 각 액추에이터(작업기)가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줄어들므로, 연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유압 셔블(건설 기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건설 기계(1)는, 유압 셔블(도 3 참조)이고, 아암(6)(작업기)의 선단에 버킷이나 브레이커 등의 각종 어태치먼트(7)를 용이하게 착탈하기 위한 퀵 커플러 회로(A)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퀵 커플러 회로(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퀵 커플러 실린더(11)와, 유압 펌프(예를 들어, 가변 용량 펌프)(12)와, 전자기 전환 밸브(솔레노이드 밸브)(13)와, 커플러 전환 밸브(14)와, 스위치(15)와, 제어 장치(16)를 구비한다.
퀵 커플러 실린더(11)는, 작동유가 급배됨으로써 신축되고, 어태치먼트(7)를 아암(6)의 선단에 보유 지지(장착)/이탈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퀵 커플러 실린더(11)는, 아암(6)의 선단에 설치되는 착탈 장치에 내장되고, 아암(6)의 선단과 어태치먼트(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퀵 커플러 회로(A)에 있어서는,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되면 어태치먼트(7)가 고정되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되면 어태치먼트(7)가 제거되도록, 퀵 커플러 실린더(11)의 피스톤 실(11a)과 로드 실(11b)에 각각 유압 배관이 연결된다.
전자기 전환 밸브(13)는, 유압원의 유압 펌프(12)에 의해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작업기(4)의 작업용 액추에이터[붐 실린더(8), 아암 실린더(9), 버킷 실린더(10)]측 혹은 퀵 커플러 실린더(11)측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기 전환 밸브(13)는, 유압 배관을 통해, 유압 펌프(12),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 커플러 전환 밸브(14)에 연결된다.
커플러 전환 밸브(14)는, 퀵 커플러 실린더(11)를 신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커플러 전환 밸브(14)는, 퀵 커플러 실린더(11)에 유압 배관으로 연결되고, 유압 펌프(1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퀵 커플러 실린더(11)에 대한 공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스위치(15)는, 어태치먼트(7)를 교환(착탈)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전자기 전환 밸브(13)와 커플러 전환 밸브(14)를 전환할 때에 사용된다. 스위치(15)는, 와이어 하니스를 사용하여 제어 장치(16)에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위치(15)는, 퀵 커플러 실린더(11)를 신장시켜 어태치먼트(7)를 보유 지지할 때의 로크 포지션 및 퀵 커플러 실린더(11)를 수축시켜 어태치먼트(7)를 제거할 때의 언로크 포지션의 2개의 포지션에서 조작된다.
제어 장치(16)는, 전자기 전환 밸브(13)와 커플러 전환 밸브(14)를 각각 전환 제어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어 장치(16)는, 와이어 하니스를 사용하여 전자기 전환 밸브(13), 커플러 전환 밸브(14)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16)는, 스위치(15)가 로크 포지션 혹은 언로크 포지션에 조작됨으로써 출력되는 조작 신호를 받아, 커플러 전환 밸브(14)를 전환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16)는, 스위치(15)의 조작에 의해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개시되도록, 또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종료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의 퀵 커플러 회로(A)에서 어태치먼트(7)를 교환(착탈)할 때는, 처음에 오퍼레이터가 레버를 조작하여,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아암(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어태치먼트(7)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에, 오퍼레이터가 스위치(15)를 언로크 포지션에 넣으면, 조작 신호가 제어 장치(16)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6)로부터 전자기 전환 밸브(13)와 커플러 전환 밸브(14)에 각각 전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16)로부터 출력된 전환 신호에 의해,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되고, 유압 펌프(12)가 승압된다. 또한, 제어 장치(16)로부터 출력된 전환 신호에 의해, 커플러 전환 밸브(14)가 전환되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되도록 작동유가 급배된다.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됨으로써, 아암(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어태치먼트(7)의 보유 지지 상태가 해제되고,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으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6)에 의해,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된 후(오퍼레이터가 언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한 후), 예를 들어 10초 정도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종료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언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되고,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으로부터 이탈하면, 제어 장치(16)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이 작업 시의 통상압으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종래의 퀵 커플러 회로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스위치(15)를 언로크 포지션에 넣으면, 항상 퀵 커플러 실린더(11)를 수축시키도록 승압시키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유압 펌프(12)의 승압 시간이 최소한으로 된다. 이로 인해,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를 구동시켰을 때에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도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삭감된다.
다음에, 새로운 어태치먼트(7)를 아암(6)의 선단에 설치할 때는, 처음에 오퍼레이터의 레버 조작에 의해 새로운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측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작업기(4)를 구동시킨다. 이때,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가 불안정하게 움직이지 않으므로, 적절하게 아암(6)의 선단측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아암(6)의 선단측이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한다. 그러면, 조작 신호가 제어 장치(16)에 입력되고, 이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6)로부터 전자기 전환 밸브(13)와 커플러 전환 밸브(14)에 각각 전환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 장치(16)로부터 출력된 전환 신호에 의해, 유압 펌프(12)가 승압된다. 또한, 제어 장치(16)로부터 출력된 전환 신호에 의해, 커플러 전환 밸브(14)가 전환되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되도록 작동유가 급배된다. 그리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됨으로써, 새로운 어태치먼트(7)의 연결 핀 또는 웨지가 파지되고, 새로운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에 연결되어 보유 지지(장착)된다.
또한, 어태치먼트(7)가 장착될 때도, 제어 장치(16)에 의해,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된 후(오퍼레이터가 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한 후), 예를 들어 10초 정도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종료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되고,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에 장착되면, 제어 장치(16)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이 작업 시의 통상압으로 복귀된다.
그로 인해, 스위치(15)가 로크 포지션에 넣어지면, 항상 퀵 커플러 실린더(11)를 신장시키도록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행해지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최소한의 승압 시간에 행해진다. 따라서 어태치먼트(7)의 장착 시에 있어서도,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를 구동시켰을 때에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가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도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삭감된다.
또한, 어태치먼트(7)를 장착할 때는,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이 작업 시의 통상압으로 복귀된 후, 예를 들어 5초 정도의 소정의 시간, 제어 장치(16)에 의해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가 구동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장착된 어태치먼트(7)가 확실하게(적절하게) 연결되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A)에 있어서는, 퀵 커플러 회로(A)가, 스위치(15)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를 제어 장치(16)를 경유하여 전자기 전환 밸브(13)에 전달한다. 그로 인해,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유압 펌프(12)를 승압시키도록 전환되어 있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6)가, 스위치(15)를 로크 포지션 혹은 언로크 포지션에 조작하여 출력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펌프(12)를 승압시키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13)를 전환 제어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유압 펌프(12)의 승압을 완료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13)를 전환 제어함으로써, 펌프 승압 시간이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로크 포지션과 언로크 포지션의 2 포지션에서 조작되는 스위치(15)를 조작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움직이고 있는 동안만 유압 펌프(12)가 승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퀵 커플러 회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퀵 커플러 회로(A)에서는,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최소한의 승압 시간에 행해진다. 그로 인해, 펌프 승압 중에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작업기(4)]가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감소하므로, 연비가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일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1)가 유압 셔블인 것으로서 설명을 행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셔블 로더 등 다른 건설 기계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퀵 커플러 회로(A)에서는,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되면 어태치먼트(7)가 고정되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되면 어태치먼트(7)가 제거되도록, 퀵 커플러 실린더(11)의 피스톤 실(11a)과 로드 실(11b)에 각각 유압 배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되면 어태치먼트(7)가 제거되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되면 어태치먼트(7)가 고정되도록, 본 실시 형태와 반대로, 퀵 커플러 실린더(11)의 피스톤 실(11a)과 로드 실(11b)에 각각 유압 배관이 연결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와는 반대로, 오퍼레이터가 언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하면, 제어 장치(16)로부터 전자기 전환 밸브(13)와 커플러 전환 밸브(14)에 각각 전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되고, 유압 펌프(12)가 승압된다. 또한, 제어 장치(16)로부터 출력된 전환 신호에 의해 커플러 전환 밸브(14)가 전환되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되도록 작동유가 급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됨으로써, 아암(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어태치먼트(7)의 보유 지지 상태가 해제되고, 이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으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제어 장치(16)에 의해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된 후(오퍼레이터가 언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한 후), 예를 들어 10초 정도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종료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언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신장되고,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으로부터 이탈하면, 제어 장치(16)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이 작업 시의 통상압으로 복귀된다.
그로 인해,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최소한의 승압 시간에 행해진다. 그 결과,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를 구동시켰을 때에,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가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삭감된다.
또한, 새로운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에 설치될 때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와는 반대로, 아암(6)의 선단측이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16)로부터 전자기 전환 밸브(13)와 커플러 전환 밸브(14)에 각각 전환 신호가 출력되고, 유압 펌프(12)가 승압된다. 또한, 제어 장치(16)로부터 출력된 전환 신호에 의해, 커플러 전환 밸브(14)가 전환되고,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되도록 작동유가 급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됨으로써, 새로운 어태치먼트(7)의 연결 핀 또는 웨지가 파지되고, 새로운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에 연결되어 보유 지지(장착)된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7)를 장착할 때도, 제어 장치(16)에 의해,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된 후, 예를 들어 10초 정도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종료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로크 포지션에 스위치 조작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11)가 수축되고, 어태치먼트(7)가 아암(6)의 선단에 장착되면, 제어 장치(16)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자기 전환 밸브(13)가 전환 제어되고, 유압이 작업 시의 통상압으로 복귀된다.
그로 인해, 스위치(15)가 로크 포지션에 넣어지면, 항상 퀵 커플러 실린더(11)를 수축시키도록 유압 펌프(12)의 승압이 행해지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유압 펌프(12)가 최소한의 승압 시간에 행해진다. 따라서 어태치먼트(7)의 장착 시에 있어서도,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를 구동시켰을 때에, 각 작업용 액추에이터(8, 9, 10)가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도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삭감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 펌프를 승압시키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가 전환되어 있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퀵 커플러 회로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에 있어서, 유압 펌프의 승압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펌프 승압 중에 각 액추에이터가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펌프 승압 시간이 줄어들므로, 연비가 향상된다.
1 :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 하부 주행체
3 : 상부 선회체
4 : 작업기
5 : 붐
6 : 아암
7 : 버킷(어태치먼트)
8 : 붐 실린더(작업용 액추에이터)
9 : 아암 실린더(작업용 액추에이터)
10 : 버킷 실린더(작업용 액추에이터)
11 : 퀵 커플러 실린더
11a : 피스톤 실
11b : 로드 실
12 : 유압 펌프
13 : 전자기 전환 밸브
14 : 커플러 전환 밸브
15 : 스위치
16 : 제어 장치
A :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
B : 퀵 커플러

Claims (1)

  1. 어태치먼트를 작업기에 착탈하기 위한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이며,
    신축 구동하여 어태치먼트를 작업기에 보유 지지/이탈시키는 퀵 커플러 실린더와,
    유압 펌프와,
    유압 펌프의 강제 승압을 전환하는 전자기 전환 밸브와,
    퀵 커플러 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여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축 구동시키기 위한 커플러 전환 밸브와,
    전자기 전환 밸브와 커플러 전환 밸브를 각각 전환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전자기 전환 밸브와 커플러 전환 밸브를 전환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가,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축시켜 어태치먼트를 보유 지지할 때의 로크 포지션 및 퀵 커플러 실린더를 신축시켜 어태치먼트를 이탈시킬 때의 언로크 포지션의 2개의 포지션에서 조작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장치는, 스위치를 로크 포지션 혹은 언로크 포지션에 조작하여 출력된 조작 신호를 받아, 커플러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하는 동시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유압 펌프의 승압이 개시되도록, 또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유압 펌프의 승압이 종료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를 전환 제어하는,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
KR1020137001187A 2010-06-21 2011-06-21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 KR101400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0514 2010-06-21
JP2010140514A JP5462724B2 (ja) 2010-06-21 2010-06-21 建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ー回路
PCT/JP2011/064117 WO2011162233A1 (ja) 2010-06-21 2011-06-21 建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ー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322A KR20130062322A (ko) 2013-06-12
KR101400509B1 true KR101400509B1 (ko) 2014-05-28

Family

ID=4537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187A KR101400509B1 (ko) 2010-06-21 2011-06-21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60441A1 (ko)
EP (1) EP2584099B1 (ko)
JP (1) JP5462724B2 (ko)
KR (1) KR101400509B1 (ko)
CN (1) CN103119223B (ko)
WO (1) WO2011162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130357A1 (it) * 2013-07-10 2015-01-11 Cangini Benne Srl Attacco rapido, e relativa apparecchiatura di connessione, di un utensile ad un braccio di azionamento
WO2015102120A1 (ko) * 2013-12-30 2015-07-0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유압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설기계
JP6176666B2 (ja) * 2014-04-08 2017-08-09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におけるクイックカプラ用制御装置
KR101793089B1 (ko) * 2016-04-21 2017-11-20 (주)아엠비하이드로릭스 퀵 커플러의 제어 밸브유닛
JP6877528B2 (ja) * 2017-02-28 2021-05-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イックカプラ回路及びクイックカプラ着脱方法
EP3814578B1 (en) * 2018-06-27 2023-10-18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Method and system to securely manage quick coupling of tools in an earth moving equipment
EP3947827A4 (en) * 2019-03-27 2022-11-2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QUICK COUPLER CIRCUIT OF A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AN AUTOMATIC PRESSURE SYSTEM
JP7402085B2 (ja) * 2020-03-16 2023-12-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油圧システム、作業機械および油圧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2281960A (zh) * 2020-10-13 2021-01-29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电控快换系统及装载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819A (ja) * 1997-12-18 1999-07-06 Komatsu Ltd カプラの油圧保持装置
JPH11324000A (ja) * 1998-03-27 1999-11-26 Caterpillar Inc 作業器具取付用油圧制御装置
JP2002266367A (ja) 2001-03-06 2002-09-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連結ピン構造
JP2003138597A (ja) 2001-11-01 2003-05-1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173A (en) * 1991-06-03 1992-09-15 Caterpillar Inc. Coupling device
JP3056706B2 (ja) * 1997-10-07 2000-06-26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EP1637659A3 (en) * 2001-12-06 2008-08-06 Geith Patents Limited A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and a control system for such a coupler
KR100594850B1 (ko) * 2001-12-18 2006-07-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의 퀵핏장치
US7367256B2 (en) * 2003-01-31 2008-05-06 Jrb Attachments, Llc Pressure switch control for attachment coupling system
US7047866B2 (en) * 2003-01-31 2006-05-23 Jrb Attachments, Llc Electrical and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ttachment coupling system
JP4431124B2 (ja) * 2006-06-09 2010-03-10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機械
JP2008266975A (ja) * 2007-04-19 2008-11-06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2009143705A (ja) * 2007-12-17 2009-07-02 Caterpillar Japan Ltd 把持装置の油圧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819A (ja) * 1997-12-18 1999-07-06 Komatsu Ltd カプラの油圧保持装置
JPH11324000A (ja) * 1998-03-27 1999-11-26 Caterpillar Inc 作業器具取付用油圧制御装置
JP2002266367A (ja) 2001-03-06 2002-09-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連結ピン構造
JP2003138597A (ja) 2001-11-01 2003-05-1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02034A (ja) 2012-01-05
KR20130062322A (ko) 2013-06-12
EP2584099A1 (en) 2013-04-24
US20130160441A1 (en) 2013-06-27
CN103119223B (zh) 2015-07-22
EP2584099A4 (en) 2017-11-08
EP2584099B1 (en) 2020-09-23
WO2011162233A1 (ja) 2011-12-29
CN103119223A (zh) 2013-05-22
JP5462724B2 (ja)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509B1 (ko) 건설 기계의 퀵 커플러 회로
JP5859857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CN102066670B (zh) 液压挖掘机的液压回路装置
CN101379248B (zh) 用于附件安装装置的控制回路
JP5903165B2 (ja) 掘削機を利用した平坦化整地作業制御システム
CN107386344B (zh) 集成式挖掘机销抓取器快速联接器
KR20100121197A (ko) 굴삭기의 퀵커플러
JP4431124B2 (ja) 作業機械
WO2002063107A1 (fr) Machine de chantier: circuit de commande hydraulique pour verin de fleche
KR101859269B1 (ko) 굴삭기용 유압호스 자동 연결장치
KR20100044117A (ko) 건설기계의 유압회로
JP2010185515A (ja) 油圧駆動装置
CN102510920B (zh) 工作设备以及用于致动工作设备的液动工作元件的方法
CN113631775B (zh) 具有自动加压系统的建筑机械的快速联接器回路
JP2012002326A (ja) 解体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JP2019156313A (ja) クランプアームを備えた解体機械
JP2015048858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及び建設機械
JP2002038534A (ja) 多機能の掘削作業機の追加装備された複数のアクチュエータの操作切換制御回路
JP2013147864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EP4382675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9091757A (ja) 建設機械のグラップル装置
JPH09302705A (ja) 油圧シリンダの配設方法
JP3086413B2 (ja) 把持装置の油圧回路
JP5280985B2 (ja) 作業機械
KR20240003322A (ko) 건설 기계의 어태치먼트 착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